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469B1 -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 Google Patents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469B1
KR100660469B1 KR1020060070246A KR20060070246A KR100660469B1 KR 100660469 B1 KR100660469 B1 KR 100660469B1 KR 1020060070246 A KR1020060070246 A KR 1020060070246A KR 20060070246 A KR20060070246 A KR 20060070246A KR 100660469 B1 KR100660469 B1 KR 10066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kin material
pad portion
mol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용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조은제화
조덕용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제화, 조덕용, 이동원 filed Critical (주)조은제화
Priority to KR102006007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의 내부에 착용하여 그 사용자의 신장이 커보이게 하는 키높이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발바닥에 직접 닿는 인조 또는 천연의 가죽이나 직물류 등을 형틀 내에 미리 안치하고, 그 형틀 내에 유동성을 갖는 탄성 수지액을 주입한 후, 이를 고압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키높이 패드의 생산공정을 크게 단순화시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안정된 품질을 갖는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면서도,
가압 성형에 의한 자유로운 디자인의 설계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발바닥 및 뒷꿈치 윤곽과 일치되는 부드러운 곡면 및 융출부를 형성하여 보다 우수한 착용감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실제 제품의 착용시 외부로 전혀 두드러지지 않아 은폐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이며,
바닥면으로부터 가죽 또는 직물의 저면까지 관통된 통기공은 중량 감소 및 탄성 보강, 통기성 확보를 실현하여 가볍고 뛰어난 보행성 및 습기나 열기 등이 외기와 신속하게 순환되어 냄새 및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이다.
키높이, 패드, 양말, 가이드부, 융출부, 마찰돌기, 통기공

Description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ure-raising pad attached in socks and the pa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키높이 패드의 전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키높이 패드의 제조공정도로서,
도 2a는 형틀 내에 표피재를 안치시킨 상태도
도 2b는 표피재를 갖는 형틀내에 수지액을 주입하여 이를 가압 성형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키높이 패드의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키높이 패드의 횡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키높이 패드의 종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키높이 패드의 착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키높이 패드의 타실시예도로서, 직물로 된 표피재를 사용한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드부 11 : 가이드부
12 : 마찰무늬면 13,13' : 통기공
20 : 표피재 21,21' : 마찰돌기
22 : 라텍스 코팅층 23 : 접지부
본 발명은 양말의 내부에 착용하여 그 사용자의 신장이 커보이게 하는 키높이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죽이나 직물로 된 표피재의 하부에 고탄성의 패드부를 형성하되, 그 키높이 패드의 상부에는 마찰돌기 및 아치형의 접지부, 둘레의 가이드부를 각각 형성하고, 키높이 패드의 하부에는 마찰무늬면 및 다수의 통기공을 각각 형성하여,
보다 밀착성이 우수하고 은폐성이 뛰어난 구조적 설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뛰어난 만족감 및 착용감을 제공하고, 발의 피로도 및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면서도 경량화 및 고탄성,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더욱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특징을 갖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장이 작거나 자신의 키를 더 크게 보이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키높이 구두를 구매하여 착용하고 다녔다.
