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40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40B1
KR101959540B1 KR1020110111005A KR20110111005A KR101959540B1 KR 101959540 B1 KR101959540 B1 KR 101959540B1 KR 1020110111005 A KR1020110111005 A KR 1020110111005A KR 20110111005 A KR20110111005 A KR 20110111005A KR 101959540 B1 KR101959540 B1 KR 101959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wire
hold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543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40B1/ko
Priority to US13/549,968 priority patent/US8817116B2/en
Priority to TW101125627A priority patent/TWI565316B/zh
Priority to JP2012179206A priority patent/JP6321317B2/ja
Priority to EP12180797.8A priority patent/EP2587307B1/en
Priority to EP19219417.3A priority patent/EP3660586A1/en
Priority to CN202110184121.6A priority patent/CN112954167B/zh
Priority to CN202110184155.5A priority patent/CN112954170A/zh
Priority to CN201710570614.7A priority patent/CN107395925B/zh
Priority to CN201210377843.4A priority patent/CN103091938B/zh
Priority to CN202310079562.9A priority patent/CN116132778A/zh
Priority to CN202110184123.5A priority patent/CN112954168B/zh
Priority to CN202110184154.0A priority patent/CN112954169A/zh
Priority to CN202310416406.7A priority patent/CN116320701A/zh
Priority to PCT/KR2012/008760 priority patent/WO2013062309A1/en
Priority to TW101139533A priority patent/TWI554097B/zh
Publication of KR2013004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543A/ko
Priority to US14/335,593 priority patent/US9081205B2/en
Priority to US14/737,158 priority patent/US9563067B2/en
Priority to US15/391,567 priority patent/US10067356B2/en
Priority to JP2018072847A priority patent/JP6692849B2/ja
Priority to US16/058,823 priority patent/US106060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40B1/ko
Priority to US16/802,872 priority patent/US11175515B2/en
Priority to JP2020072744A priority patent/JP6982653B2/ja
Priority to US17/503,804 priority patent/US11675210B2/en
Priority to JP2021188832A priority patent/JP7342093B2/ja
Priority to US18/141,255 priority patent/US20230266604A1/en
Priority to JP2023140162A priority patent/JP202316088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홀더 모듈 상측에 배치되어 천장면을 형성하는 제 3 인쇄회로기판; 일단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홀더 모듈을 진자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일부 구간에 일체로 형성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에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 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손 떨림 방지 수단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되고 있다.
그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41823호(2007.07.16 등록)에서는, 손 떨림 현상의 보정을 위하여 자이로(Gyro) 센서 IC 또는 각속도 센서를 휴대폰과 같은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장치의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각속도 검출 센서를 마련할 경우, 손 떨림 방지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감지센서를 마련해야 하므로, 제조원가의 증가를 야기하며, 카메라 모듈과 별도로 손 떨림 방지 장치를 구성 및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1823호(2007.07.16.)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홀더 모듈 상측에 배치되어 천장면을 형성하는 제 3 인쇄회로기판; 일단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홀더 모듈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일부 구간에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 근처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 근처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 근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 모듈 내부로 자기력을 전달하며, 상기 홀더 모듈을 향하는 중앙 부근이 돌출 형성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내측면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 모듈 내부로 자기력을 전달하며, 상기 홀더 모듈을 향하는 중앙 부근이 돌출 형성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과 와이어 스프링의 연결부와 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쉴드 캔;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홀더 모듈은,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는 아웃터 블레이드(outer blade);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상측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외주면에 제 2 코일이 권선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의 중앙은 상기 제 2 코일 측으로 자기력이 투자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의 바닥면과 접착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하측 스프링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측 스프링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적어도 6개 이상 마련되어, 오토 포커싱 제어를 위한 2개의 극성과 손떨림 보정운동을 위한 4개의 극성 전원을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홀더 모듈의 모서리 부분에 2개씩 배치되어, 총 8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직접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와이어 스프링에 완충부를 가지므로,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스프링이 렌즈 모듈의 조립 공정 중에 과도한 힘을 받더라도, 완충부재에서 과도하게 가해진 힘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은 물론, 조립불량에 따른 부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쉴드 캔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 단면도 이다.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제 1 인쇄회로기판(10), 하우징 유닛(20), 홀더 모듈(30), 제 2 인쇄회로기판(40), 제 3 인쇄회로기판(50), 와이어 스프링(60) 및 완충부(100)를 포함한다.
