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469B1 -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469B1
KR101871469B1 KR1020180020293A KR20180020293A KR101871469B1 KR 101871469 B1 KR101871469 B1 KR 101871469B1 KR 1020180020293 A KR1020180020293 A KR 1020180020293A KR 20180020293 A KR20180020293 A KR 20180020293A KR 101871469 B1 KR101871469 B1 KR 10187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shoe
variable
sol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덕
Original Assignee
(주)이너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너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너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2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가변형 신발 밑창에는 상하면에 격자형태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면의 절개홈과 하면의 절개홈의 교차부위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교차부위를 감싸면서 상면의 절개된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형 신발 밑창의 연결부는 가변형 신발 밑창에 절개홈이 깊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변형 신발 밑창이 충분한 신축성을 갖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절개홈의 교차부위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발 밑창의 본연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EXPANDABLE SHOE SOLE AND SHOES FOR PREGNANT WOMEN}
본 발명은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그 형태가 균형감있게 변형되는 가변형 신발 밑창과 발의 부종에 따라 신축되어 착화감이 뛰어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임산부는 태아 성장 및 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체중이 증가되며 혈행에 변화가 생겨 손과 발에 부종이 쉽게 발생한다. 특히, 급격한 체중 증가로 인하여 보행시 발에 부하가 크게 인가되며 쉽게 붓고 피로해진다.
종래에는 임산부의 발이 부종에 의하여 신발에 압박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큰 치수의 신발을 신도록 권장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을 위하여 적절한 신체활동을 권장하고 있으며, 신체활동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딱 맞는 치수의 신발을 신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임산부의 발은 컨디션에 따라서 부종의 정도가 달라지며, 이에 맞추어 다양한 치수의 신발을 여러 켤레 구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신축 가능한 임산부용 신발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임산부용 신발의 경우 임산부의 발 부종에 따라서 밑창과 갑피가 일방향으로 신축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도 1의 부종으로 인한 임산부의 발 부종을 보여주는 사진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산부의 발 부종은 단순히 발이 어느 한쪽으로 두꺼워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발 전체의 형태를 심각하게 변형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일방향으로만 신축되는 종래의 임산부용 신발은 변형된 발의 형태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형되지 못하므로 특정 부위를 압박하거나 착화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신축 가능한 임산부용 신발은 형태 변형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바닥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거나 발을 안정적으로 감싸서 보호하지 못하는 등 신발의 기본적인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소재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충격을 적절하게 흡수하지 못하거나 쉽게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도 가지고 있다.
한편 신축 가능한 구조를 필요로 하는 신발로서는, 임산부용 신발 외에도 성장기의 아동을 위한 신발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939호 "발볼 넓이가 조절가능한 신발 밑창" (2012.1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종으로 인하여 변형된 발의 형태에 맞추어 평면상 모든 방향으로 신축되면서 형태가 균형감있게 가변되는 가변형 신발 밑창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평면상의 모든 방향으로 신축되면서도 발바닥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부종이 발생한 발을 강하게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기의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하여 편안하게 신고 벗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화감이 뛰어난 신발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변형 신발 밑창에 있어서 :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의 상면은, 나란히 이격되어 상면을 제1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1-1절개홈과 나란히 이격되어 상면을 상기 제1방향에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1-2절개홈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복수의 제1블록이 형성되면서 격자 형태로 구획되며 ;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의 하면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1절개홈의 사이에서 하면을 상기 제1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2-1절개홈과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2절개홈의 사이에서 하면을 상기 제2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2-2절개홈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복수의 제2블록이 형성되면서 격자 형태로 구획되며 ; 상기 제1-1절개홈에는 인접한 상기 제1블록을 제2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1-2절개홈에는 인접한 상기 제1블록을 제1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2-2절개홈은 상기 제1블록의 하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부를 번갈아가며 지나며 ; 상기 제2-1절개홈은 상기 제1블록의 하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하부를 번갈아가며 지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의 상면과 상기 제2연결부의 상면은 상기 제1블록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서, 신발에 있어서, 상기의 가변형 신발 밑창, 몰딩 성형에 의하여 발등을 덮는 형태로 제작되어 하단부가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에 결합되는 갑피,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가장자리가 상기 갑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신축성 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신축성 원단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위는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의 상면과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신축성 원단과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은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내측에는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통풍용 홈이 패턴을 이루며 형성되는 쿠션 소재의 내피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신발 밑창은, 평면상의 모든 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변화된 발의 형태에 적합하도록 균형감있게 변형되므로, 부종이 발생한 발에도 뛰어난 착화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1,2절개홈과 제2-1,2절개홈에 의하여 평면상의 모든 방향으로 신축되면서도, 제1,2연결부에 의하여 신발 밑창이 상방향으로는 쉽게 휘어지는 한편 하방향으로는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제2-1,2절개홈은 제1,2연결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되므로, 제1-1,2절개홈 및 제2-1,2절개홈의 교차부위에 통공이 형성되지 않으며, 제2-1,2절개홈에 의하여 절개된 부위가 매우 자유롭게 신축 가능하다.
