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524Y1 - 키높이 양말용 패드 - Google Patents

키높이 양말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524Y1
KR200366524Y1 KR20-2004-0022271U KR20040022271U KR200366524Y1 KR 200366524 Y1 KR200366524 Y1 KR 200366524Y1 KR 20040022271 U KR20040022271 U KR 20040022271U KR 200366524 Y1 KR200366524 Y1 KR 200366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pad
socks
heel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현
Original Assignee
정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현 filed Critical 정보현
Priority to KR20-2004-0022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양말에 삽입하는 패드에 있어서, 내측에는 발뒷꿈치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발뒷꿈치의 형상을 모사한 뒷꿈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높이부와; 상기 키높이부에 연결되어 발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의 가운데 부분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신발을 벗거나 다른 종류의 신발을 착용하더라도 키높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패드를 양말에 재봉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탁을 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자체가 발의 외관모양을 하고 있어 본 고안 패드를 사용한 양말을 착용할 경우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된다.

Description

키높이 양말용 패드{Pad for stature-rising socks}
본 고안은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키높이 양말은 양말 내부에 또는 양말과 일체로 하여 그 일부 또는 전부에 사람의 뒷꿈치를 높일 수 있는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양말을 신는 사용자의 키를 높일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사람의 키를 높일 수 있는 이른바 '키높이 신발'이 다수 개발되었다. 이러한 '키높이 신발'은 대부분 신발내부의 발뒷꿈치 부분을 통상의 신발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는 통상의 신발과 비슷한 굽을 가진 것으로 보이면서신발을 신는 사람의 키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키높이 신발'과 관련해서는 그 깔창 내지는 내창에 대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5974호('키높이 깔창')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263호('착탈식 키높이 신발 내창') 등의 기술이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 및 고안의 '키높이 신발'의 깔창 내지는 내창은 신발을 신고 있는 경우에만 키를 높일 수 있으며,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있을 때 또는 샌들, 슬리퍼 등 다른 신발을 신고 있을 때에는 그 기능을 다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918호('키높이 양말')와 같은 고안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양말을 이중면으로 하여 공간을 만들고 그 사이에 키높이 소재를 일부는 미리 재봉되어 고정시키고, 다른 일부는 분리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키높이 소재를 양말에 미리 재봉함으로써 천으로 된 양말 내부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계열의 패드가 포함된 상태로 되어 세탁이 용이하지 못하고 패드 또는 양말이 손상될 경우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둘째, 발뒷꿈치 부분이 가장 높고 발의 앞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된 키높이 소재를 삽입함으로써, 착용시 발이 패드의 경사를 따라 앞쪽으로 미끄러질 가능성이 있다.
셋째, 상기와 같이 발뒷꿈치만을 높이게 되면 직립시 허리가 뒤쪽으로 젖혀지게 되어 자세가 불안하며 허리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또한 발이 앞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가락에 힘이 집중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발가락 관절이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을 벗거나 다른 종류의 신발을 착용하더라도 키높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세탁이 용이하고 발이 앞쪽으로 미끄러지지 않아 허리나 발가락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양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c는 도 1b에 대한 안쪽에서 본 측면도.
도 1d는 도 1b에 대한 바깥쪽에서 본 측면도.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정면도.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배면도.
도 2c는 도 1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우측면도.
도 2d는 도 1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좌측면도.
도 2e는 도 1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평면도.
도 2f는 도 2e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A-A'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측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착용한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c는 도 3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높이부
102 : 수용홈
104 : 뒷꿈치부
200 : 지지부
202 : 돌출부
204 : 충격흡수홈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양말에 삽입하는 패드에 있어서, 내측에는 발뒷꿈치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발뒷꿈치의 형상을 모사한 뒷꿈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높이부와; 상기 키높이부에 연결되어 발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의 가운데 부분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키높이부는 발뒷꿈치의 양쪽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내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밑면에는 상기 돌출부쪽으로 함입된 충격흡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높이부 또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패드를 상기 양말에 결합하기 위한 삽입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코르크 또는 실리콘 또는 고무 또는 폴리머젤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높이부는 10mm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내측에 천으로 된 안감이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키높이 양말용 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키높이 양말을 포함한다.
또한 삽입날개를 더 포함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키높이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날개에 대응하여 삽입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c는 도 1b에 대한 안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d는 도 1b에 대한 바깥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키높이부(100), 수용홈(102), 뒷꿈치부(104), 지지부(200), 돌출부(202)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사용자의 발뒷꿈치에 대응하여 키를 높여주는 부분인 키높이부(100)와, 발의 가운데부분에 대응하여 발이 앞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2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키높이부(100)는 내측에 발뒷꿈치와 접촉하는 부분인 수용홈(102)과 외측의 양말에 접촉하는 부분인 뒷꿈치부(104)에 그 특징이 있으며, 상기 수용홈은 가능한 한 사람의 발뒷꿈치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에 따라 발의 크기는 상이하나 발의 일부에 해당하는 발뒷꿈치의 크기는 그만큼 차이가 나지 않고 거의 일정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키높이부(100)는 신발과는 달리 수용홈(102)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더라도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뒷꿈치부(104)는 본 고안 패드 위에 양말을 착용하게 됨에 따라 양말에 닿게 되는 부위이다. 본 고안은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도 키높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양말용 패드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과 같이 키높이 기능을 가진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겉에서 보았을 때 패드를 착용한 것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면 그 효용성이 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 뒷꿈치부(102)는 사람의 발뒷꿈치와 매우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마치 맨발위에 양말을 착용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발뒷꿈치에 패드를 받치게 되면 그 경사로 인하여 발이 앞쪽으로 미끄러지게 되며, 이를 막기 위해 자연스럽게 발가락에 힘이 집중되고 직립을 유지하기 위해 허리가 긴장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높이부(100)와는 별도로 발의 가운데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지지부(200)을 형성하여 발이 앞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시 발과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위치가 제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키높이 양말용 패드로서 별도의 2개의 패드를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또한 지지부가 그 역할을 다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지지부(200)를 상기 키높이부(100)와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패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발뒷꿈치에서 발의 가운데 부분에까지 이르는 단일 형태의 패드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발가락부위를 제외한 발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발바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202) 및 지지부의 밑면에 돌출부(202)와 같은 방향으로 함입된 충격흡수홈(도 2f 참조)으로 구성된다. 