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309B1 - 마사이워킹용 양말 - Google Patents

마사이워킹용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309B1
KR100872309B1 KR1020070086851A KR20070086851A KR100872309B1 KR 100872309 B1 KR100872309 B1 KR 100872309B1 KR 1020070086851 A KR1020070086851 A KR 1020070086851A KR 20070086851 A KR20070086851 A KR 20070086851A KR 100872309 B1 KR100872309 B1 KR 10087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ocks
sock
walking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102007008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의 뒤꿈치가 지면에 대하여 25∼40도인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드의 바닥에 바닥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족궁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패드의 상부 중앙 부위가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족궁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패드가 장착된 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마사이족의 걸음걸이인 마사이워킹처럼 발뒤꿈치에서부터 발바닥 중간의 족궁 부위를 거처 발까락까지 힘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 발의 무게중심이 발뒤꿈치에서 앞꿈치로 이동하며 발바닥 전체로 걸을 수 있고 발뼈의 비정상적인 배열을 바로잡아 올바른 보행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체골격의 균형을 점차적으로 회복하고 신체 불균형에서 기인한 각 부위의 통증을 해소하여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하도록 할 수 있는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관한 것이다.
마사이워킹, 롤링양말, 기능성, 양말패드

Description

마사이워킹용 양말{socks pad for rolling Masai walking}
본 발명은 마사이워킹용 양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용 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관한 것으로서, 패드의 뒤꿈치가 지면에 대하여 25∼40도인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드의 바닥에 바닥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족궁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패드의 상부 중앙 부위가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족궁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패드가 장착된 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마사이족의 걸음걸이인 마사이워킹처럼 발뒤꿈치에서부터 발바닥 중간의 족궁 부위를 거처 발까락까지 힘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 발의 무게중심이 발뒤꿈치에서 앞꿈치로 이동하며 발바닥 전체로 걸을 수 있고 발뼈의 비정상적인 배열(arch)을 바로잡아 올바른 보행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체골격의 균형을 점차적으로 회복하고 신체 불균형에서 기인한 각 부위의 통증을 해소하여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하도록 할 수 있는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직립 보행하면서 맨발로 땅에 접촉하고, 그 후 식물과 동물로부터 얻 어지는 소재를 이용한 신발과 양말을 사용하게 되면서 발에 관련된 질환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발의 문제는 급속한 산업화로 아스팔트와 시멘트와 같은 딱딱한 바닥에서 보행이 일반화되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통상 발목, 허리, 어깨의 통증, 목과 등의 뻣뻣함, 주의력 산만, 모든 것이 귀찮고 자주 짜증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현상은 비정상적인 보행 및 자세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상, 하나의 생물역학체인 인체에서 전신의 골격은 척추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척추의 마디마다 고리를 지어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하나의 고리식 연결구조로 된다. 그러므로 이 중의 어느 하나의 관절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게 되면 다른 관절의 활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발뼈의 각 부위의 배열이 정확하지 않다면 결국은 발꿈치가 비틀어지고 이로 인해 경골(다리뼈)의 균형이 깨어져 보행 충격이 무릎, 발목을 통해 발바닥으로 고루 분포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전신골격과 관절의 불균형을 일으키게 되고, 무릎, 엉덩이, 골반, 척추 등의 부위에도 영향을 주어 관절 부위에 통증이 유발되는 것이다.
그 중에서 골반(장골)의 틀어짐은 근육과 결체조직의 긴장감을 조성하여 만성적인 요통의 원인이 되고 척추에도 무리를 주어 신체의 충격흡수 능력을 저하시키고, 다리와 골반의 완충능력을 감소시켜 발꿈치에서 받은 진동이 최상부(머리)까지 전달되어 머리통증(편두, 측두통)과 기타 통증을 악화시키는 현상이 초래되는 것이다.
