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717B1 - 자기 엔코더 및 이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 - Google Patents

자기 엔코더 및 이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717B1
KR100924717B1 KR1020020057826A KR20020057826A KR100924717B1 KR 100924717 B1 KR100924717 B1 KR 100924717B1 KR 1020020057826 A KR1020020057826 A KR 1020020057826A KR 20020057826 A KR20020057826 A KR 20020057826A KR 100924717 B1 KR100924717 B1 KR 10092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wder
magnetic encoder
sealing plat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708A (ko
Inventor
나카지마다쓰오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6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 F16C33/787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with a further sealing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7Encoders, e.g. parts with a plurality of alternating magnetic 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4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provided with casings or supports
    • F16J15/32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provided with casings or supports with rigid casings or supports
    • F16J15/325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provided with casings or supports with rigid casings or supports comprising two casing or support elements, one attached to each surface, e.g. cartridge or cassette seals
    • F16J15/32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provided with casings or supports with rigid casings or supports comprising two casing or support elements, one attached to each surface, e.g. cartridge or cassette seal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relative rotation of the two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43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mounted in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16C19/181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16C19/1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with two rows at opposite angles
    • F16C19/18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with two rows at opposite angle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검출감도를 향상하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 내구성도 향상되고, 또 제조, 조립시의 취급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자기 엔코더(10)로서,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자극을 형성한 다극 자석(14)과, 상기 다극 자석(14)을 지지하는 코어(11)를 구비한다. 상기 다극 자석(14)을 자성분말과 비자성 금속분말의 혼합분말을 소결시킨 소결체로 한다.
자기, 엔코더, 차륜, 베어링, 자극, 다극, 자성 분말, 비자성, 소결, 소결체, 혼합 분말, 그린체, 압분체

Description

자기 엔코더 및 이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 {MAGNETIC ENCODER AND WHEEL BEARING ASSEMBLY USING THE SAME}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 엔코더의 부분 사시도, 도 1(b)는 이 자기 엔코더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자기 엔코더를 정면에서 도시한 자극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이 자기 엔코더를 구비한 밀봉장치와 자기센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정면도이다.
도 4는 그린체를 소결체로 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이외에 실시예에 따른 자기 엔코더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엔코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이 자기 엔코더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코어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a), (b)는 각각 코어의 다른 변형예, 및 그 코어를 이용한 자기 엔코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엔코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엔코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 엔코더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의 전체 단 면도이다.
도 13은 이 차륜용 베어링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륜용 베어링의 자기 엔코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륜용 베어링의 자기 엔코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이 자기 엔코더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륜용 베어링의 자기 엔코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륜용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대회전하는 베어링부의 회전검출장치 등에 이용되는 자기 엔코더, 및 이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자동차의 안티록 브레이킹 시스템(anti-lock braking system)에서의 전후의 차륜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검출장치에 장착되는 베어링 밀봉의 구성 부품으로 되는 자기 엔코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스키드(skid)를 방지하기 위한 안티 스키드용 회전검출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구조가 많이 이용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검출장치는 맞물림 로터와 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그 때, 베어링을 밀봉하는 밀봉장치보다 각각 이격시켜 배치하고, 하나의 독립한 회전검출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 예는, 회전축으로 결합된 맞물림 로터(rotor)를, 너클(knuckle)에 장착된 회전검출센서로 감지 검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사용하고 있는 베어링은, 그 측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밀봉장치에 의하여, 수분 또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기타 예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2816783호에는, 회전검출장치의 장착 공간을 삭감시켜 감지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차륜 회전검출을 위한 회전검출장치를 가진 베어링 밀봉에 있어서, 거기에 사용하는 슬링거(slinger)의 직경방향으로 자성분말의 혼입된 탄성부재를 원주형으로 가류성형 접착하고, 거기에 교대로 자극을 배치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평 6-281018호에는, 축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고, 회전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의 밀폐도를 양호하게 하고,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회전부재와 고정부재의 사이가 밀봉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디스크가 장착되고, 그 회전디스크에 다극화 된 코다(coder)가 장착된 코다 내장 밀폐구조로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하는 코다는, 자성입자를 첨가한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이루어지는 것이 이용되고, 상기 코다의 측면을 고정부재의 측면과 대략 동일평면으로 한 밀봉수단으로 되어 있다.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플라스틱(플라스토머(plastomer))제의 코다는, 역시 종래의 사출 성형이나 압축성형 등과 같이, 제품형상에 대응한 금형을 사용하여 형성하거나, 즉 금형대로의 형으로 성형하거나, T형의 다이스를 이용한 압출 성형이나 카렌더 성형과 같은 시트 성형으로 시트를 성형하여 펀칭 가공 등에 의해 제품형상으로 하여, 그 후, 금속기판상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 고정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과 같이 미리 금형 내에 금속기판을 조립해 놓고, 그 후, 용융수지를 유입시켜 접착공정을 동시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예 중, 일본 특허공보 제2816783호나 일본 특개평 6-281018호에 도시된 베어링 밀봉에서는, 거기에 사용하는 슬링거의 직경방향으로 자성분말의 혼입된 탄성부재를 주형으로 가류성형 접착하거나, 또는 다극화 된 코다가 장착된 코다 내장 밀폐구조로 하여 그 코다를 자성입자가 첨가된 엘라스토머로 하려고 하면,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를 유지하기 위한 바인더(binder)로 되는 엘라스토머나 탄성부재 성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엘라스토머나 탄성부재 성분을 바인더에 이용하는 경우, 코다형상으로 형성하기 전에 반드시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와 엘라스토머나 탄성부재의 혼련에 의한 분산공정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 공정에서는 코다 중의 바인더 성분에 대한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의 상대함유율(체적분률)을 높이기 어렵기 때문에, 자기센서에 안정되게 센싱되는 자력을 얻기 위해서는 코다의 두께 치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의 함유하는 탄성부재나 엘라스토머제의 코다의 성형은, 사출 성형이나 압축성형 등과 같이 제품형상에 대응한 금형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또한 가류공정이 필요한 경우는 금형 내에 필요한 가류 시간만큼, 가압하 면서 유지해야 하고, 생산상 많은 공정을 필요로 했다.
