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451B1 -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451B1
KR100931451B1 KR1020070106694A KR20070106694A KR100931451B1 KR 100931451 B1 KR100931451 B1 KR 100931451B1 KR 1020070106694 A KR1020070106694 A KR 1020070106694A KR 20070106694 A KR20070106694 A KR 20070106694A KR 100931451 B1 KR100931451 B1 KR 100931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il
lens
optical axis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239A (ko
Inventor
노리후미 사타
다케후미 이노우에
신슈케 기모토
마사야 와타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3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고정부에 대하여, 렌즈를 가지는 가동부를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액추에이터로서, 고정부에 대향하는 가동부의 면에 마련되어, 광축방향으로 자화된 자석과, 자석에 대향하는 고정부 면에 마련된 코일과, 자석으로부터의 자속(磁束)을 코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자석의, 광축방향 양측으로 마련된 한 쌍의 자성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LENS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액추에이터 및 렌즈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의 렌즈를 탑재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렌즈 액추에이터를 이용하고, 렌즈의 자동 초점 동작을 행하는 것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렌즈 액추에이터에 대해서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액추에이터 자신의 소형화가 도모되어, 또한, 안정적인 동작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렌즈 액추에이터(130)에 대하여, 도 7~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렌즈 액추에이터(130)의 단면도이며, 도 8은 같은 렌즈 액추에이터(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액추에이터(130)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절연 수지제의 캐리어(111), 절연 수지제의 커버(112) 및 절연 수지제의 케이스(113)를 구비한다. 캐리어(111) 중공부에는 렌즈(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됨과 동시에, 케이스(113)와 이 상면을 덮는 커버(112) 사이에, 캐리어(111)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수납되어 있다.
또, 렌즈 액추에이터(130)는, 박판 금속제의 상부 스프링(114) 및 같은 박판 금속제 하부 스프링(115)을 구비한다. 상부 스프링(114)은, 커버(112)의 아래쪽 면과 캐리어(111)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스프링(115)은, 캐리어(111)의 아래쪽 면과 케이스(113)의 내부 저면(底面)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상부 스프링(114) 및 하부 스프링(115)은, 각각 약간 굽힌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캐리어(111)는, 상하면에 탄성 접촉된 상태의 상부 스프링(114)과 하부 스프링(115)으로, 소정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렌즈 액추에이터(130)는, 동합금선이 대략 링 모양으로 감긴 코일(116) 및 철 등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요크(117)를 구비한다. 코일(116)은 캐리어(111) 외주 하부의 플랜지부(111A)에 장착 고정됨과 동시에, 단면이 대략 U자 모양의 요크(117)는, 캐리어(111) 외주의 케이스(113)에, 코일(116)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액추에이터(130)는, 대략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자석( 118)을 구비한다. 자석(118)은 요크(117)의 외주측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9는, 종래의 렌즈 액추에이터(130)의 부분 단면도이다. 자석(118)은, 도 9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렌즈의 직경 방향)으로 자화되어 있다. 따라서, 도 9 중에 화살표로 가리킨 바와 같이, 자석(118)으로부터 요크(117) 및 코일(116)을 경로로 한 자로(磁路)가 형성된다. 또, 자석(118)의 내주 측의 내벽면과 코일(116)의 외주측 면 사이 및 코일(116)의 내주 측면과 요크(117) 내주 측의 내벽면 사이에는, 코 일(116)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0.2 ㎜ 전후의 공간 L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코일(116)의 권선(卷線) 양단 부분은, 상하 운동을 위한 느슨함을 갖도록 한 상태이며, 동합금 등의 복수 전극(119)에 납땜 등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이 전극(119) 하단이 케이스(113)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하여, 하부 스프링(115) 위쪽에는 절연 수지제의 스페이서(12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 액추에이터(130)가,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로 장착되어 복수 전극(119)이 전자 기기의 전자 회로(도시하지 않음)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버튼(도시하지 않음) 등을 조작하면, 전자 회로로부터 전극(119)에 전압이 인가되어 코일(116)에 전류가 흐른다. 그러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좌우 방향의 자계가 형성되어 있는 코일(116)에는, 이와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하여 코일(116), 및, 코일(116)이 장착 고정된 캐리어(111)가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동 초점 동작이 행해지며, 캐리어(111)에 장착된 렌즈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코일(116)로의 전류를 차단했을 경우에는, 캐리어(111)의 상하면에 설치된 상부 스프링(114)과 하부 스프링(115)이 튕겨내는 힘에 의하여, 캐리어(111)는 밀려 이동되어 소정 위치로 돌아간다.
