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316B1 - 자동 본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316B1
KR100928316B1 KR1020070068187A KR20070068187A KR100928316B1 KR 100928316 B1 KR100928316 B1 KR 100928316B1 KR 1020070068187 A KR1020070068187 A KR 1020070068187A KR 20070068187 A KR20070068187 A KR 20070068187A KR 100928316 B1 KR100928316 B1 KR 10092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guide
automatic bond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182A (ko
Inventor
한성종
최종웅
이동배
김홍겸
한성호
박종일
정상호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3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temperat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화된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화물창 내부의 족장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필름카트리지 및 시트공급부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한 시트의 세팅 및 인스톨 작업이 가능한 자동 본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는 기준바퀴(101)를 갖는 프레임부(100); 이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취부되는 노즐부(200); 프레임부에 구비된 회동 개폐 구조의 가이드판부재(310)를 갖는 가이드부(300); 가이드부의 양측에 구비된 슬라이딩 거치대(130); 슬라이딩 거치대에 취부되는 필름카트리지(350); 가이드부의 뒤쪽을 기준으로 프레임부에 설치된 전후방롤러 세트(450, 460)를 갖는 가압롤러부(400); 프레임부 양측의 거치블록에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는 시트공급부(500);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된 스케이트부(600); 스케이트부의 뒤쪽을 기준으로 프레임부에 설치된 밀착부(700); 밀착부에 의해 마찰기반 쪽으로 밀착된 구동휠(825)을 각각의 구동모터(820)로 회전시키는 독립 모터 구동 구조의 구동부(800)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68187
프레임부, 노즐부, 가이드부, 가압롤러부, 시트공급부, 스케이트부, 밀착부, 구동부

Description

자동 본딩 장치{AUTO GLU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화물창에는 화물창 내부의 방열 작용을 위해서 내부 벽면에 수천에서 수만개 정도의 패널 형식의 단열재(예 : insulation panel)가 설치된다.
이들 설치 작업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거나, 일부에 있어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2차 방벽을 위해 접착제를 도포하여 단열재에 시트(예 : 트리플렉스)를 부착시키는 자동화장비로는 본 출원인의 2006년 등록 특허 제631131호로서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는 몸체의 중앙 상측으로 탱크 내부의 부착면에 부착할 트리플렉스가 권취된 권취드럼과, 상기 트리플렉스를 권취드럼으로부터 부착면으로 안내하기 위해 권취드럼 전방에 수직으로 배치된 가이드 판과, 상기 가이드 판 전방에 배치되어 가이드 판을 따라 이동하는 트 리플렉스의 일면에 접착제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부와, 상기 트리플렉스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트리플렉스의 일면 상에 골고루 퍼뜨려서 부착면과 양호한 접촉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가압롤러부와, 상기 가압롤러부에 의해 부착면에 부착된 상태의 트리플렉스를 가압과 동시에 가열시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히팅부와, 상기 몸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할 때 패널의 대향면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압착되어 상기 몸체가 패널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링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는 제어부를 비롯한 복수개의 장비를 모두 탑재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길이 및 높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높은 몸체를 갖고 있음과 함께, 몸체 외부로 돌출된 각종 지지대, 운휴 중 지면에 놓을 수 있는 다리 등의 돌출된 구조물로 인하여, 화물창 내부에 가설된 족장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트리플렉스가 권취된 권취드럼의 상단 높이가 몸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어서 슬림한 구조체를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는 장치의 중량 및 크기 과대로 인하여 작업자가 핸들링 하기 매우 어렵고, 추가적인 부착장치 내지 부착로봇이 요구되어 장치 초기 준비 작업이 불편함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는 장비 적용율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는 보호필름 롤의 취부, 즉 탈착 또는 장착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서 보호필름의 세팅(setting) 및 인스톨(install)이 매우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보호필름이란 트리플렉스에 해당하는 시트의 양측변 부위를 덮어서, 시트 안쪽에 분사된 접착제가 압착에 의해 빠져나와 오염되는 것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팅(setting)이란 롤 형태의 시트 또는 복수개의 보호필름 롤을 풀어 공급하기 위해, 부착장치 작동 전에 미리 해당 시트 또는 보호필름을 펼쳐 놓고 각각의 시트 또는 보호필름의 끝단을 부착면의 시작점에서 고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인스톨(install)이란 상기와 같은 세팅 이후 자동화장비가 상기 부착표면 상부에 설치될 때, 상기 세팅된 시트 및 보호필름을 각각 자동화장비에 옮겨 싣는 작업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는 스케이트판의 작동 자세를 인식할 수 없어서, 자세 변화에 따른 시트와의 접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고품질의 작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는 가열작동시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이 부재되어, 정밀한 온도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는 별도의 기준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바퀴가 없어서, 화물창 내부의 내벽면을 수평 방향으로 주행할 때, 장치 자중 및 모멘트에 의한 쏠림 현상에 따라, 장치 주행선이 부착면 중심선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 높이의 경량화된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단열재 시공시 화물창 내부에 가설된 족장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향상된 핸들링 및 적용율을 갖고, 필름카트리지 및 시트공급부의 취부방식에 의해 상대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한 시트의 세팅 및 인스톨 작업이 가능한 자동 본딩 장치를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화물창의 마찰기반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준바퀴를 갖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취부되는 노즐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회동 개폐 구조의 가이드판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구비된 슬라이딩 거치대;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에 취부되는 필름카트리지; 상기 가이드부의 뒤쪽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전후(前後) 단차형 전후방롤러를 갖는 가압롤러부; 상기 프레임부 양측의 거치블록에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는 시트공급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된 스케이트부; 상기 스케이트부의 뒤쪽을 기준으로 프레임부에 설치된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 의해 상기 마찰기반 쪽으로 밀착된 구동휠을 각각의 구동모터로 회전시키는 독립 모터 구동 구조의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본딩 장치는 직사각 상자 골격 형상을 갖되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부를 구비함에 따라, 화물창 내부에 가설된 족장과의 간섭 없이 마무리 접착제 경화 작업을 전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는 시트의 주행 및 가열에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구비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과 심플한 크기를 갖고 있어서, 작업자가 핸들링하기 매우 쉽고, 초기 세팅 작업이 간편하고, 장비 적용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노즐부를 프레임부에 취부시킬 수 있어서, 각종 연결 라인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과중량인 노즐부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는 시트공급부에서 시트를 풀어 세팅한 후 시트공급부 전체를 직접 장치 쪽으로 옮겨 인스톨하고, 같은 방식으로 역시 필름카트리지도 세팅 및 인스톨하기 때문에, 장치 초기 준비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는 회동 개폐 구조의 가이드부를 제공하여 필름카트리지의 취부를 신속 및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장치 전체 형상을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바퀴를 구비하여 장치 쏠림 또는 중심선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는 스케이트판의 작동 자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액추에이터의 가압력을 변화시킴에 따라, 작동 자세의 변화에도 미리 정한 접촉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는 별도로 제공되는 운반대차형 장비에 구비된 작동제어기 및 온도조절기와, 스케이트부의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고품질의 접착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본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 A에 해당하는 노즐부와 프레임부간 취부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즐부의 후방 저면쪽 부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압롤러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트공급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밀착부 및 구동부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g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한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과 연계하여 살펴볼 때, 본 발명의 자동 본딩 장치의 1차적 발명 의도는 과중량이면서 비대한 기존의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의 주요 역할을 자동 본딩 역할과 자동 히팅 역할로 분담시켜, 심플하고 경량화되며 복잡한 화물창 현장 상황에 간섭 없이 주행하면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10)는 자동 본딩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 및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고 있고, 자동 히팅의 역할을 분담하는 다른 자동화장비(예 : Auto Heating Machine)와 병행하여 사용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10)는 고출력 대용량의 전처리(pretreatment)를 위한 면상발열히터가 장착된 스케이트부(600)를 구비하고 있음으로, 부가적인 가열 또는 히팅을 위한 다른 자동화장비 없이도 화물창 시공 규격에 맞는 시트 부착 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런 본 실시예(10)는 화물창의 단열재 시공에 따라 형성되는 단열재 작업영역을 따라서, 접착제 분사, 시트 부착, 시트를 가압롤러부로 밀어주어 균일한 접착제의 균일한 압착 형상 또는 스퀴즈 아웃 형상(squeeze-out shape)의 형성 및 유지, 시트 가열에 따른 접착제 경화와 같은 단계별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10)는 상기 단계별 작동은 연결케이블(11)을 통해 운반 대차형 장비(12)에 탑재된 작동제어기 및 부수장치(예 : 전원공급부, 온도조절기 등)에 의해 실현된다.