아울러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은 부종으로 인하여 형태가 변형된 착화자의 발에 과도한 압박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착화감이 뛰어나며 안전한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부종으로 인한 임산부의 발 변형을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가변형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가변형 신발 밑창의 저면도,
도 7은 제2-1,2절개홈을 은선으로 도시한 도 2의 가변형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가변형 신발 밑창의 A-A방향 절개 단면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9는 도 2의 신발을 도 7의 B-B방향 절개선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신발을 도 7의 C-C방향 절개선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신발 밑창의 저면측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가변형 신발 밑창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가변형 신발 밑창의 저면도이며, 도 7은 제2-1,2절개홈을 은선으로 도시한 도 2의 가변형 신발 밑창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가변형 신발 밑창의 A-A방향 절개 단면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2의 신발을 도 7의 B-B방향 절개선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2의 신발을 도 7의 C-C방향 절개선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은 가변형 신발 밑창(100), 갑피(200), 신축성 원단(300), 안창(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가변형 신발 밑창(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변형 신발 밑창(100)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파일론(Phyl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소재로 제작되며, 발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의 가변형 신발 밑창(100)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1,2절개홈(111,112)과 하면에 형성되는 제2-1,2절개홈(121,122)에 의하여 변화된 발의 형태에 적합하도록 평면상의 모든 방향으로 균형감있게 신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제1-1,2절개홈(111,112) 및 제2-1,2절개홈(121,122)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비스듬히 경사진 사선방향이며 서로 교차되는 관계이다.
가변형 신발 밑창(100)에 형성되는 제1-1,2절개홈(111,112) 및 제2-1,2절개홈(121,12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면에는, 나란히 이격되어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면을 제1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1-1절개홈(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란히 이격되어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면을 제1방향에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1-2절개홈(112)이 형성된다.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면은, 제1-1,2절개홈(111,112)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복수의 제1블록(110)이 형성되면서 격자 형태로 구획된다.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1,2절개홈(111,112)은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면이 평면상에서 신축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통하는 통로 역할을 하여 발바닥과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사이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1절개홈(111)에는 인접한 제1블록(110)을 제2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131)가 형성되고, 제1-2절개홈(112)에는 인접한 제1블록(110)을 제1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132)가 형성된다. 제1,2연결부(131,132)의 역할은 제2-1,2절개홈(121,122)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아래에서 제2-1,2절개홈(121,122)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하면에는, 나란히 이격되어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하면을 제1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2-1절개홈(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란히 이격되어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하면을 제2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2-2절개홈(122)이 형성된다.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하면은, 제2-1,2절개홈(121,122)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복수의 제2블록(120)이 형성되면서 격자 형태로 구획된다.
제2-1절개홈(121)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1-1절개홈(111) 사이에 위치하며, 제1블록(110)의 하부와 제2연결부(132)의 하부를 번갈아가며 지나도록 형성된다.
제2-2절개홈(122)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1-2절개홈(112) 사이에 위치하며, 제1블록(110)의 하부와 제1연결부(131)의 하부를 번갈아가며 지나도록 형성된다.
