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30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301A
KR20140077301A KR20120145920A KR20120145920A KR20140077301A KR 20140077301 A KR20140077301 A KR 20140077301A KR 20120145920 A KR20120145920 A KR 20120145920A KR 20120145920 A KR20120145920 A KR 20120145920A KR 20140077301 A KR20140077301 A KR 2014007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dule
pattern layer
circuit pattern
electron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4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582B1 (ko
Inventor
오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582B1/ko
Priority to PCT/KR2013/002659 priority patent/WO2014092250A1/en
Priority to US14/442,950 priority patent/US9485396B2/en
Priority to TW102113527A priority patent/TWI606727B/zh
Publication of KR2014007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상측에 배치되며, 전자회로 패턴층을 포함하는 배선유닛; 상기 홀더 모듈 바닥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부재; 및 일단은 상기 배선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저전력 소모를 위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었던 VCM 등의 기술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이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에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손떨림 방지 수단을 추가적으로 카메라 모듈에 설치하는 카메라 모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OIS 모듈은 통상 X, Y축으로 이동시키는 대상에 따라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시프트, 이미지 센서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센서 시프트, AF 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모듈 틸트 등의 방식으로 구분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0711호(2012.11.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2620호(2010.04.08.)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상측에 배치되며, 전자회로 패턴층을 포함하는 배선유닛; 상기 홀더 모듈 바닥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부재; 및 일단은 상기 배선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 모듈은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는 아웃터 블레이드;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중앙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렌즈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제 2 코일이 고정되는 보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전자회로 패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노출 면과 내측 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은 통전성 재질로 코팅 및 도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 모듈 내부로 자기력을 전달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측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일측 벽면은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에 의해 커버 될 수 있다.
상기 요크는 상기 홀더 모듈을 향하는 중앙 부분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자회로 패턴층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표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유닛과 와이어 스프링의 연결부와 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쉴드 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모듈은 상기 보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의 중앙은 상기 제 2 코일 측으로 자기력이 투자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부분에 단자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및 플레이트 부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적어도 6개 이상 마련되어, 오토 포커싱 제어를 위한 2개의 극성과 OIS 구동을 위한 4개의 극성 전원을 상기 제 2 및 배선유닛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동일한 길이로, 상기 홀더 모듈의 모서리 부분에 2개씩 배치되어, 총 8개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 스프링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유닛을 기존의 FPCB 대신 전자회로 패턴층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단선의 우려가 적은 신뢰성 높은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기판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기존의 하우징 유닛(2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FPCB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 패턴층을 가지는 하우징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 패턴층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 패턴층을 가지는 하우징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 패턴층을 가지는 하우징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 패턴층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 패턴층을 가지는 하우징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하우징 유닛(20), 홀더 모듈(30), 플레이트 부재(40), 배선유닛(50), 와이어 스프링(60) 및 전자회로 패턴층(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은 대략 중앙 부근에 이미지 센서(11)가 실장 되며, PCB 기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의 작동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되거나, 전원공급 및 상기 이미지 센서(11)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단자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의 골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유닛(20)은, 제 1 하우징(21), 제 2 하우징(22),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및 요크(25)를 포함한다.
제 1 하우징(21)은 베이스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 1 하우징(21)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11)로 입사되는 이미지 상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부재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제 2 하우징(22)은 상기 제 1 하우징(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21)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22)의 대략 중앙 부근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 측으로 화상이 전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22)의 상측면에는 뒤에 다시 설명할 배선유닛(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사이에 개재되어, 자기력을 상기 홀더 모듈(30)로 투자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및 요크(25)는 설계 허용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면 제1 및 제2하우징 내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크기가 커지면 작은 전류에도 OIS구동이 커지며, 만일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크기가 일정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에 흐르는 전류를 키울수록 OIS구동이 커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크기가 클수록 OIS구동은 좋아지나 기타 설계허용치 내에서 그 최적크기를 설계할 수 있다.
요크(25)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요크(25)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자기력을 상기 홀더 모듈(3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중앙 부근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중앙이 일정 크기로 돌출되어 영구자석과 요크는 대략 "T"자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 모듈(30)은 상기 하우징 유닛(20)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아웃터 블레이드(31)와 보빈(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 모듈(30)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매달린 상태로 전후/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상측 및 하측에는 탄성부재(35, 36)가 마련되어, 이 탄성부재(35)에 의해 상기 보빈(32)는 상하방향 움직임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아웃터 블레이드(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측면의 외주면에 총 4개의 제 1 코일(31a ~ 31d)이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들(31a ~ 31d)이 감겨져 있는 4측면 중앙부는 코일 없이 뚫려 있다. 이 뚫린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요크(25)가 배치되어, 상기 요크(25)가 이 공간부 내측에 일부 삽입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저면에는 플레이트 부재(40)가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고정부재(33)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2)(23)의 자기력과 상기 제 1 코일(31a~31d)의 상호작용에 따라 도 2의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또는 대각선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60)에 의해 매달려, 상기 제 1 하우징(21)의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스프링 통공(37)이 마련될 수 있다.