이러한 키높이 구두의 구조는, 신발 바닥창의 뒷굽을 높이거나 신발의 내측 에 별도의 패드를 삽입하여 착용자의 뒷꿈치를 들어 올려주는 효과를 갖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뒷굽의 높이 또는 패드의 두께와 비례하여 이를 착용하는 소비자의 키가 커보이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키높이 구두는, 실외에서 착용하는 경우에는 키높이 효과가 있으나 그 신발을 벗어야 하는 실내에서는 자신의 본래 키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잦은 실내,외 영업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나, 슬리퍼나 실내화를 착용하고 근무를 하는 직장인들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키높이 신발에 의한 효과를 거의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키높이 신발은 제작과정에서 그 신발 깔창 내부에 미리 삽입하여 완성하므로, 키높이 신발 이외의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역시 종래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키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398700호와 같이, 착용자의 발바닥에 직접 밀착되는 밀착패드와, 그 밀착패드의 저면에 부착되는 경사상 쿠션패드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쿠션패드로부터 상향 형성된 밴드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밴드에 의해 착용자의 맨발에 직접 착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한 키높이용 패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말을 착용하게 되면 그 키높이 패드가 완전히 은폐되므로, 신발의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늘 착용자의 키를 높여 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말 속에 은폐되어 있는 키높이 패드에 의해 실내,외를 구분하지 아니 하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키높이 효과가 있으므로 착용자의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양말 내측에 착용되는 키높이용 패드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양말 내부용 키높이 패드는 밀착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한 밴드의 압박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을 하게 되면 그에 따른 이물감 및 피로감을 호소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느슨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발바닥으로부터 키높이 패드가 미끄러져 보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키높이 패드는 사용자 발바닥 저면의 부드러운 곡면과 일치되지 않아 맨발과 키높이 패드의 경계가 매우 뚜렷하므로 상기한 키높이 패드의 착용상태가 외부로부터 쉽게 노출되므로 이를 숨기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며,
고무 또는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어 있어 이들 자체 재질의 특성상 통풍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쉽게 땀이 차거나 습기가 잔류하고 있어 냄새 및 세균 번식의 원인을 제공하여 발의 위생상 매우 좋지 못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키높이 패드의 경우에는 쿠션패드와 밀착패드를 각기 양산하여 이를 접착 형성하여야 하고, 별도의 밴드를 견고하게 접착 고정하여야 하는 많은 단계의 제조공정이 뒤따르므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의 과다로 인해 대량생산이 적합하지 않음은 물론 제품의 양산과정에서 많은 량의 불량품이 배출되면서도 품질이 안정되지 못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바닥에 직접 닿는 인조 또는 천연의 가죽이나 직물류 등을 형틀 내에 미리 안치하고, 그 형틀 내에 유동성을 갖는 탄성 수지액을 주입한 후, 이를 고압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키높이 패드의 생산공정을 크게 단순화시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안정된 품질을 갖는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면서도,
가압 성형에 의한 자유로운 디자인의 설계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발바닥 및 뒷꿈치 윤곽과 일치되는 부드러운 곡면 및 융출부를 형성하여 보다 우수한 착용감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실제 제품의 착용시 외부로 전혀 두드러지지 않아 은폐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이며,
바닥면으로부터 가죽 또는 직물의 저면까지 관통된 통기공은 중량 감소 및 탄성 보강, 통기성 확보를 실현하여 가볍고 뛰어난 보행성 및 습기나 열기 등이 외기와 신속하게 순환되어 냄새 및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키높이 패드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키높이 패드의 제조공정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맞닿는 면이 형틀 바닥면을 향하도록 별도의 표피재를 형틀 내에 안치시키고, 상기 표피재의 상부인 형틀 내부에 고탄성의 수지액을 주입한 후, 상기 형틀의 상측으로부터 고압 프레스에 의해 이를 가압하여 표피재가 결합된 패드부를 경화 성형시키되,
상기 표피재의 상부 전면에는, 형틀에 의한 가압 성형으로부터 패드부가 융기된 마찰돌기가 융출 형성되게 하고,
상기 패드부의 상측부 및 상후부에는, 선단을 향하여 점차 얇은 두께를 갖는 가이드부가 융출 형성되어 그에 따라 표피재가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결합 형성되게 하며,
상기 패드부의 저면에는 거친 무늬로 된 마찰표면을 성형하고,
그 패드부에는, 패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표피재의 저면까지 관통된 통기공을 전면에 형성되게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표피재는 표면이 비교적 거친 가죽을 사용하거나, 블루진과 같은 직물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블루진과 같은 직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직물로 된 표피재의 저면에 라텍스를 도포한 후 사용되게 하여, 가압 성형되는 수지액이 직물 내부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조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키높이 패드의 구성은, 도 3의 키높이 패드의 측면 전체도 및 도 4의 횡방향 단면도, 도 5의 종방향 단면도와 같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항하여 점차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고탄성의 패드부(10)를 형성하고, 그 패드부(10)의 상부면에는 표피재(20)를 구성하되,
