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434A -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 Google Patents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434A
KR20120079434A KR1020110026850A KR20110026850A KR20120079434A KR 20120079434 A KR20120079434 A KR 20120079434A KR 1020110026850 A KR1020110026850 A KR 1020110026850A KR 20110026850 A KR20110026850 A KR 20110026850A KR 20120079434 A KR20120079434 A KR 20120079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protrusion
sole
shoe
ar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ublication of KR2012007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 바닥창에 관련되는 것이며, 보행시에 발바닥 전체에 대해 고른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뛰어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 바닥창에 대한 기술로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부돌기가 다수 마련되며, 상기 하부돌기와 동축상으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하부돌기 및 상기 상부돌기 주위에 함몰된 유동발생홈이 마련되고, 상기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 상면에 위치이동 가능한 족궁지지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FOOTWEAR SOLE AND FOOTWEAR WITH THE FUNCTION OF MASSAGE}
본 발명은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 바닥창에 관련되는 것이며, 보행시에 발바닥 전체에 대해 고른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뛰어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 바닥창에 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갑피와 신발창으로 이루어지며, 보행시 발바닥이 자극되도록 지압효과를 부여하면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다.
발바닥에는 신체의 많은 기관들과 연관되는 무수한 지압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발바닥이 자극되게 한다면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신발에는 많은 종류가 있고 그 용도나 기능에 따라 신발창도 이에 적합한 구조로 마련된다.
보통 운동화와 같은 신발의 신발창은 아웃솔이라고 하는 바닥창, 미드솔이라 불리는 중창, 인솔이라 불리는 안창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일부 신발들은 바닥창, 중창, 안창 중 어느 하나가 없는 경우도 있다.
바쁜 일상생활의 굴레에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나마 특별한 준비없이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걷기운동이나 달리기 정도이다.
발을 보호하고 보행시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신발창에 두툼한 중창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자연상태에서 인간이 맨발로 보행하듯이 발바닥에 적당한 자극을 주도록 하는 것이 건강에 보다 유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발바닥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는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발바닥에 효과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신발창이 요구된다.
관련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48718호(2008.07.21 등록)의 "다기능 신발밑창"이 알려져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종래기술의 다기능 신발밑창은 지압효과를 얻기 위해 미드솔을 제1미드솔과 제2미드솔로 구성하여 상호 밀착되게 결합하고 올록볼록한 지압돌기를 두어서 발바닥에 대한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기술은 미드솔에 충격흡수 및 지압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두툼한 미드솔의 특성상 발바닥에 대한 충분한 자극을 줄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인솔이나 미드솔 혹은 바닥창 등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는 지압 돌기들은 장시간 보행을 하는 경우에 발바닥을 무리하게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시킨다는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48718호(2008.07.2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신발 바닥창에 보행시의 압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다수의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마련되고, 중간부에는 족궁지지체를 두어서 발바닥 전체에 대한 고른 지압효과를 제공하며,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돌기와 하부돌기로 인해 장시간 보행을 하여도 발바닥에 무리한 압박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족궁지지체를 자신에 맞게 그 위치를 옮겨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은, 상기 신발 바닥창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부돌기가 다수 마련되며, 상기 하부돌기와 동축상으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하부돌기 및 상기 상부돌기 주위에 함몰된 유동발생홈이 마련되고, 상기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 상면에 위치이동 가능한 족궁지지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족궁 지지체는, 내부에 펌핑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펌핑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족궁 지지체와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저면보다 돌출되는 가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에 상기 족궁 지지체의 설치를 위한 함몰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챔버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족궁 지지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압부의 주위는 함몰된 유동발생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돌기, 상부돌기, 가압부는 상기 신발 바닥창과는 경도 등의 물성치나 색상이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돌기가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노출홀들이 형성되는 보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사상인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은, 신발 바닥창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부돌기가 다수 마련되며, 상기 하부돌기와 동축상으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하부돌기 및 상기 상부돌기 주위에 함몰된 유동발생홈이 마련되고, 상기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 상면에 위치이동 가능한 족궁지지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은,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돌기가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노출홀들이 형성되는 보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은 보행시 하부돌기, 상부돌기, 지압부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시에 이들은 상승되면서 발바닥을 압박하나, 지면과 바닥창이 떨어지면 하부돌기 등은 하방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보행을 하는 경우도 발바닥에 대한 무리한 자극을 주지 않게 되고, 신발 착용자는 편안한 상태에서 발바닥 전체에 대한 효과적인 지압을 받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닥창이 발바닥에 존재하는 다수의 지압점들을 적절히 자극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기능 신발밑창에 대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은 별도의 미드솔(중창) 개념의 요소가 불필요하며, 신발 바닥창 위에 갑피가 바로 연결되어 하나의 신발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갑피 내부에 얇은 인솔과 같은 패드를 삽입하여 제공될 수는 있다.