특히, 운반대차형 장비(12)의 작동제어기는 하기에 설명할 변위측정기(potentiometer) 또는 각종 제1, 제2압력감지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가압롤러부(400)의 제1액추에이터, 스케이트부(600)의 제2액추에이터, 밀착부(700)의 밀착모터 등을 미리 정해진 작동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하거나, 작업자의 제어 펜던트(control pendant)와 같은 작동컨트롤러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운반대차형 장비(12)의 작동제어기는 화물창 현장 시공 상황에 따라 단열재의 변형 또는 조립공차가 발생되고 있고, 이에 따라 시트의 형상이 시트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되는 것을 고려한 개선된 작동 알고리즘을 갖는다.
개선된 작동 알고리즘 중 하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가압롤러부(400) 또는 스케이트부(600)에 구비된 제1, 제2압력감지셀로부터 해당 작동 자세를 인식한 값(이하, '자세 인식값'이라 칭함)을 입력 받은 후, 상기 자세 인식값에 대응하게 해당 액추에이터의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압력 레귤레이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작동제어기는 상기 시트의 형상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밀접한 접촉을 수행하면서 시트 가압 또는 가열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운반대차형 장비(12)를 따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장비들이 제어기를 탑재하여 주행한 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10) 자체의 중량 및 크기를 콤팩트화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10)는 개선되고 심플화된 특징의 구성품을 탑재하고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용이한 핸들링을 확보하고, 초기 장치 준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초기 준비 작업이란 본 실시예(10)와 운반대차형 장비(12)를 연결케이블(11)로 상호 접속시키고, 시트와 보호필름을 세팅 한 다음, 본 실시예(10)를 해당 작업영역의 상부에 배치시킨 후, 밀착부를 작동시켜 작업영역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마찰기반(예 : 단열재 상부의 플라이우드 등)에 설치 및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세팅한 시트와 보호필름을 본 실시예(10)에 인스톨시켜 주행 가능하게 준비시키고, 노즐부(2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탑재시키도록 준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10)는 노즐부(200)와 본체로 구분 가능하다.
본체는 노즐부(200)를 전방 위치에 설치한 프레임부(100)와, 이런 프레임부(100)에서 상기 노즐부(200) 이후에 차례로 설치된 회동 개폐(R) 구조를 갖는 가이드부(300), 가이드부(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필름카트리지(350), 가압롤러부(400), 시트공급부(500), 스케이트부(600), 밀착부(700), 구동부(8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의 상부를 기준으로 가이드부(300)와 시트공급부(500)의 사이에는 접이식 장력롤러 세트(302, 303)가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한 쌍의 거치블록(150)은 시트공급부(500)를 기존의 받침대 없이 바로 프레임부(100)에 거치시키기 위한 프레임부(100)의 구성품이다.
프레임부(100)는 밀착부(700)에서 이동판 형상의 너클 또는 스트레이크(strake)와 같은 바퀴쇠(701)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바퀴쇠(701)의 선형가이드(709) 등을 지지시키기 위한 중간 가로대(109)를 더 구비한다.
중간 가로대(109) 내지 유사 구조재는 스케이트부(600)가 설치 및 지지되는 곳으로서, 일측 축부재(108a)와 타측 축부재(108b)에서 다리와 같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10)의 구성품별 특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프레임부(100)
프레임부(100)는 양측 축부재(108a, 108b)를 포함한 프로파일 형식의 구조재를 이용하여 대차형 골격 형상을 갖도록 제작한 것이다.
프레임부(100)에서 일측 축부재(108a)와 타측 축부재(108b)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바(103)가 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축부재의 외측면에서 돌설되어 있다.
가이드바(103)는 하기의 도 10을 통해 설명될 가이드레일(30)을 가이드 지지기반으로 하여 체결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 양측 축부재(108a, 108b)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0)을 따라 구름 작동할 수 있는 가이드블록조립체(104)가 복수개의 캠포로와(104a)(cam follower)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부(100)는 시트공급부(500)의 높이에 대등하거나 상대적으로 낮 은 프레임 높이(H)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단열재 시공시 화물창 내부에 가설된 족장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슬림하면서 경량화된 대차 형상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부(100)는 자동 본딩 장치가 화물창의 단열재(insulation panel)에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플라이우드 위에 프레임부(100)가 놓여 있음을 체크하는 용도의 장착 여부 판단 접촉스위치(도시 안됨)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일측 축부재(108a)의 전방 저면과 후방 저면 등과 같은 복수개의 설치 위치에 기준바퀴(101)(reference wheel)를 구비하고 있다.
기준바퀴(101)는 사용 방향에 따라 해당 축부재(108a)에 설치 가능하도록, 그의 바퀴브래킷(102)을 취부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해당하는 자동 본딩 장치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밀착부(700) 및 그의 보정스프링(compensative spring)의 사용으로 인하여, 화물창 내부의 내벽면을 수평 방향으로 주행할 때, 장치 자중 및 모멘트에 의한 쏠림 현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기준바퀴(101)가 단열재의 플라이우드 등과 같은 마찰기반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지지하면서 구름 작동함으로써, 자동 본딩 장치의 주행선이 부착면 중심선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어, 효과적으로 장치 쏠림 또는 중심선 이탈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복수개의 보조휠(107)은 프레임부(100)의 일측 축부재(108a)와 도 1의 타측 축부재(108b)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고, 플라이우드 등과 같은 마찰기반의 상면을 따라 구름 작동하여, 프레임부(10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부(100)의 일측 축부재(108a)와 타측 축부재(108b) 각각의 전방 끝단에는 슬라이딩 체결쇠(10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체결쇠(106)에는 노즐부 고정 레버(105)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부(200)와 프레임부(10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단하게 취부, 즉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노즐부(200)의 양측에는 각각 슬라이딩 브래킷(210)이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슬라이딩 브래킷(210)의 상부에는 레버 볼트 체결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200)의 슬라이딩 브래킷(210)은 슬라이딩 체결쇠(106)와 해당 축부재(108a)의 사이에 해당하는 체결 공간을 이용하여 삽입되고, 축부재(108a)의 3면을 감싸듯이 체결된다.