제 1 인쇄회로기판(10)은 대략 중앙 부근에 이미지 센서(11)가 실장 되며, PCB 기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의 작동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되거나, 전원공급 및 상기 이미지 센서(11)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단자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20)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의 골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유닛(20)은, 제 1 하우징(21), 제 2 하우징(22),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및 요크(25)를 포함한다.
제 1 하우징(21)은 베이스로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 1 하우징(21)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11)로 입사되는 이미지 상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부재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제 2 하우징(22)은 상기 제 1 하우징(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21)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22)의 대략 중앙 부근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 측으로 화상이 전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22)의 상측면에는 뒤에 다시 설명할 제 3 인쇄회로기판(50)이 양면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접착 고정되는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품 설계에 따라,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케이스나 쉴드 캔과 같은 별도의 제 3 하우징을 마련하여, 그 내측면에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상기한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제 3 하우징이 마련될 경우, 별도 고정부재 없이, 상기 제 3 하우징으로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눌러서 지지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사이에 개재되어, 자기력을 상기 홀더 모듈(30)로 투자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및 요크(25)는 설계 허용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면 제1 및 제2하우징 내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크기가 커지면 작은 전류에도 OIS구동이 커지며, 만일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이 크기가 일정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에 흐르는 전류를 키울수록 OIS구동이 커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크기가 클수록 OIS구동은 좋아지나 기타 설계허용치 내에서 그 최적크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크(25)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요크(25)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자기력을 상기 홀더 모듈(3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중앙 부근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중앙이 일정 크기로 돌출되어 영구자석과 요크는 대략 "T"자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 모듈(30)은 상기 하우징 유닛(20)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아웃터 블레이드(31)와 보빈(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 모듈(30)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매달린 상태로 전후/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상측 및 하측에는 스프링 부재(35, 36)가 마련되어, 이 스프링 부재(3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보빈(32)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아웃터 블레이드(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측면의 외주면에 총 4개의 제 1 코일(31a ~ 31d)이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들(31a ~ 31d)이 감겨져 있는 4측면 중앙부는 코일 없이 뚫려 있다. 이 뚫린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요크(25)가 배치되어, 상기 요크(25)가 이 공간부 내측에 일부 삽입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저면에는 제 2 인쇄회로기판(40)이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고정부재(33)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2)(23)의 자기력과 상기 제 1 코일(31a)의 상호작용에 따라 도 2의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또는 대각선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60)에 의해 매달려, 상기 제 1 하우징(21)의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관통하여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스프링 통공(37)이 마련될 수 있다.
보빈(32)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이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1장 이상의 렌즈(34)가 설치된다. 상기 보빈(32)의 외주면에는 제 2 코일(32a)이 권선되는데, 상기 제 2 코일(32a)은 상기 요크(25)를 통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제 1 코일들(31a ~ 31d)이 없는 뚫린 공간을 통해 투자된 자기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32)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요크(25) 크기가 커질수록 AF 구동은 좋아지나, 이 역시 최적 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빈(32)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11)에 전달되는 이미지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아웃터 블레이드(31)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와이어 스프링(60)이 연결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즉,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의 연결부(w')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에 전달하여, 전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 코일(32a)의 경우,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하측 스프링(36)에 연결된 후, 상기 하측 스프링(36)을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제 2 하우징(22)의 상측에 상기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 접착부재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되는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된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단자부(52)를 통해 전달된 전원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같이 연결된 와이어 스프링(60)을 통해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으로 전달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일측 벽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와 마주보는 면에는 윈도우(55)가 형성되어, 이들과 간섭이 회피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는 일반적으로 후술할 쉴드 캔(70)에 에폭시와 같은 고정 수단으로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이를 회피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FPCB),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R-FPCB(Rigid FPCB 일체형)가 가능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판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와이어 스프링(60)은 양 끝단이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40)(5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일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에 형성된 패드(51)에서 연결되는데, 상기 패드(51)의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관통되는 통공(53)이 형성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한편, 상기 패드(51)의 주변은 솔더 레지스터(SR, solder register)가 마련되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 표면을 보호하며, 패드(51) 영역은 솔더 레지스터 오픈 시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드(51)에서 연결된 와이어 스프링(60)은 상기 단자부(52)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이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의 상호작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타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에 형성된 스프링 통공(37)을 통과하여,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타단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과 같이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에 형성된 패드(미도시)에서 연결되는데, 상기 패드(미도시)의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관통되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매달려, 상기 제 1 하우징(21)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코일(31a)과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가 진자 운동을 수행하여, 손 떨림에 의해 아웃터 블레이드(31)가 진동하는 것을 상기 제 1 코일(31a)과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와이어 스프링(60)의 두께는 얇을수록 작은 전류에도 손떨림 보정 운동성이 좋아지나, 이는 최적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두께는 수㎛ 에서 수백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은, 적어도 6개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최소한 오토 포커싱 제어를 위한 2개의 극성과 손떨림 보정운동손떨림 보정을 위한 4개의 극성 전원을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40)(50)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30)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상기 홀더 모듈(3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총 8개가 마련되어 균형을 맞추는 것이 좋다.