또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의 함유하는 탄성부재나 엘라스토머제의 코다는, 예를 들면 차륜 회전검출을 위한 회전검출장치를 가진 베어링 밀봉에 있어서, 회전검출장치의 장착공간을 삭감시키며, 또한 감지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기 때문에, 거기에 사용하는 슬링거의 축방향에서 근접하면서 상대한 부위에 감지센서를 배치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차량 주행중에 회전측의 베어링 밀봉 표면과 고정측의 감지센서 표면의 간극에, 모래입자 등의 이물입자가 침입하여 맞물려 들어가면, 탄성부재나 엘라스토머제의 코다 표면은 마모 등에 의하여 심한 손상을 받는 적이 있었다.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의 함유하는 플라스틱(플라스토머)제의 코다의 경우, 상술한 종래의 사출 성형이나 압축성형이나 T형 다이스를 이용한 압출 성형이나 카렌더 성형과 같은 시트 성형, 및 인서트 성형으로 제조하려고 하면, 역시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를 유지하기 위한 바인더로 되는 합성 수지성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합성 수지성분을 바인더에 이용하는 경우도, 종래에는 엘라스토머 등과 마찬가지로, 코다 형상으로 형성하기 전에 반드시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와 플라스토머나 탄성부재의 혼련에 의한 분산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역시 이 공정에서는, 코다 중의 바인더 성분에 대한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의 상대함유율(체적분률)을 높이기 어렵기 때문에, 자기센서에 안정되게 센싱되는 자력을 얻기 위해서는 코다의 두께 치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이와 같이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와 플라스토머나 탄성부재를 종래의 제조법으로 혼련하여 제작한 성형전 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인젝션)하거나, 압축(compression)하여 코다에 형성할 때, 또한 인서트 성형 등으로 형성할 때에, 재료 중에 함유되는 자성입자성분은 금속의 산화물이기 때문에 단단하고 양산 제조적으로는 금형이나 성형기의 마모가 문제로 되며, 또한 자성입자성분의 함유가 높은 성형전 재료는 용융점도가 높아지고, 성형압력이나 금형 고정력 등을 높이는 등, 성형상의 부하가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T형 다이스를 이용한 압출 성형이나 카렌더 성형과 같은 시트 성형의 경우에서도, 재료 중에 함유되는 자성입자성분은 금속산화물로 단단하기 때문에, 양산 제조적으로는 T형 다이스나 카렌더 성형기의 롤의 마모가 문제로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생산성도 우수한 자기 엔코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검출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회전검출을 위한 자기 엔코더의 내구성이 우수한 차륜용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자기 엔코더는,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자극을 형성한 다극 자석과, 이 다극 자석을 지지하는 코어를 구비한 자기 엔코더에 있어서, 상기 다극 자석이 자성분말과 비자성 금속분말의 혼합분말을 소결시킨 소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극 자석은 예를 들면, 원환형 등의 환형으로 되고, 또는 원반형으로 된다. 상기 코어도 원환형 등의 환형으로 되고, 또는 원반형으로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극 자석이 자성분말과 비자성 금속분말의 혼합분말을 소결시킨 소결체이기 때문에, 다음 각 이점이 얻어진다.
(1) 종래의 엘라스토머나 플라스토머에 비해 자성분말비율을 높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위체적당의 자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감도를 향상할 수 있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2) 종래의 소결자석인 자성분말만을 소결한 것에 비해, 바인더로 되는 비자성 금속분말의 존재 때문에 갈라지기 어렵다.
(3) 종래의 엘라스토머 등에 비해 표면이 단단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또한 손상되기 어렵다.
(4) 종래의 엘라스토머 등에 비해, 생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자기 엔코더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말은 페라이트 분말일 수도 있다. 페라이트 분말은, 다른 자성분말에 비해 저가이며, 이것을 이용하면 자기 엔코더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페라이트 분말은 과립 분말체일 수도 있고, 또한 습식 이방성 페라이트 코어로 이루어지는 분쇄분말일 수도 있다. 상기 습식 이방성 페라이트 코어의 분쇄분말로 한 경우, 비자성 금속분말과의 혼합분말을 자계속에서 성형된 그린체로 할 필요가 있다. 그린체는 미소결의 압분체를 말한다.
또, 상기 자성분말은 희토류계 자성분말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마륨계 자성분말일 수도 있고, 또한 네오디뮴계 자성분말일 수도 있다. 이들 사마륨계 자성분말이나 네오디뮴계 자성분말을 이용하면, 강한 자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사마륨계 자성분말로는, 사마륨철(SmFeN)계 자성분말이, 또한 네오디뮴계 자성분말로는 네오디뮴철(NdFeB)계 자성분말이 이용된다. 상기 자성분말은, 이밖에 망간알루 미늄(MnAl) 가스 분사 분말일 수도 있다.
상기 비자성 금속분말은 스테인레스강 분말일 수도 있고, 또한 주석분말일 수도 있다. 자성분말이 페라이트 분말인 경우에, 비자성 금속분말에 스테인레스강 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주석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자성분말이 사마륨계 자성분말인 경우에, 비자성 금속분말에 스테인레스강 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주석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자성분말이 네오디뮴계 자성분말인 경우에, 비자성 금속분말에 스테인레스강 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주석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스테인레스강 분말은 다른 비자성 금속분말에 비해 방청성이 우수하고, 이것을 이용한 소결체는, 방청성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 혼합분말은 2종 이상의 자성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더라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의 비자성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혼합분말은 2종 이상의 자성분말을 포함하고, 또한 2종 이상의 비자성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2종 이상의 자성분말 또는 2종 이상의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경우는, 임의로 복수 종류의 분말을 혼합하는 것으로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라이트 분말만으로서는 자력이 부족한 경우에, 페라이트 분말에 희토류계 자성재료인 사마륨계 자성분말이나 네오디뮴계 자성분말을 필요량만 혼합하고, 자력향상을 꾀하면서 저가로 제작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혼합시킨 자성분말은, 사마륨철(SmFeN)계 자성분말, 네오디뮴철(NdFeB)계 자성분말, 및 망간알루미늄(MnAl) 가스 분사 분말 중 어느 2종 이상을 혼합시킨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자성분말은 사마륨철(SmFeN) 계 자성분말과 네오디뮴철(NdFeB)계 자성분말을 혼합시킨 것, 네오디뮴철계 자성분말과 망간알루미늄 가스 분사 분말을 혼합시킨 것, 망간알루미늄 가스 분사 분말과 사마륨철계 자성분말을 혼합시킨 것, 및 사마륨철계 자성분말과 네오디뮴철계 자성분말과 망간알루미늄 가스분사분말을 혼합시킨 것,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또, 상기 자성분말은, 페라이트 분말에 희토류계 자성재료인 사마륨철(SmFeN)계 자성분말 또는 네오디뮴철(NdFeB)계 자성분말을 필요량만 혼합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혼합분말에 사용하는 자성분말 및 비자성 금속분말은, 모두 평균입경이 10μm 이상 150μm 이하인 것이 좋다.