본 발명의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은 최소한 발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면서 자연상태에서 맨발로 보행을 할 때와 유사하게 발바닥에 대한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의 상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의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신발 바닥창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에 갑피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신발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하는 경우의 상태 변화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에 사용되는 족궁지지체의 변형 예시도이며, 도 8은 족궁지지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의 변형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은 발바닥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을 이루며, 신발 바닥창(1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상부돌기(200)와 위치이동 가능한 족궁지지체(400)가 형성되고, 신발 바닥창(100)의 저면에는 다수의 하부돌기(300)들이 형성된다.
신발 바닥창(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돌기(300)는 신발 바닥창(100)의 하부면 형상을 이루는 저면(110)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제1실시예의 경우 하부돌기(300)는 대략 원뿔 형상을 이루며, 구체적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고 지면과 맞닿게 되는 하부돌기(300)의 접촉면은 소정 면적을 갖는 원형을 유지한다. 그리고 하부돌기(300)의 주위는 함몰되어 유동발생홈(G)을 형성하게 된다. 즉, 유동발생홈(G)은 이웃하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함몰되어 두께가 얇아진다.
제1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하부돌기(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며, 하부돌기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돌기는 원기둥, 사각 혹은 삼각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신발 바닥창(100)의 상면(120)에는 하부돌기(300)와 동축상의 위치에 상부돌기(200)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돌기(200)는 신발 바닥창(100)의 상면(120)보다 상방으로 높게 돌출되며, 상부돌기(200) 주위는 낮게 함몰된 유동발생홈(G)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돌기(200)는 원형 단면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것으로 하되, 상부돌기(200)의 최상단부는 반구형의 돔 형상이 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상부돌기(200)는 2단 구조가 되는 것으로 하는데, 유동발생홈(G)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상부돌기(210)와 제1상부돌기(210) 위에 형성되는 제2상부돌기(22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물론 상부돌기(200)는 3단 이상의 구조가 될 수도 있고, 단의 구분없이 매끈하게 돌출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제1상부돌기(210)는 제2상부돌기(220)보다 직경은 크지만 높이는 낮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제2상부돌기(220)는 제1상부돌기(210)보다 직경은 작지만 높이는 높아 보행시 제2상부돌기(220)는 압축되면서 발바닥에 접촉되어 부드럽게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로간 경계가 되는 하부돌기(300)의 기저면적과 제1상부돌기(210)의 기저면적은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돌기(300) 주위로 형성되는 유동발생홈(G)과 상부돌기(200) 주위로 형성되는 유동발생홈(G)은 상하 마주보는 형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동축상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하부돌기(300)와 상부돌기(200)는 유동발생홈(G)으로 인해 보행시에 하부돌기(300)가 지면에 접촉되면 하부돌기(300)와 상부돌기(200)는 동시에 발바닥을 향해 상승되어 지압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돌기(300)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상승되었던 하부돌기(300)와 상부돌기(200)는 원위치로 하강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발바닥을 자극하고 있던 상부돌기(200)가 발바닥으로부터 떨어져 발바닥에 가해졌던 압박을 해소시키게 된다. 즉, 보행시 신발 바닥창(100)이 지면과 접촉되는 부위에서만 발바닥에 대한 지압이 이루어지고, 해당 부분이 지면과 떨어지면 지압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바닥에 과도한 압박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100)은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 상면에 위치 이동 가능한 족궁지지체(400)가 마련된다.