상면에 형성된 제1-1절개홈(111)과 하면에 형성된 제2-2절개홈(122)은 평면도상 서로 교차되며, 상면에 형성된 제1-2절개홈(112)과 하면에 형성된 제2-1절개홈(121)도 평면도상 서로 교차된다.
따라서 절개된 깊이가 깊어지면 서로 교차되는 제1-1절개홈(111)과 제2-2절개홈(122)이 서로 만나게 되어 교차부위에 밑창(100)의 상하를 서로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제1-2절개홈(112)과 제2-1절개홈(121)도 서로 만나게 되어 교차부위에 밑창(100)의 상하를 서로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이와 같이 교차부위에 밑창(100)의 상하를 서로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된다면 누수가 발생되고 노면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발을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즉, 본 가변형 신발 밑창(100)이 신발 밑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반면, 교차부위에 밑창(100)의 상하를 서로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1-1,2절개홈(111,112) 및 제2-1,2절개홈(121,122)의 깊이를 얕게 하면,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신축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제1-1,2절개홈(111,112)에 제1,2연결부(131,132)를 더 마련하고 제2-1,2절개홈(121,122)이 제1,2연결부(131,132)를 각각 지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가변현 신발 밑창(100)의 제1,2연결부(131,132)는 제1-1,2절개홈(111,112) 및 제2-1,2절개홈(121,122)의 교차부위에 밑창(100)의 상하를 서로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가변현 신발 밑창(100)의 제1,2연결부(131,132)는 신발 밑창(100)이 상방향으로는 쉽게 휘어지는 한편 하방향으로는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제1,2연결부(131, 132)의 상면이 제1블록(11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면, 제1,2연결부(131, 132)는 신발 밑창(100)이 하부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것(즉 상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반면, 신발 밑창(100)이 상부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것(즉 하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8을 통하여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단면을 살펴보면, 제1-1절개홈(111)과 제2-1절개홈(121)은 제2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2절개홈(112)과 제2-2절개홈(122)도 제1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된다.
아울러 본 실시례의 가변형 신발 밑창(100)에는 제1-1,2절개홈(111,112) 및 제2-1,2절개홈(121,122)이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에 비스듬히 경사진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보행시 가변형 신발 밑창(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어느 한쪽으로만 가변형 신발 밑창(100)이 신축되는 것이 아니라 평면상의 모든 방향으로 균형감있게 신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신발 밑창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앞선 실시례에서는 제1-1,2절개홈(111,112) 및 제2-1,2절개홈(121,122)의 구조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하면에 별다른 구조가 부가되지 않은 형태를 실시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하면, 구체적으로는 제2블록(120)의 하면에 돌기 형태의 미끄럼 방지용 패턴(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미끄럼 방지용 패턴(123)은 사각 돌기 형태로서 제2블록(120)마다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용 패턴(123)은 가변형 신발 밑창(100)이 노면에 접촉된 상태로 노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형태는 실시례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 의한 신발은, 갑피(200), 신축성 원단(300), 안창(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갑피(200)는 착화자의 발등을 덮도록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부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직물이나 가죽, 합성피혁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형태 변화에 따라 갑피(200) 또한 그 형태가 변화되도록 적절한 탄력이나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의 갑피(200)는 임산부가 본 임산부용 신발을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슬립온 신발(slip-on sheos)의 갑피 형태로 제작된다.
갑피(200)의 내측에는 착화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쿠션 소재의 내피(210)가 더 마련된다. 내피(210)는 갑피(200)의 내측에 마련되어 갑피(200)에 일체화된다.
내피(210)에는 엠보싱 가공을 통하여 통풍용 홈(211)이 패턴을 이루며 형성된다. 통풍용 홈(211)은 부종으로 변형된 임산부의 발등이 내피(210)에 압박되더라도 그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갑피(200)의 하단부에는 신축성 원단(300)이 결합된다. 신축성 원단(300)은 가변형 신발 밑창(100)이 신축됨에 따라서 함께 신축 가능하도록 스판덱스 재질로 제작된다. 스판덱스 재질은 신축성뿐만 아니라 통기성도 뛰어나므로, 신축성 원단(300)을 통하여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제1-1,2절개홈(111,112)으로 원활하게 통기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몰딩 성형을 통하여 갑피(200)를 입체적인 형태로 제작한 다음, 갑피(200)의 하단부와 신축성 원단(300)의 가장자리를 결합한다. 갑피(200)와 신축성 원단(300)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하거나 봉제하여 결합한다.