상기 표피재(20)의 상부 전체면에는 하부 패드부(10)로부터 융기된 돌기에 의한 마찰돌기(21)(21')가 돌출 형성되고, 그 표피재(20)의 상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의 곡률을 갖는 접지부(23)가 하부 패드부(10)의 융기에 의해 돌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패드부(10)의 상측부 및 후측부에는, 일체로 성형되고 선단으로 점차 얇은 두께를 갖는 완만한 곡면으로 된 가이드부(11)가 연속하여 융출 형성되어 상기 표피재(20)가 그 곡면상의 가이드부(11) 내면을 따라 곡면을 갖고 구성되고,
상기 패드부(10)의 저면은, 인체의 발바닥과 뒷꿈치의 형상과 동일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 전체에는 거친 입자상의 마찰무늬면(12)을 형성하며,
상기 패드부(10)에는 그 패드부(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표피재(20)의 저면까지 관통된 통기공(13)(13')을 전체에 수직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표피재(20)를 가죽으로 구성하되, 그 노출표면은 비교적 거친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표피재(20)를 직물로 구성하되, 그 직물로 된 표피재(20)의 저면에는 라텍스 코팅층(22)이 형성되어, 가압 성형에 의해 구성되는 패드부(10)가 직물로 된 표피재(20)로 스며들지 않게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조방법 및 구성에 의한 본 발명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의 제조과정 및 그 패드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높이 패드는, 일반적인 키높이 패드의 용도와 같이 사용되는 즉, 구두 등의 신발 바닥에 넣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맨발 하부에 밀착한 후 양말을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신발을 착용하거나 신발을 벗고 실내에서 활동을 하는 경우에도 양말 내부에 위치한 본 발명 키높이 패드에 의해 항상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키가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키높이 패드를 얻기 위한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 2a의 도시와 같이 키높이 패드의 형상과 일치하는 대향의 몰드 즉, 형틀을 구비한 후, 상기 형틀의 바닥면에 표피재(20)를 안치시킨다.
이때, 상기한 표피재(20)는 사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맞닿는 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삽입하면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표피재(20)가 삽입 안치된 상태의 형틀에 용융상태 또는 연성을 갖는 겔 형태의 수지액을 주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표피재(20)와 수지액이 삽입 및 주입되면 도 2b의 도시와 같이 이를 상측으로부터 고압으로 프레싱하여 형틀의 형상에 따라 입체적이고 부드러운 곡면으로 된 패드부(10)가 성형되게 하면 되는 것이고, 패드부(10)의 성형과 동시에 그 수지액은 경화 단계를 거쳐 고탄성의 패드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형틀은, 패드의 가압 성형과정에서 키높이 패드의 상,하부면에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으로, 가압 성형된 패드부(10)의 상부 전면에는 가압 성형과정에서 그 패드부(10)가 융기되어 돌출 형성된 마찰돌기(2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한 마찰돌기(21)(21')가 융기됨에 따라 그 표피재(20)가 마찰돌기(21)(21')의 융기 형상을 따라 변형되어 융기된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그 패드부(10)의 상부 중앙에는 패드 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의 곡률을 갖고 융기된 접지부(23)가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한 접지부(23)는 패드부(10)의 중앙부가 가장 높은 상태의 고점을 갖도록 완만한 아치형으로 융기 형성되므로 상기 접지부(23)를 통해 인체의 발바닥 저면의 굴곡과 일치되게 하여 보다 뛰어난 착용감을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패드부(10)의 상부 일측에는 선단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된 가이드부(11)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한 가이드부(11)는 사용자의 발 뒤꿈치 전체를 감싸듯 밀착되게 하므로 키높이 패드가 사용자의 발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성형 과정에서 형틀 내부의 부식 가공을 통하여 그 패드부(10)의 저면 전체에 다소 거친 입자상의 마찰무늬면(12)이 형성되게 하여, 그 패드부(10)의 저면으로부터 양말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성형한 것이며,
상기 패드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그 표피재(20)의 바닥면까지 관통되는 많은 수의 통기공(13)(13')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더욱 고탄성 및 경량화, 통풍성 확 보를 실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키높이 패드는 사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맞닿는 표피재(20)가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고탄성재로 성형된 패드부(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표피재(20)는 천연 또는 인조의 가죽을 사용하거나, 블루진과 같은 직물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하부의 패드부(10)는 고탄성을 갖는 수지액을 경화시켜 성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패드부(10)를 가압 성형함에 있어, 그 패드부(10)는 일단이 얇고 타단은 두꺼운 상태의 경사체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사용하는 경우 착용자의 뒷꿈치 부분만이 들어 올려지는 효과를 갖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된 패드부(10)의 양측 후부 및 후단 상부에는 그 패드부(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1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의 가이드부(11)는 착용자의 뒤꿈치 부분을 감싸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그 키높이 패드가 사용자의 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가이드부(11)의 선단부는 점차 얇은 두께를 갖도록 성형되므로, 상기한 가이드부(11)의 선단부가 착용자의 뒷꿈치 부분을 감싼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그 가이드부(11)의 선단과 사용자 발과의 경계선이 거의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키높이 패드의 착용 은폐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이다.