신발 바닥창(100)의 중간부는 대략 발바닥 아치부(흔히, 족궁이라 함)를 포함하는 그 주변 영역을 의미한다. 신발 바닥창(100)의 중간부에 마련되는 족궁지지체(400)는 발바닥의 족궁 부위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를 이루게 되고, 족궁지지체의 설치 위치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사용자가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신발 바닥창(100)의 상면 중간부에 족궁지지체(400)의 설치를 위한 함몰챔버(130)가 형성된다. 함몰챔버(130)에는 족궁지지체(400)를 옮겨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홈(140)이 형성된다.
중간부에 형성되는 함몰챔버(130)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바닥창(100) 중간부에 오목하게 함몰되는 함몰챔버(130)가 형성되되, 함몰챔버(130)는 제1함몰부(130a), 제2함몰부(130b), 제3함몰부(130c)가 높이를 달리하면서 형성된다.
즉, 신발 바닥창(100)의 중간부에 가장 깊게 형성되는 것이 제1함몰부(130a)이며, 그 다음으로 깊게 형성되는 것이 제2함몰부(130b)가 되고 가장 낮게 형성되는 것이 제3함몰부(130c)이다. 제1함몰부(130a)는 제2함몰부(130b)에 의해 둘러 싸여지며, 제2함몰부(130b)는 제3함몰부(130c)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챔버(130)가 대략 타원형을 이루는 것으로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족궁지지체(400)도 대략 타원에 유사한 형상이 되도록 한다.
함몰챔버(130)의 제1함몰부(130a)에 족궁지지체(400)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140)이 형성되도록 하고, 족궁지지체(400)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홈(140)은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족궁지지체(400)를 고정되게 하며, 또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홈(140)은 여러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본 제1실시예에서는 제1함몰부(130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더(141)에 다수의 고정홈(140)이 형성되도록 한다.
홀더(141)에 형성되는 고정홈(140)들은 서로 중첩되어 연결되는 다수의 원형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족궁지지체(400)의 하부면에 고정홈(140)과 연결될 수 있는 끼움돌기(410)가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본 제1실시예의 경우 홀더(141)에 형성되는 고정홈(140)들은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고정홈(140)의 직경이 감소되도록 한다. 직경이 가장 큰 고정홈(140)을 통해 족궁지지체(400)의 끼움돌기(410)를 쉽게 끼우도록 하며, 그 상태에서 족궁지지체(400)를 밀게 되면 원하는 위치로 족궁지지체(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홀더(141)에 형성되는 고정홈(140)에 족궁지지체(400)를 끼운 후 족궁지지체(400)가 고정홈(140)으로부터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141)의 하부면에는 지지턱(142)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족궁지지체(400)의 끼움돌기(410) 하단부에는 지지턱(142)에 걸릴 수 있는 지지단(411)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홈(14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10)는 족궁지지체(4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두 개의 고정홈(140)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2중 끼움돌기(410)가 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홈(140)이 형성되는 제1함몰부(130a)에 금속판이 결합되도록 하고, 끼움돌기(410)에는 자석이 내장되도록 하여 자력에 의해 족궁지지체(4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함몰챔버에 마련되는 고정홈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변형 예시도와 같이 함몰챔버(130)에 다수의 독립적인 원형의 고정홈(140)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족궁지지체(4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410)는 고정홈(140)과 동일한 형상이며, 끼움돌기(410)를 원하는 위치의 고정홈(140)에 압입하면 족궁지지체(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족궁지지체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족궁지지체(400)의 상면은 볼록한 돔 형상이며, 하면은 편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족궁지지체(400)의 하면에 끼움돌기(410)가 돌출 형성된다. 족궁지지체(400)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발포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은 족궁지지체의 변형 실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족궁지지체(400)의 내부에 비어있는 펌핑공간(420)이 형성되고, 펌핑공간(420)과 연통되는 하나의 토출구(430)가 일측에 형성된다.