갑피(200)와 신축성 원단(300)을 결합함에 있어서, 갑피(200)를 먼저 몰딩 성형하여 신발의 형태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신축성 원단(300)이 원래의 형태(즉 신장되지 않은 형태)를 유지하면서 갑피(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갑피(200)의 하단부에 신축성 원단(300)을 결합하고, 이를 다시 가변형 신발 밑창(100)에 하나로 결합한다. 갑피(200)와 신축성 원단(200) 그리고 가변형 신발 밑창(100)도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봉제하여 결합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신축성 원단(300)의 가장자리만이 갑피(20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신축성 원단(30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위(즉 중앙부)는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면과 결합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즉 신축성 원단(300)과 가변형 신발 밑창(100)은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신축성 원단(300)이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신축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가변형 신발 밑창(100)과 갑피(200)와 신축성 원단(300)이 결합되어 신발의 형태를 갖추면, 갑피(200)의 내측으로 안창(400)을 삽입하여, 신축성 원단(300)의 상면에 안창(400)을 안착한다.
안창(400)은 가변형 신발 밑창(100) 상면의 제1블록(110)들이 착화자의 발에 이물감을 전달하지 않도록 쿠션이 있는 소재로 제작된다. 안창(400)은 착화자의 발 형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아치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창(400)의 형태는 종래의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신발은 슬립온 신발의 형태이므로, 상체를 앞으로 숙이기 어려운 임산부도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신발끈을 이용하여 결착하는 형태가 아니므로 임산부가 두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쉽게 신발을 신고 벗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신발은 변화된 발의 형태에 적합하도록 가변형 신발 밑창(100)에 의하여 그 형태가 균형감있게 변형되므로, 부종으로 인하여 발의 형태가 심각하게 변형된 임산부 등도 편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부종으로 인하여 내피(210)에 발이 밀착되더라도, 내피(210)에 형성되는 통풍용 홈(211)과 가변형 신발 밑창(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1,2절개홈(111,112)에 의하여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본 신발의 내부가 쾌적한 상태로 유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변형 신발 밑창 110 : 제1블록
111 : 제1-1절개홈 112 : 제1-2절개홈
120 : 제2블록 121 : 제2-1절개홈
122 : 제2-2절개홈 123 : 미끄럼 방지용 패턴
131 : 제1연결부 132 : 제2연결부
200 : 갑피 210 : 내피
211 : 통풍용 홈
300 : 신축성 원단
400 : 안창

Claims (4)

  1. 가변형 신발 밑창에 있어서 :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의 상면은, 나란히 이격되어 상면을 제1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1-1절개홈과 나란히 이격되어 상면을 상기 제1방향에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1-2절개홈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복수의 제1블록이 형성되면서 격자 형태로 구획되며 ;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의 하면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1절개홈의 사이에서 하면을 상기 제1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2-1절개홈과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2절개홈의 사이에서 하면을 상기 제2방향으로 절개하는 복수의 제2-2절개홈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복수의 제2블록이 형성되면서 격자 형태로 구획되며 ;
    상기 제1-1절개홈에는 인접한 상기 제1블록을 제2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1-2절개홈에는 인접한 상기 제1블록을 제1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2-2절개홈은 상기 제1블록의 하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부를 번갈아가며 지나며 ;
    상기 제2-1절개홈은 상기 제1블록의 하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하부를 번갈아가며 지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신발 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의 상면과 상기 제2연결부의 상면은 상기 제1블록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신발 밑창.