이들 분말체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의 평균입경이 1Oμm보다 작으면, 압분체를 얻을 때에, 금형 내에 혼합분말이 유입되기 어렵고, 소정의 형상의 압분체를 형성할 수 없다. 이들 분말체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의 평균입경이 150μm보다 크면, 압분체 강도가 나가지 않는다.
상기 혼합분말 중의 배합에 있어서, 비자성 금속분말의 체적함유율은, 1체적% 이상에서 90체적% 이하인 것이 좋다.
자성분말이 아닌 비자성 금속분말의 체적함유율이 1체적% 보다도 적으면, 금속바인더로서 비자성 금속분말이 적기 때문에, 소결 후 얻어진 다극 자석은 단단하지만 부서지기 쉽다. 압분체를 성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자성분말이 아닌 비자성 금속분말의 체적함유율이 90체적%보다 많으면, 상대적으로 자성성분이 적기 때문에, 원하는 안정된 센싱의 얻어지는 자력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상기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다극 자석의 선팽창계수는, 0.5×10-5 이상에서 9.0×10-5 이하인 것이 좋다. 다극 자석의 선팽창계수가 0.5×10-5보다 작은 경우, 및 9×10-5보다 큰 경우는, 코어의 재질로 되는 금속 재료와의 선팽창계수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고온이나 저온환경 하에서 사용될 때의 치수변화량의 차이가 커진다. 이로 인해, 다극 자석의 손상이 우려되고, 또한 다극 자석과 코어의 고정의 확보가 어렵게 된다.
상기 혼합분말의 소결전의 압분체는, 5체적% 이상 30체적% 이하의 공극을 가지는 것이 좋다. 공극율이 5체적%보다 적은 경우, 성형압력을 제거할 때에 원료분말의 탄성변형의 회복에 의해 생기는 스프링 백(spring back)에 의해, 압분체(그린체)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 공극이 30체적% 보다도 많은 경우, 소결체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코어 상에 조임가공이나 압입가공 등으로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입자 사이의 밀착부족에 의해, 압분체를 성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다극 자석으로 되는 소결체의 판두께는, 0.3mm 이상으로 또한 5mm 이하가 좋다. 자성분말 및 비자성 금속분말은 고가이므로, 판두께는 얇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판두께가 0.3mm 보다도 얇은 경우, 압분말 성형이 곤란하다. 또, 지나치게 두꺼우면 그린성형체의 밀도 변화가 발생하기 쉽고, 소성후의 변형이 생기기 쉽다. 이들 관점에서, 판두께는 0.3mm∼5m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각 구성의 자기 엔코더에 있어서, 클리어계의 고방식성 도료 를 이용하고 방청피막을 상기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다극 자석의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방청피막의 막 두께를 0.5μ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클리어계의 고방식성 도료로는, 변성 에폭시 페놀 경화계의 도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청피막을 형성한 경우는, 그 방청성 때문에, 예를 들면 차륜용 베어링 등과 같은 녹 발생이 쉬운 환경 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료는, 코어와 소결체 사이의 접착제로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소결 다공질체 표층의 공극 내부에 침입하고, 클리어계 도막성분의 앵커효과에 의해 표면에서 적합하게 유지되어,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방청피막으로서 양호한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자성분말과 비자성 금속분말은, 미리 결정된 배합비로 분말체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분말을 상온하, 금형 내에서 가압성형하여 압분체를 얻는다.
이 때, 비자성 금속분말을 바인더로서 자성분말을 혼입한 혼합자성분말로 이루어지는 소결체는, 그 비자성 금속분말과 자성분말의 조성비를 조정하면서 분말체혼합기로 분산시킨 분말체끼리의 건조 블렌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소결체 중의 자성분말의 상대적인 함유율(체적분률)을 높힌다. 이 때문에, 자기센서에 안정되게 센싱되는 자력이 용이하게 얻어지고, 다극 자석을 두껍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극 자석으로 하는 소결체의 제조에 있어서도, 분말체끼리의 건조 블렌드에 의한 혼합분말의 소결성형법은, 종래의 엘라스토머나 탄성부재의 경우의 사출 성형이나 압축성형에 비해 가류공정 등이 없고, 또한 성형상의 부하가 적기 때 문에, 생산 공정을 대폭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소결가공에서의 압분체의 성형의 경우, 엘라스토머나 탄성부재의 사출 성형이나 압축성형에 비하여, 금형의 마모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 상기 다극 자석으로 하는 소결체의 코어로의 장착은, 간편한 조임가공이나, 압입가공 등의 기계적 고정법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가령 고저온환경 하에서 가혹한 조건에 처하더라도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코어에 장착된 소결체에,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자극을 장착하여 다극 자석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자기 엔코더는, 다극 자석에 자기센서를 대면시켜 회전검출에 사용된다. 상기 자기 엔코더를 회전시키면, 다극 자석의 각 자극의 통과가 자기센서로 검출되어, 펄스의 형으로 회전이 검출된다. 상기 다극 자석은 자성분말이 혼입된 소결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된 센싱이 얻어지는 자력을 확보하면서 두께를 얇게할 수 있고, 자기 엔코더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또한 조임이나 압입 등의 조립방법으로 금속제의 코어와 다극 자석을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법으로서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차륜용 베어링은, 본 발명에서의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의 자기 엔코더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검출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회전검출을 위한 자기 엔코더의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차륜용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노면의 환경하에 처한 상태로 되고, 자기 엔코더와 이것에 대면되는 자기센서와의 사이에 모래입자 등의 입자가 맞물려 들어가는 경우가 있지만, 이 맞물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보호된다.