내부에 펌핑공간(420)이 형성되는 족궁지지체(400)는 보행시의 하중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토출구(430)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족궁지지체(400)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다시 볼록하게 복원된다. 내부에 펌핑공간(420)을 갖는 족궁지지체(400)는 복원력이 우수한 필름과 같은 소재를 상하로 접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면부에는 추가적으로 쿠션이 있는 쿠션재(44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펌핑공간부의 빠른 복귀를 위해 족궁지지체(400)의 펌핑공간(420)에 탄력이 좋은 탄성부재(450)가 내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 바닥창(100)의 저면(110)에는 족궁지지체(400)와 대응하는 위치에 신발 바닥창(100)의 저면(110)보다 돌출되는 가압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50)는 함몰챔버(130)와 동일한 위치로 신발 바닥창(100)의 저면(110)보다 돌출되며, 가압부(150)의 주위는 함몰된 유동발생홈(G)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가압부(150) 주위로 유동발생홈(G)이 형성되면 보행시 가압부(15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 족궁지지체(400)의 지압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족궁지지체(400)는 보행시 가압부(150)가 지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족궁지지체(400)는 발바닥의 족궁 부위를 압박하여 지압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가압부(150)가 지면과 떨어지면 다시 족궁지지체(400)는 하강되어 족궁부에 작용되었던 압박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예는 신발 바닥창(100)에 형성되는 하부돌기(300), 상부돌기(200) 및 가압부(150)의 경도나 색상이 신발 바닥창의 타 영역과 다르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을 제조할 때 상이한 재료 또는 동일한 재료이되 색상이 다른 재료로 성형하거나, 상이한 재료이면서 색상도 다르도록 성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부돌기(300)나 가압부(150)는 지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타 부위보다 마모에 강한 재료로 성형되게 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지나치게 하부돌기(300) 등의 경도가 강하면 충격흡수나 반발탄성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경도와 같은 물성치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의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바닥창(100)의 상면에 보조패드(50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패드(500)는 부직포, 텍숀, 얇은 발포물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신발 바닥창이 적용되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패드(500)에는 상부돌기(20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다수의 노출홀(510)들이 형성되며, 상부돌기(200)의 상단은 보조패드(50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보조패드(500)는 다양한 재질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신발 바닥창(100) 상면에 보조패드(500)가 결합되면 상부돌기(200)의 상하 이동에 보다 도움을 줄 수 있고, 발바닥에 대한 지압작용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사상인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은 고무신, 장화, 슬리퍼 등과 같이 갑피(90)와 신발 바닥창(100)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신발이거나, 구두와 같은 신발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보조패드가 결합된 신발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신발을 구성하는 신발 바닥창(100)은 그 상면에 상부돌기(200)가 형성되고, 저면에 하부돌기(300)가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돌기(200)와 하부돌기(300)는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그 주위에는 함몰된 유동발생홈(G)이 형성된다.
그리고 신발 바닥창(1000)의 중간부 상면에는 위치이동 가능한 족궁지지체(400)가 마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신발 바닥창(100)의 상면에는 상부돌기(200)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노출홀(510)들을 갖는 보조패드(5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것은 타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되었기 때문에 이를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은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다.