한편,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 캔(70)과 같은 별도의 제 3 하우징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가 상기 쉴드 캔(70)에 에폭시 등으로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이 결합 부분을 회피하기 위해, 윈도우(55)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측벽면을 덮는다.
만일, 쉴드 캔(70)이 삭제된 구성일 경우,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PCB 등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를 부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PCB로 구성하되,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55)를 마련하여, 이 윈도우(55)에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를 삽입 구성할 수 있으며, 추가로 외부에 쉴딩 테이프 등으로 보강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부(100)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일부 구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1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와,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의 연결부(w') 근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부(100)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상기 제 2 하우징(22)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2번 이상 절곡하여, 절곡 된 지점에서 와이어 스프링(60)에 부가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는 와이어 스프링(60)에 부가되는 하중에 따라, 절곡 된 와이어 스프링(60)의 모멘트 중심이 되면서, 절곡 된 와이어 스프링(60)이 일직선이 되는 방향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제 1 및 제 2 절곡부(110)(120)를 중심으로 변형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부가되는 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에 마련된 패드(51)에 부가되는 하중을 경감하여, 와이어 스프링(60)을 고정하고 있는 연결부(w)에 직접적으로 부가되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 근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는 상기 홀더 모듈(30)을 매달고 있는 와이어 스프링(60)의 집중 하중이 걸리는 위치이기 때문에,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 바닥면에 설치된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연결되는 연결부(w')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힘이 걸린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와 가까운 위치에만 상기 완충부(1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의 연결부(w') 근처 부근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중적으로 하중이 걸리는 위치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이기는 하지만, 하중의 연장선 상에 있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의 연결부(w') 근처 부근에 설치하더라도, 이 부분에서 하중 흡수가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이 일어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에 부가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조립순서는 보빈(32)과 아웃터 블레이드(31)를 결합한 후, 지그를 이용하여, 제 2 하우징(22),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40)(50)과 와이어 스프링(60)을 연결하고, 렌즈 배럴이 마련된 보빈(32)을 결합한 후 제 1 하우징(21)을 연결하여, 이를 제 1 인쇄회로기판(10)에 마운트 한다. 상기 제 1 하우징(21)을 연결하기 전에 영구자석, 요크결합이 먼저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이 조립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지그 없이 장비에서 바로 가능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렌즈 배럴이 마련된 보빈(32)을 삽입 결합하는 힘이 지나치게 크게 작용하여 상기 연결부(w, w')에 무리를 주더라도, 상기 완충부(100)가 이런 과도한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 부근에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하중이 발생하여 중력방향으로 당겨지거나, 좌우로 흔들릴 경우 발생하는 하중을 완충부(100)의 변형에너지로 흡수한다.
