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314Y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314Y1
KR200375314Y1 KR20-2004-0032235U KR20040032235U KR200375314Y1 KR 200375314 Y1 KR200375314 Y1 KR 200375314Y1 KR 20040032235 U KR20040032235 U KR 20040032235U KR 200375314 Y1 KR200375314 Y1 KR 200375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rear portion
shoe
acupressure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희
Original Assignee
정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희 filed Critical 정용희
Priority to KR20-2004-0032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3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의 중창을 형성함에 있어, 앞쪽 부위를 뒷쪽 부위보다 높게하여 보행중에 다리 및 허리 등의 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중창의 뒷쪽 부위에 지압구 또는 쿠션부재가 착탈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도록 함에 따라, 지압에 의한 발마사지 효과와 발목이나 허리 척추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신발의 중창을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지압구와 쿠션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신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보행시 발목 및 허리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완충시켜 사용자의 발이나 발목 및 허리 척추 등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중창을 형성함에 있어, 앞쪽 부위를 뒷쪽 부위보다 높게하여 보행중에 다리 및 허리 등의 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중창의 뒷쪽 부위에 지압구 또는 쿠션부재가 착탈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도록 함에 따라, 지압에 의한 발마사지 효과와 발목이나 허리 척추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이라 함은 편안하고 안전한 보행과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 및 모양에 따라, 슬리퍼, 운동화, 샌들, 등산화, 안전화 등의 다종을 이룬다.
신발은 갑피, 중창, 바닥창 등으로 이루어지며, 갑피의 경우에는 주로, 가죽이나 인조가죽 및 합성비닐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창이나 바닥창은 쿠션감을 부여하기 위해 합성고무 또는, 우레탄이나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신발의 중창은 대부분이 앞쪽부위가 낮고 뒷쪽부위가 높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신발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한 쿠션기능과 발목 및 허리 등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나, 기능성에 대한 효과가 미비(未備)하고, 기능성에 비해 고가의 제품으로서, 비효율적이고 경제적이지 못한 폐단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보행시 발목 및 허리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신발의 중창을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고, 뒷쪽부위에는 지압 및 쿠션기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발이나 발목 및 허리 척추 등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평지를 보행하더라도 마치, 등산이나 오르막길을 보행하는 듯한 운동효과를 부여하며, 특히, 보행중에 허리의 곧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서, 허리의 변형과 체력보강 및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갑피, 중창, 바닥창 등으로 이루어지진 신발에 있어서, 중창은 앞쪽부위가 뒷쪽부위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지압구와 쿠션부재가 부착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중창은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쿠션부재가 부착되며, 내부에는 신축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중창은 뒷쪽부위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에는 상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돌출되며 저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지압구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중창은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되, 뒷쪽부위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에는 앞부분보다 뒷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저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보조 중창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중창은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되, 뒷쪽부위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중창은 앞부분보다 뒷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1)은 갑피(10), 중창(20), 바닥창(30) 등으로 이루어지되, 중창(20)은 앞쪽부위가 뒷쪽부위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지압구(22)와 쿠션부재(24)가 부착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중창(20)의 뒷쪽부위에 부착되는 지압구(22)는 쿠션부재(24) 상면에 밀착되게 부착되고, 쿠션부재(24)는 중창(20)에 형성된 안착홈(21)에 끼워져 결합되거나,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신발(1)은 가죽으로 이루어진 갑피(10)의 바닥면에 위치되도록 재봉이나 접착제에 의해 중창(20)이 결합되고, 중창(20)의 저면에는 바닥창(30)이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중창(20)은 앞쪽부위의 두께가 뒷쪽부위의 두께 보다 두껍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바닥으로부터 높게 이루어지며, 뒷쪽부위, 즉, 발 뒷금치 부위가 밀착되는 부위에는 지압구(22)와 쿠션부재(24)가 결합되되, 지압구(22)는 상면이 곡률지게 형성되고, 쿠션부재(24)는 중창(20)에 형성된 안착홈(21)에 끼워져 결합된 것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서, 신발(1)의 중창(20)이 앞쪽부위가 뒷쪽부위 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져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쿠션부재(24)가 결합되며, 그 하방에 해당되는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간부(25)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중창(20)은 신축성과 유연성을 갖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25)에 의해 신축 및 완충기능을 갖게 된다.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서, 신발(1)의 중창(20) 뒷쪽부위에 끼움홈(20a)이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22a)가 돌출되며 저면에 끼움돌기(22b)가 형성된 지압구(20)가 끼움홈(20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것이다.