미국의 U.S. Public Health Service의 조사에 의하면 도시생활을 하는 87%의 사람들이 발에 문제가 있고, 또 이러한 문제는 어렸을 때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한 다. 더구나 이와 같은 발뼈의 배열에 따른 문제는 척추측만, 허리 구부림, 한쪽 어
깨의 처짐, 허리 및 목의 거북함과 뻣뻣함 및 통증 등의 만성적 질환으로 점점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크게 두 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는데 그 하나의 기능은 발을 따뜻하게 하기 위한 보온기능과 다른 하나의 기능은 발에서 발생되는 수분 즉 땀을 흡수하기 위한 수분 흡수기능을 갖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 발의 건강은 신체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양말을 직조하는 원사에 구리 성분이나 자력성분을 함유시킨 특수섬유가 개발되어 항균·방취 기능을 갖는 양말과 자력에 의해 혈류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갖는 양말이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인 양말은 발가락 부분과 발바닥 부분 및 뒷꿈치 부분은 수분(땀)을 원활히 흡수하기 위해 무지조직으로 편직되며 특히 발가락 부분은 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편직되고, 발등 부분과 발목 부분은 신축성을 갖춘 섬유로 편직되어 양말몸체를 이루고 있다. 특히, 발목 부분의 상단부는 양말을 신었을 때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 고무성분이 함유된 화학사로 편직된 흘러내림 방지부가 갖춰져 있다. 양말 본체를 발에 신게 되면 발등에 비해 수분이 많이 발생되는 발가락과 발바닥 및 뒷꿈치는 각각 수분 흡수가 좋은 조직(무지조직) 및 원사로 편직된 발가락 부분과 발바닥 부분 및 뒷꿈치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을 흡수하여 발의 건강을 유지하며, 발목 부분의 상단부에 형성된 흘러내림 방지부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으면서 압박효과를 볼 수 있게 되어 혈류의 상향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준다.
일반적인 양말 본체는 단순히 발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흡수하고 흘러내리는 것은 방지할 수는 있으나 부종 환자나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발을 보호하는데는 어느 정도의 압력(조임력)이 발목과 발바닥 및 발등에 가해져야 하는데 일반적인 양말의 구조로 인해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신체 건강한 일반인이 장시간에 걸쳐 서있게 되면 신체 하중이 발에 집중되면서 발이 부어오르게 되는데, 이때 발목 부분에 신고 있는 양말 위에 별도의 압박밴드를 감아주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양말 위에 별도의 압박붕대를 감아주게 되면 외관상 보기 흉하고 또한 발의 부피가 늘어나게 되어 신고 있던 신발을 신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능성 패드가 장착된 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마사이족의 걸음걸이인 마사이워킹처럼 발뒤꿈치에서부터 발바닥 중간의 족궁 부위를 거처 발까락까지 힘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 발의 무게중심이 발뒤꿈치에서 앞꿈치로 이동하며 발바닥 전체로 걸을 수 있는 양말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은 패드의 뒤꿈치가 지면에 대하여 25∼40도인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드의 바닥이 볼록한 곡면형상, 궁형 형상 및 호형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족궁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패드의 상부 중앙 부위가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족궁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은 패드의 뒤꿈치가 지면에 대하여 25∼40도인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드의 바닥이 볼록한 곡면형상, 궁형 형상 및 호형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족궁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패드의 상부 중앙 부위가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족궁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마사이족의 걸음걸이인 마사이워킹처럼 발뒤꿈치에서부터 발바닥 중간의 족궁 부위를 거처 발까락까지 힘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 발의 무게중심이 발뒤꿈치에서 앞꿈치로 이동하며 발바닥 전체로 걸을 수 있어 양말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말바닥 및 양말발목으로 이루어진 양말에 있어서 패드의 뒤꿈치가 지면에 대하여 25∼40도인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드의 바닥이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 융기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족궁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패드의 상부 중앙 부위가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족궁 융기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양말바닥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있어서 양말바닥 패드는 바이오세라믹탄성체, 부직포, 소프트 스폰지, 소프트 폴리우레탄, 소프트 실리콘, 소프트 합성수지 및 고탄성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이며, 경도 10∼20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있어서 양말바닥 패드는 양말 바닥의 내부면에 부착된 형태; 양말 바닥의 외부면에 부착된 형태; 및 양말바닥에 양말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있어서 양말바닥 패드는 전방부가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의 슬릿(29a)을 형성하여 수등분으로 분할되고 중앙 허리부분에는 보강을 위한 비드(beed) 형태의 리브(29b)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고탄력성의 생크(shank)(29)가 패드의 내부에 발가락부위에서 발뒤꿈치부위까지 추가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있어서 