이후, 각각의 노즐부 고정 레버(105)의 나사부위는 각각의 슬라이딩 브래킷(210)의 레버 볼트 체결구멍(211)에 결합되어, 노즐부(200)와 프레임부(100)간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이 고정된다.
이런 슬라이딩 방식의 취부 구조는 과중량의 노즐부(200)를 밀어 넣듯이, 즉 슬라이딩 방식으로, 프레임부(100)에 인스톨 또는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취급의 용이성과 작업의 신속성을 본 발명에게 제공한다.
노즐부(2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200)는 복수개(예 : 한 쌍)의 노즐건(220)과, 이런 노즐건(220) 각각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 장치(230)와, 실린더 장치(230)를 작동시키기 위해 연결된 복수개의 에어 라인(240)과, 각각의 노즐건(220)에게 접착제(예 : 주제 및 경화제)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된 복수개의 공급 라인(250) 등을 구비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소 과중량을 갖고 다루기 어려운 구조적 특성을 갖는다.
예컨대, 각종 에어 라인(240) 및 공급 라인(250)을 별도로 연결 설치할 경우 작업이 매우 복잡하거나, 작업 도중 라인간 꼬임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은 본 실시예에서 노즐부(200)와 프레임부 간 슬라이딩 방식의 취부 구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노즐건(220)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300)의 전방 하부 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도록, 중앙 하부의 건 받침대(260)의 상부에서 적어도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진행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할 때, 장치의 폭 방향은 Y축 방향에 해당한다.
노즐건(220)에 대한 적어도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은 노즐건(220)과 건 받침대(260) 사이에 개재된 위치조정수단(미 도시)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위치조정수단은 리니어볼 형식 또는 크로스롤러 형식의 프리스테이지이거나, 또는 임시 고정 레버를 갖는 선형가이드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런 노즐건(220)의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은 전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 세로 주행할 때, 접착제가 자중 방향으로 흐름성을 갖고 있어서, 이러한 흐름성 문제를 해결 해준다.
앞서 언급한 노즐부(200)의 슬라이딩 브래킷(210)은 건 받침대(260)의 양측에 형성된다.
건 받침대(260) 하부의 일측에는 고정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70)가 설치되어 있고, 건 받침대(260) 하부의 타측에는 가변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8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70)와 가변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80)는 화물창의 마찰기반(예 : 단열재 상부의 플라이우드)을 따라 구름 작동하도록 배열된 한 쌍의 슬라이딩 휠(281, 282)과, 상기 슬라이딩 휠(281, 282)을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휠 받침대(283)와, 휠 받침대(283)의 중앙 상부에 결합된 체결블록(284, 274)를 갖는다.
고정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70)의 경우, 그의 체결블록(274)은 건 받침대(260)의 일측 끝단 하부에 고정되어, 일종의 기준점 역할을 수행한다.
반면, 가변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80)의 경우, 그의 체결블록(284)은 수평토글클램프 또는 턴 버클(turn buckle) 등과 같은 가압레버(285) 및 가압스프링(286)의 밀착력을 전달받아, 결국 건 받침대(260)의 타측 끝단 하부의 슬라이딩 블록(287)에서 슬라이딩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노즐부(200)는 하기에 언급될 장비 설치 공간에 해당하는 부착표면 상부에 거치된다.
이때, 가압레버(285)가 릴리스 상태(예 : 언클램핑)일 경우, 가변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80)의 체결블록(284), 휠 받침대(283), 슬라이딩 휠(281, 282)은 후진된 상태이며, 단순히 슬라이딩 휠(281, 282)의 상부 돌출턱(281a) 만이 상기 부착표면 상부의 마찰기반의 코너(예 : 플라이우드의 코너)에 걸려 있게 된다.
이후, 가압레버(285)가 록킹 상태일 경우(예 : 클램핑), 고정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70)의 지지 하에, 가변형 슬라이딩 휠조립체(280)의 체결블록(284), 휠 받침대(283), 슬라이딩 휠(281, 282)이 허용범위 내에서 유한하게 전진 및 정지하여, 결국 모든 휠조립체(270, 280) 상의 슬라이딩 휠(281, 282)이 상기 마찰기반에 밀착된다.
이런 상태의 노즐부(200)는 상기 마찰기반인 플라이우드를 따라 구름작동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프레임부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부(3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00)는 종전과 달리 보호필름에 관련된 회전식 테이프 서포터 또는 해당 권취부와 같은 거추장스러운 고정식 구조물을 구비하지 않고 있어서, 시트가 풀려 공급되는 방향을 장치 주행방향에 일치시켜 직진성 또는 진직도만을 향상시킴과 함께 세팅 및 인스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심플한 구조를 갖는다.
특히, 가이드부(300)는 본 실시예의 단열재 작업영역 설치시, 필름카트리지(350)를 인스톨시키기 위한 입구 또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가이드판부 재(310)로 하여금 상하 여닫이 도어와 유사하게, 회동 개폐(R) 구조를 구현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부(300)는 가이드판부재(310)를 해당 고정 위치(예 : 프레임부 또는 가이드부의 외부 케이싱)에 임시 고정 또는 릴리싱 시키도록 플런저(311)(도 1 참조)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거치대(130)는 가이드판부재(310)를 열었을 때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가이드판부재(310)의 뒤쪽을 기준으로 가이드부(300)의 양측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거치대(130)는 필름카트리지(350)의 슬라이딩 돌기(351)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게 교합되는 슬라이딩 안착부(131)를 형성하고 있다.
필름카트리지(350)는 슬라이딩 돌기(351)를 상부에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딩 돌기(351)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131)를 따라 교합되도록 구성되어서, 필름카트리지(350)와 슬라이딩 거치대(130) 간 취부를 신속하게 수행케 한다.
필름카트리지(350)의 중앙에는 보호필름 롤(3)을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키기 위한 롤 홀더(3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름카트리지(350)의 하부에는 보호필름 롤(3)로부터 풀리는 보호필름(4)을 가이드하는 필름가이드롤러(3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종전과 달리 보호필름 롤(3)을 장착한 필름카트리지(350) 전체를 프레임부(100)의 슬라이딩 거치대(130)에 취부시키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보호필름의 세팅, 인스톨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정확히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일단, 필름카트리지(350)가 슬라이딩 거치대(130)에 인스톨된 경우, 작업자는 가이드부(300)의 가이드판부재(310)를 닫고 플런저(311)로 임시 고정시킴에 따라, 필름카트리지(350)가 슬라이딩 거치대(130)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구속한다.
필름카트리지(350)를 슬라이딩 거치대(130)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플런저(311)를 풀어 가이드판부재(310)를 열고 상기 구속을 해제하고, 필름카트리지(350)를 앞쪽으로 꺼내면 된다.