이러한 렌즈 액추에이터(130)에 관련되는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2004-28003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렌즈 액추에이터(130)에 대해서는,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각 구성 부품의 치수 오차나 어긋남 등으로, 코일(116)이 자석(118)이나 요크(117)에 접촉하고, 코일(116)의 상하 운동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공간 L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이 공간 L은 코일(116)의 내주 측과 외주 측 양쪽 모두 마련할 필요가 있고, 또한 요크(117)의 내주 측 부분의 두께도 더 두꺼워지기 때문에, 렌즈 액추에이터(130)를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시키는 것은 어려웠다.
또, 코일(116)이 상하 운동하기 때문에, 코일(116)의 권선 양단 부분에는 어느 정도 느슨함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코일(116)의 권선 양단 부분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단선 등이 생기지 않도록 전극(119)에 납땜을 할 필요도 있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하여, 코일(116) 양단 부분의 처리나 조립 시간이 걸림과 동시에, 동작을 반복하면, 단선 등으로 이들 접속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지게 된 것으로서,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일 양단 부분의 처리나 조립에 시간을 들지 않고, 동작이 반복되어도 접속이 안정적인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 액추에이터는, 고정부에 대하여, 렌즈를 가지는 가동부를 렌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액추에이터로서, 고정부에 대향하는 가동부 면에 설치되어 광축방향으로 자화된 자석과, 자석에 대향하는 고정부 면에 설치된 코일과,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을 코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자석의 광축방향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자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고정부에 코일을 배치했으므로, 코일 단부를 느슨하게 할 필요가 없고, 코일 양단 부분의 단말 처리나 조립에 시간이 들지 않는다.
또, 코일과 자석을 대향 배치한 다음에, 자석을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자화하여, 그 광축방향의 양단에 한 쌍의 자성체를 배치하여, 자속을 코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코일의 직경 방향 양측으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필요한 공간이 자석과 코일 사이만으로 되기 때문에, 직경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자성체에 의하여 자석의 광축방향으로의 누설 자속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전자력으로 자석의 상하 운동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모듈과 상기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모듈은 렌즈로부터의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의 신호에 근거하여 렌즈의 자동 초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고정부에 대하여 렌즈를 가지는 가동부를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렌즈 액추에이터는 고정부와 대향 하여 렌즈를 가지는 가동부 면에 설치되어,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자화된 자석과, 자석에 대향하는 고정부 면에 설치된 코일과,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을 코일 방향으로 향하게 되도록 자석의 광축방향의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자성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고정부에 코일을 배치했으므로, 코일 단부를 느슨하게 할 필요가 없고, 코일 양단 부분의 단말 처리나 조립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렌즈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코일과 자석을 대향 배치한 다음에, 자석을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자화하여, 그 광축방향의 양단에 한 쌍의 자성체를 배치하여, 자속을 코일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코일의 직경 방향 양측으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필요한 공간이 자석과 코일 사이만으로 되기 때문에, 직경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자동 초점 동작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가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일의 양단 부분의 처리나 조립에 시간을 들지 않고, 동작을 반복해도 접속이 안정적인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도 6을 이용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액추에이터(30)의 단면도, 도 2는 동 렌즈 액추에이터(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액추에이터(3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유리가 들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절연 수지제 캐리어(11),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등의 절연 수지제 상부 커버(12), 동일 절연 수지제의 케이스(13)를 구비한다.
캐리어(11)의 중공부에는 렌즈(31)(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됨과 동시에 케이스(13)와 이 표면을 덮고 있는 상부 커버(12) 사이에, 캐리어(11)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수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3)의 아래쪽 면에는, 하부 커버(26)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액추에이터(30)에서는, 가동부인 캐리어(11)가, 고정부인 케이스(13) 및 상부 커버(12)에 대하여, 렌즈(31)의 광축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렌즈 액추에이터(30)는, 강철이나 동합금 등의 박판 금속제 상부 스프링(14) 및 하부 스프링(15)을 구비한다. 상부 스프링(14)이 상부 커버(12) 아래쪽 면과 캐리어(11) 표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하부 스프링(15)이 캐리어(11) 아래쪽 면과 하부 커버(26)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스프링(14) 및 하부 스프링(15)은, 각각 약간 풀린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이 상하면에 탄성 접촉한 상부 스프링(14)과 하부 스프링(15)에 의하여, 캐리어(11)가 소정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렌즈 액추에이터(30)는 그 고정부 안쪽에, 절연 수지로 피복된 동합금선이 대략 링 모양으로 감긴 상부 코일(16A)과 하부 코일(16B) 및 대략 원호 모양으로 철 등의 복수 요크(17)를 구비한다.