통상 인체의 발은 발가락이 시작되는 부위와 발뒷꿈치 부위가 주로 지면에 닿게 되며 발의 가운데 부분은 약간 위쪽으로 함입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02)는 함입된 발의 가운데 부분을 받쳐줌으로써 발이 키높이부의 경사를 따라 앞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만, 발의 가운데 부분에 돌기를 형성하여 항상 그 부분을 딛으면서 보행을 하게 되면 발바닥에 피로를 빨리 느끼게 되며, 심한 경우 고통까지 수반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202)는 그 밑면에 홈을 형성하여 압력이 가해질 때 돌출부(202)의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홈(20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사람의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이고, 보행시충격을 직접 척추까지 전달하는 부분이기도 하므로, 사람의 피부와 유사하며 충격흡수 성능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재질로서 코르크,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신체근육조직과 가장 유사한 재질인 폴리머젤을 포함하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좋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항균기능을 가진 은나노 코팅 폴리머젤,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황토를 함유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2a, 2b, 2c, 2d, 2e는 각각 도 1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평면도이고, 도 2f는 도 2e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A-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키높이부(100), 수용홈(102), 뒷꿈치부(104), 안내날개(106, 108), 지지부(200), 돌출부(202), 충격흡수홈(204)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고안의 효과를 얻는데에 있어 그 형상, 특히 발뒷꿈치 부분에 해당하는 키높이부와 발의 가운데 부분에 해당하는 지지부의 형상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 실시예에 대해 저면도를 제외한 6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치수는 생략하였으나, 키높이부의 최고높이는 약 60mm, 폭은 약 55mm, 지지부의 폭은 약 46mm, 전체 길이는 약 140mm 정도가 적절하다.
본 고안 패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칫수인 상기 키높이부(100)의 두께는 10mm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높이부(10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본 고안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으며, 반대로 너무 두껍게 되면 신발을신을 때에 발등 부분에 압박이 가해지게 되어 신발을 신기가 곤란하거나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발에 통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키높이부(100)가 너무 두꺼우면 발이 앞쪽으로 미끄러지는 정도가 심해 상기 지지부(200)로서도 이를 방지하기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키높이부(100)는 통상의 신발의 크기를 감안할 때, 10mm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mm 정도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키높이부(200)는 발뒷꿈치의 양쪽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내날개(106, 10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날개는 발뒷꿈치가 상기 수용홈(102)에 안착되어 보행시 그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좌우방향의 가이드 역할을 하며, 수용홈 및 뒷꿈치부와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발의 형상과 유사하게 하여 발에 압박을 가하지 않으면서 외부에서 패드의 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도 1c와 도 1d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착용시 발뒷꿈치의 밑면뿐만 아니라 뒷면 및 좌, 우측면까지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2)의 밑면에는 상기 돌출부(202)쪽으로 형성된 충격흡수홈(20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f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부의 밑면에는 충격흡수홈(20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충격흡수홈(204)은 보행시 발바닥에 의해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돌출부가 함몰되어 변형이 생김으로써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202)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 보행시 계속하여 발의 가운데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쉽게 피로해지고, 발바닥에 통증을 호소할 우려도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02)는 발바닥의 압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였다가 압력이 제거된 후에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사람의 피부에 직접 닿게 되므로 접촉시의 촉감 및 땀 등의 흡수 등을 고려하여 내측에 천으로 된 안감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의 내창에도 그 안쪽으로 천으로 된 안감이 부착되나, 본 고안 패드의 경우에는 직접 맨발에 닿는 제품이므로 발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에 촉감을 좋게 하고 땀흡수 등을 위해 안감을 대는 것이 좋다.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키높이부(100), 수용홈(102), 뒷꿈치부(104), 안내날개(106, 108), 지지부(200), 돌출부(202), 삽입날개(206)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양말 안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제품으로, 통상의 양말에도 사용이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 패드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수단이 형성된 양말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키높이부(100) 또는 상기 지지부(200)의 단부에는 이에 연결되어 또는 이를 연장하여 상기 패드를 양말에 결합하기 위한 삽입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200)의 앞쪽으로 삽입날개(206)가 연장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된 형상 및 위치의 삽입날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그리고 키높이부(100)의 단부에도 삽입날개를 형성하여 패드를 양말과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는 상기 키높이 양말용 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키높이 양말도 포함된다. 이 경우 상기 키높이 양말의 안쪽에는 상기 패드에 형성된 삽입날개에 대응하여 삽입포켓(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과의 결합에 있어서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벨크로(velcro)'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양말용 패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c는 도 3a에 도시된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키높이부(100), 뒷꿈치부(104), 변형흡수줄눈(110), 지지부(200), 돌출부(2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돌출부(202)를 형성하여 발바닥의 가운데 부분에 압박을 가함으로써 발이 키높이부(100)로부터 앞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패드를 착용하고 보행을 하게 되면 발뒷꿈치의 가압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는 뒷꿈치부(104)에 변형이 생기거나, 갈라짐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변형흡수성능이 매우 우수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도 있으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변형흡수줄눈(110)을 형성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신발을 벗거나 다른 종류의 신발을 착용하더라도 키높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패드를 양말에 재봉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탁을 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자체가 발의 외관모양을 하고 있어 본 고안 패드를 사용한 양말을 착용할 경우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발의 가운데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립시 인체의 무게중심이 발가락부분에 집중되고 몸이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해 준다. 따라서 허리 및 발가락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완화시켜 주며 자세교정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의 밑면에는 충격흡수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바닥 가운데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어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발뒷꿈치 부분에는 좌우로 안내날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감이 우수하다.