한편, 도 1과 도 4를 병행하여 참조하면, 접이식 장력롤러 세트(302, 303)는 프레임부(100)에 형성된 양측 롤러거치대(301, 304) 사이에 결합된다.
이때, 하측 접이식 장력롤러(302)는 롤러거치대(301, 304)의 하부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측 접이식 장력롤러(302)의 롤러샤프트는 양단부를 베어링블록에 결합시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되, 롤러샤프트에게 마찰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부(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장력조절부는 통상의 마찰 방식으로서 하부쪽 접이식 장력롤러(302)의 롤러샤프트에 접촉하여 마찰을 발생시키고, 조임 수단을 구비하여 접촉하는 비율을 조정함에 따라, 마찰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결국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측 접이식 장력롤러(303)는 하측 접이식 장력롤러(302)와 시트의 두께만큼 유격을 유지하면서 수평하게 롤러거치대(301, 304)의 상부에 배치된 후, 시트 인스톨을 위해서 힌지 구조로서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측 접이식 장력롤러(303)의 일측 끝단은 일측 롤러지지단에서 회 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일측 롤러지지단이 일측 롤러거치대(301)의 상부에서 힌지 구조로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측 접이식 장력롤러(303)의 타측 끝단은 걸림턱을 갖는 타측 롤러지지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타측롤러지지단의 걸림턱은 타측 롤러거치대(304)의 상부에서 개폐를 위해 구비된 플런저 구속 방식이나 또는 압축스프링 및 래치 구속 방식의 앤티백유니트(anti-back unit)에 체결된다.
작업자는 앤티백유니트를 개방(예 : 릴리싱)시켜, 상부쪽 접이식 장력롤러(303)를 위로 들어 올린 후, 시트를 하부쪽 접이식 장력롤러(302)에 놓는다.
이후, 작업자는 상부쪽 접이식 장력롤러(303)를 아래로 내리면서, 앤티백유니트를 폐쇄(예 : 록킹)시킨다.
이에 따라, 장력조절부와 함께 접이식 장력롤러 세트(302, 303)는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를 임시 구속 및 가이드함과 함께, 팽팽하게 풀려 공급되도록 장력을 시트에게 인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롤러부(4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부(400)는 단열재의 변형 또는 조립공차에 의한 접촉 대상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접착제를 넓게 퍼트리면서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가압롤러부(400)에 복수개로 장착되어 있고 좌, 우 한 쌍을 이루면서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전후(前後) 단차형 전후방롤러 세트(450, 460)는 본 출 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6-0117451호에 설명된 롤러부의 구성요소로서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링크 구조적 특징 이외에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가압롤러부(400)는 그의 링크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운반대차형 장비의 작동제어기에 접속되어 가압력 변화를 위해 액추에이터작동암이 제어되는 제1액추에이터(410)와, 상기 액추에이터작동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제어기에게 자세 인식값을 입력시키는 제1압력감지셀(420)과, 상기 제1압력감지셀(420)의 하단에서 힌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밸런싱 링크절(430)과, 상기 제1밸런싱 링크절(430)의 양단에 구비된 제1관절형 조인트(440)와, 상기 제1관절형 조인트(440)에 결합된 조인트 브래킷을 롤러장착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한 좌, 우 한 쌍의 전후방롤러(450, 4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상기 제1압력감지셀(420) 또는 하기의 스케이트부의 제2압력감지셀은 복수개로 배열된 로드셀을 이용하여 압력 크기, 방향 등을 계측하는 센서에 해당한다.
상기 제1관절형 조인트(440) 또는 하기의 스케이트부(600)에서 언급할 제2관절형 조인트는 유니버셜 조인트, 공차 또는 유격을 이용한 플로팅 구조의 커플링 기구, 피봇 커플링 기구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1밸런싱 링크절(430)과 상기 제1 관절형 조인트(440)는 전후방롤러(450, 460)로 하여금 장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기준, 볼록(convex) 작동 자세와, 오목(concave) 작동 자세, 단차 작동 자세를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착 제의 압착 형상 또는 스퀴즈 아웃 형상(squeeze-out shape)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시트공급부(5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공급부(500)는 중공샤프트형 심봉에서 롤 형태로 시트를 감은 초기의 시트 롤로부터 시트를 풀어서 검사 한 후, 다시 감아서 본 실시예에 맞게 사용 가능한 형태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풀어서 검사 한 후, 다시 감는 수단은 도 1에 도시된 운반대차형 장비(12)의 상부에 설치된 검사장비(13) 등이 될 수 있다.
시트공급부(500)는 도 4와 도 6을 병행 참조하면, 시트가 감아지는 중공파이프 형상의 보빈중심축부재(501)와, 상기 보빈중심축부재(501)의 양단에서 축심을 상호 일치시키도록 각각 결합된 보빈디스크(502)와, 상기 보빈디스크(502)의 외측면 축심에서 각각 수직하게 세워진 보빈축부재(503)와, 상기 보빈축부재(503)의 허브쪽 부위(504)의 바깥쪽에 체결된 베어링(505)을 포함한다.
보빈축부재(503) 중에서 일측 끝단은 스플라인(506)을 갖는 각주(角柱)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식 레버(도시 안됨) 또는 모터구동식 와인더의 출력부(도시 안됨)와 교합 방식 또는 소켓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기계적 가공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축부재(503)의 베어링(505)은 도 7에 도시된 거치블록(150)의 반원홈(153) 및 베어링안착홈(158)에 체결된다.
도 7에 보이듯이, 거치블록(150)은 직사각 블록 형상으로서 한 쌍을 이루는 클립형 몸체부(151, 152)를 갖는다.
클립형 몸체부(151, 152)에서 상호 대응되는 교합 표면에는 반원홈(153)이 형성되어 있다. 반원홈(153)은 상기 보빈축부재의 허브쪽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안쪽에 베어링안착홈(158)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 클립형 몸체부(152)는 그의 양측 하부 코너에 볼트지지부위(154)를 더 형성하여 프레임부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클립형 몸체부(151, 152)는 교합 가능한 힌지돌기, 힌지요홈, 힌지핀으로 이루어진 힌지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힌지의 반대쪽을 기준으로, 상부 클립형 몸체부(151)에는 측면 개방 홈(155)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클립형 몸체부(152)에는 역시 해당 힌지요홈에서 나사샤프트(156)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나사샤프트(156)의 상단에는 나비너트(157)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나비너트(157)는 나사샤프트(156)를 따라 나사 방향으로 조여질 때 측면 개방 홈(155)의 상부를 가압하여, 클립형 몸체부(151, 152)를 결속시키고, 나사 반대방향으로 풀어질 때, 클립형 몸체부(151, 152)의 결속을 해제한다.
스케이트부(60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이트부(600)는 상기 가압롤러부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다.