상부 코일(16A)과 하부 코일(16B)은, 각각 역방향으로 감긴 것과 함께, 상부 코일(16A)의 하단과 하부 코일(16B)의 상단이 소정의 공간을 비워 접속되어 있다.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은, 요크(17)의 내주면에, 접착 등에 의하여 부착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렌즈 액추에이터(30)는, 그 가동부에, 대략 링 상태로 네오디뮴 계 등의 자석(18), 대략 링상태로 철 등 상부 자성체(27A) 및 하부 자성체(27B)를 구비한다. 자석(18)은, 게다가 아래쪽 면(렌즈(31)의 광축방향의 단면)에 상부 자성체(27A) 및 하부 자성체(27B)를 장착하여, 캐리어(11)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부(11A)에 얹어 놓여 있다. 또, 자석(18)은, 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렌즈(31)의 광축방향)으로 자화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링 상태와는 링 형상뿐만 아니라, 구형 환상이나,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상도 포함된다.
여기에서, 렌즈 액추에이터(30)에 있어서의 자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렌즈 액추에이터(30)의 자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 대해서는 도 1에 있어서, 우향측의 자기회로 부분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대향 배치된 자석(18)과, 상부 코일(16A), 하부 코일(16B) 사이에 자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자석(18)으로부터 상부 자성체(27A), 상부 코일(16A), 요크(17), 하부 코일(16B), 하부 자성체(27B)를 경로로 한 자로가 형성된다. 또, 자석(18)과 상부 코일(16A), 하부 코일(16B) 사이에는, 자석(1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접촉 등을 피하기 위한 0.2 ㎜ 전후의 공간 L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 코일(16A)의 권선 상단 및 하부 코일(16B)의 권선 하단이, 각각 동합금 등의 전극(19)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됨과 동시에, 이 한 쌍의 전극(19) 각각 하단이 케이스(13)의 저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4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전자 기기(40)는, 기판(33)상에, 모듈(46)과 모듈(46)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회로(32)를 구비한다. 모듈(46)은, 렌즈 액추에이터(30), 촬상소자(44) 및 제어부(42)를 가진다. 촬상소자(44)는, 렌즈 액추에이터(30)의 렌즈(31)의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2)는, 촬상소자(44)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렌즈(31)의 자동 초점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40)로서는,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이 포함된다. 렌즈 액추에이터(30)의 복수 전극(19)이, 기 판(33)을 통하여 전자 회로(32)로 접속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전자 기기(40)의 버튼(도시하지 않음) 등이 조작되거나 제어부(46)가, 자동 초점 동작을 필요하다고 판정하면, 렌즈 액추에이터(30)의 전극(19)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것 같은 자로가 형성된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에 전류가 흘러 자석(18)에는 이와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전자력이 작용한다. 이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하는 방향으로, 자석(18) 및 자석(18)이 장착 고정된 캐리어(11)가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자동 초점 동작을 하여 캐리어(11)에 장착된 렌즈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상부 코일(16A), 하부 코일(16B)에의 전류를 차단했을 경우에는, 캐리어(11)의 상하면에 설치된 상부 스프링(14)과 하부 스프링(15)의 반발력에 의하여, 캐리어(11)는, 밀려 이동되어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상술의 구성에 있어서, 공간 L은, 각 구성 부품의 치수 오차나 조립시의 어긋남 등에 의하여, 자석(18)이 다른 구성부품에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상하 요동하는 자석(18)이 캐리어(11) 외주에 장착 고정되기 때문에, 자석(18)으로 대향 배치된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 사이, 즉, 자석(18)의 외주와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의 내주 사이에 0.2 ㎜ 전후의 공간을 마련하기만 하면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렌즈 액추에이터(30)에서는, 자석(18)의 상하 운동이 필요한 공간 L을, 자석(18)과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 사이에 마련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의 렌즈 액추에이터와 같이, 코일 양측으로 공간 L을 마련 한 구성과 비교하면, 본 실시 형태의 렌즈 액추에이터(30)는, 상하 코일(16A, 16 B)의 한쪽 편에게만 공간 L을 마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그만큼 직경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렌즈 액추에이터(30)에서는,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은 상하 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코일의 양단 부분에 느슨함을 갖게 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하여,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의 양단 부분의 처리인 단말 처리나 전극(19)으로의 납땜 등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을 반복할 경우도,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단선 등의 가능성은 작고, 안정된 접속이 유지되어 캐리어(11)를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 액추에이터(30)에서는, 자석(18)의 상하면에 상부 자성체(27A) 및 하부 자성체(27B)를 마련하고, 자속을 요크(17)를 향하게 함으로써, 이들의 자성체에 의하여 자석(18)의(렌즈(31)의 광축방향으로 위치함) 상하면으로부터의 외주측이나 내주 측방향으로의 누설 자속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전자력으로 자석(18)을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자성체(27A)나 하부 자성체(27B)의 직경 방향의 폭을 자석(18)보다 약간 작게 하여, 자석(18) 상하면의 내주측 단부를 노출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3에 파선으로 도시한, 자석(18) 내주측에게 누설 자속을 감소시켜,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 방향으로의 자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을 배치하여, 상부 코일(16A)의 하단과 하부 