또한, 패드부(10)의 저면에 형성된 마찰무늬면(12)은 양말 내에서 상기 패드 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소 거친 입자 형태로 된 마찰무늬면(12)을 패드부(10)의 저면 전체에 형성함으로써 그 마찰무늬면(12)과 양말 간의 마찰에 의한 간섭에 의해 상기 양말이 그 패드와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슬립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패드부(10) 전체에 수직 관통 형성된 통기공(13)(13')은 상기 패드부(10) 전체의 중량을 경감시키면서도 이들 관통된 통기공(13)(13')은 패드 전체의 유연성 및 탄력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통기공(13)(13')은 사용자의 발바닥에서 발생하는 습기나 열기 등을 그 통기공(13)(1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되어 결국 습기나 열기가 외기와 용이하게 교환되게 하여 냄새가 발생하거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패드부(10)의 바닥면은 실제 인체의 발바닥 형상과 동일한 곡면체로 형성하여 이를 착용하게 되는 경우 양말을 통해 보여지는 패드가 실제 인체의 일부와 같은 형태를 갖게 하므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그 키높이 패드의 은폐 효과가 매우 탁월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패드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표피재(20)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을 사용하거나, 블루진과 같은 직물을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패드부(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많은 수의 마찰돌기(21)(21')와 아치형상으로 융기된 접지부(23)에 의해 상기 표피재(20) 역시 그 마찰돌기(21)(21') 및 접지부(23)의 형상을 따라 상측으로 변형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마찰돌기(21)(21')는 키높이 패드 및 착용자의 발바닥 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냄새 및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것이며, 발바닥을 지속적으로 지압하여 발의 피로감을 저하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며,
그 접지부(23)는 키높이 패드와 사용자의 발바닥 저면의 곡면을 일치시켜 보다 완전한 곡면상의 밀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착용 상태에서 키높이 패드와 발바닥 저면 간의 틈새가 최대한 제거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키높이 패드에 있어서, 상기한 표피재(20)는 다양한 재질을 선택 사용할 수 있으나 가죽이나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서, 가죽으로 된 표피재(2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죽의 거친 면이 노출면이 되도록 형성하여 그 거친 면에 의한 마찰력을 얻어 미끄럼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며, 직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면 소재로 된 다소 두꺼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와 같은 직물로 된 표피재(20)의 경우 가장 이상적으로는 블루진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데, 블루진의 경우에는 소정의 항균 및 항취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통한 부가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미끄럼 패드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직물로 된 표피재(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그 직물로 된 표피재(20)의 저면에 라텍스 코팅층(22)을 형성한 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즉, 직물의 경우에는 직조과정에서 기공이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압으로 가압 성형되는 패드부의 수지액이 그 직물의 기공으로 스며들어 패드의 노 출 표면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직물로 된 표피재(20)의 저면에 상기한 직물의 기공을 막을 수 있는 라텍스 코팅층(22)을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키높이 패드를 제작하게 되면 수지액이 직물로 스며들지 않아 외관상 매우 깨끗한 상태의 키높이 패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키높이 패드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밀착되어 미끄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양말과의 미끄러짐이 전혀 없으면서도 경계선 등이 외부로 전혀 드러나지 않아 보다 자신감 있는 착용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는, 키높이 패드의 생산공정을 크게 단순화시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안정된 품질을 갖는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면서도, 사용자의 발바닥 및 뒷꿈치 윤곽과 일치되는 부드러운 곡면 및 융출부를 형성하여 보다 우수한 착용감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실제 제품의 착용시 외부로 전혀 두드러지지 않아 은폐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이며, 바닥면으로부터 가죽 또는 직물의 저면까지 관통된 통기공은 중량 감소 및 탄성 보강, 통기성 확보를 실현하여 가볍고 뛰어난 보행성 및 습기나 열기 등이 외기와 신속하게 순환되어 냄새 및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이다.