양말바닥 패드는 전방부가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수등분으로 분할되고 중앙 허리부분에는 보강을 위한 비드(beed) 형태의 리브(129b)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고탄력성의 생크(shank)(129)가 패드의 내부에 족궁부위에서 발뒤꿈치부위까지 추가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있어서 양말바닥 패드는 뒤축 부위에 경사진 곡면 형상에 따라서 에어백(30)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에 있어서 양말바닥 패드는 뒤축 부위에 경사진 곡면 형상에 따라서 충격완충부재백(40)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은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양말 바닥의 내부면에 패드(100)가 부착된 형태이거나 도 8과 같이 양말 바닥의 외부면에 패드(100)가 부착된 형태로 양말바닥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은 양말바닥에 양말과 일체형으로 패드(10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을 하기 위한 롤링양말용 기능성 양말패드는 패드(100)의 뒤꿈치가 지면에 대하여 25∼40도인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드(100)의 바닥이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 융기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족궁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패드(100)의 상부 중앙 부위가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족궁 융기부(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패드(100)가 장착된 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마사이족의 걸음걸이인 마사이워킹처럼 발뒤꿈치에서부터 발바닥 중간의 족궁 부위를 거처 발까락까지 힘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 발의 무게중심이 발뒤꿈치에서 앞꿈치로 이동하며 발바닥 전체로 걸을 수 있어 마사이워킹이 그대로 재현된다. 양말업계에서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양말은 마사이워킹을 그대로 할 수 있는 양말, 마사이워킹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양말 또는 마사이워킹용 양말로 부르고 있으며 마사이워킹용 양말은 기능성 양말이다.
본 발명의 패드(100)가 장착된 롤링양말은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은 착지단계, 중심이동단계 및 이탈단계로 구분되어 관찰할 수 있다. 패드(100)의 뒤꿈치가 지면에 대하여 25∼40도인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드(100)의 바닥이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 융기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족궁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패드의 상부 중앙 부위가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족궁 융기부(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롤링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착지단계에서 착지하는 순간 뒤꿈치가 지면에 닿게 되고 패드(100)의 접지면적이 넓어 착지에 따른 충격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을 하기 위한 롤링양말용 기능성 양말패드는 바이오세라믹탄성체, 부직포, 소프트 스폰지 및 소프트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이며 경도(Shore A/24시간 이후 kg/㎠) 10∼12의 패드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롤링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소프트 감지체인 패드가 지면과 나란한 자세로 수축되며 완충효율이 높고 부드러운 착지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롤링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중심이동단계로 보행동작이 연결되면 곡면형상인 뒤꿈치의 바닥면은 지면을 따라 롤링운동을 하고 충격력은 연속적으로 분산되어 흡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롤링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곡면형상을 따라 점차적으로 중심이 이동되기 때문에 발목관절과 다리 및 신체의 각 관절에는 급격한 충격이 유발되지 않고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보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을 하기 위한 롤링양말용 기능성 양말패드는 바이오세 라믹탄성체, 부직포, 소프트 스폰지, 소프트 폴리우레탄, 소프트 실리콘, 소프트 합성수지 및 고탄성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이며 경도 10∼12의 패드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롤링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이탈단계에서 밑창의 뒤꿈치가 지면을 벗어나게 되는데 전 단계에서 수축되었던 소프트 감지체인 패드가 복원되면서 반발력이 발생하고 보행자의 발을 진행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보행효율이 높으며 가뿐하고 경쾌한 보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말에 있어서 바이오세라믹탄성체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옥, 황토, 알루미나계 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계 세라믹 및 코디어라이트계 세라믹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세라믹 입자 또는 분말; 음이온을 방출하는 토루말린, 일라이트 및 모나자이트를 포함하는 음이온 방출입자 또는 분말; 항균기능을 갖는 은나노 분말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세라믹탄성체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방사세라믹 분말은 옥, 황토, 알루미나계 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계 세라믹 및 코디어라이트계 세라믹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2가 금속이온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는 