Claims (9)

  1. 양말에 삽입하는 패드에 있어서,
    내측에는 발뒷꿈치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발뒷꿈치의 형상을 모사한 뒷꿈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높이부와;
    상기 키높이부에 연결되어 발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의 가운데 부분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높이부는 발뒷꿈치의 양쪽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내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밑면에는 상기 돌출부쪽으로 함입된 충격흡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높이부 또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패드를 상기 양말에 결합하기 위한 삽입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높이 양말용 패드는 코르크 또는 실리콘 또는 고무 또는 폴리머젤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높이부는 10mm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높이 양말용 패드의 내측에 천으로 된 안감이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키높이 양말용 패드.
  8. 제1항의 키높이 양말용 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키높이 양말.
  9. 제4항의 키높이 양말용 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키높이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날개에 대응하여 삽입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양말.
KR20-2004-0022271U 2004-08-04 2004-08-04 키높이 양말용 패드 KR200366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71U KR200366524Y1 (ko) 2004-08-04 2004-08-04 키높이 양말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71U KR200366524Y1 (ko) 2004-08-04 2004-08-04 키높이 양말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524Y1 true KR200366524Y1 (ko) 2004-11-09

Family

ID=4944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271U KR200366524Y1 (ko) 2004-08-04 2004-08-04 키높이 양말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5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469B1 (ko) 2006-07-26 2006-12-21 (주)조은제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WO2014058240A1 (ko) * 2012-10-12 2014-04-17 Jin Sang Jun 깔창이 구비된 양말
KR101460045B1 (ko) 2012-12-18 2014-11-11 김기태 힐링용 워킹양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469B1 (ko) 2006-07-26 2006-12-21 (주)조은제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WO2014058240A1 (ko) * 2012-10-12 2014-04-17 Jin Sang Jun 깔창이 구비된 양말
KR101401627B1 (ko) * 2012-10-12 2014-06-02 진상준 깔창이 구비된 양말
KR101460045B1 (ko) 2012-12-18 2014-11-11 김기태 힐링용 워킹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250B2 (en) Multipiece footwear insole
KR101229050B1 (ko) 신발을 위한 안창 지지시스템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JP5431554B2 (ja) ボウリングシューズ
US20160219970A1 (en) Triathlon Insole
TW201340901A (zh) 使用於減輕內翻足弓症狀與膝關節受力之鞋內底及其製造方法
JPH0543362B2 (ko)
TWI556756B (zh) flip flop
KR200366524Y1 (ko) 키높이 양말용 패드
JP2012528688A (ja) 健康靴および方法
TWM469772U (zh) 鞋墊裝置
KR200205881Y1 (ko) 신발용 코르크중창
KR20110004571A (ko) 신발 밑창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2574998B1 (ko) 가변형 인솔
US11786009B2 (en) Footwear system with integrated orthotics, stabilization features, and a plurality of design features
CN215603528U (zh) 一种舒适脚床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US20230292880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JP6829917B1 (ja) 履物の底部材
TWM538331U (zh) 鞋口後跟貼(一)
TWM651432U (zh) 具備緩衝及止滑效果的足弓鞋墊
WO2020243876A1 (zh) 一种高跟鞋足舒支持器
KR200375314Y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