90 : 갑피 100 : 신발 바닥창
110 : 저면 120 : 상면
130 : 함몰챔버 130a: 제1함몰부
130b: 제2함몰부 130c: 제3함몰부
140 : 고정홈 141 : 홀더
142 : 지지턱 150 : 가압부
200 : 상부돌기 210 : 제1상부돌기
220 : 제2상부돌기 300 : 하부돌기
400 : 족궁지지체 410 : 끼움돌기
411 : 지지단 420 : 펌핑공간
430 : 토출구 440 : 쿠션재
450 : 탄성부재 500 : 보조패드
510 : 노출홀 G : 유동발생홈

Claims (8)

  1. 신발 바닥창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부돌기가 다수 마련되며, 상기 하부돌기와 동축상으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하부돌기 및 상기 상부돌기 주위에 함몰된 유동발생홈이 마련되고,
    상기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 상면에 위치이동 가능한 족궁지지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족궁 지지체는,
    내부에 펌핑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펌핑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족궁 지지체와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저면보다 돌출되는 가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에 상기 족궁 지지체의 설치를 위한 함몰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챔버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족궁 지지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압부의 주위는 함몰된 유동발생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기, 상부돌기, 가압부는 상기 신발 바닥창과는 경도 등의 물성치나 색상이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돌기가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노출홀들이 형성되는 보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7. 갑피와 신발 바닥창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부돌기가 다수 마련되며, 상기 하부돌기와 동축상으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하부돌기 및 상기 상부돌기 주위에 함몰된 유동발생홈이 마련되고,
    상기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 상면에 위치이동 가능한 족궁지지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은,
    상기 신발 바닥창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돌기가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노출홀들이 형성되는 보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KR1020110026850A 2011-01-04 2011-03-25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20120079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0362 2011-01-04
KR1020110000362 2011-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34A true KR20120079434A (ko) 2012-07-12

Family

ID=4671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850A KR20120079434A (ko) 2011-01-04 2011-03-25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94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2433A (zh) * 2015-10-29 2016-01-06 浙江红蜻蜓鞋业股份有限公司 抗扭转片和抗扭转鞋
KR20160044086A (ko) *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원흥스틸 발바닥 지압용 신발
CN107006931A (zh) * 2017-03-27 2017-08-04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一种鞋及鞋垫
KR102197025B1 (ko) * 2019-09-24 2020-12-30 최영숙 다 기능성 구두 깔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086A (ko) *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원흥스틸 발바닥 지압용 신발
CN105212433A (zh) * 2015-10-29 2016-01-06 浙江红蜻蜓鞋业股份有限公司 抗扭转片和抗扭转鞋
CN107006931A (zh) * 2017-03-27 2017-08-04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一种鞋及鞋垫
CN107006931B (zh) * 2017-03-27 2019-06-11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一种能提供足弓动态支撑的鞋结构
KR102197025B1 (ko) * 2019-09-24 2020-12-30 최영숙 다 기능성 구두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81708B (zh) 鞋内底组合件、底部部件、鞋类物品、组装方法和套件
US20120030969A1 (en) Insole for a shoe having a movable massaging member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US20100024246A1 (en) Insole with shock-absorb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102182246B1 (ko) 자력 및 탄성력을 이용한 혈류 개선용 신발 깔창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100916592B1 (ko) 지압 및 공기순환 기능이 구비된 신발 깔창
KR20140104210A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KR102346677B1 (ko)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20220002004U (ko) 지압 슬리퍼
KR20110056581A (ko) 발바닥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2345807B1 (ko)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캐쥬얼화용 아웃솔
KR101789273B1 (ko) 족부 변형 방지 깔창
KR102130728B1 (ko)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JP2005185675A (ja) 履物
KR20060012482A (ko) 에어챔버를 구비한 중창이 설치된 신발
KR20090006030U (ko) 신발인솔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0413705Y1 (ko) 맞춤형 신발 깔창
KR200478808Y1 (ko) 통기성과 보행 안정성이 향상된 신발창
RU2764135C1 (ru) Амортизирующая подошвенная система
JP3154644U (ja) 履物底及びサンダル
KR20100122975A (ko) 충격흡수 및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