즉, 자성분말과 비자성 금속분말로 이루어지는 소결체의 다극 자석의 표면경도는, 종래의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탄성부재나 엘라스토머제의 코다에 비해 단단하다. 이로 인해, 차륜 회전검출을 위한 자기 엔코더를 가진 차륜용 베어링에 있어서, 차량 주행중에 회전측의 다극 자석의 표면과 고정측의 자기센서의 표면의 간극에, 모래입자 등의 입자가 맞물려 들어가더라도, 다극 자석의 마모손상에 대폭적인 저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차륜용 베어링은, 베어링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장치의 구성 요소를 자기 엔코더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륜용 베어링은, 복수열의 궤도면을 내주면에 형성한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궤도면과 대향하는 궤도면을 형성한 내측부재와, 이들 양 궤도면 사이에 개재된 복수열의 전동체를 구비하고, 차체에 대하여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용 베어링으로서, 상기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의 환형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차륜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밀봉장치는, 상기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 중의 회전측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밀봉판과, 상기 제1 밀봉판에 대향하고, 상기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 중의 고정측 부재에 결합되는 단면이 L자형의 제2 밀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밀봉판의 직립판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사이드 립, 및 원통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레이디얼 립이 상기 제2 밀봉판에 고착되고, 상기 제1 밀봉판이 상기 자기 엔코더에서의 코어로 되고, 상기 직립판부에 최소한 일부를 겹쳐 상기 다극 자석이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제1 밀봉판은, 예를 들면 단면이 대략 역 Z 자형으로 되어, 상기 회전측 부재에 결합되는 맞물림 결합측의 원통부와, 직립판부와, 기타 통부로 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 제1 밀봉판은 단면이 L자형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들 구성의 차륜용 베어링의 경우, 밀봉장치의 구성 요소를 자기 엔코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더한층 간단한 구성으로 차륜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밀봉장치에 자기 엔코더를 구성한 경우, 상기의 노면 환경하에 처하는 것에 의해 자기 엔코더와 자기센서 사이의 모래입자 등의 맞물림이 문제가 되지만, 이 맞물림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다극 자석의 표면경도가 단단한 것에 의해, 마모손상의 저감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구성의 경우, 제2 밀봉판에 고착된 사이드 립 및 레이디얼 립이 제1 밀봉판에 미끄럼 접촉하는 것에 등에 의하여, 우수한 밀봉효과가 얻어진다.
제1 밀봉판을 상기의 단면이 대략 역 Z 자형으로 한 경우에, 다음 각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 예를 들면, 제1 밀봉판의 직립판부가, 내주측 부분과 외주측 부분에서 서로 축방향으로 어긋난 단차 형상을 형성한 것이더라도 좋다.
· 또, 제1 밀봉판의 상기 기타 통부에 의해, 상기 다극 자석을 조임고정할 수도 있다.
· 제1 밀봉판의 상기 기타 통부에서의 원주방향 복수개 부분을 돌출상태로 소성변형시킨 소성변형부에 의해, 다극 자석을 제1 밀봉판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소성변형부는 예를 들면, 스테이킹 등에 의해 형성한다.
· 제1 밀봉판의 상기 기타 통부에서의 원주방향 복수개 부분에 설편형의 발톱부를 설치하고, 상기 설편형 발톱부의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다극 자석을 제1 밀봉판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륜용 베어링에 있어서, 자기 엔코더의 다극 자석 및 코어의 최소한 한 쪽이 방청처리를 실시한 것도 좋다. 상기 방청처리는, 클리어계의 고방식성 도료의 방청피막을 형성하여 실시한 것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품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엔코더(magnetic encoder)(10)는, 금속제의 환형의 코어(11)와, 상기 코어(11)의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극 자석(14)을 구비한다. 다극 자석(14)은 원주방향에 다극으로 자화되고, 교대로 자극 N, S가 형성된 부재이며, 다극으로 자화된 자기디스크로 이루어진다. 자극 N, S는, 피치원 직경(PCD)(도 2)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p)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기 엔코더(10)는, 회전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극 자석(14)에 자 기센서(magnetic sensor)(15)를 대면시켜 회전검출에 사용되는 것이며, 자기 엔코더(10)와 자기센서(15)로 회전검출장치(20)가 구성된다. 이 도면은, 자기 엔코더(10)를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의 밀봉장치(5)의 구성 요소로 한 응용예를 나타내고, 자기 엔코더(10)는 베어링의 회전 측 궤도 바퀴에 장착된다. 밀봉장치(5)는 자기 엔코더(10)와 고정 측 밀봉 부재(9)로 구성된다. 밀봉장치(5)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다극 자석(14)에 혼입하는 자성분말로는, 바륨(barium)계 및 스트론튬(strontium)계 등의 등방성 또는 이방성 페라이트 분말(ferrite powdery)일 수도 있다. 이들 페라이트 분말은 과립형 분말체일 수 있고, 습식 이방성 페라이트 코어로 이루어지는 분쇄 분말일 수도 있다. 상기 습식(wet-type) 이방성 페라이트 코어로 이루어지는 분쇄 분말을 자성분말로 한 경우, 비자성 금속분말과의 혼합분말을 자장중에 성형시킨 이방성의 그린체(green material)로 할 필요가 있다.
또, 자성분말은 희토류계(rare earth type) 자성재료(magnetic material)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희토류계 자성재료인 사마륨철(SmFeN)계 자성분말이나 네오디뮴철(NdFeB)계 자성분말의 각각 단독 자성분말일 수도 있다. 또, 자성분말은 망간알루미늄(MnAl) 가스분사 분말일 수도 있다.
또, 상기 자성분말은, 사마륨철(SmFeN)계 자성분말, 네오디뮴철(NdFeB)계 자성분말, 및 망간알루미늄(MnAl) 가스분사 분말 중 어느 2종 이상을 혼합시킨 것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자성분말은 사마륨철(SmFeN)계 자성분말과 네오디 뮴철(NdFeB)계 자성분말을 혼합시킨 것, 망간알루미늄 가스분사 분말과 사마륨철계 자성분말을 혼합시킨 것, 및 사마륨철계 자성분말과 네오디뮴철계 자성분말과 망간알루미늄 가스분사 분말을 혼합시킨 것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페라이트만으로서는 자력이 부족한 경우에, 페라이트 분말에 희토류계 자성재료인 사마륨철(SmFeN)계 자성분말이나 네오디뮴철(NdFeB)계 자성분말을 필요량만 혼합하고, 자력향상을 꾀하면서 저가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다극 자석(14)을 형성하는 비자성 금속분말에는, 주석, 구리, 알루미늄, 니켈, 아연, 텅스텐, 망간 등의 분말체, 또는 비자성의 스테인리스강계 금속분말 중 어느 하나 단독(1종)의 분말체,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한 분말체,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합금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성분말 및 비자성 금속분말은 모두 평균입경으로 10μm 이상 150μm 이하가 양호하고,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130μm 이하가 바람직함이다. 이들 분말체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의 평균입경이 10μm보다 작으면, 혼합분말로서 상온하, 금형내에서 가압성형하여 압분체를 얻으려고 하여도, 금형내에 혼합분말이 잘 흘러 들어오지 않지 않는 적이 있고, 소정의 형상의 압분체를 형성할 수 없다. 또한, 이들 분말체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의 평균입경이 150μm보다 크면, 혼합분말로서 상온하, 금형내에서 가압성형하여 압분체를 얻으려고 하여도, 압분체 강도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금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성형할 수 없다.