Claims (5)

  1. 착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맞닿는 면이 형틀 바닥면을 향하도록 별도의 표피재를 형틀 내에 안치시키고, 상기 표피재의 상부인 형틀 내부에 고탄성의 수지액을 주입한 후, 상기 형틀의 상측으로부터 고압 프레스에 의해 이를 가압하여 표피재가 결합된 패드부를 경화 성형시키되,
    상기 표피재의 상부 전면에는, 형틀에 의한 가압 성형으로부터 패드부가 융기된 마찰돌기가 융출 형성되고, 그 표피재의 표면 중앙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의 곡률을 갖는 접지부가 하부 패드부의 융기에 의해 형성되게 하며,
    상기 패드부의 상측부 및 상후부에는, 선단을 향하여 점차 얇은 두께를 갖는 가이드부가 융출 형성되어 그에 따라 표피재가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결합 형성되게 하며,
    상기 패드부의 저면에는 거친 무늬로 된 마찰무늬면을 성형하고,
    그 패드부에는, 패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표피재의 저면까지 관통된 통기공이 전체에 형성되게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표피재를 블루진과 같은 직물류를 사용하되, 그 직물로 된 표피재의 저면에 라텍스를 도포한 후 이를 형틀 내에 안치시켜, 상기 라텍스 코팅층과 수지액이 결 합 경화되게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3.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항하여 점차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고탄성의 패드부(10)를 형성하고, 그 패드부(10)의 상부면에는 표피재(20)를 구성하되,
    상기 표피재(20)의 상부 전체면에는 하부 패드부(10)로부터 융기된 돌기에 의한 마찰돌기(21)(21')가 돌출 형성되고, 그 표피재(20)의 상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의 곡률을 갖는 접지부(23)가 하부 패드부(10)의 융기에 의해 돌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패드부(10)의 상측부 및 후측부에는, 일체로 성형되고 선단으로 점차 얇은 두께를 갖는 완만한 곡면으로 된 가이드부(11)가 연속하여 융출 형성되어, 상기 표피재(20)가 그 곡면상의 가이드부(11) 내면을 따라 보울 형태의 곡면을 갖고 구성되고,
    상기 패드부(10)의 저면은, 인체의 발바닥과 뒷꿈치의 형상과 동일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 전체에는 거친 입자상의 마찰무늬면(12)을 형성하며,
    상기 패드부(10)에는, 그 패드부(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표피재(20)의 저면까지 관통된 통기공(13)(13')을 전체에 수직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
  4. 제 3항에 있어서,
    표피재(20)를 가죽으로 구성하되, 가죽의 거친면이 상부로 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
  5. 제 3항에 있어서,
    표피재(20)를 직물로 구성하되, 직물로 된 표피재(20)의 저면에는 라텍스 코팅층(22)이 형성되어, 가압 성형에 의해 구성되는 패드부(10)가 직물로 된 표피재(20)로 스며들지 않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
KR1020060070246A 2006-07-26 2006-07-26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KR10066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246A KR100660469B1 (ko) 2006-07-26 2006-07-26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246A KR100660469B1 (ko) 2006-07-26 2006-07-26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0469B1 true KR100660469B1 (ko) 2006-12-21

Family

