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793Y1 - 신발 깔개 - Google Patents

신발 깔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793Y1
KR200203793Y1 KR2020000016206U KR20000016206U KR200203793Y1 KR 200203793 Y1 KR200203793 Y1 KR 200203793Y1 KR 2020000016206 U KR2020000016206 U KR 2020000016206U KR 20000016206 U KR20000016206 U KR 20000016206U KR 200203793 Y1 KR200203793 Y1 KR 200203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cupressure
rug
so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남
Original Assignee
이봉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남 filed Critical 이봉남
Priority to KR2020000016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09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alveolar or honeycomb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깔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통풍이 원활하도록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돗자리 형태의 망사 깔창, 충격 흡수가 좋도록 수지판 속에 물을 주입시킨 후 밀폐시킨 형태의 물쿠션 갈창, 합성수지판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발바닥 지압을 목적으로 한 지압 깔창, 세라믹 등으로 구성하여 원적외선 등이 방사되게 한 깔창, 자석 등을 설치하여 자기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깔창 등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그 효과가 약한 단점이 있는데 반해, 본 고안은 대략 신발 바닥 모양을 하고 있는 신발 깔개에 있어서,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상기 신발 깔개의 하부로 돌출 형성하고, 이 돌기의 공간부 중앙에는 지압구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는 통기공에 의해 서로 연통된 것으로, 각종 신발의 바닥에 설치하여 그 신발을 신는 사람의 발바닥을 효과적으로 지압할 수 있음은 물론, 통기성이 원활하도록 하여 발 냄새를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깔개{A underlay of shoes}
본 고안은 신발 깔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신발의 바닥에 설치하여 그 신발을 신는 사람의 발바닥을 효과적으로 지압할 수 있음은 물론, 통기성이 원활하도록 하여 발 냄새를 줄여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깔개는 깔창으로 불리는 것으로, 통풍이 원활하도록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돗자리 형태의 망사 깔창, 충격 흡수가 좋도록 수지판 속에 물을 주입시킨 후 밀폐시킨 형태의 물쿠션 갈창, 합성수지판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발바닥 지압을 목적으로 한 지압 깔창, 세라믹 등으로 구성하여 원적외선 등이 방사되게 한 깔창, 자석 등을 설치하여 자기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깔창 등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신발 깔창에 있어서, 망사 깔창은 신발을 깔창 없이 신고 다니는 것 보다 나으나, 통풍 효과가 그다지 원활하지 못하여 발냄새, 무좀 재발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물쿠션 깔창은 제조단가가 비싼 반면에 충격 흡수가 띠어나지 못하였으며, 이 또한 신발 내부의 땀냄새 제거를 용이하게 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지압 깔창은 지압구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바닥 지압에는 어느정도 효과가 있었으나, 이러한 지압 깔창을 신발을 신은 사람이 서있을 때나 걸을 때에 모두 동일한 지압을 하도록 함으로서, 오히려 발바닥에 무리를 주게되어 쉽게 피로할 수 있는 단점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기성이 뛰어나고, 지압 효과가 양호한 신발 깔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발 깔개는 대략 신발 바닥 모양을 하고 있는 신발 깔개에 있어서,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상기 신발 깔개의 하부로 돌출 형성하고, 이 돌기의 공간부 중앙에는 지압구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는 통기공에 의해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개의 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개의 작용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발 깔개 1 - 돌기
2 - 지압구 3 - 통기공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개의 요부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신발 깔개(10)는 대략 신발 바닥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발 깔개(10)에는 공간부(12)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1)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1)의 공간부(12)에는 그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지압구(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돌기(1)에 형성되는 공간부(12)는 서로 연통되도록 통기공(3)이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서, 신발 깔개(1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1)의 형상은 반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돌기(1)는 신발 깔개(10)의 뒷부분에 형성되는 돌기(1)가 앞부분에 형성되는 돌기(1) 보다 그 돌출되는 길이를 길게 형성함이 좋다.
또한, 신발 깔개(10)의 뒷부분 중앙부에는 발바닥의 뒤꿈치 부분에 보다 효과적이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나의 돌기(1)를 비교적 그 폭을 넓게 형성하고, 이 부분에 여러개의 지압구(2)를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것은 발바닥의 뒷꿈치 부분에는 비교적 굳은살이 많이 생김으로서 보다 자극적인 지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신발 깔개(10)에 의해 지압이 가능한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돌기(1) 사이가 하부로 눌리면서, 즉 복수개의 돌기(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4)으로 눌리면서 상기 돌기(1)의 공간부(12)에 형성되는 지압구(2)가 상부로 돌출되는 효과를 얻어 지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지압은 걸을 때 상기 신발 깔개(10)의 접혀지는 부분에 의해 보다 효과적인 지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신발 깔개(10)는 걸을 때에는 지압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고, 서있을 때에는 약한 지압 효과를 얻음으로서 전체적으로는 균형 있는 지압이 이루어짐으로서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돌기(1) 사이가 하부로 눌릴 때, 복수개의 돌기(1)의 공간부(12)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통기공(3)에 의해 통풍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신발 바닥과 그 신발을 신는 사람의 발바닥 사이의 통기성을 좋도록 하여 발이나 신발에서 나는 냄새를 예방할 수 있고, 복수개의 돌기(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4)에 의해 사람의 발에 미치는 충격을 어느 정도 완화하여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경우에 따라서는 신발 깔개(10)를 신발의 바닥창에 일체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한 설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개를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지압을 할 수 있음은 물론, 통기성이 뛰어나 발 냄새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략 신발 바닥 모양을 하고 있는 신발 깔개(10)에 있어서,
    공간부(12)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1)를 상기 신발 깔개(10)의 하부로 돌출 형성하고, 이 돌기(1)의 공간부(12) 중앙에는 지압구(2)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12)는 통기공(3)에 의해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개.
KR2020000016206U 2000-06-08 2000-06-08 신발 깔개 KR200203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06U KR200203793Y1 (ko) 2000-06-08 2000-06-08 신발 깔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06U KR200203793Y1 (ko) 2000-06-08 2000-06-08 신발 깔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793Y1 true KR200203793Y1 (ko) 2000-11-15