스케이트부(600)는 운반대차형 장비의 작동제어기에 접속되어 가압력 변화를 위해 액추에이터작동암이 제어되는 제2액추에이터(610)와, 상기 액추에이터작동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제어기에게 자세 인식값을 입력시키는 제2압력감지셀(620)과, 상기 제2압력감지셀(620)의 하단에서 힌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밸런싱 링크절(630)과, 상기 제2밸런싱 링크절(630)의 양단에 구비된 제2관절형 조인트(640)와, 상기 제2관절형 조인트(640)에 결합된 조인트 브래킷을 상면에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스케이트판(650)과, 상기 스케이트판(650)에 구비된 면상발열히터(6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밸런싱 링크절(630)과 상기 제2 관절형 조인트(640)도 역시 유니버셜 조인트, 공차 또는 유격을 이용한 플로팅 구조의 커플링 기구, 피봇 커플링 기구 등이 사용 가능하고, 스케이트판(650)으로 하여금 장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기준, 볼록(convex) 작동 자세와, 오목(concave) 작동 자세, 단차 작동 자세를 부여하게 된다.
앞서 언급하고 상기 기재된 볼록 작동 자세는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해당 접촉면에 대응하게 밀착되도록, 도 8에서 보이듯이 양측 스케이트판(650) 등이 각각 장치 중심선을 향하도록 틸트된 상태의 자세를 의미한다.
오목 작동 자세는 상기 블록 작동 자세와 반대되게 장치 중심선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틸트된 상태의 자세를 의미한다.
단차 작동 자세란 해당 접촉면의 일측이 아래쪽으로 들어가 있는 반면, 해당 접촉면의 타측이 위쪽으로 올라가 있어, 결국 일측 스케이트판이 아래쪽에 위치되 고, 타측 스케이트판이 위쪽에 배치되어 상호 단차에도 불구하고 밀착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세를 의미한다.
온도센서는 프레임부에서 하향으로 설치되어 스케이트판(650)의 저면에 접촉하는 시트의 가열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온도계이거나, 스케이트판(6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시트의 가열온도를 측정하는 내장형 온도계로서, 운반대차형 장비의 온도조절기에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온도조절기는 입력 받은 가열온도를 이용하여 접착제 경화에 맞는 온도를 정밀하게 유지하여, 접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밀착부(700)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700)는 각각의 구동부(800)를 단열재의 플라이우드와 같은 마찰기반 쪽으로 밀착시키는 밀착 작동, 또는 그 반대의 이격 작동을 수행한다.
밀착부(700)는 프레임부(100)에 탑재된 밀착모터(710), 이형나사축부재(760) 및 볼스크루너트블록(770)과 같은 모터 작동식 볼스크루기구를 이용한다.
밀착모터(710)와 이형나사축부재(760) 사이의 동력 전달 수단은 밀착모터(710)의 회전샤프트, 주동풀리 및 벨트 및 피동풀리이며, 이때 피동풀리는 이형나사축부재(760)의 중앙에 형성된다.
밀착을 위한 동력 전달은 밀착모터(710)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이형나사축부재(760), 볼스크루너트블록(770), 직각형 가압대(780), 바퀴쇠(701)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구동휠(825)이 마찰기반에 해당하는 플라이우드(8)에 밀착된다.
만일 이형나사축부재(760)가 역회전하여 풀리게 되면, 가압대(780)와 바퀴쇠(701) 사이에 위치하는 보정스프링(790)에 의하여 원위치 된다.
여기서, 이형나사축부재(760)는 전달 받은 회전력을 직선왕복에 필요한 이송력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이형나사축부재(760)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상호 대향적으로 형성한 일측 나사 부위 및 타측 나사 부위에 각각 볼스크루너트블록(770)을 결합하고 있다.
또한 밀착부(700)는 볼스크루너트블록(770)의 저부에 각각 결합된 직각형 가압대(780)와; 상기 직각형 가압대(780) 및 상기 바퀴쇠(701) 사이에 배치된 보정스프링(79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서 언급된 밀착력은 하기의 작동 설명에서와 같은 밀착부(700)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볼스크루너트블록(770) 및 직각형 가압대(780)의 이송력과, 상기 이송력에 의해 압착되는 상기 보정스프링(790)의 탄성반발력을 합한 값이 된다.
이형나사축부재(760)는 그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일측 나사 부위와 타측 나사 부위에 각각 체결된 볼스크루너트블록(770) 및 직각형 가압대(780)를 동시에 프레임부(100)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동일 스트로크(S)(stroke)만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각각의 직각형 가압대(780)는 수평판(781)과 수직판(782)으로 이루 어져 있다.
직각형 가압대(780)의 수직판(782)에는 복수개의 가이드축부재(703)의 타측 단부가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런 각각의 가이드축부재(703)에는 보정스프링(790)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축부재(703)의 일측 단부는 바퀴쇠(701)의 해당 가이드구멍(702)에 삽입되어 있고, 보정스프링(79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가이드구멍(70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핀부재(783)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특히 보정스프링(79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직각형 가압대(780)의 수직판(782)의 측면에 접촉되어 있고, 보정스프링(790)의 타측 단부는 변위측정기(791)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바퀴쇠(701)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변위측정기(791)는 도 1에 도시된 운반대차형 장비(12)에 접속되어 있다. 변위측정기(791)는 직각형 가압대(780)의 수직판(782)과 보정스프링(790)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결국, 보정스프링(790)은 밀착부(700)의 작동시, 보정스프링(790)의 탄성반발력과, 볼스크루너트블록(770) 및 직각형 가압대(780)로부터 전달되어 온 이송력의 합력인 밀착력을 바퀴쇠(701)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바퀴쇠(701)에 각각 장착된 구동부(800)의 구동휠(825)이 단열재의 플라이우드(8)에 밀착되어, 정밀한 주행을 기구적으로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밀착부(700)의 밀착모터(710)의 작동 제어를 수행하는 도 1에 도시된 운반대차형 장비(12)의 작동제어기는 시작 세팅 및 주행 작동시 변위측정기(791)를 이용함에 따라, 최적의 힘조절(force control)을 실현한다.
변위측정기(791), 구동모터(820), 구동브레이커(830), 밀착모터(710), 온도센서 등은 상기 운반대차형 장비(12)에 연결되어서, 작동원을 공급받거나, 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밀착부(700)의 힘조절은 상기 운반대차형 장비(12)의 작동제어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작동제어기의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힘조절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힘조절 알고리즘의 주요 내용은 변위측정기(791)를 이용하여 플라이우드(8)의 실재 형상(예 : 돌출되거나 함몰된 부위와 같은 형상)에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구동부(800)를 프레임부(100)의 바깥쪽으로 밀어내거나 원위치 시키도록 제어함에 따라, 밀착부(700)의 이송력을 보정스프링(790)의 탄성반발력으로 보정하여 결국 밀착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정밀한 주행 환경을 본 실시예에게 제공한다.
구동부(800)
도 10에 보이듯이, 구동부(800)는 작동원(예 : 전원)을 운반대차형 장비(12)의 작동제어기로부터 공급받아서, 단열재 상부의 플라이우드(8)를 마찰기반으로 하여 주행 작동을 수행하도록, 프레임부(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1, 도 9, 도 10을 병행 참조하면, 구동부(800)는 복수개(예 : 4개)의 구동휠(825) 각각을 해당 구동모터(820)로 연결한 독립 모터 구동 구조를 갖는다.