상술한 평균입경범위의 자성분말과 비자성 금속분말을 미리 결정된 배합비로 분말체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하, 금형내에서 가압성형 함으로써 압분체를 얻는다.
다극 자석(14)을 형성하는 혼합분말중의 배합에 있어서, 자성분말이 아닌 비자성 금속분말의 체적배합율은, 1체적% 이상에서 90체적% 이하가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5체적% 이상 85체적%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체적% 이상 80체적% 이하가 좋다.
자성분말이 아닌 비자성 금속분말의 체적함유율이 1체적% 보다도 적으면, 금속 바인더(metallic binder)로서 비자성 금속분말이 적기 때문에, 소결후 얻어진 다극 자석(14)은 단단하지만 깨지기 쉽다. 이로 인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극 자석(14)으로 하는 소결체를 코어(11) 상에 조임가공이나 압입가공 등으로 기계적으로 고정하려고 해도, 깨지기 쉽다. 또, 금속바인더로서 지나치게 적기 때문에, 압분체를 성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자성분말이 아닌 비자성 금속분말의 체적함유율이 90체적%보다 많으면, 상대적으로 자성성분이 적기 때문에, 소결후 얻어진 다극 자석(14)의 자화 강도를 크게 할 수 없고, 자기 엔코더(10)에서 소망되는 안정된 센싱으로 얻어지는 자력을 확보할 수 없다.
소결후 얻어진 다극 자석(14)의 선팽창계수는 0.5×10-5 이상에서 9.0×10-5 이하가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O.8×10-5 이상에서 7×10-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9×10-5 이상에서 5×10-5 이하가 좋다.
코어(11)의 재질로 되는 금속 재료의 선팽창계수는, 예를들면 스테인레스강(JIS 규격의 SUS430)의 경우, 1.0×10-5이다. 다극 자석(14)의 선팽창계수가 0.5×10-5보다 큰 경우, 또는 9×10-5보다 작은 경우, 코어(11)의 재질로 되는 금속 재료와의 선팽창계수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고저온 환경 하에서 사용될 때의 치수변화량의 차이가 커지고, 다극 자석(14)과 코어(11)가 간섭하여 다극 자석(14)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또, 다극 자석(14)과 코어(11)의 고정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압분체 성형에 있어, 자성분말과 비자성 금속분말의 배합시에,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아연 등과 같은 윤활제를 첨가하여 압분체 성형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들 압분체(그린체)는 5∼30체적%의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12∼22체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19체적% 이다. 공극율이 5체적%보다 적은 경우, 성형압력을 감압할 때에 원료분말의 탄성변형의 회복에 의해 생기는 스프링백(spring back)에 의해, 압분체(그린체)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 공극율이 30체적% 보다도 많은 경우, 소결체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11) 상에 조임가공이나 압입가공 등으로 기계적으로 고정하려고 해도 깨지기 쉽다. 또, 입자사이의 밀착부족에 의해, 압분체(그린체)가 성형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자성분말 및 비자성 금속분말은 고가이므로, 판두께는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압축성형성 및 핸들링(handling)으로, 바람직한 판두께는 0.3mm∼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6mm∼3mm 이다. 판두께가 0.3mm 보다도 얇은 경우, 금형내로의 충 전(充塡)이 곤란하고, 그린성형체를 얻기 어렵다. 또, 얻어진 그린성형체도 핸들링시에 파손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으am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그린성형체의 판두께가 1Omm 보다도 두꺼운 경우, 성형성이나 핸들링은 향상되지만, 비용면에서는 불리하다. 또, 지나치게 두꺼우면 그린성형체의 밀도 변화가 발생하기 쉬어, 소성후의 변형이 생기기 쉽다문제가 있다. 이들 관점에서, 판두께는 0.3mm∼5mm가 바람직하다.
얻어진 그린성형체는, 도 4와 같이 로(furnace) 내에서 가열소결 하는 것으로, 디스크 형상의 소결체로 된다. 상기 로 내에서의 가열소결은, 대기중, 전기로로 행하여도 좋고, 또한 진공 로(vacuum furnace)에 의해, 또는 불활성가스를 유입하면서 압입식 로(pusher furnace), 또는 불활성 로(inert furnace)로 행하여도 좋다.
자기 엔코더(10)를 형성하는 소결체는, 방청처리를 위해,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방청피막(22)을 실시하여도 좋다. 상기 방청피막(22)은 환언하면 방식피막이다. 상기 방청피막(22)은 클리어(clear)계의 고방식성(高防食性) 도료(塗料)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료는 코어(l1)와 소결체 사이의 접착제로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소결 다공질체 표층의 공극 내부에 침입하고, 클리어 도료막 성분의 앵커 효과에 의해 표면에서 적합하게 유지되고,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방청피막층으로서 양호한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클리어계의 고방식성 도료로는, 변성 에폭시 도료, 변성 에폭시 페놀경화타입 도료, 에폭시 멜라민계 도료, 아크릴계 도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 히 변성 에폭시 페놀경화계 및 에폭시 멜라민계의 클리어계 도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 또는 세정한 소결체에 클리어를 진공함침(vacuum impregnation), 디핑(dipping)(침지), 분사(스프레이)도장, 정전도장(electrostatic painting) 등의 방법에 의해서 도포하고, 자연 또는 강제적으로 바람 건조하여 소결체에 부착된 클리어 중의 용제성분을 제거하고, 소정의 소결조건(온도·시간)으로 클리어 한 층을 소결체 상에 소결함으로써 도 5와 같이, 다극 자석(14)의 표면에 방청피막(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방청피막(22)은 자기 엔코더(10) 전체의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자기 엔코더(10)를 예를 들면, 차륜용 베어링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방청(식) 피막의 막 두께는, 차륜용 베어링으로서 요구되는 내식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두께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μm 이상이 좋다.