Family

ID=1965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206U KR200203793Y1 (ko) 2000-06-08 2000-06-08 신발 깔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7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176A1 (en) * 2005-12-02 2007-06-07 Gsd Inc. Insole
KR100881769B1 (ko) * 2008-05-09 2009-02-04 정용희 신발깔창
WO2010128176A1 (es) * 2009-05-04 2010-11-11 Camper, S.L. Plantilla para calzad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176A1 (en) * 2005-12-02 2007-06-07 Gsd Inc. Insole
KR100881769B1 (ko) * 2008-05-09 2009-02-04 정용희 신발깔창
WO2009136685A1 (en) * 2008-05-09 2009-11-12 Yong-Hee Jung A shoe inner soles
WO2010128176A1 (es) * 2009-05-04 2010-11-11 Camper, S.L. Plantilla para calzado
ES2356875A1 (es) * 2009-05-04 2011-04-14 Camper, S.L. Plantilla para calzad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527B1 (ko) 신발용 인솔
KR200412028Y1 (ko) 기능성 신발안창
KR100356353B1 (ko) 공기 배출 신발
KR100930488B1 (ko) 투습ㆍ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방수신발 및 제조방법
KR200203793Y1 (ko) 신발 깔개
KR101126601B1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JP3120393U (ja) 靴底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20090006030U (ko) 신발인솔
KR101938256B1 (ko) 측면에 통기공이 형성된 인솔
KR102514616B1 (ko) 신발 깔창
KR102536938B1 (ko) 통기성 신발 깔창
KR20100126084A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KR200426061Y1 (ko) 다기능 건강신발
KR20190010983A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0218224B1 (ko) 신 깔창
KR200164904Y1 (ko) 열방출신발
KR101796171B1 (ko) 통풍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밑창
KR102012077B1 (ko) 신발용 안창
KR200192505Y1 (ko) 쿳션 인솔
KR200365768Y1 (ko) 공기순환식 신발용 깔창
KR200352369Y1 (ko) 지면 밀착판을 갖는 실내용 슬리퍼
KR20040070465A (ko) 통기성 운동화
KR101622070B1 (ko) 실내화 제조방법
KR200297996Y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