KR102574998B1 - 가변형 인솔 - Google Patents

가변형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998B1
KR102574998B1 KR1020210126893A KR20210126893A KR102574998B1 KR 102574998 B1 KR102574998 B1 KR 102574998B1 KR 1020210126893 A KR1020210126893 A KR 1020210126893A KR 20210126893 A KR20210126893 A KR 20210126893A KR 102574998 B1 KR102574998 B1 KR 10257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foam
sole
insole
inso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600A (ko
Inventor
조재영
Original Assignee
(주)영창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창에코 filed Critical (주)영창에코
Priority to KR1020210126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신발을 사용하면서 발의 두께에 따라 인솔의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인솔에 관한 것으로,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와,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뒷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뒷굽형 발포체와,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상기 뒷굽형 발포체와 상기 앞굽형 발포체를 연결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인솔{VARIABLE INSOLE}
본 발명은 발의 두께에 따라 인솔의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인솔에 관한 것이다.
신발을 구성하는 주요한 구성요소의 하나가 인솔이며, 인솔은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발바닥과 직접 접촉된다.
발은 신체의 전체 중 아주 작은 부분이지만 인간이 직립보행을 할 수 있도록 매우 복잡한 구조로 진화되었다.
따라서 발의 뼈는 신체 전체의 뼈 중 약 1/4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뼈들로 이루어진다.
흔히들 발을 제2의 심장이라고 부르며, 그만큼 발은 인간에게 있어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을 보호하는 신발 역시 중요하며 사용자의 발에 맞는 신발을 착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발의 길이, 폭, 두께, 아치부의 형상, 발가락의 길이 등 사람마다 발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편안한 신발을 선택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는 임산부나 청소년에게 있어서 더욱 문제가 된다.
임산부는 태아 성장 및 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체중이 증가되며 혈행에 변화가 생겨 손과 발에 부종이 쉽게 발생하며, 특히 급격한 체중 증가로 인하여 보행시 발에 부하가 크게 인가되며 쉽게 붓고 피로해진다.
종래에는 임산부의 발이 부종에 의하여 신발에 압박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큰 치수의 신발을 신도록 권장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을 위하여 적절한 신체활동을 권장하고 있으며, 신체활동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딱 맞는 치수의 신발을 신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발에 생기는 부종을 고려하여 적합한 신발을 수시로 변경하여 사용하기란 쉽지 않다.
또한 신체 성장이 왕성한 청소년의 경우에도 적합한 신발을 선택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신발의 형태를 가변시키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신발 자체의 형태를 가변시킨다는 것은, 신발의 구조를 약화시킨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1469호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2018. 6.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신발을 사용하면서 발의 두께에 따라 인솔의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인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와,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뒷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뒷굽형 발포체와,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상기 뒷굽형 발포체와 상기 앞굽형 발포체를 연결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지 않는 가변형 인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와,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뒷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뒷굽형 발포체와,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상기 뒷굽형 발포체와 상기 앞굽형 발포체를 연결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발바닥형 발포체의 앞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앞굽부의 하면에 제1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부의 상면에 상기 제1착탈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1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뒷굽형 발포체의 하면에 제2-2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형 발포체의 하면에 상기 제2-2착탈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3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는 가변형 인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와,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뒷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뒷굽형 발포체와,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상기 뒷굽형 발포체와 상기 앞굽형 발포체를 연결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뒷굽형 발포체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며, 상기 뒷굽형 발포체 및 상기 앞굽형 발포체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가변형 인솔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전단부가 상기 앞굽형 발포체에 접합되며 후단부가 상기 뒷굽형 발포체에 접합되는 시트형 연결재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상기 뒷굽형 발포체 및 상기 앞굽형 발포체와 일체를 이루는 발포체형 연결재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전단부가 상기 앞굽형 발포체와 