따라서 조립 공정 중에 연결부(w, w') 파손에 의해 다시 연결작업을 수행하거나, 부품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신뢰성이 확보된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과 와이어 스프링(60)의 연결부(w) 주위에 렌즈 모듈(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닛(21)(22)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쉴드 캔(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쉴드 캔(70)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쉴드 캔(7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하우징 유닛(21)(22)의 구성에 따라 생략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쉴드 캔(70)을 상기 제 1 하우징(21) 에 고정하기 위해 4면 또는 적어도 1면 이상에 후크유닛(80)을 구비할 수 있다. 위치는 중앙 또는 가장자리 설계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개수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크유닛(80)은 상기 제 1 하우징(21)에 돌출 형성된 후크(81)와, 상기 후크(81)와 마주보는 상기 쉴드 캔(70)에 관통 형성된 후크 홀(82)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제 1 인쇄회로기판 20; 하우징 유닛
21; 제 1 하우징 22; 제 2 하우징
23; 제 1 영구자석 24; 제 2 영구자석
25; 요크 30; 홀더 모듈
31; 아웃터 블레이드 31a; 제 1 코일
32; 보빈 32a; 제 2 코일
33; 고정부재 34; 렌즈
35, 36;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37; 스프링 통공
40; 제 2 인쇄회로기판 50; 제 3 인쇄회로기판
60; 와이어 스프링 70; 쉴드 캔
80; 후크유닛 100; 완충부
w;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 w';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

Claims (2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배치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제3인쇄회로기판;
    아웃터 블레이드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안에 배치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홀더 모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을 이동시키는 제2코일;
    상기 홀더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홀더 모듈과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부가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모듈은 제1 내지 제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모듈의 상기 제1 내지 제4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서로 이격되는 6개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6개의 와이어 중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6개의 와이어 중 다른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3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부분에 배치된 패드와 상기 패드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패드와 솔더에 의해 결합되는 OIS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복수개이고, 상기 6개의 와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단자 중 서로 다른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OIS구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와 상기 제3코너부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OIS구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와 상기 제3코너부는 서로 대각을 이루는 OIS구동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지그재그 형상 또는 코일스프링 형상 및 구부러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OIS구동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모듈과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부분을 연결하는 OIS구동장치.
  7. 삭제
  8.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배치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제3인쇄회로기판;
    아웃터 블레이드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안에 배치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홀더 모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을 이동시키는 제2코일;
    상기 홀더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홀더 모듈과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부가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모듈은 제1 내지 제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모듈의 상기 제1 내지 제4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서로 이격되는 6개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6개의 와이어 중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6개의 와이어 중 다른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3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부분에 형성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패드와 솔더링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패드의 주변에는 솔더 레지스터가 배치되어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을 형성하는 OIS구동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와 상기 홀더 모듈을 결합시키는 제1솔더부와, 상기 와이어와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부분을 결합시키는 제2솔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솔더부와 상기 제2솔더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스프링 부재 사이의 거리 보다 긴 OIS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홀더 모듈과 대향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2면에 결합되는 OIS구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적어도 2회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솔더부보다 상기 제2솔더부에 가까이 배치되는 OIS구동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의 측면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는 OIS구동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2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OIS구동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단자는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6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OIS구동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홀더 모듈을 수용하는 쉴드 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스프링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OIS구동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와이어는 광축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OIS구동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의 OIS구동장치;
    상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단자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에 의해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폰.
  19.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아웃터 블레이드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안에 배치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홀더 모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을 이동시키는 제2코일;
    상기 홀더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홀더 모듈과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부가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모듈은 제1 내지 제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모듈의 상기 제1 내지 제4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너부와 상기 제3코너부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중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중 다른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3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와이어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단자 중 서로 다른 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패드와 상기 패드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패드와 솔더에 의해 결합되는 OIS구동장치.
  20.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아웃터 블레이드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안에 배치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홀더 모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을 이동시키는 제2코일;
    상기 홀더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홀더 모듈과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부가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모듈은 제1 내지 제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모듈의 상기 제1 내지 제4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중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중 다른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3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와이어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단자 중 서로 다른 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는 지그재그 형상 또는 코일스프링 형상 및 구부러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패드와 솔더링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복수개의 단자는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6개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스프링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와이어는 광축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너부와 상기 제3코너부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OIS구동장치.