보빈(32)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이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1장 이상의 렌즈(34)가 설치된다. 상기 보빈(32)의 외주면에는 제 2 코일(32a)이 권선되는데, 상기 제 2 코일(32a)은 상기 요크(25)를 통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제 1 코일들(31a~31d)이 없는 뚫린 공간을 통해 투자된 자기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32)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요크(25) 크기가 커질수록 AF 구동은 좋아지나, 이 역시 최적 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빈(32)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11)에 전달되는 이미지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레이트 부재(40)는 통전 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아웃터 블레이드(31)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와이어 스프링(60)이 연결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즉, 상기 플레이트 부재(40)의 연결부(w')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에 전달하여, 전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 코일(32a)의 경우, 상기 플레이트 부재(4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하측 스프링(36)에 연결된 후, 상기 하측 스프링(36)을 상기 플레이트 부재(40)와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선유닛(50)은 상기 제 2 하우징(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된 상기 배선유닛(50)의 단자부(52)를 통해 전달된 전원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40)와 같이 연결된 와이어 스프링(60)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 부재(40)으로 전달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상기 배선유닛(5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일측 벽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와 마주보는 면에는 윈도우(55)가 형성되어, 이들과 간섭이 회피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는 일반적으로 후술할 쉴드 캔(70)에 에폭시와 같은 고정 수단으로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이를 회피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유닛(5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전자회로 패턴층(100)을 형성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크게 3가지 기술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제 1 방식은 이중 성형을 통한 도금 방법으로, 배선유닛(50)을 구성하는 몸체 부분과 전자회로 패턴층(100)이 마련되는 외부 노출 측벽면을 구성하는 부분을 서로 다른 재질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20)의 몸체부는 절연성 재질로 사출하고, 전자회로 패턴층(100)을 형성할 측벽 부분은 통전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하거나, 전자회로 패턴층(100)을 형성할 부분에 금속 도금 작업이 용이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하여, 상기 배선유닛(50)을 사출 성형한 후, 전기 도금 작업과 같은 후속 공정으로, 전자회로 패턴층(100)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제 2 방식은 배선유닛(50)을 사출할 때에 빛과 열에 반응하는 불순물을 포함시킨 상태로 사출 성형하고, 사출 성형된 배선유닛(50)에 레이저 노광과 같은 표면 작업을 통해, 전자회로 패턴층(100)이 형성될 노출 측벽면에 레이저 노광을 수행하여, 이 부분에 전자회로 패턴층(1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방식은 전면 메탈라이징 하는 방법으로, 배선유닛(50)의 표면 전체를 메탈라이징 하여 노출면에 전자회로 패턴층(100)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방식으로 형성된 전자회로 패턴층(100)의 표면에는 통전성 재질로 코팅 및 도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금속층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유닛(50) 대신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표면 위에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100)을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100)이 배선유닛(50)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표면에 바로 전자회로 패턴층(100)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배선유닛(50)에 회로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회로 패턴층(100)으로 배선을 형성하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단자부(52) 또한,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금속 재질의 단자모듈이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외부 충격에 의한 단선 등의 문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FPCB 등으로 배선유닛(50)을 별도로 배치할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카메라 모듈 소형화에 유리하다.