차륜용 베어링으로서 사용될 때, 상기 자기센서(15)와 자기 엔코더(10) 표면의 간극으로 모래입자 등을 맞물려 들어가면, 자기 엔코더(10) 표면에 상처를 내는 경우가 있다. 피막의 두께가 0.5μm보다 얇으면, 그 상처는 기재(base material)인 소결체까지 도달하게 되어, 거기에서의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코어(1l)의 재질로 되는 금속은, 자성체, 특히 강자성체로 되는 금속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자성체이면서 방청성을 가지는 강판이 이용된다. 이러한 강판으로서, 페라이트계의 스테인레스 강판(JIS 규격의 SUS430계 등)이나, 방청처리된 압연강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코어(11)의 형상은, 여러 가지 원환형의 형상으로 할 수 있지만, 다극 자석(14)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특히, 조임고정이나 맞물림 결합고정 등의 기계적인 고정을 행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조임고정의 경우, 코어(11)는,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결합측으로 되는 내부직경측의 원통부(1la)와, 그 일단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직립판부(1lb)와, 외경에지의 기타 통부(11c)로 이루어지되 단면이 대략 역 Z 자형의 원환형으로 한다.
원통부(1la), 직립판부(1lb), 및 기타 통부(11c)는 강판 등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프레스성형된 것이다. 직립판부(11b)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평탄한 직립판부(1lb)의 표면에 거듭 다극 자석(14)의 미부착 자석의 소결체를 조립하고, 외주에지의 기타 통부(11c)를 조임으로써 코어(11)의 직립판부(1lb)에 겹친 상태로 다극 자석(14)이 고정된다. 상기 기타 통부(11c)는 그 단면에서의 선단측 부분 또는 대략 전체가 조임부로 된다. 또, 상기 조임부는 코어(11)의 원주방향의 전 외주에 걸쳐 연장되고, 따라서 원환형으로 된다. 다극 자석(14)의 조임부인 기타 통부(11c)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은, 다극 자석(14)의 피검출면으로 되는 표면 보다도 오목 패인 오목부(14a)로 되어있어, 코어(11)의 조임부인 기타 통부(11c)가, 다극 자석(14)의 피검출면으로 되는 표면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4a)는 다극 자석(14)의 피검출면으로 되는 표면 보다도 약간 배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段差部)로서 형성되어 있다. 다극 자석(14)의 외주에지에서의 오목부(14a) 보다도 이면측 부분은, 단면이 원호형의 곡면으로 되고, 이 곡면부분에 따르도록, 기타 통부(11c)의 조임부분이 형성된다. 조임고정은, 도 5에 단면도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다극 자석(14)의 기타 통부를 전 외주에 걸쳐 조임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임고정은 도 6, 도 7에 단면도 및 정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행하여도 좋다. 이 예에서는, 코어(11)를 도 1의 예와 동일하게, 내경측의 원통부(lla)와, 그 일단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직립판부(1lb)와, 그 외직경에지의 원통형의 기타 통부(11c)로 이루어지되 단면이 대략 역 Z 자형의 원환형으로 되어 있다. 기타 통부(11c)에서의 둘레방향의 복수 부분에, 스테이킹(staking) 등에 따라, 내경측으로 돌출상태로 소성변형시킨 소성변형부(11ca)를 설치하고, 그 소성변형부(11ca)에 의해 다극 자석(14)을 코어(11)의 직립판부(1lb)에 고정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도, 다극 자석(14)의 소성변형부(11ca)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은, 다극 자석(14)의 피검출면으로 되는 표면보다도 오목한 오목부(14b)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소성변형부(11ca)가 다극 자석(14)의 피검출면으로 되는 표면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이루고 있다. 오목부(14b)는 외경측에 도달함에 따라서 표면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접근하는 경사면(14b)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각 예에 있어서, 코어(11)는, 도 8과 같이, 직립판부(1lb)가, 내주측 부분(1lba)와 외주측 부분(1lbb)에서 서로 축방향으로 어긋난 단차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8에 있어서, 도시는 생략하지만, 다극 자석(14)은 도 1 등의 예와 같이 직립판부(1lb) 에서의 기타 통부(11c)의 돌출측의 면에 배치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예와 같이 단면이 대략 역 Z 자형 으로 된 코어(11)에 있어서, 기타 통부(11c)의 끝에지에서의 원주방향 복수 부분에 설편(舌片)형의 발톱부(11cb)를 설치하고, 상기 설편형 발톱부(11cb)를 화살표와 같이 내경측으로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즉 조임에 의해, 다극 자석(14)을 코어(11)에 고정할 수도 있다. 다극 자석(14)은, 도 1 등의 예와 같이 직립판부(1lb)에서의 기타 통부(11c)의 돌출측의 면에 배치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도 8의 예와 같이, 직립판부(1lb)를 단차 형상으로 하고 있다. 직립판부(1lb)를 단차 형상으로 한 경우, 다극 자석(14)의 직립판부(1lb)측의 측면 형상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판부(1lb)의 단차 형상에 따른 측면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 압입고정의 경우,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11)를, 내경측의 원통부(1la)와, 그 일단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직립판부(1lb")로 이루어지되 단면이 L자형의 원환형으로 된다. 원통부(1la)와 직립판부(1lb")는 강판 등의 금속판으로부터 일체로 프레스성형된 것이다. 직립판부(1lb")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평탄한 직립판부(1lb")까지, 다극 자석(14)으로 되는 디스크형의 소결체를 원통부(1la)의 외주에 압입하여 고정한다. 직립판부(1lb")의 높이는, 다극 자석(14)의 내주부 부근이 접촉하는 높이로 된다.
또, 상기 각 예로서는 코어(11)를 강판프레스 성형품제로 했지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11)는 강재 등의 연삭(grinding)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도면의 예의 코어(11)는 직립판부(1lb)의 홈부(1lba)를 절삭 가공홈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 환형부재인 코어(11)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혼합자성 분말 소결자석 디스크는, 둘레방향에 다극으로 자석을 부착함으로써 다극 자석(14)으로 되고, 상기 다극 자석(14)과 코어(11)로 자기 엔코더(10)가 구성된다. 이 경우에, 비자성 금속분말을 바인더로서 자성분말을 혼입한 혼합자성분말 소결자석 디스크(소결체)는, 그 비자성 금속분말과 자성분말의 조성비를 조정하면서 분말체혼합기로 분산시키는 것으로 분말체끼리의 건조 블렌드(dry blend)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결체 중의 자성분말의 상대적인 함유율(체적분율)을 높여준다. 따라서, 자기센서(15)(도 3)에 안정되게 센싱되는 자력이 용이하게 얻어지고, 다극 자석(14)을 두껍게 할 필요가 없다.