KR1020110111005A 2011-10-28 2011-10-28 카메라 모듈 KR10195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05A KR101959540B1 (ko) 2011-10-28 2011-10-28 카메라 모듈
US13/549,968 US8817116B2 (en) 2011-10-28 2012-07-16 Camera module
TW101125627A TWI565316B (zh) 2011-10-28 2012-07-17 攝影模組
JP2012179206A JP6321317B2 (ja) 2011-10-28 2012-08-13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ois(手振れ補正)駆動ユニット
EP19219417.3A EP3660586A1 (en) 2011-10-28 2012-08-17 Camera module
EP12180797.8A EP2587307B1 (en) 2011-10-28 2012-08-17 Camera modul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er
CN202110184155.5A CN112954170A (zh) 2011-10-28 2012-10-08 照相机模块
CN201710570614.7A CN107395925B (zh) 2011-10-28 2012-10-08 照相机模块
CN201210377843.4A CN103091938B (zh) 2011-10-28 2012-10-08 照相机模块
CN202310079562.9A CN116132778A (zh) 2011-10-28 2012-10-08 照相机模块
CN202110184123.5A CN112954168B (zh) 2011-10-28 2012-10-08 照相机模块
CN202110184154.0A CN112954169A (zh) 2011-10-28 2012-10-08 照相机模块
CN202110184121.6A CN112954167B (zh) 2011-10-28 2012-10-08 照相机模块
CN202310416406.7A CN116320701A (zh) 2011-10-28 2012-10-08 照相机模块
PCT/KR2012/008760 WO2013062309A1 (en) 2011-10-28 2012-10-24 Camera module
TW101139533A TWI554097B (zh) 2011-10-28 2012-10-25 攝像模組
US14/335,593 US9081205B2 (en) 2011-10-28 2014-07-18 Camera module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unit
US14/737,158 US9563067B2 (en) 2011-10-28 2015-06-11 Camera module having a buffer unit
US15/391,567 US10067356B2 (en) 2011-10-28 2016-12-27 Camera module including a wire for OIS function
JP2018072847A JP6692849B2 (ja) 2011-10-28 2018-04-05 カメラモジュール
US16/058,823 US10606097B2 (en) 2011-10-28 2018-08-08 Camera module having a buffer unit
US16/802,872 US11175515B2 (en) 2011-10-28 2020-02-27 Camera module having a buffer unit
JP2020072744A JP6982653B2 (ja) 2011-10-28 2020-04-15 カメラモジュール
US17/503,804 US11675210B2 (en) 2011-10-28 2021-10-18 Camera module having a buffer unit
JP2021188832A JP7342093B2 (ja) 2011-10-28 2021-11-19 カメラモジュール
US18/141,255 US20230266604A1 (en) 2011-10-28 2023-04-28 Camera module having a buffer unit
JP2023140162A JP2023160882A (ja) 2011-10-28 2023-08-30 カメラ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05A KR101959540B1 (ko) 2011-10-28 2011-10-28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333A Division KR102103562B1 (ko) 2019-03-12 2019-03-1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543A KR20130046543A (ko) 2013-05-08
KR101959540B1 true KR101959540B1 (ko) 2019-03-18

Family

ID=4865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005A KR101959540B1 (ko) 2011-10-28 2011-10-2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105B1 (ko) * 2014-03-05 2021-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EP2916153B1 (en) 2014-03-05 2021-04-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388119B1 (ko) * 2015-08-18 2022-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CN113691698B (zh) * 2021-08-02 2023-07-28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摄像模组和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9458A (ja) * 2006-11-30 2008-06-19 Fujifilm Corp 手振れ補正光学装置の落下衝撃防止装置及び方法
WO2009139543A1 (ko) * 2008-05-14 2009-11-19 (주)하이소닉 떨림 보정기능이 구비된 영상 촬영 장치
KR100952620B1 (ko) * 2008-10-15 2010-04-15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
JP2010538307A (ja) * 2007-08-24 2010-12-09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光学デバイス用安定装置
KR101005776B1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351A (ja) * 1996-07-26 1998-02-13 Nikon Corp レンズ支持機構及びブレ補正カメラ
KR100741823B1 (ko) 2006-01-11 2007-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패키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9458A (ja) * 2006-11-30 2008-06-19 Fujifilm Corp 手振れ補正光学装置の落下衝撃防止装置及び方法
JP2010538307A (ja) * 2007-08-24 2010-12-09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光学デバイス用安定装置
WO2009139543A1 (ko) * 2008-05-14 2009-11-19 (주)하이소닉 떨림 보정기능이 구비된 영상 촬영 장치
KR100952620B1 (ko) * 2008-10-15 2010-04-15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
KR101005776B1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543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9058A1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unit of a camera module
KR101922087B1 (ko) 카메라 모듈
KR101944920B1 (ko) 카메라 모듈
KR101923532B1 (ko) 카메라 모듈
KR101959540B1 (ko) 카메라 모듈
KR102592911B1 (ko) 카메라 모듈
KR101835146B1 (ko) 카메라 모듈
KR101920318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38453A (ko) 카메라 모듈
KR102373580B1 (ko) 카메라 모듈
KR101930042B1 (ko) 카메라 모듈
KR102001072B1 (ko) 카메라 모듈
KR102368103B1 (ko) 카메라 모듈
KR102218019B1 (ko) 카메라 모듈
KR20190030204A (ko) 카메라 모듈
KR102610277B1 (ko) 카메라 모듈
KR102052561B1 (ko) 카메라 모듈
KR102227146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135826A (ko) 카메라 모듈
KR20190086416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