  3. 제 1 항의 가변형 신발 밑창, 몰딩 성형에 의하여 발등을 덮는 형태로 제작되어 하단부가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에 결합되는 갑피,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가장자리가 상기 갑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신축성 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신축성 원단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위는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의 상면과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신축성 원단과 상기 가변형 신발 밑창은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내측에는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통풍용 홈이 패턴을 이루며 형성되는 쿠션 소재의 내피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
KR1020180020293A 2018-02-21 2018-02-21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87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293A KR101871469B1 (ko) 2018-02-21 2018-02-21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293A KR101871469B1 (ko) 2018-02-21 2018-02-21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469B1 true KR101871469B1 (ko) 2018-06-26

Family

ID=6278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293A KR101871469B1 (ko) 2018-02-21 2018-02-21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4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372B1 (ko) * 2019-09-09 2020-05-07 서영민 치수변경형 신발
KR20230044600A (ko) 2021-09-27 2023-04-04 (주)영창에코 가변형 인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1011B2 (ja) * 1991-09-26 2003-11-25 スカイデックス・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靴のソール構成要素
KR20050055266A (ko) * 2003-12-06 2005-06-13 박춘국 통풍이 용이한 신발중창
US8178022B2 (en) * 2007-12-17 2012-05-15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fluid-filled chamber
KR200462939Y1 (ko) 2010-11-03 2012-10-11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발볼 넓이가 조절가능한 신발 밑창
KR20130012091A (ko) * 2011-05-03 2013-02-01 김재현 신발 크기에 따른 자동 조절이 가능한 갯바위 낚시용, 작업용 미끄럼 방지 밑창 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1011B2 (ja) * 1991-09-26 2003-11-25 スカイデックス・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靴のソール構成要素
KR20050055266A (ko) * 2003-12-06 2005-06-13 박춘국 통풍이 용이한 신발중창
US8178022B2 (en) * 2007-12-17 2012-05-15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fluid-filled chamber
KR200462939Y1 (ko) 2010-11-03 2012-10-11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발볼 넓이가 조절가능한 신발 밑창
KR20130012091A (ko) * 2011-05-03 2013-02-01 김재현 신발 크기에 따른 자동 조절이 가능한 갯바위 낚시용, 작업용 미끄럼 방지 밑창 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372B1 (ko) * 2019-09-09 2020-05-07 서영민 치수변경형 신발
WO2021049788A1 (ko) * 2019-09-09 2021-03-18 서영민 치수변경형 신발
KR20230044600A (ko) 2021-09-27 2023-04-04 (주)영창에코 가변형 인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2616B2 (en) Method of customizing a sole structure of an article of footwear
KR101977114B1 (ko) 신발류 물품용 가요성 밑창 및 갑피
US8516721B2 (en) Articles of footwear
US7210250B2 (en) Multipiece footwear insole
US8555525B2 (en) Footwear
CN104223556B (zh) 适应不同脚尺码的鞋类物品
US20170258178A1 (en)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regionally varied auxetic structures
ES2431048T3 (es) Órtesis podal
CN107249374B (zh) 多层鞋类物品
TW201713227A (zh) 具有槽之鞋底結構
JP4686748B2 (ja) 自己通気型・人間工学的な履物及び靴底
CN105025746A (zh) 鞋类物品
JP2009240827A (ja) 伸縮可能なアッパーと分節された履物底構造とを有する履物
US10433615B2 (en)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EP3110276B1 (en) Footwear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CN113749352B (zh) 用于鞋类物品的柔性鞋底
CN107397292A (zh) 具有生物力学脚部支撑的凉鞋
TW201715979A (zh) 具有緩衝墊與波狀支撐件之拖鞋及其製造方法
KR101871469B1 (ko) 가변형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JP5655073B2 (ja) 溝が形成された鼻緒部を有する履物
JP2014104251A (ja) ストレッチ機能を有する甲被を備えた履物
KR200462939Y1 (ko) 발볼 넓이가 조절가능한 신발 밑창
US20170340021A1 (en) Sock with a sole comprising hexagonally shaped embossed surfaces
CN110946366A (zh) 一种贴合脚部的自适应鞋面
JP2000342301A (ja) 自在調節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