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044B1 -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 Google Patents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044B1
KR101051044B1 KR1020090092603A KR20090092603A KR101051044B1 KR 101051044 B1 KR101051044 B1 KR 101051044B1 KR 1020090092603 A KR1020090092603 A KR 1020090092603A KR 20090092603 A KR20090092603 A KR 20090092603A KR 101051044 B1 KR101051044 B1 KR 10105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opening groove
midsole
sho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053A (ko
Inventor
안인태
Original Assignee
안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인태 filed Critical 안인태
Priority to KR102009009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0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외관을 이루는 어퍼(100)와, 상기 어퍼(100)의 지지부(110)와 지면에 밀착되는 아웃솔(200) 사이에 제공되며 충격 흡수를 위한 미드솔(300)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300)과 접하는 어퍼(100)의 지지부(110) 후방 상면에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개방홈(400); 상기 개방홈(400)에 상하로 삽입되고, 코일 형상으로 하단부 외경보다 상단부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최대 압축 상태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500); 상기 개방홈(400)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회전시 수평 또는 나선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부 안내레일(610)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부 지지부재(600); 상기 개방홈(400)의 개방단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500)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안내홀(710)이 형성된 결합부재(700); 상기 안내홀(710)을 커버하며 상기 결합부재(70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800);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부 저면을 감싸도록 상면에 레일홈(910)이 형성되며 체결구(920)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800)의 저면에 상기 스프링(500)을 결합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 신발,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Description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A shoes bulit-in spring with a balance}
본 발명은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밑창 후방부에 스프링을 신발에 있어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장형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프링의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착용자 조건에 따라 스프링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신체 중 가장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발을 보호하기 위해서 발에 착용되는 것이며, 신발은 신체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되고 있다.
한편, 사람들의 보행에 따른 착지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지면에 대한 발의 뒤꿈치에 의한 착지단계가 이루어지고 연속해서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중심이 이동되는 단계 및 앞꿈치가 지면을 밀어서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착지시 가장 먼저 접촉되는 뒤꿈치 부분에 큰 하중이 걸리게 되어 뒤꿈치를 지지하는 밑창이 경질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중에 따른 충격력이 관절로 전달되어 관절 손상 등을 유발하게 되어 신발 중 뒤꿈치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알려진 기술을 살펴보면, 신체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신발 밑창의 후방 부분에 에어백을 제공하여 완충력을 갖도록 하거나, 신발 밑창의 저면 또는 후방에 스프링을 하나 또는 다수개 결합시켜 신체의 하중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신발의 완충력을 크게 향상시켜 운동 시간이 부족한 성인층을 위한 다이어트 효과를 갖도록 하는 특정 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스프링 신발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스프링 신발은, 신발의 밑창과 지면에 밀착되는 밑판 사이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상기 스프링의 중심 위치에서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스프링을 신발의 밑창과 밑판에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스프링 신발은 신발 저면에 스프링이 고정상태로 제공되어 있어 훼손 또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장력을 갖는 다른 스프링 신발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완전히 분리시킨 후 스프링 만을 교체한 후 다시 재조립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 신발은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스프링 사이에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경우 탄성력이 저하는 물론 상해 문제가 우려되 고 있고 더불어,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신발의 전체적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스프링을 쉽게 분리시키기 못해 스프링 밸런스를 조절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신발의 밑창 내부에 스프링이 위치되도록 하여 신발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신발의 밑창에 내장된 스프링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스프링이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위치고정 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가 스프링 밸런스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을 수용하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며 신발의 외관을 이루는 어퍼와, 상기 어퍼의 지지부와 지면에 밀착되는 아웃솔 사이에 제공되며 충격 흡수를 위한 미드솔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과 접하는 어퍼의 지지부 후방 상면에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개방홈; 상기 개방홈에 상하로 삽입되고, 코일 형상으로 하단부 외경보다 상단부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최대 압축 