ID=3781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246A KR100660469B1 (ko) 2006-07-26 2006-07-26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4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09B1 (ko) 2007-08-29 2008-12-05 김기태 마사이워킹용 양말
CN102641000A (zh) * 2012-04-22 2012-08-22 桑建国 塑胶保健护理袜子
JP2017025456A (ja) * 2015-07-27 2017-02-02 花王株式会社 室内用履物
KR200496044Y1 (ko) * 2022-01-14 2022-10-21 이재호 키높이 패드를 수용할 수 있는 양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615U (ko) * 1999-05-03 1999-08-16 김종원 키높이양말
KR20000000777U (ko) * 1998-06-11 2000-01-15 신미향 쿠션재가 형성된 덧버선
KR20010000357U (ko) * 1999-06-09 2001-01-05 이홍석 맨발패션을 위한 다기능 양말
KR200366524Y1 (ko) 2004-08-04 2004-11-09 정보현 키높이 양말용 패드
KR200398700Y1 (ko) 2005-08-03 2005-10-14 (주)조은제화 양말 내측에 착용되는 키높이용 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77U (ko) * 1998-06-11 2000-01-15 신미향 쿠션재가 형성된 덧버선
KR19990033615U (ko) * 1999-05-03 1999-08-16 김종원 키높이양말
KR20010000357U (ko) * 1999-06-09 2001-01-05 이홍석 맨발패션을 위한 다기능 양말
KR200366524Y1 (ko) 2004-08-04 2004-11-09 정보현 키높이 양말용 패드
KR200398700Y1 (ko) 2005-08-03 2005-10-14 (주)조은제화 양말 내측에 착용되는 키높이용 패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09B1 (ko) 2007-08-29 2008-12-05 김기태 마사이워킹용 양말
CN102641000A (zh) * 2012-04-22 2012-08-22 桑建国 塑胶保健护理袜子
JP2017025456A (ja) * 2015-07-27 2017-02-02 花王株式会社 室内用履物
KR200496044Y1 (ko) * 2022-01-14 2022-10-21 이재호 키높이 패드를 수용할 수 있는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79089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footwear sole
US20090044432A1 (en) Footwear
KR100660469B1 (ko)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CN102697238B (zh) 前包内增高防水台鞋头无缝帮面高跟鞋及其生产方法
KR100693219B1 (ko) 신발 및 양말 내에 겸용 사용되게 한 키높이 패드의제조방법 및 그 패드
CN101627845B (zh) 一种皮鞋及其制备方法
CN106993849A (zh) 鞋类物品
CN206641454U (zh) 鞋类物品
US20120139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shoe sole
KR101098424B1 (ko) 이탈 방지수단을 갖는 양말 내 착용형 키높이 패드
CN201101178Y (zh) 一种鞋底
CN219515430U (zh) 一种穿着舒适的高跟凉鞋
CN2794238Y (zh) 草编时装女鞋
CN1122468C (zh) 排汗按摩鞋
CN209883170U (zh) 正装编织鞋
CN218921827U (zh) 轻型缓冲减震马靴
CN212728984U (zh) 一种定制鞋
CN219020351U (zh) 一种便于穿着的运动鞋
CN210124373U (zh) 草坪记忆鞋垫
CN213820077U (zh) 一种新型鞋底及具有该鞋底的鞋
US20230329391A1 (en) Footwear with Cork Outsole
CN209376819U (zh) 一种提高穿着舒适性的多层复合鞋底结构
CN2730181Y (zh) 软木保健鞋底
CN201085121Y (zh) 耐磨花样布鞋底
CN2286383Y (zh) 内增高皮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