연결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지 않는 가변형 인솔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전단부가 상기 앞굽형 발포체와 연결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발바닥형 발포체의 앞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앞굽부의 하면에 제1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부의 상면에 상기 제1착탈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1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면에 제2-2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형 발포체의 하면에 상기 제2-2착탈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3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는 가변형 인솔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신발을 사용하면서 발의 두께에 따라 인솔의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가변형 인솔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의 단면도,
도 2은 도 1의 가변형 인솔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가변형 인솔이 앞굽부가 얇은 두께로 가지도록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저면도,
도 7은 도 1 상태의 가변형 인솔이 신발에 삽입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도 5 상태의 가변형 인솔이 신발에 삽입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가변형 인솔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가변형 인솔이 앞굽부가 얇은 두께로 가지도록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가변형 인솔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가변형 인솔이 앞굽부가 얇은 두께로 가지도록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의 단면도이며, 도 2은 도 1의 가변형 인솔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가변형 인솔이 앞굽부가 얇은 두께로 가지도록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1 상태의 가변형 인솔이 신발에 삽입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5 상태의 가변형 인솔이 신발에 삽입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가변형 인솔은 제1인솔 몸체(100)의 일부와 제2인솔 몸체(200)의 일부가 서로 접합되어 결합된 것이다.
본 가변형 인솔은 제1인솔 몸체(100)와 제2인솔 몸체(200)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것이지만, 도 2에서는 본 가변형 인솔의 구조를 명확하게 보이기 위하여 제1인솔 몸체(100)와 제2인솔 몸체(200)를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제1인솔 몸체(100)는 발바닥형 발포체(110)와 발바닥형 원단(120)으로 이루어진다.
발바닥형 발포체(110)는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발바닥형 원단(120)은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으로서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상면에 접합된다.
이와 같은 제1인솔 몸체(100)는 일반적인 인솔의 구조이며, 또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1인솔 몸체(100)의 하부에 제2인솔 몸체(200)가 마련된다.
제2인솔 몸체(200)는 뒷굽형 발포체(210)와 앞굽형 발포체(220)와 시트형 연결재(230)로 이루어진다.
뒷굽형 발포체(210)는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뒷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앞굽형 발포체(220)는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앞굽형 발포체(220)의 전후방향 길이는 뒷굽형 발포체(2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다. 이는 앞굽형 발포체(220)가 뒷굽형 발포체(21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앞굽형 발포체(220)의 전단부가 뒷굽형 발포체(210)의 전단부보다 전방측에 위치하여 앞굽형 발포체(220)로 인한 전체적인 인솔의 두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트형 연결재(230)는 전단부가 앞굽형 발포체(220)에 접합되며 후단부가 뒷굽형 발포체(210)에 접합된다.
시트형 연결재(230)는 시트 형태의 원단 또는 시트 형태의 필름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시트형 연결재(230)의 두께는 앞굽형 발포체(22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형 연결재(230)는 전단부가 앞굽형 발포체(220)의 상면에 접합되며 후단부가 뒷굽형 발포체(210)의 상면에 접합된다.
한편 뒷굽형 발포체(210) 및 앞굽형 발포체(220)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시트형 연결재(230)의 전후방향 중앙부는 뒷굽형 발포체(210) 및 앞굽형 발포체(220)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제2인솔 몸체(200)가 제1인솔 몸체(100)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인솔 몸체(200)의 뒷굽부, 구체적으로는 뒷굽형 발포체(210)의 상면에 접합된 시트형 연결재(230) 부위가 제1인솔 몸체(100)의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뒷굽부의 하부에 접합 방식에 의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형 연결재(230)의 후단부가 뒷굽형 발포체(210)의 상면 전체를 덮고 있으므로 시트형 연결재(230)의 뒷굽부가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뒷굽부의 하부에 접합되어 결합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시트형 연결재(230)의 후단부가 뒷굽형 발포체(2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뒷굽형 발포체(210)가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뒷굽부의 하부에 직접 접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합이 아닌 착탈 가능한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제2인솔 몸체(200)의 앞굽부, 구체적으로는 앞굽형 발포체(220)의 상면에 접합된 시트형 연결재(230) 부위가 제1인솔 몸체(100)의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앞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인솔 몸체(200)의 앞굽부, 구체적으로는 앞굽형 발포체(220)의 하면은 제1인솔 몸체(100)의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뒷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앞굽부의 하면에 제1착탈 결합부(111)가 마련된다.