와이어 스프링(60)은 양 끝단이 플레이트 부재(40) 및 배선유닛 (5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유닛(50)에 연결되고, 배선유닛(50)과 연결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은 상기 단자부(52)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플레이트 부재(40)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이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의 상호작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타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에 형성된 스프링 통공(37)을 통과하여,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바닥면에 설치된 플레이트 부재(4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타단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선유닛(50)과 같이 상기 플레이트 부재(40)에 형성된 패드(미도시)에서 연결되는데, 상기 패드(미도시)의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관통되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매달려, 상기 제 1 하우징(21)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코일(31a)과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가 진자 운동을 수행하여, 손 떨림에 의해 아웃터 블레이드(31)가 진동하는 것을 상기 제 1 코일(31a)과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와이어 스프링(60)의 두께는 얇을수록 작은 전류에도 손떨림 보정 운동성이 좋아지나, 이는 최적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두께는 수㎛ 에서 수백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은, 적어도 6개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최소한 오토 포커싱 제어를 위한 2개의 극성과 손떨림 보정운동손떨림 보정을 위한 4개의 극성 전원을 상기 제 2 및 배선유닛(40)(50)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30)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상기 홀더 모듈(3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총 8개가 마련되어 균형을 맞추는 것이 좋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 캔(70)과 같은 별도의 제 3 하우징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선유닛(50)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가 상기 쉴드 캔(70)에 에폭시 등으로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이 결합 부분을 회피하기 위해, 윈도우(55)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측벽면을 덮는다.
상기 쉴드 캔(70)은 상기 배선유닛(50)과 와이어 스프링(60)의 연결부(w) 주위에 홀더 모듈(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닛(21)(22)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쉴드 캔(70)을 상기 제 1 하우징(21) 에 고정하기 위해 4면 또는 적어도 1면 이상에 후크유닛(80)을 구비할 수 있다. 위치는 중앙 또는 가장자리 설계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개수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크유닛(80)은 상기 제 1 하우징(21)에 돌출 형성된 후크(81)와, 상기 후크(81)와 마주보는 상기 쉴드 캔(70)에 관통 형성된 후크 홀(82)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20; 하우징 유닛
21; 제 1 하우징 22; 제 2 하우징
23; 제 1 영구자석 24; 제 2 영구자석
25; 요크 30; 홀더 모듈
31; 아웃터 블레이드 31a; 제 1 코일
32; 보빈 32a; 제 2 코일
40; 배선유닛 50; 배선유닛
52; 단자 60; 와이어 스프링
70; 쉴드 캔 80; 후크유닛
100; 전자회로 패턴층

Claims (14)

  1.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상측에 배치되며, 전자회로 패턴층을 포함하는 배선유닛;
    상기 홀더 모듈 바닥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부재; 및
    일단은 상기 배선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모듈은,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는 아웃터 블레이드;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중앙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렌즈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제 2 코일이 고정되는 보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의 표면에 형성되는 전자회로 패턴층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노출 면과 내측 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은,
    통전성 재질로 코팅 및 도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금속층;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 모듈 내부로 자기력을 전달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측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일측 벽면은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에 의해 커버 되는 카메라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홀더 모듈을 향하는 중앙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전자회로 패턴층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유닛과 와이어 스프링의 연결부와 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쉴드 캔;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모듈은,
    상기 보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의 중앙은 상기 제 2 코일 측으로 자기력이 투자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부분에 단자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및 플레이트 부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적어도 6개 이상 마련되어, 오토 포커싱 제어를 위한 2개의 극성과 OIS 구동을 위한 4개의 극성 전원을 상기 제 2 및 배선유닛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에 공급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동일한 길이로, 상기 홀더 모듈의 모서리 부분에 2개씩 배치되어, 총 8개가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20145920A 2012-12-14 2012-12-14 카메라 모듈 KR10212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20A KR102123582B1 (ko) 2012-12-14 2012-12-14 카메라 모듈
PCT/KR2013/002659 WO2014092250A1 (en) 2012-12-14 2013-03-29 Camera module
US14/442,950 US9485396B2 (en) 2012-12-14 2013-03-29 Camera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TW102113527A TWI606727B (zh) 2012-12-14 2013-04-16 攝影模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20A KR102123582B1 (ko) 2012-12-14 2012-12-14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382A Division KR102232030B1 (ko) 2020-06-10 2020-06-1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301A true KR20140077301A (ko) 2014-06-24
KR102123582B1 KR102123582B1 (ko) 2020-06-16

Family

ID=5093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920A KR102123582B1 (ko) 2012-12-14 2012-12-1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5396B2 (ko)
KR (1) KR102123582B1 (ko)
TW (1) TWI606727B (ko)