독립 모터 구동 구조는 풀리 또는 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구동모터(820)의 출력샤프트에 구동휠(825)을 각각 직결시켜서, 각각의 구동휠(825)의 구동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각각의 구동부(800)는 예시적으로, 프레임부(100)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바퀴쇠(701)를 갖는다.
바퀴쇠(701)의 상부에는 구동모터(820)가 설치되고, 바퀴쇠(701)의 하부에는 구동휠(825)이 설치된다.
프레임부(100)의 하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열된 바퀴쇠(701)에는 전방 및 후방 위치에 각각 구동부(800)가 배치된다.
바퀴쇠(701)는 그의 중앙 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구멍(702)을 각각 형성하고 있고, 가이드축부재(703)의 일측 단부를 가이드구멍(702)에 삽입하여, 가이드축부재(703)의 수평 이동이 가능케 결합시킨다.
바퀴쇠(701)는 각각의 양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구동모터(820)를 각각 장착하고 있고, 구동모터(820)의 출력샤프트를 하향으로 향하게 배치하고 있다.
바퀴쇠(701)에는 주지의 LM(Linear Module)가이드, 즉 도 1에 도시된 선형가이드(709)의 일측부재(예 : 가이드블록)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측부재와 미끄럼 작동 관계에 있는 선형가이드(709)의 타측부재(예 : 가이드레일)는 프레임부(100)의 저부에 설치되어있다.
밀착부(700)의 밀착 작동(가압 작동) 또는 이격 작동(릴리스 작동)시, 바퀴쇠(701)를 비롯한 구동부(800)는 상기와 같은 선형가이드(709)에 의해서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800) 중에서 전방측에 배치된 것은 구동브레이커(830)를 장착하고 있지 않고, 구동부(800) 중에서 후방측에 배치된 것은 구동브레이커(830)를 장착하고 있다.
구동브레이커(830)는 정전, 상용 전원 차단, 작동원 공급 차단, 작동제어기의 회로 고장이나, 작업자에 의한 정상 적인 장치의 정지 상황에서 하기의 가이드블록조립체(104), 가이드바(103), 가이드레일(30)에 도움을 받아 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장치 자체의 미끄러짐이나 낙하를 방지하는 특징을 본 발명에게 제공한다. 전자세는 화물창 내부의 바닥면, 내벽면, 천정면 등에서, 평면 자세(flat), 수평 자세(horizontal), 수직 자세(vertical), 매달린 자세(overhead) 등을 의미한다.
예컨대, 바퀴쇠(701)의 후방측에 배치된 구동모터(820)는 바퀴쇠(701)의 베어링(818)을 통해 상하방향(예 : Z축방향)으로 출력샤프트(819)를 연장시키되, 출력샤프트(819)의 아래쪽 끝단에는 베벨기어(829)를 통해 수직하게 직결된 종동출력샤프트(837)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종동출력샤프트(837)에는 정지 작동 제어 과정의 제어신호에 대응하게 신속하게 구동부(800)를 잠금상태 또는 풀림상태로 유지시키는 구동브레이커(830)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브레이커(830)는 그의 하우징을 브레이커 브래킷(839)에 고정시키고 있다. 이때, 브레이커 브래킷(839)의 상단은 바퀴쇠(701)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브레이커(830)는 그의 하우징 내부에 전자 연동식 구속수단을 구비하되, 전자 연동식 구속수단이 도 1에 도시된 운반대차형 장비(12)에 접속되어 있고, 이후 종동출력샤프트(837)와 비접촉되어 있는 초기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런 도중 구동브레이커(830)는 비상사태 발생시, 또는 정상 운전 도중 정지 작동시에 상기 운반대차형 장비(12)의 작동제어기에 미리 사전에 정해진 정지 작동 제어 과정을 통해 제어신호(축전지, 콘덴서 등의 비상전원 또는 상용전원)를 전자 연동식 구속수단에 공급시킨다.
구동브레이커(830)의 전자 연동식 구속수단은 전자석부재로서, 종동출력샤프트(837)의 조임, 고착 등의 잠금동작 또는 풀림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되, 특히 잠금동작시 종동출력샤프트(837)와, 구동휠(825) 및 구동모터(820)의 출력샤프트를 모두 급정지시킨다.
구동휠(825)은 구동모터(820)의 출력샤프트에 직결되어 있어서, 구동모터(820)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모터(820) 및 이하의 가압모터역할을 담당하는 밀착모터(710)는 DC모터 또는 서보모터로서, 각종 감속기어, 베어링, 모터엔코더 등으로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운반대차형 장비(12)에 접속되어 작동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레일(30)은 단열재의 플라이우드(8)의 상면에 부설된다.
가이드레일(30)은 프레임부(100)의 축부재 외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바(103) 또는 가이드블록조립체(104)를 슬라이딩 또는 구름 작동하게 돕는 가이드 지지기반이다. 참고적으로 단열재는 미리 스터드볼트 등이 취부될 수 있는 앵커베이스 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앵커베이스 및 스터드볼트 내지 유사 부가 설치 수 단을 이용하여 가이드레일(30)이 단열재에 부설 가능하다.
이런 가이드레일(30)은 단열재를 따라 단열재의 연장 길이에 대응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기본적인 레일 타입, 또는 본 실시예가 주행할 수 있을 정도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분리 배치된 인터벌(interval) 레일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조립체(104)의 캠포로와(104a)의 경사 배치 구조 또는 가이드바(103)에 의해 본 실시예로 하여금 전자세로 주행할 수 있게 해준다.
캠포로와(104a)의 경사 배치 구조란 복수개의 지지휠과 같은 상기 캠포로와(104a)가 경사 상향 배치 각도 +45도와 경사 하향 배치 각도 -45도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어서 가이드레일(30)의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에 각각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30)의 단면을 살펴보면, 상기 캠포로와(104a)의 경사 배치 구조에 대응한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을 갖는 상부몸체(31)와, 가이드바(103)용 슬라이딩 홈을 갖는 중간몸체(32)와, 가이드레일(30)을 단열재에 부설하기 위한 앵글 형상 및 볼트 구멍을 갖는 하부몸체(33)를 갖는다.
이하, 작동방법에 대해서 도 11a 내지 도 11g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단열재의 해당 부착표면(6)을 기준으로 별도의 시트 고정용 제1지그(20)를 단열재에 고정시킨 후, 제1지그(20) 위에 시트공급부(500)를 거치시킨다.
이런 다음 시트공급부(500)의 시트 롤(1)로부터 시트(2)를 풀어서, 부착표 면(6)을 따라 시트(2)를 펼친다.
도 11b와 같이, 보호필름 세팅용 제2지그(70)는 펼쳐진 시트(2)의 상부에서 단열재의 플라이우드를 기반으로 제2지그(70)의 핸들조립체의 클램핑 조작에 의해 임시로 설치된다.
이런 제2지그(70)에는 미리 준비한 한 쌍의 필름카트리지(35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작업자는 각각의 필름카트리지(350)의 필름 롤로부터 보호필름(4)을 풀어서, 상기 시트(2)의 끝단에 겹쳐지도록 보호필름(4)의 끝단을 잡아당겨 놓는다.
도 11c와 같이, 부착표면(6)의 타단에는 시트 파지장치(50)가 가설된다.