제올라이트를 첨가하여 제조된 고효율의 코디어라이트계 원적외선 방사세라믹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음이온 방출소재 분말은 토르말린, 일라이트 및 모나자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방사세라믹입자 또는 분말; 음이온 방출입자 또는 분말; 은나노 분말의 혼합비는 기능성첨가물질 전체를 100 중량%로 보았을 때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인 경우 1~5 중량% 혼합하고 3 중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음이온 방출 소재 분말의 경우 1~5 중량% 혼합하고 3 중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나노 분말의 경우 1~5 중량% 혼합하고 각각 3 중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장착된 마사이워킹 양말은 내부에 필요에 따라서 고탄력 소재의 생크(shank)(29, 129)를 삽입할 수 있는데 이는 양말바닥의 원형을 보존하고 보행 시에 굴곡 및 신장의 변형빈도가 높은 양말바닥이 원래의 형상으로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함과 더불어 보행시 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이탈단계에서 반발력이 부가되도록 하여 경쾌한 보행을 도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양말에서 생크(29, 129)는 어떠한 형상 및 소재로도 형성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P.V.C) 재질을 사용하여 양말바닥의 외형 및 곡면의 형상을 본떠서 판재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행시 굴곡각이 비교적 큰 생크의 전방부는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의 슬릿(29a)을 형성하여 수등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앞굼치부위의 굽힘작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생크의 중앙 허리부분은 보강을 위해 비드(beed) 형태의 리브(29b)를 전후 방향으로 형성시켜 다수의 관통공(29c)을 형성시켜 양말바닥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을 하기 위한 롤링양말용 기능성 양말패드는 뒤축 부위에 경사진 곡면 형상에 따라서 일반에어백 및 관통에어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에어백(30)이 내장되어 있거나 충격완충부재백(40)이 내장되어 있어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롤링양말을 신고 걷는 경우 패드의 원형이 잘 보존되고 보행시에 굴곡 및 신장의 변형되는 빈도가 높은 패드의 원래 형상으로의 복원이 원활하며 패드의 형상이 탄력적이면서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보행의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탈단계에서 복원력에 의한 반발력이 부가되어 앞꿈치를 보행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경쾌한 보행이 이루어지며 보행효율이 높다. 본 발명의 충격완충부재백(40)는 상부패드(42)와 하부패드(44)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양말패드는 뒤축부위에 탄성 및 쿠션이 양호한 감지체(14)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체는 바이오세라믹탄성체, 부직포, 소프트 스폰지, 소프트 폴리우레탄, 소프트 실리콘, 소프트 합성수지 및 고탄성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양말은 발가락부분과 뒷꿈치부분을 일반적인 신축성을 지닌 원사로 무지조직으로 편직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압축력이 발가락과 뒷꿈치에는 가해지지 않아 발가락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어 발가락의 혈류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양말은 발등부분과 발바닥부분은 고무 소재보다 5∼7배의 신축성을 지닌 폴리우레탄계의 카바링 원사로 편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등부분과 발바닥부분은 각각 2:2 늑골조직과 1:1 늑골조직으로 편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바닥부분에 가해지는 압축력보다 발등부분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강하게 작용하며 발등부분과 발바닥부분에 가해지는 압축력은 혈류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해지고 늑골 조직이 갖추어져 있어 혈류의 흐름에는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의 패드가 장착된 양말은 매우 강한 압축력을 갖추게 되고 발목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들의 발목을 보호하는데 매우 효 과적이며 자연스럽게 신고 벗을 수 있으며 과도한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으며 압축력이 작아 혈류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 중에서 내부에 패드가 부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에 생크가 내장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에 내장된 생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에 생크가 내장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에 내장된 생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에 에어백이 내장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에 충격완충부재백이 내장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 중에서 외부에 패드가 부착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 중에서 일체형 패드가 형성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양말 중에서 감지체가 내장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패드의 바닥 융기부 12: 족궁 융기부
14: 감지체 29, 129: 생크
30: 에어백 40: 충격완충부재백
42: 상부돌기 44: 하부돌기
100: 패드 200: 양말
210: 양말 바닥 220: 양말 발목
300: 발

Claims (4)