또한 제2인솔 몸체(200)의 시트형 연결재(230)의 상면에 제2-1착탈 결합부(201)가 마련되며, 제2인솔 몸체(200)의 뒷굽형 발포체(210)의 하면에 제2-2착탈 결합부(202)가 마련되며, 제2인솔 몸체(200)의 앞굽형 발포체(220)의 하면에 제2-3착탈 결합부(203)가 마련된다.
제2-1착탈 결합부(201)는 제1착탈 결합부(1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제2-3착탈 결합부(203)는 제2-2착탈 결합부(20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착탈 결합부(111), 제2-1착탈 결합부(201), 제2-2착탈 결합부(202), 제2-3착탈 결합부(203)는 벨크로 결합을 위한 벨크로 부재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착탈 결합부(111), 제2-1착탈 결합부(201), 제2-2착탈 결합부(202), 제2-3착탈 결합부(203)는 서로 착탈 가능한 구조의 홈/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인솔은 도 1의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신발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즉 도 1 및 도 7은 일반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하는 도중에 발의 부종 등으로 인하여 발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로 인하여 발이 압박감을 느낄 경우 도 5와 같이 앞굽형 발포체(220)를 뒷굽형 발포체(2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도 8과 같이 신발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도 5 및 도 8의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7과 비교하여, 가변형 인솔의 앞굽부는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되며 뒷굽부는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된다.
발이 압박감을 느끼는 것은 주로 발의 발등 부위에 해당하므로 본 가변형 인솔의 앞굽부의 두께가 얇아지면 신발의 압굽부 내부에는 보다 넓은 여유 공간이 형성되면서 발이 압박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의 상태에서 앞굽형 발포체(220)의 전단부 상면에는 뒷굽형 발포체(210)가 존재하지 않으므로(즉 앞굽형 발포체(220)의 전후방향 길이가 뒷굽형 발포체(2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어) 가변형 인솔의 전후방향 두께의 단차가 매우 작게 형성되어, 두께의 단차로 인한 이물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8의 상태에서 사용하다 발의 부종이 가라앉으면 다시 도 7과 같은 상태로 본 가변형 인솔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가변형 인솔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가변형 인솔이 앞굽부가 얇은 두께로 가지도록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인솔 몸체(10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발바닥형 발포체(110)와 발바닥형 원단(120)을 포함한다.
한편 발바닥형 발포체(110)는 뒷굽부의 두께가 앞굽부보다 두꺼운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제1인솔 몸체(100)에 제2인솔 몸체(20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인솔 몸체(200)는 시트형 연결재(230)와 앞굽형 발포체(22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인솔 몸체(100)의 발바닥형 발포체(110)에 제2인솔 몸체(200)의 시트형 연결재(230)를 매개하여 앞굽형 발포체(220)가 결합된다.
앞굽형 발포체(220)는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시트형 연결재(230)는 전단부가 앞굽형 발포체(220)의 상면에 접합되면서 연결되며 후단부가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뒷굽부의 하부에 접합되면서 연결된다.
한편 제2인솔 몸체(200)의 앞굽부, 구체적으로는 앞굽형 발포체(220)의 상면에 접합된 시트형 연결재(230) 부위가 제1인솔 몸체(100)의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앞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인솔 몸체(200)의 앞굽부, 구체적으로는 앞굽형 발포체(220)의 하면은 제2인솔 몸체(100)의 시트형 연결재(230)의 뒷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발바닥형 발포체(110)의 앞굽부의 하면에 제1착탈 결합부(111)가 마련된다.