시트 파지장치(50)는 그의 토글클램프를 조작하여 시트(2) 및 보호필름(4)의 끝단을 부착표면(6)에 파지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2지그(70)를 이동시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본딩 장치가 설치될 장비 설치공간을 마련한다.
도 11d와 같이, 자동 본딩 장치에 해당하는 실시예(10) 중에서 노즐부(200)를 제외한 본체는 제2지그(70)와 시트 파지장치(50) 사이의 장비 설치 공간을 이용하여 부착표면(6) 상부에 설치된다.
노즐부(200)는 제2지그(70)와 시트 파지장치(50)에 간섭되지 않는 부착표면(6)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노즐부(200)는 고정형 슬라이딩 휠조립체와 가변형 슬라이딩 휠조립체 및 가압레버 등에 의해서, 단열재의 플라이우드(8)를 따라 실시예(10)의 프레임부 쪽으로 슬라이딩 작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시작 세팅을 수행한다. 즉, 작업자는 운반대차형 장비의 전원을 온(ON)시킨다.
운반대차형 장비는 초기화를 수행하면서, 별도로 설치된 장착 여부 판단 접촉스위치(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실시예(10)의 프레임부가 플라이우드 위에 놓여 있음을 체크한다.
이후, 운반대차형 장비의 작동제어기는 밀착 작동에 대한 지령을 밀착모터에게 하달하고, 실시예(10)의 밀착부가 구동부를 각각 플라이우드 쪽으로 근접 및 가압시킨다.
도 11e와 같이, 작업자는 제2지그(70)로부터 각각의 필름카트리지(350)를 분리시킨 후, 실시예(10)에 옮겨 싣는다(예 : 보호필름 인스톨 작업).
또한, 작업자는 제1지그(20)로부터 시트공급부(500)를 분리시킨 후, 실시예(10)에 옮겨 싣는다(예 : 시트 인스톨 작업).
이때, 접이식 장력롤러 세트를 개폐시켜 사용함에 따라 신속하게 시트공급부(500)의 시트 중간 부위가 가이드부를 경유할 수 있고, 이후, 거치블록에 의해 용이하게 시트공급부(500)를 실시예(10)에게 인스톨시킬 수 있다.
이후, 실시예(10)의 주행 및 제반 작동 전에 제1, 제2지그(20, 70)를 각각 해당 위치로부터 제거하는 대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부(200)를 단열재의 플라이우드(8)를 따라 프레임부 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킨 후, 프레임부의 슬라이딩 체결쇠에 연결시킴에 따라, 노즐부(200)를 실시예(10)의 본체에 탑재시킨다.
도 11f와 같이 실시예(10)의 작동 준비 상태가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도 11g와 같이, 실시예(10)는 구동부의 주행 작동을 시작함과 함께, 노즐부(200)의 접착제 분사를 시작으로 시트(2)의 끝단과 보호필름(4)의 끝단이 시트 파지장치(5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에, 시트(2)가 자연스럽고 팽팽하게 풀려 접착제 위에 공급되고, 같은 방식으로 필름카트리지(350)로부터 보호필름(4)이 자연스럽고 팽팽하게 풀려 공급되어 정밀한 시트 부착 작업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실시예(10)의 가압롤러부 및 스케이트부는 볼록 작동 자세, 오목 작동 자세, 단차 작동 자세 등과 같이 다양한 자유도를 가지면서 기밀하게 시트와 접촉하면서, 가압 또는 가열 작동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본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 A에 해당하는 노즐부와 프레임부간 취부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즐부의 후방 저면쪽 부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압롤러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트공급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밀착부 및 구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한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프레임부 101 : 기준바퀴
130 : 슬라이딩 거치대 150 : 거치블록
200 : 노즐부 210 : 슬라이딩 브래킷
300 : 가이드부 302, 303 : 장력롤러 세트
310 : 가이드판부재 311 : 플런저
350 : 필름카트리지 400 : 가압롤러부
450, 460 : 전후방롤러 세트 500 : 시트공급부
600 : 스케이트부 700 : 밀착부
710 : 밀착모터 800 : 구동부
820 : 구동모터 825 : 구동휠

Claims (14)

  1. 화물창의 단열재의 플라이우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준바퀴를 갖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취부되는 노즐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회동 개폐 구조의 가이드판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구비된 슬라이딩 거치대;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에 취부되는 필름카트리지;
    상기 가이드부의 뒤쪽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전후(前後) 단차형 전후방롤러를 갖는 가압롤러부;
    상기 프레임부 양측의 거치블록에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는 시트공급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된 스케이트부;
    상기 스케이트부의 뒤쪽을 기준으로 프레임부에 설치된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 의해 상기 단열재의 플라이우드 쪽으로 밀착된 구동휠을 각각의 구동모터로 회전시키는 독립 모터 구동 구조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시트공급부의 높이에 대등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 높이(H)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단열재에 부설된 가이드레일을 가이드 지지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바 또는 가이드블록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한 쌍의 노즐건이 탑재된 건 받침대;
    상기 건 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축부재와 타측 축부재의 전방 끝단의 슬라이딩 체결쇠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브래킷;
    상기 건 받침대 하부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형 슬라이딩 휠조립체;
    상기 건 받침대 하부의 타측에 설치된 가변형 슬라이딩 휠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건과 상기 건 받침대 사이에는 적어도 Y축 방향으로 상기 노즐건의 위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조정수단이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판부재를 임시 고정 또는 릴리싱 시키는 플런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시트공급부의 사이에 배치된 접이식 장력롤러 세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이식 장력롤러 세트는 프레임부 양측의 롤러거치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장력롤러 세트는
    상기 롤러거치대의 하부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측 접이식 장력롤러;
    상기 하측 접이식 장력롤러의 위에서 시트의 두께만큼 유격을 유지하면서 수평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거치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측 접이식 장력롤러;
    상기 상측 접이식 장렬롤러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 구조;
    상기 상측 접이식 장렬롤러의 타측에 구비된 앤티백유니트(anti-back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운반대차형 장비의 작동제어기에 연결되어 가압력 변화를 위해 액추에이터작동암이 제어되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작동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제어기에게 자세 인식값을 입력시키는 제1압력감지셀;
    상기 제1압력감지셀의 하단에서 힌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밸런싱 링크절;
    상기 제1밸런싱 링크절의 양단에 구비된 제1관절형 조인트;
    상기 제1관절형 조인트에 결합된 조인트 브래킷을 롤러장착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한 좌, 우 한 쌍의 전후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부는
    상기 가압롤러부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운반대차형 장비의 작동제어기에 접속되어 가압력 변화를 위해 액추에이터작동암이 제어되는 제2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작동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제어기에게 자세 인식값을 입력시키는 제2압력감지셀;
    상기 제2압력감지셀의 하단에서 힌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밸런싱 링크절;
    상기 제2밸런싱 링크절의 양단에 구비된 제2관절형 조인트;
    상기 제2관절형 조인트에 결합된 조인트 브래킷을 상면에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스케이트판;
    상기 스케이트판에 구비된 면상발열히터;
    상기 시트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프레임부에서 하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케이트판의 저면에 접촉하는 시트의 가열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온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스케이트판의 내부에 구비되어 시트의 가열온도를 측정하는 내장형 온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서 폭방향으로 설치된 선형가이드;
    상기 선형가이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바퀴쇠;
    상기 바퀴쇠의 전방 및 후방 상부를 기준을 각각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샤프트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바퀴쇠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퀴쇠의 베어링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출력샤프트의 아래쪽 끝단에 결합된 베벨기어;
    상기 베벨기어에 수직하게 직결된 종동출력샤프트;
    상기 종동출력샤프트, 구동휠, 구동모터의 출력샤프트를 유사시 잠금동작으로 고착시키는 전자 연동식 구속수단을 갖는 구동브레이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본딩 장치.