WO (1) WO20140922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57A1 (ko) * 2016-01-06 2017-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0101594B2 (en) 2015-12-22 2018-10-16 Actro Co., Lt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structur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5067B2 (ja) * 2014-02-01 2018-09-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791713B2 (en) 2014-07-24 2017-10-1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10447931B2 (en) * 2016-04-01 2019-10-15 Tdk Taiwan Corp. Camera module having electromagnetic driving assembly
CN107277306B (zh) * 2016-04-08 2020-03-17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摄像模块
JP6693325B2 (ja) * 2016-07-29 2020-05-13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10502548B2 (en) * 2017-05-09 2019-12-10 Google Llc Sensor combination
KR102402616B1 (ko) * 2017-05-26 2022-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503420B1 (ko) * 2018-01-02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성을 가지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620B1 (ko) 2008-10-15 2010-04-15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
KR101185730B1 (ko) * 2011-09-23 2012-09-25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모듈의 수직 와이어 완충구조
KR101200711B1 (ko) 2011-02-24 2012-11-14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KR101204587B1 (ko) * 2010-10-29 2012-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1324B (en) 2003-04-16 2004-09-21 Hung-Ren Wang Image sensor package and image pickup module using the image sensor
JPWO2006075545A1 (ja) * 2005-01-11 2008-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
US8089694B2 (en) * 2007-08-24 2012-0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ptical device stabilizer
US8041201B2 (en) * 2008-04-03 2011-10-18 Nokia Corporation Camera module having movable lens
CN102016708B (zh) * 2008-04-30 2013-07-3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JP2011521285A (ja) * 2008-05-14 2011-07-21 ハイソニ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振れ補正機能を備えた映像撮影装置
US7962023B2 (en) * 2008-07-03 2011-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tabilizer
JP4639260B2 (ja) * 2008-08-28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295875B2 (ja) * 2008-11-06 2013-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のレンズ位置決め方法
JP5203168B2 (ja) * 2008-12-17 2013-06-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及び光学機器
KR101582088B1 (ko) * 2009-04-20 2016-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JP5361551B2 (ja) * 2009-06-10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光学機器、撮像装置、並びに像振れ補正装置の制御方法
JP5846346B2 (ja) *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5607119B2 (ja) 2009-11-17 2014-10-15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US7881598B1 (en) * 2009-12-03 2011-02-01 Tdk Taiwan Corporation Anti-shake auto-focus modular structure
TWI425597B (zh) 2009-12-31 2014-02-01 Kingpak Tech Inc 具有黑色膠體之影像感測器封裝結構
US8254769B2 (en) * 2010-03-04 2012-08-28 Tdk Taiwan Corp. Anti-shake structure for auto-focus modular
KR20110127913A (ko) * 2010-05-20 2011-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148581B1 (ko) * 2010-11-03 2012-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JP2012237855A (ja) * 2011-05-11 2012-12-06 Sony Corp レンズモジュール、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レンズモジュールの駆動方法
JP5849483B2 (ja) * 2011-07-15 2016-01-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151963B2 (en) * 2011-08-24 2015-10-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620B1 (ko) 2008-10-15 2010-04-15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
KR101204587B1 (ko) * 2010-10-29 2012-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KR101200711B1 (ko) 2011-02-24 2012-11-14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KR101185730B1 (ko) * 2011-09-23 2012-09-25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모듈의 수직 와이어 완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1594B2 (en) 2015-12-22 2018-10-16 Actro Co., Lt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structur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WO2017119757A1 (ko) * 2016-01-06 2017-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0921545B2 (en) 2016-01-06 2021-02-16 Lg Innotek Co., Ltd.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1740429B2 (en) 2016-01-06 2023-08-29 Lg Innotek Co., Ltd.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6727B (zh) 2017-11-21
WO2014092250A1 (en) 2014-06-19
TW201424365A (zh) 2014-06-16
KR102123582B1 (ko) 2020-06-16
US20150296106A1 (en) 2015-10-15
US9485396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7301A (ko) 카메라 모듈
US10705311B2 (en) Integrated structure of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er mechanisms
CN105511049B (zh) 透镜驱动装置
JP6449201B2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5607383B (zh) 透镜移动装置
CN113341634B (zh) 相机装置和光学设备
CN109073851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其的摄像机模块和光学装置
KR20150007672A (ko) 카메라 모듈
KR101944920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101473A (ko) 카메라 모듈
KR20140076405A (ko) 카메라 모듈
KR20130047268A (ko) 카메라 모듈
KR101923532B1 (ko) 카메라 모듈
JP2015143722A (ja)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KR101959540B1 (ko) 카메라 모듈
KR101920318B1 (ko) 카메라 모듈
KR101835146B1 (ko) 카메라 모듈
KR102380242B1 (ko) 카메라 모듈
KR102232030B1 (ko) 카메라 모듈
KR101930042B1 (ko) 카메라 모듈
KR20190030204A (ko) 카메라 모듈
KR20160089116A (ko) 카메라 모듈
JP2022104818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80135826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