상태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 상기 개방홈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회전시 수평 또는 나선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부 안내레일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부 지지부재; 상기 개방홈의 개방단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안내홀이 형성된 결합부재; 상기 안내홀을 커버하며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 저면을 감싸도록 상면에 레일홈이 형성되며 체결구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 상기 스프링을 결합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을 감싸는 미드솔이 유연성 쿠션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내장형 신발은, 신발의 미드솔 내부에 스프링이 위치되어 충격 흡수를 통한 다이어트 효과는 물론 신발의 외관을 일반 신발과 같이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의 내장된 스프링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을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고 더불어 평형 감각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 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발을 수용하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며 신발의 외관을 이루는 어퍼(100)와, 상기 어퍼(100)의 지지부와 지면에 밀착되는 아웃솔(200) 사이에 제공되며 충격 흡수를 위한 미드솔(300)과, 상기 미드솔(300) 내에서 상하단이 어퍼(100)와 아웃솔(200)에 지지되는 스프링(500)과, 상기 아웃솔(200) 상면에서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600)와, 상기 어퍼(1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700)와, 상기 결합부재(700)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커버부재(800)와, 상기 스프링(500)을 상기 커버부재(800)에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재(90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uppur)(100)는, 신발 몸체를 말하는 것이며, 발을 보호하는 보호부와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신발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아웃솔(outsole)(200)은, 지면에 맞닿는 부분이며 상기 어퍼(100)의 지지부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미드(mid sole)(300)솔은, 상기 어퍼(100)의 지지부와 상기 아웃솔(200) 사이에 위치되어 하중 발생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100)와 상기 아웃솔(200)은 공지의 구조와 동일한 형태를 취하며 상기 미드솔(300)은 공지 충격 흡수 기능과는 달리 상기 스프링(500)을 커버하는 역할을 더 수행하게 된다.
상기 어퍼(100)의 지지부 후방 저면에 미드솔(300)이 제공되고, 상기 미드솔(300)의 저면과 상기 지지부에 아웃솔(100)이 결합된다.
상기 미드솔(300) 및 이에 접하는 상기 어퍼(100)의 지지부 후방 상면에 상향으로 개방되게 개방홈(400)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홈(400)은, 상기 어퍼(100)와 상기 미드솔(300)에 상기 스프링(500)이 출입하여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500)은, 코일 형상으로 하단부 외경보다 상단부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최대 압축 상태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적용되며 상기 개방홈(400)에 상하로 수직상태를 가지며 삽입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600)는, 상기 스프링(500)을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비교적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홈(400)의 바닥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회전시 수평 또는 나선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부 안내레일(610)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하부 안내레일(610)에는 일측에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부 끝단이 걸림되도록 상기 스프링(50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500)은 하단부가 상기 하부 안내레일(610)에 수평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회전하게 되며, 여기서, 상기 스프링(500)의 수평 회전은,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부를 수평으로 컷팅시켜 형성하여도 되고, 상기 하부 안내레일(610)을 상기 스프링(500)의 나선 방향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결합부재(700)는, 상기 개방홈(400)의 개방단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500)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안내홀(710)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800)는, 상기 안내홀(710)을 커버하며 상기 결합부재(700)에 결합되며 저면에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부가 끼워져 수평 또는 나선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 안내레일(810)이 하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900)는,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부 저면을 감싸도록 상면에 레일홈(910)이 형성되며 체결구(920)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800)의 저면에 상기 스프링(500)을 결합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의 적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퍼(100)의 지지부에 결합부재(700)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고 또한 아웃솔(200)의 후방 상면에 하부 지지부재(60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미드솔(300)과 아웃솔(100)을 결합시킨다.
그런다음, 커버부재(800)의 저면에 제공된 상부 안내레일(810)에 스프링(500)의 상단부가 밀착되도록 한 후, 연속해서 스프링 고정부재(900)의 레일홈(910)을 통해 스프링(500)과 함께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구(920)로 결합시킨다.
이후, 개방홈(400)에 스프링(500)을 끼워넣은 다음 스프링(500)의 하단부가 안내레일(610)이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부재(800)를 결합부재(700)에 결합 고정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착용시 스프링 밸런스를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커버부재(800)를 결합부재(70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스프링 고정부재(900)를 해제시키고 연속해서 스프링(500)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다음 다시 조립하면 되고, 스프링(500)의 교체시에는 커버부재(800)로부터 스프링 고정부재(900)를 분리시킨 후 다른 스프링(900)을 결합시키면 된다.