KR1020070068187A 2007-07-06 2007-07-06 자동 본딩 장치 KR100928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187A KR100928316B1 (ko) 2007-07-06 2007-07-06 자동 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187A KR100928316B1 (ko) 2007-07-06 2007-07-06 자동 본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82A KR20090004182A (ko) 2009-01-12
KR100928316B1 true KR100928316B1 (ko) 2009-11-25

Family

ID=4048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187A KR100928316B1 (ko) 2007-07-06 2007-07-06 자동 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3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761B1 (ko) 2010-11-26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윈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본딩 장치
WO2013094974A1 (ko) 2011-12-20 2013-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KR101365903B1 (ko) 2012-02-13 2014-0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주행 구동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8896B1 (ko) * 2012-05-25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본딩 장치
CN104144849A (zh) * 2012-03-07 2014-11-12 现代重工业株式会社 自动三层附接装置
KR101475402B1 (ko) * 2013-09-06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트 정렬 지그
FR3126322A1 (fr) 2021-08-24 2023-03-03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ncollage pour système automatisé d’application de bande pour l’étanchéité d’une membrane de cu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36B1 (ko) * 2008-03-19 2010-08-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쏠림 방지기능을 갖는 트리플렉스 자동부착장치
KR101325709B1 (ko) * 2011-12-16 2013-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KR101325697B1 (ko) * 2011-12-16 2013-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7814B1 (ko) * 2011-12-20 2013-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5699B1 (ko) * 2011-12-20 2013-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KR101369117B1 (ko) * 2012-02-28 2014-03-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트리플렉스 자동 접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트리플렉스 자동 접착 장치
KR101378900B1 (ko) * 2012-03-23 2014-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착제 도포장치
KR101381221B1 (ko) * 2012-05-25 2014-04-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 장치
KR101370103B1 (ko) * 2012-07-23 2014-03-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납작노즐을 구비한 트리플렉스 자동접착장치
KR101411938B1 (ko) * 2012-08-10 2014-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포 장치
KR101444384B1 (ko) * 2013-01-31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본딩 장치 및 본딩 방법
KR101408900B1 (ko) * 2013-06-18 2014-06-17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록킹수단이 구비된 자동본딩장치용 가압롤러유닛과 이를 갖춘 자동본딩장치
KR101722172B1 (ko) * 2014-12-05 2017-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필름 제거 장치
KR101722162B1 (ko) * 2014-12-05 2017-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필름 제거 장치
KR101690969B1 (ko) * 2014-12-12 2016-12-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KR101702523B1 (ko) * 2014-12-15 2017-02-07 삼성중공업(주) 본딩 장치
KR101702524B1 (ko) * 2014-12-19 2017-02-07 삼성중공업(주) 본딩 장치
KR102456498B1 (ko) * 2021-04-14 2022-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차 방벽 자동 접착 장치
FR3136998A1 (fr) * 2022-06-24 2023-12-29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ncollage pour système automatisé d’application de bande de matière étanche pour l’étanchéité d’une membrane de cu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2312A (en) 1980-12-19 1982-06-25 Towa Kogyo Kk Melt-bonding machine for laying waterproof sheet
KR20020076193A (ko) * 2001-03-27 2002-10-09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스트립 접합 장치, 단열 및 불투과성 벽을 생산하기 위해스트립을 접합하는 방법과, 단열 및 불투과성 벽
KR100631131B1 (ko) * 2004-12-31 2006-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
JP2007063873A (ja) * 2005-08-31 2007-03-15 Aoi Techno Service Kk 床版用防水シートの貼り付け機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2312A (en) 1980-12-19 1982-06-25 Towa Kogyo Kk Melt-bonding machine for laying waterproof sheet
KR20020076193A (ko) * 2001-03-27 2002-10-09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스트립 접합 장치, 단열 및 불투과성 벽을 생산하기 위해스트립을 접합하는 방법과, 단열 및 불투과성 벽
KR100631131B1 (ko) * 2004-12-31 2006-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엘엔지씨 화물창 트리플렉스 부착장치
JP2007063873A (ja) * 2005-08-31 2007-03-15 Aoi Techno Service Kk 床版用防水シートの貼り付け機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761B1 (ko) 2010-11-26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윈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본딩 장치
WO2013094974A1 (ko) 2011-12-20 2013-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US9539775B2 (en) 2011-12-20 2017-01-10 Samsung Heavy Ind.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bonding auxiliary secondary barrier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101365903B1 (ko) 2012-02-13 2014-0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주행 구동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144849A (zh) * 2012-03-07 2014-11-12 现代重工业株式会社 自动三层附接装置
KR101378896B1 (ko) * 2012-05-25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본딩 장치
KR101475402B1 (ko) * 2013-09-06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트 정렬 지그
FR3126322A1 (fr) 2021-08-24 2023-03-03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ncollage pour système automatisé d’application de bande pour l’étanchéité d’une membrane de cu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82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316B1 (ko) 자동 본딩 장치
JP2008522898A (ja) 一体型バレルアセンブリカート
US9375369B2 (en) Vehicle lift with biasing device
KR101302208B1 (ko) 레일방식의 주행장치
US4417729A (en) Racket stringing apparatus
CN113770615B (zh) 一种用于焊枪的调整装置
JP2017524536A (ja) 摩擦かくはん溶接のための浮上式固定具
US6489593B2 (en) Locating and locking unit for welding sheet metal parts of a motor-vehicle body
CN117399881B (zh) 一种大型钢吊车梁组拼时腹板与翼板垂直对接装置
CA2786208A1 (en) Conveying apparatus
US8365395B2 (en) Tables for assembling composite panels
KR102166767B1 (ko) 기다란 부재에 박막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28317B1 (ko) 자동 히팅 장치
CN109226548A (zh) 上料机构
CN112792540A (zh) 支腿总成装配设备和方法
CN115159867B (zh) 玻璃运输用自动包边设备及其工作方法
IE20020896A1 (en) Door lifting device
KR101907298B1 (ko) 론지 격벽 전자세 용접용 캐리지 장치
KR100795946B1 (ko) 임시 장착장치 및 방법
JP2948212B1 (ja) 熱溶融性シート材同士の熱溶着機
CN220912606U (zh) 一种机动车零部件冲击试验装置
CN219504003U (zh) 支撑装置及移动机器人
CN112536561B (zh) 脚踏定位装置及方法
CN221245852U (zh) 应用于白车身焊装线的半自动辅助涂胶设备
KR102203986B1 (ko) 반자동 접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