이때, 지압구(20)의 착탈을 위한 끼움홈(20a)과 끼움돌기(22b)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서, 신발(1)의 중창(20)이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되, 뒷쪽부위에는 끼움홈(20a)이 형성되고, 앞부분보다 뒷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저면에 끼움돌기(22b)가 형성된 보조 중창(2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이때, 보조 중창(20')은 끼움돌기(22b) 없이 중창(20) 상면에 면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를 이루며 결합시켜도 무관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서, 신발(1)의 중창(20)은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다수의 요홈(20a')이 형성된 것이다.
도 7(a), 7(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서,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된 중창(20)의 상면에는 보조 중창(20')이 결합되되, 보조 중창(20')은 앞부분보다 뒷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져 키높이부재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1)은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20)이 서로 다른 형태로 각각의 실시로 사용되고 있으나, 신발의 외관은 통상적인 신발과 동일한 형상 및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0)에 중창(20)과 바닥창(30)을 결합시켜 신발(1)을 완성하되, 중창(20)을 앞쪽부위의 두께를 뒷쪽부위의 두께 보다 두껍게하여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뒷쪽부위에는 지압구(22)와 쿠션부재(24)를 결합함에 따라, 신발(1)을 착용한 상태에서, 지압부(22)에 의해 발 뒷금치부위의 지압 및 마사지가 이루어지고, 쿠션부재(24)에 의해 중량 및 충격에 대한 하중이 흡수·완충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신발(1)은 중창(20)의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높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평지를 보행하더라도 마치 오르막길을 오르거나 등산과 같은 보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창(20)의 앞쪽부위가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행시 다리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지압구(22)와 쿠션부재(24)에 의해 지압 및 마사지는 물론, 발목부위나 무릎, 허리 척추 등의 관절부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신발(1)은 다양한 실시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3에 따른 제 1실시예서는 앞쪽부위가 뒷쪽부위 보다 높게 형성된 중창(20)의 뒷쪽부위에 안착홈(21)을 형성하여 쿠션부재(24)를 결합하고, 그 하방에 해당되는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간부(25)를 형성함에 따라, 보행시 사용자의 발 뒷금치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하중이 공간부(25)에 의해 1차 흡수·완충되고, 쿠션부재(24)에 의해 2차 흡수·완충되는 것이다.