상기 구성의 자기 엔코더(10)는, 도 3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다극 자석(14)에 자기센서(15)를 대면시켜 회전검출에 사용된다. 자기 엔코더(10)를 회전시키면, 다극 자석(l4)의 다극으로 자화된 각 자극 N, S의 통과가 자기센서(15)에서 검출되고, 펄스의 형태로 회전이 검출된다. 자극 N, S의 피치(p)(도 2)는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피치(p)가 1.5mm, 피치 상호차이 ±3%라는 정밀도를 얻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정밀도가 높은 회전검출을 행할 수 있다. 피치 상호차이는, 자기 엔코더(1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검출되는 각 자극사이의 거리 차이를 목표 피치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값이다. 자기 엔코더(10)가 도 3과 같이 베어링의 밀봉장치(5)에 응용되는 것인 경우, 자기 엔코더(10)가 장착된 베어링의 회전이 검출된다.
다극 자석(14)은, 자성분말의 혼입한 소결체(혼합자성분말 소결디스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정된 센싱이 얻어지는 자력을 확보 하면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자기 엔코더(10)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또한 생산성도 우수하다.
또한, 다극 자석(14)의 표면경도는, 종래의 자성분말이나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탄성부재나 엘라스토머(elastomer)제의 코다(coder)에 비해 단단하다. 이로 인해, 차륜 회전검출을 위한 회전검출장치(20)에 응용한 경우에, 차량 주행중에 회전측의 다극 자석(14)의 표면과 고정측의 자기센서(15)의 표면의 간극에, 모래입자 등의 입자가 맞물려 들어가도, 다극 자석(14)의 마모손상이 발생하기 어렵고, 종래의 탄성체제로 한 것에 비해, 마모의 대폭적인 저감효과가 있다.
또, 금속 환형부재인 코어(11)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극 자석(14)으로 되는 혼합자성분말 소결자석 디스크 표면의 평탄도는, 200μm 이하가 좋지만, 바람직하게는100μm 이하가 좋다. 디스크 표면의 평탄도가 200μm보다 큰 경우, 자기센서(15)와 디스크면의 간극(에어갭)이, 자기 엔코더(10)의 회전중에 변화하므로, 센싱 정밀도를 악화시켜 버린다.
동일한 이유로, 자기 엔코더(10)의 회전중에 있어서, 혼합자성분말 소결자석 디스크 표면의 면진동도, 200μm 이하가 양호하고,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가 좋다.
다음에, 상기 자기 엔코더(10)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의 일례, 및 그 밀봉장치(5)의 예를, 도 12, 도 13과 함께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륜용 베어링은, 내측부재(1) 및 외측부재(2)와, 이들 내외의 부재(1, 2) 사이에 수용되는 복수의 전동체(3)와, 내외의 부재(1, 2) 사이의 단부 환형공간을 밀봉하 는 밀봉장치(5, 13)를 구비한다. 일단의 밀봉장치(5)는, 자기 엔코더(10)를 부착시킨다. 내측부재(1) 및 외측부재(2)는, 전동체(3)의 궤도면(1a, 2a)을 가지고 있고, 각 궤도면(1a, 2a)은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부재(1) 및 외측부재(2)는, 각각 전동체(3)를 통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된 내주측의 부재 및 외주측의 부재이며, 베어링 내륜 및 베어링 외륜의 단독으로 있더라도, 이들 베어링 내륜이나 베어링 외륜과 별도의 부품과가 조합되는 조립부재일 수도 있다. 또, 내측부재(1)는 축일 수도 있다. 전동체(3)는 볼(ball) 또는 롤러(roller)로 이루어지고, 이 예로서는 볼이 이용되어 있다.
상기 차륜용 베어링은, 복수열의 롤링 베어링, 상세하게는 복수열의 앵귤러 콘택트 볼베어링(angular contact ball bearing)으로 되어 있어, 상기 베어링 내륜은 각 전동체 열의 궤도면(1a, 1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분할형의 내륜(18, 19)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내륜(18, 19)은, 허브륜(hub wheel)(6)의 축부의 외주에 결합하고, 허브륜(6)과 함께 상기 내측부재(1)를 구성한다. 또, 내측부재(1)는, 상기와 같이 허브륜(6) 및 한 쌍의 분할형의 내륜(18, 19)으로 이루어지는 3부품의 조립부품으로 하는 대신에, 허브륜(6) 및 한 쪽의 내륜(18)이 일체화 된 궤도면을 가지는 허브륜과, 또 한 쪽의 내륜(19)으로 구성되는 2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허브륜(6)에는, 등속자재조인트(7)의 일단(예를 들면, 외륜)이 연결되고, 허브륜(6)의 플랜지부(6a)에 차륜(도시하지 않음)이 볼트(8)로 장착된다. 등속자재조인트(7)는 그 타단(예를 들면, 내륜)이 구동축에 연결된다.
외측부재(2)는, 베어링 외륜으로 이루어지고, 현가장치에서의 너클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다. 전동체(3)는 각 열마다 리테이너(retainer)(4)로 유지되어 있다.
도 13은, 자기 엔코더를 가지는 밀봉장치(5)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상기 밀봉장치(5)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고, 그 일부를 전술했지만, 도 13에 있어서, 상세를 설명한다. 상기 밀봉장치(5)는, 자기 엔코더(10) 또는 그 코어(11)가 슬링거(slinger)로 이루어지고, 내측부재(1) 및 외측부재(2) 중의 회전측의 부재에 장착된다. 이 예에서는, 회전측의 부재는 내측부재(1)이기 때문에, 자기 엔코더(10)는 내측부재(1)에 장착된다.
이 밀봉장치(5)는, 내측부재(1)와 외측부재(2)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 금속판제의 환형의 밀봉판(sealing plate)(11, 12)을 가진다. 제1 밀봉판(11)은 상기 자기 엔코더(10)에서의 코어(11)이며, 이하, 코어(11)로서 설명한다. 자기 엔코더(10)는,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자기 엔코더(10)에서의 다극 자석(14)에 대면하여, 이 도면과 같이 자기센서(15)를 배치함으로써, 차륜 회전속도의 검출용 회전검출장치(20)가 구성된다.