코일(16B)의 상단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마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 각각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는 누설 자속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자석(18)으로부터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 각각을 직교하여(도 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통과하고, 요크(17)에 흐르는 자속이 증가하여, 자석(18)을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액추에이터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액추에이터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렌즈 액추에이터에서는, 자석(18)의 상하면에 설치된 상부 자성체(27A) 및 하부 자성체(27B)를, 자석(18)의 외주 측방향(도 5에 있어서의 우측향)으로 돌출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돌출한 만큼 직경 방향의 치수는 크게 되지만,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18)의 외주 측으로의 누설 자속을 감소시켜,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을 직교하여 요크(17)로 흐르는 자속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액추에이터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자석(18)의 상하면에, 상부 자성체(27A) 및 하부 자성체(27B) 대신에, 한 쌍의 자석, 즉 상부 자석(28A) 및 하부 자석(28B)을 장착한다. 여기에서,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자석(18)의 자화 방향 이 오름 방향이라면, 상부 자석(28A)의 자화 방향은 오른쪽 방향이며, 하부 자석(28B)의 자화 방향은 왼쪽 방향이다. 이와 같이, 자석(18), 상부 자석(28A) 및 하부 자석(28B)을, 각각 착자(着磁) 방향이 다른 3개의 자석으로부터 형성되고, 이른바 할바크(Halbach)형의 자석 배치를 함으로써, 더욱 강한 전자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액추에이터(30)에 의하면, 가동부인 캐리어(11)에 자석(18)을 장착함과 동시에, 캐리어(11) 외주에 배치된 고정부인 케이스(13)에, 요크(17),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을 장착한다. 또, 이 자석(18)으로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을 소정의 공간 L로 대향 배치함에 의하여, 자석(18)의 상하 운동에 필요한 공간 L이, 자석(18)과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 사이만으로 된다. 이에 의하여, 렌즈 액추에이터(30) 전체의 직경 방향의 소형화가 도모할 수 있다. 또,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은 상하 운동이 필요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동작이 확실한 렌즈 액추에이터(3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동부인 캐리어(11)의 외주 측에, 고정부인 케이스(13)를 배치한 예를 이용했다. 그리고, 케이스(13)의 내주 측에 요크(17)를 배치하여, 캐리어(11)의 외주 측에 자석(18)을, 케이스(13) 내주 측에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을, 각각 장착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구조는 약간 복잡하게 되지만, 가동부인 캐리어(11)의 내주 측에 고정부를 배치하고, 고정부의 외주 측에 요크(17),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을 배치하여, 가동부인 캐리어(11)의 안쪽에 자석(18)을 장착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한 쌍의 코일, 즉,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을 이용한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상부 코일(16A) 및 하부 코일(16B)의 어느 것만을 이용한 구성을 해도 좋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코일의 양단 부분의 처리나 조립에 시간이 들지 않고, 동작을 반복해도 접속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는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액추에이터, 및 렌즈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렌즈 액추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렌즈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렌즈 액추에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액추에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액추에이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렌즈 액추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같은 렌즈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같은 렌즈 액추에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111 캐리어
11A, 111A 플랜지부
12 상부 커버
13, 113 케이스
14, 114 상부 스프링
15, 115 하부 스프링
16A 상부 코일
16B 하부 코일
17, 117 요크
18, 118 자석
19, 119 전극
26 하부 커버
27A 상부 자성체
27B 하부 자성체
28A 상부 자석
28B 하부 자석
30, 130 렌즈 액추에이터
31 렌즈
32 전자 회로
33 기판
40 전자 기기
42 제어부
44 촬상소자
46 모듈
112 커버
116 코일

Claims (8)

  1. 고정부에 대하여, 렌즈를 가지는 가동부를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상기 가동부의 면에 설치되고 상기 광축방향으로 자화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부 위치에, 자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설치된 요크와,
    상기 자석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부의 면에 설치된 코일과,
    상기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을 상기 코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자석의 상기 광축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은, 발생하는 전자력이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부 내주면에 감겨 있고,
    상기 요크는 링 형상으로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자성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부의 면에 한 쌍의 상기 코일이 서로 소정의 간극을 가진 상태로 설치된, 렌즈 액추에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원통형의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중공부에 장착된 상기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리어를 상기 렌즈의 상기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고,