또한 제2인솔 몸체(200)의 시트형 연결재(230)의 앞굽부의 상면에 제2-1착탈 결합부(201)가 마련되며, 제2인솔 몸체(200)의 시트형 연결재(230)의 뒷굽부의 하면에 제2-2착탈 결합부(202)가 마련되며, 제2인솔 몸체(200)의 앞굽형 발포체(220)의 하면에 제2-3착탈 결합부(20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제1착탈 결합부(111), 제2-1착탈 결합부(201), 제2-2착탈 결합부(202), 제2-3착탈 결합부(203)는 벨크로 결합을 위한 벨크로 부재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착탈 결합부(111), 제2-1착탈 결합부(201), 제2-2착탈 결합부(202), 제2-3착탈 결합부(203)는 서로 착탈 가능한 구조의 홈/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가변형 인솔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가변형 인솔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가변형 인솔이 앞굽부가 얇은 두께로 가지도록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인솔 몸체(10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발바닥형 발포체(110)와 발바닥형 원단(120)을 포함한다.
한편 발바닥형 발포체(110)는 앞굽부 및 뒷굽부의 두께가 두꺼우며 전후방향 중간부가 얇은 두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제1인솔 몸체(100)에 제2인솔 몸체(20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인솔 몸체(200)는 하나의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즉 제2인솔 몸체(200)는, 뒷굽형 발포체(241)와 발포체형 연결재(242)와 앞굽형 발포체(24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발포체형 연결재(242)는 뒷굽형 발포체(241) 및 앞굽형 발포체(243)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뒷굽형 발포체(241)와 앞굽형 발포체(243)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연결재로서 기능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재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같이 뒷굽형 발포체 또는 앞굽형 발포체와는 별도의 재료로 된 시트형 연결재(230)를 채택할 수도 있지만, 제3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재료로서 두께를 달리하도록 구성된 발포체형 연결재(242)의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인솔 몸체(220)가 제1인솔 몸체(100)에 접합되는 부위는, 뒷굽형 발포체(241)와, 발포체형 연결재(242)의 후단부이며, 발포체형 연결재(242)의 전단부는 제1인솔 몸체(100)에 접합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4에서 제2인솔 몸체(220)가 제1인솔 몸체(100)에 접합되는 부위를 P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가변형 인솔의 앞굽부가 얇은 두께로 가지도록 변형될 때, 접합되지 않은 상태의 발포체형 연결재(242)의 전단부가, 접합된 상태의 발포체형 연결재(242)의 후단부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인솔 몸체
110 : 발바닥형 발포체 111 : 제1착탈 결합부
120 : 발바닥형 원단
200 : 제2인솔 몸체
201 : 제2-1착탈 결합부 202 : 제2-3착탈 결합부
203 : 제2-3착탈 결합부
210 : 뒷굽형 발포체
220 : 앞굽형 발포체
230 : 시트형 연결재
241 : 뒷굽형 발포체
242 : 발포체형 연결재
243 : 앞굽형 발포체

Claims (9)

  1.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와,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뒷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뒷굽형 발포체와,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상기 뒷굽형 발포체와 상기 앞굽형 발포체를 연결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인솔.

  2.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와,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뒷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뒷굽형 발포체와,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상기 뒷굽형 발포체와 상기 앞굽형 발포체를 연결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발바닥형 발포체의 앞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앞굽부의 하면에 제1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부의 상면에 상기 제1착탈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1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뒷굽형 발포체의 하면에 제2-2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형 발포체의 하면에 상기 제2-2착탈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3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인솔.