의료용 신발, 스포츠용 신발, 다이어트용 신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의 전체 요부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어퍼 200: 아웃솔
300: 미드솔 400: 개방홈
500: 스프링
600: 하부 지지부재 610: 하부 안내레일
700: 결합부재 710: 안내홀
800: 커버부재 810: 상부 안내레일
900: 스프링 고정부재
910: 레일홈 920: 체결구

Claims (3)

  1. 발을 수용하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110)를 가지며 신발의 외관을 이루는 어퍼(100)와, 상기 어퍼(100)의 지지부(110)와 지면에 밀착되는 아웃솔(200) 사이에 제공되며 충격 흡수를 위한 미드솔(300)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300) 및 상기 어퍼(100)의 지지부(110) 후방 상면에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개방홈(400);
    상기 개방홈(400)에 상하로 삽입되고, 코일 형상으로 하단부 외경보다 상단부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최대 압축 상태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500);
    상기 개방홈(400)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스프링(5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회전시 수평 또는 나선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부 안내레일(610)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부 지지부재(600);
    상기 개방홈(400)의 개방단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500)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안내홀(710)이 형성된 결합부재(700);
    상기 안내홀(710)을 커버하며 상기 결합부재(700)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부재(800);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부 저면을 감싸도록 상면에 레일홈(910)이 형성되며 체결구(920)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800)의 저면에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부를 결합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800)의 저면에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부가 끼워져 수평 또는 나선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 안내레일(810)이 하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도록 하고, 상기 상부 안내레일(810)에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900)의 레일홈(910)이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500)의 상단을 고정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0)을 감싸는 상기 미드솔(300)이 유연성 쿠션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1020090092603A 2009-09-29 2009-09-29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10105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03A KR101051044B1 (ko) 2009-09-29 2009-09-29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03A KR101051044B1 (ko) 2009-09-29 2009-09-29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53A KR20110035053A (ko) 2011-04-06
KR101051044B1 true KR101051044B1 (ko) 2011-07-21

Family

ID=4404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603A KR101051044B1 (ko) 2009-09-29 2009-09-29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0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307B1 (ko) 2005-02-16 2005-09-29 심보용 신발
KR20070079903A (ko) * 2006-02-03 2007-08-08 (주)지코일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KR20080102835A (ko) * 2007-05-22 2008-11-26 박철수 스프링의 교체가 용이한 신발
KR20080102836A (ko) * 2007-05-22 2008-11-26 박철수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307B1 (ko) 2005-02-16 2005-09-29 심보용 신발
KR20070079903A (ko) * 2006-02-03 2007-08-08 (주)지코일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KR20080102835A (ko) * 2007-05-22 2008-11-26 박철수 스프링의 교체가 용이한 신발
KR20080102836A (ko) * 2007-05-22 2008-11-26 박철수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53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7555B2 (ja) 衝撃吸収部材が入れ替え可能な靴底
US20150157091A1 (en) Shock absorbing and pressure releasing damper apparatus for shoe insole
US20100058616A1 (en) Shoe having an elastic body
US20140101972A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WO2014038937A1 (en) Pivoting anatomical shoe
US20110225842A1 (en) Elastic Heel of The High-Heeled Shoes
US20150013191A1 (en) Quick Change Shock Mitigation Outsole Insert with Debris Shield
KR101713681B1 (ko)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KR101731627B1 (ko)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101051044B1 (ko)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101255186B1 (ko) 깁스용 신발
KR101501701B1 (ko) 스포츠용 헬멧
KR100999900B1 (ko) 스프링 완충 신발
KR100999901B1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CN108903134B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减震鞋垫
KR100978122B1 (ko) 쿠션신발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CA2263028A1 (en) Protective guard
KR101429377B1 (ko) 운동화용 아웃솔
KR100947669B1 (ko) 스프링 교체 간편한 스프링 신발
KR100999898B1 (ko) 분리형 스프링 완충 신발
KR102624731B1 (ko) 충격완화 기능 및 혈류개선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신발
KR100999899B1 (ko)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200397212Y1 (ko) 점핑용 탄성신발
EP3338583B1 (en) Shoes having reinforcing structure for 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