    상기 캐리어의 상기 광축방향 양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탄성체를 구비한 렌즈 액추에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성체는, 상기 자석의 상기 광축방향의 양측의 내주면측을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렌즈 액추에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성체는, 상기 코일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성체 대신에, 한 쌍의 자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7. 모듈과 상기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모듈은,
    렌즈로부터의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렌즈의 자동 초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렌즈를 가지는 가동부를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액추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여 상기 렌즈를 가지는 상기 가동부의 면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자화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부 위치에, 자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설치된 요크와,
    상기 자석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부의 면에 설치된 코일과,
    상기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을 상기 코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자석의 상기 광축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자성체를 가지고,
    상기 자석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은, 발생하는 전자력이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에 감겨 있고,
    상기 요크는 링 형상으로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자성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전자기기.
  8. 삭제
KR1020070106694A 2006-10-31 2007-10-23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 KR100931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5167A JP2008112003A (ja) 2006-10-31 2006-10-31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JP-P-2006-00295167 2006-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239A KR20080039239A (ko) 2008-05-07
KR100931451B1 true KR100931451B1 (ko) 2009-12-11

Family

ID=3926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694A KR100931451B1 (ko) 2006-10-31 2007-10-23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1134B2 (ko)
JP (1) JP2008112003A (ko)
KR (1) KR100931451B1 (ko)
CN (1) CN101174018B (ko)
DE (1) DE102007051162A1 (ko)
TW (1) TW200821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9910E1 (en) * 1994-09-02 2007-11-06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formed by a plurality of non-electrically interconnec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17B1 (ko) * 2006-11-23 2012-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KR20080099567A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장치
CA2718409C (en) * 2008-03-19 2016-04-05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Semi continuous operational method for producing copolymers
CN101640467B (zh) * 2008-07-28 2012-05-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弹片及音圈马达
KR100919117B1 (ko) 2008-10-08 2009-09-25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0920609B1 (ko) 2008-11-27 2009-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009129B1 (ko) * 2008-12-19 201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US8699141B2 (en) * 2009-03-13 2014-04-15 Knowles Electronics, Llc Lens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JP2011039481A (ja) * 2009-03-26 2011-02-24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5306042B2 (ja) * 2009-04-28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
JP5460704B2 (ja) * 2009-05-20 2014-04-02 株式会社光洋 使い捨ておむつ
CN102004366B (zh) * 2009-09-02 2013-1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稳定模组、取像模组及电子装置
JP2011141517A (ja) * 2009-12-11 2011-07-21 Panasonic Corp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DE102010000582A1 (de) 2010-02-26 2011-09-01 Karl Storz Gmbh & Co. Kg Linearmotor mit permanentmagnetischer Selbsthaltung
JP5591571B2 (ja) * 2010-03-25 2014-09-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1069619B1 (ko) * 2010-06-16 2011-10-05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손떨림 보정 카메라모듈
CN103026429B (zh) * 2010-07-05 2017-05-31 奥林匹斯冬季和Ibe有限公司 用于手术器械的电磁致动器
TWI483516B (zh) * 2011-05-31 2015-05-01 Hon Hai Prec Ind Co Ltd 音圈馬達
CN102810969A (zh) * 2011-06-01 2012-12-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
JP2013011748A (ja) * 2011-06-29 2013-01-17 Nikon Corp レンズ鏡筒
DE102011078969B4 (de) * 2011-07-11 2019-02-21 Olympus Winter & Ibe Gmbh Berührungslose Magnetkupplung für ein Endoskop und Endoskop
KR101874431B1 (ko) * 2011-10-11 2018-07-06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3차원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KR102374765B1 (ko) * 2013-12-18 2022-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1981163B1 (ko) * 2014-04-15 2019-05-22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보이스 코일 모터 및 포커싱 렌즈