  3.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와,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뒷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뒷굽형 발포체와,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상기 뒷굽형 발포체와 상기 앞굽형 발포체를 연결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뒷굽형 발포체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며, 상기 뒷굽형 발포체 및 상기 앞굽형 발포체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인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전단부가 상기 앞굽형 발포체에 접합되며 후단부가 상기 뒷굽형 발포체에 접합되는 시트형 연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인솔.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상기 뒷굽형 발포체 및 상기 앞굽형 발포체와 일체를 이루는 발포체형 연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인솔.
  6. 삭제
  7. 삭제
  8.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전단부가 상기 앞굽형 발포체와 연결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며, 상기 연결재의 전단부는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하면에 접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인솔.
  9. 평면 형태가 발바닥 모양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바닥형 발포체,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상면을 덮는 발바닥 모양의 발바닥형 원단을 포함하는 제1인솔 몸체 ;
    평면 형태가 발바닥의 앞굽 형태이며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앞굽형 발포체와, 전단부가 상기 앞굽형 발포체와 연결되며 상기 앞굽형 발포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연결재를 포함하는 제2인솔 몸체 ;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부는 상기 제1인솔 몸체의 발바닥형 발포체의 앞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바닥형 발포체의 앞굽부의 하면에 제1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부의 상면에 상기 제1착탈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1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뒷굽부의 하면에 제2-2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솔 몸체의 앞굽형 발포체의 하면에 상기 제2-2착탈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3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인솔.
KR1020210126893A 2021-09-27 2021-09-27 가변형 인솔 KR10257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93A KR102574998B1 (ko) 2021-09-27 2021-09-27 가변형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93A KR102574998B1 (ko) 2021-09-27 2021-09-27 가변형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600A KR20230044600A (ko) 2023-04-04
KR102574998B1 true KR102574998B1 (ko) 2023-09-06

Family

ID=8592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893A KR102574998B1 (ko) 2021-09-27 2021-09-27 가변형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9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66B1 (ko) 2007-05-18 2008-02-20 (주)조은제화 하중 분산 및 공기 순환이 우수한 신발용 깔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05B1 (ko) * 2003-12-16 2005-03-14 박종배 각 개인의 발모양 및 운동 특성에 맞는 피팅 인솔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9218A (ko) * 2013-07-16 2015-01-26 박성권 맞춤 깔창
KR20160052128A (ko) * 2014-11-04 2016-05-12 (주)영창에코 신발용 미드솔 및 신발용 인솔
KR101871469B1 (ko) 2018-02-21 2018-06-26 (주)이너스코리아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20190131978A (ko) * 2018-05-18 2019-11-27 걸 사공 높낮이 조절기능을 겸비한 탈부착용 기능성 신발깔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66B1 (ko) 2007-05-18 2008-02-20 (주)조은제화 하중 분산 및 공기 순환이 우수한 신발용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600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1988B2 (ja) 靴のインソール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20200029371A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TWM653012U (zh) 鞋子製品
CN112638190B (zh) 转变成凉鞋或拖鞋的鞋
KR102574998B1 (ko) 가변형 인솔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JP4116516B2 (ja) 靴底およびパッド
CA2957924C (en) Shoe with flexible upper
JP6871209B2 (ja) シューズ
KR101751204B1 (ko) 신발
JP2011229643A (ja) 靴用中敷き
JP4619056B2 (ja) 履物製品とそのソール部材及びソールパッド
KR200366524Y1 (ko) 키높이 양말용 패드
JP3626175B1 (ja) 靴用中敷パッドおよび靴
KR101967597B1 (ko) 엄지발가락 변형 방지를 위한 하이힐용 갑피
JP6829917B1 (ja) 履物の底部材
KR101261375B1 (ko)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KR100738935B1 (ko) 기능성 신발중창
WO2003055342A1 (en) A moccasin with improved function
JP7261446B2 (ja) 指股隔壁内蔵シューズ
JP2005273045A (ja) 靴下
EP4056067A1 (en) Shoe sole and shoe comprising same
TWM654732U (zh) 鞋子製品之鞋面
CA2822618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