도 4(a), 4(b)에 따른 제 2실시예에서는 신발(1)의 중창(20) 뒷쪽부위에 발 바닥의 지압 및 마사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압구(22)가 결합되는 것으로, 지압구(22)는 끼움홈(20a)과 끼움돌기(22b)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유롭게 지압구(22)를 탈부착할 수 있으며, 특히, 지압구(22)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지압돌기(22a)를 돌출시켜 발 부위의 지압 및 마사지 적용범위를 넓히고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압구(22)의 착탈을 위한 끼움홈(20a)과 끼움돌기(22b)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지압구(22)의 결합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고 부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a), 5(b)에 따른 신발의 제 3실시예에서는 신발(1)의 중창(20) 상면에 보조 중창(2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창(20)의 뒷쪽부위에 형성된 끼움홈(20a)과 보조 중창(2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22b)에 의해 착탈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보조 중창(20')은 끼움돌기(22b)없이 중창(20)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6에 따른 신발의 제 4실시예에서는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된 중창(20)의 뒷쪽부위에 다수의 요홈(20a')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중창(20)의 뒷쪽부위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요홈(20a')이 찌그러지거나 압착 변형되어 하중에 대한 쿠션 및 신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신발(1)을 신고 보행하는 과정에서, 요홈(20a')에 의해 발바닥과 중창(20)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통풍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7(a), 7(b)에 따른 신발의 제 5실시예에서는 신발(1)의 중창(20) 상면에 키높이를 위한 보조 중창(20')이 결합된 것으로서, 보조 중창(20')은 앞부분보다 뒷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신발(1)을 신은 사용자의 신장을 크게 보이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10)의 중창(20)은 제 1~5실시예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창(20)의 앞쪽부위를 뒷쪽부위보다 높게 형성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며, 다양한 형태의 지압구와 쿠션부재 등의 여러가지 기능성 부재를 결합시켜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동일, 유사한 것이므로 동일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신발의 중창을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지압구와 쿠션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신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보행시 발목 및 허리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완충시켜 사용자의 발이나 발목 및 허리 척추 등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평지를 보행하더라도 마치, 등산이나 오르막길을 보행하는 듯한 운동효과를 부여하므로서, 체력보강과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7(a), 7(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신발 10:갑피
20:중창 20':보조 중창
21:안착홈 22:지압구
24:쿠션부재 25:공간부
30:바닥창

Claims (6)

  1. 갑피(10), 중창(20), 바닥창(30) 등으로 이루어지진 신발에 있어서,
    중창(20)은 앞쪽부위가 뒷쪽부위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지압구(22)와 쿠션부재(24)가 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갑피(10), 중창(20), 바닥창(30) 등으로 이루어지진 신발에 있어서,
    중창(20)은 앞쪽부위가 뒷쪽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높게 형성되고, 뒷쪽부위에는 쿠션부재(24)가 부착되며, 내부에는 신축을 위한 공간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중창(20)은 뒷쪽부위에 끼움홈(20a)이 형성되고, 끼움홈(20a)에는 상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22a)가 돌출되며 저면에 끼움돌기(22b)가 형성된 지압구(22)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중창(20)은 뒷쪽부위에 끼움홈(20a)이 형성되고, 끼움홈(20a)에는 상면에는 앞부분보다 뒷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저면에 끼움돌기(22b)가 형성된 보조 중창(2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중창(20)은 뒷쪽부위에 다수의 요홈(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중창(20)의 상면에는 보조 중창(20')이 결합되되, 보조 중창(20')은 앞부분보다 뒷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2004-0032235U 2004-11-15 2004-11-15 신발 KR200375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235U KR200375314Y1 (ko) 2004-11-15 2004-11-15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235U KR200375314Y1 (ko) 2004-11-15 2004-11-15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314Y1 true KR200375314Y1 (ko) 2005-03-11

Family

ID=4367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235U KR200375314Y1 (ko) 2004-11-15 2004-11-15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3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045B1 (ko) * 2021-09-08 2022-04-08 주식회사 에스엘일렉콤 후족부에 지압강화를 위한 신발밑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045B1 (ko) * 2021-09-08 2022-04-08 주식회사 에스엘일렉콤 후족부에 지압강화를 위한 신발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2982B2 (en) Footwear
US7707747B2 (en) Footwear of shoe structure
CN201278864Y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JP2012501717A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TW201715979A (zh) 具有緩衝墊與波狀支撐件之拖鞋及其製造方法
US20090265961A1 (en) Footwear as Mat-Socks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JP5031753B2 (ja) マットソックスとしての履物
KR101126601B1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100945834B1 (ko) 충격흡수형 신발창
KR200375314Y1 (ko) 신발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101263614B1 (ko) 신발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KR100818789B1 (ko)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
JP2010184098A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KR20130091039A (ko) 다단쿠션을 갖는 기능성 신발밑창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100363269B1 (ko) 구두의 완충구조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JP5832021B2 (ja) 靴底及び靴
KR20060035524A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JP3211541U (ja) 履物
KR0114451Y1 (ko) 에어팩이 부설된 개량 샌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