US9431887B2 (en) * 2014-06-06 2016-08-30 Align Technology, Inc. Lens positioning system
JP6588085B2 (ja) * 2015-04-15 2019-10-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及び内視鏡
CN107040111B (zh) * 2016-02-04 2019-07-26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电磁驱动模块及应用该电磁驱动模块的镜头驱动装置
JP6852432B2 (ja) 2017-02-09 2021-03-3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電磁駆動ユニット
JP2019040130A (ja) * 2017-08-28 2019-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防振装置及び防振装置を備えた光学装置
CN108869247B (zh) * 2018-07-25 2023-10-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压缩机减振方法和系统及包括该系统的电器产品
JP7235495B2 (ja) * 2018-12-20 2023-03-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CN113448076B (zh) * 2020-03-26 2024-02-02 米泽喜九子 双目放大镜
KR102513612B1 (ko) * 2020-08-27 2023-03-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CN115308972A (zh) * 2022-08-12 2022-11-08 珲春兆景电子科技有限公司 遮挡装置及采用其的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5339A (en) * 1981-05-27 1982-12-01 Pioneer Electronic Corp Objective lens driver
JP2005292512A (ja) * 2004-03-31 2005-10-20 F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20050123083A (ko) * 2005-12-15 2005-12-29 양지원 소형 줌 카메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190A (en) 1983-01-25 1987-04-21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focus position control in optical disc apparatus
GB2205003B (en) * 1987-05-18 1991-05-29 Sony Corp Magnetic circuits of linear motors
JPH05258325A (ja) * 1992-01-13 1993-10-08 Sharp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4250409B2 (ja) 2002-12-04 2009-04-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4219221B2 (ja) * 2003-01-23 2009-02-04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273247B2 (ja) 2003-03-13 2009-06-03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4350481B2 (ja) * 2003-04-16 2009-10-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機器
JP2006074990A (ja) 2004-08-05 2006-03-16 Mitsumi Electric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用アクチュエータ
US20060028929A1 (en) * 2004-08-05 2006-02-09 Mitsumi Electric Co., Ltd. Autofocus actuator
US7145738B2 (en) * 2005-02-09 2006-12-05 Arima Computer Corporation Driving mechanism for a camera lens
JP2006259032A (ja) * 2005-03-16 2006-09-28 Arima Device Kk レンズ駆動装置
JP4802605B2 (ja) * 2005-08-17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2008032768A (ja) * 2006-07-26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5339A (en) * 1981-05-27 1982-12-01 Pioneer Electronic Corp Objective lens driver
JP2005292512A (ja) * 2004-03-31 2005-10-20 F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20050123083A (ko) * 2005-12-15 2005-12-29 양지원 소형 줌 카메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9910E1 (en) * 1994-09-02 2007-11-06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formed by a plurality of non-electrically interconnec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51162A1 (de) 2008-05-08
TW200821727A (en) 2008-05-16
JP2008112003A (ja) 2008-05-15
KR20080039239A (ko) 2008-05-07
CN101174018B (zh) 2011-05-11
US7751134B2 (en) 2010-07-06
CN101174018A (zh) 2008-05-07
US20080180820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451B1 (ko) 렌즈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
US7457061B2 (en) Lens actuator
JP5304060B2 (ja)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US7675566B2 (en) Camera module
EP3029520B1 (en) Camera module
KR100490253B1 (ko) 소형 광학렌즈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CN114839825A (zh)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US8643964B2 (en) Lens driving device without permanent magnet
KR101606960B1 (ko) 카메라 모듈
KR20090097096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100125978A (ko) 마그네트 이동 타입 이미지 촬상용 렌즈 액츄에이터
JP2010061030A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10066879A (ko) 렌즈 액추에이터
KR20080099567A (ko) 소형 카메라장치
JP5146951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10068504A (ko) 저가 제작 및 소형화가 가능한 렌즈 액츄에이터
KR101262878B1 (ko) 모듈 액츄에이터 및 그 제조 방법
JP4988493B2 (ja) 2段式焦点調節構造
CN113966606B (zh) 相机装置
US20210143720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20210021649A (ko) Vcm 타입 액추에이터
JP6478408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685859B1 (ko)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07241064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2119390B1 (ko) 소형 카메라용 오토포커싱 액츄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