  1. 양말바닥 및 양말발목으로 이루어진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은 패드의 뒤꿈치가 지면에 대하여 25∼40도인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드의 바닥이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 융기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족궁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패드의 상부 중앙 부위가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족궁 융기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롤링워킹용 양말바닥 패드가 양말바닥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양말바닥 패드는 바이오세라믹탄성체, 부직포, 소프트 스폰지, 소프트 폴리우레탄, 소프트 실리콘, 소프트 합성수지 및 고탄성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이며, 경도(Shore A/24시간 이후 kg/㎠) 10∼20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이워킹용 양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바닥 패드는 양말 바닥의 내부면에 부착된 형태; 양말 바닥의 외부면에 부착된 형태; 및 양말바닥에 양말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이워킹용 양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바닥 패드는 전방부가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의 슬릿(29a)을 형성하여 수등분으로 분할되고 중앙 허리부분에는 보강을 위한 비드(beed) 형태의 리브(29b)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고탄력성의 생크(shank)(29)가 패드의 내부에 발가락부위에서 발뒤꿈치부위까지 추가로 내장된 것; 및 전방부가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수등분으로 분할되고 중앙 허리부분에는 보강을 위한 리브(129b)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고탄력성의 생크(shank)(129)가 패드의 내부에 족궁부위에서 발뒤꿈치부위까지 추가로 내장된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생크가 추가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이워킹용 양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바닥 패드는 에어백(30) 및 충격완충부재백(4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뒤축 부위에 경사진 곡면 형상에 따라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이워킹용 양말.
KR1020070086851A 2007-08-29 2007-08-29 마사이워킹용 양말 KR10087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851A KR100872309B1 (ko) 2007-08-29 2007-08-29 마사이워킹용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851A KR100872309B1 (ko) 2007-08-29 2007-08-29 마사이워킹용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309B1 true KR100872309B1 (ko) 2008-12-05

Family

ID=4037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851A KR100872309B1 (ko) 2007-08-29 2007-08-29 마사이워킹용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54B1 (ko) * 2009-04-17 2012-06-22 정동문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19Y1 (ko) 2006-03-15 2006-07-20 이호관 소음방지용 어린이 양말
KR100660469B1 (ko) 2006-07-26 2006-12-21 (주)조은제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KR100823456B1 (ko) 2007-06-01 2008-04-21 (주)알와이엔코리아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 구조
KR20080001423U (ko) * 2006-11-23 2008-05-28 이영훈 키높이 깔창 겸용 양말 속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점착식키높이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19Y1 (ko) 2006-03-15 2006-07-20 이호관 소음방지용 어린이 양말
KR100660469B1 (ko) 2006-07-26 2006-12-21 (주)조은제화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패드
KR20080001423U (ko) * 2006-11-23 2008-05-28 이영훈 키높이 깔창 겸용 양말 속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점착식키높이 패드
KR100823456B1 (ko) 2007-06-01 2008-04-21 (주)알와이엔코리아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54B1 (ko) * 2009-04-17 2012-06-22 정동문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687Y1 (ko) 신발 안창부재
CA2800954C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the human body from foot strike shock
KR101995677B1 (ko) 층간 소음방지용 실내화
TW201517889A (zh) 腳趾墊
JP2009011822A (ja) 多層靴敷き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KR101460045B1 (ko) 힐링용 워킹양말
KR100872309B1 (ko) 마사이워킹용 양말
KR200402604Y1 (ko) 기능성 신발의 안창
KR200403436Y1 (ko) 신발깔창
KR101131280B1 (ko) O형, x형 다리의 예방 및 체중맞춤형 쿠션신발
KR20100029389A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CN109561976A (zh) 支撑足部的服装和方法
KR200427686Y1 (ko) 신발 깔창
JP5926209B2 (ja) 足底のアーチサポート用バンド
KR200340469Y1 (ko) 신체 교정을 위한 신발패드
KR100872308B1 (ko) 마사이워킹용 양말
JP3166236U (ja) 蒸れ防止機能付き中敷及びその中敷を備えた靴
KR20090049110A (ko) 롤링워킹용 양말 바닥패드 및 측면패드가 장착된마사이워킹용 양말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JP2009100881A (ja) 靴底
JP6608210B2 (ja) 室内用履物
KR200458030Y1 (ko) 족궁 마사지 기능을 갖춘 신발 밑창
CN211657512U (zh) 骨科矫形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