제2 밀봉판(12)은, 상기 밀봉 부재(9)(도 3)를 구성하는 부재이며, 외측부재(2)의 원주면에 압입되는 원통부(12a)와, 원통부(12a)의 일단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직립판부(12b)를 가지고,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밀봉판에는, 제1 밀봉판인 코어(11)의 직립판부(1lb)에 미끄럼 접 촉하는 사이드 립(side lip)(16a)과 원통부(1la)에 미끄럼 접촉하는 레이디얼 립(radial lip)(16b, 16c)을 일체로 구비한다. 이들 립(16a∼l6c)은, 제2 밀봉판(12)에 가류(加硫)접착된 탄성부재(16)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립(16a∼16c)의 개수는 임의로도 좋지만, 도 13의 예에서는, 1개의 사이드 립(16a)과, 축방향의 내외에 위치하는 2개의 레이디얼 립(16c, 16b)을 설치하고 있다. 제2 밀봉판(12)은, 고정측 부재인 외측부재(2)와의 맞물림 결합부에 탄성부재(16)를 포함한 것이다. 즉, 탄성부재(16)는, 원통부(12a)의 내경면으로부터 선단부 외경까지를 덮는 선단 커버부(16d)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상기 선단 커버부(16d)가 제2 밀봉판(12)과 외측부재(2)와의 맞물림 결합부에 개재한다.
제2 밀봉판(12)의 원통부(12a)와 제1 밀봉판인 코어(11)의 기타 통부(11c)는 약간 직경방향간극을 가지고 이격시키고, 그 간극으로 래버린스 밀봉(labyrinth seal)(17)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차륜용 베어링에 의하면,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내측부재(1)의 회전이, 상기 내측부재(1)에 장착된 자기 엔코더(10)를 통하여, 자기센서(15)로 검출되어, 차륜 회전속도가 검출된다.
자기 엔코더(10)는, 밀봉장치(5)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으므로,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차륜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차륜용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노면의 환경하에 처한 상태로 되고, 자기 엔코더(10)와 이것에 대면되는 자기센서(15)와의 사이에 모래입자 등의 입자가 맞물려 들어가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와 같이 자기 엔코더(10)의 다극 자석(14)은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경질 이기 때문에, 다극 자석(14)의 표면의 마모손상은 종래의 탄성체제의 것에 비해 대폭 저감된다. 또한 차륜용 베어링(5)에서의 베어링 단부의 공간은, 주변에 등속조인트(7)나 베어링 지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있어 한정된 좁은 공간으로 되지만, 자기 엔코더(10)의 다극 자석(14)이 상기와 같이 두께를 얇게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검출장치(20)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내외의 부재(1, 2) 사이의 밀봉에 관해서는, 제2 밀봉판(12)에 설치된 각 밀봉 립(16a∼16c)의 슬라이드와, 제2 밀봉판(12)의 원통부(12a)에 제1 밀봉판인 코어(11)의 기타 통부(11c)가 약간 직경방향간극으로 이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래버린스 밀봉(17)이 얻어진다.
또,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차륜용 베어링에서는, 자기 엔코더(10)의 코어(11)를, 도 1의 형상의 것으로 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지만, 자기 엔코더(10)로서 도 6∼도 11에 나타낸 각 예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자기 엔코더(10)를 베어링의 밀봉장치(5)의 구성 요소로 하는 경우 등에서, 다극 자석(14)을, 상기 각 실시예와 반대로 베어링에 대하여 안쪽방향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다극 자석(14)을 코어(11)의 베어링 내측의 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코어(11)는 비자성체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 엔코더(10)는,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이 다극 자석(14)을 축방향으로 향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도면의 예는, 밀봉장치(5)의 슬링거로 되는 밀봉판인 코어(1lA)에, 그 직립판부(1lb)로부터 축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1ld)를 설치하고, 제2 원통부(1ld)의 외주에 다극 자석(14)을 고정하고 있다. 즉, 제2 원통부(1ld)의 선단에는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조임판부(1le)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조임판부(1le)를 조임으로써, 다극 자석(14)에 제2 원통부(1ld)의 외주면에 고정하고 있다. 직립판부(1lb)는 원통부(1la)로부터 외경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이 예의 코어(1lA)는, 원통부(1la), 직립판부(1lb), 및 제2 원통부(1ld)가 순차 계속되는 단면이 대략 역 Z 자형의 부분에, 그 제2 원통부(1ld)의 선단으로부터 조임판부(1le)가 외경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다. 자기센서(15)는 다극 자석(14)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대면 배치한다.
도 15는, 자기 엔코더(10)의 다극 자석(14)을 직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자기 엔코더(10)를 이 도면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반쪽부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밀봉장치(5)의 슬링거로 되는 제1 밀봉판인 코어(11B)가, 내측부재(1)의 외경면에 결합하는 원통부(1la)와, 그 일단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연장되어 내경측으로 겹쳐 포개여진 이중의 직립판부(1lbb)와, 그 직립판부(llbb)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11d)를 가지고, 그 원통부(1ld)의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분산 형성한 복수의 설편형의 발톱부(1lf)가 설치되어 있다. 다극 자석(14)은 제2 원통부(1ld)의 외경면에 겹쳐 배치되고, 상기 발톱부(1lf)를 조임으로써 제2 원통부(1ld)에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내측부재(1)의 일단부 외경면에, 코어(1lB)의 원통부(1la)를 맞물림 결합시키는 소직경부(1b)가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1b)에 원통부(1la)를 맞물림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부재(1)에서의 소직경부(1b)의 단차면에 원통부(1la)의 일단이 접촉하여, 자기 엔코더(10)가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코어(1lB)의 제2 원통부(1ld)에는, 다극 자석(14)의 배치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로 공간부(1lda)가 형성되고, 자기 엔코더(10)의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공간부(1lda)는, 원주방향의 복수 부분에 설치한 개구로 이루어진다. 다극 자석(14)의 발톱부(1lf)에서 억제되는 면이 경사면의 오목부(14b)로 되어 있는 것은, 도 6의 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의 기타 구성은, 도 12,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이다.
도 17은 자기 엔코더(10)의 다극 자석(14)을 직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5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1lB)의 발톱부(11f)와 다극 자석(14)과의 사이에 완충부재(21)를 개재시키고 있다. 완충부재(21)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링형으로 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도 15의 실시예와 동일이다.
또, 상기 각 실시예의 자기 엔코더(10)는, 모두 베어링의 밀봉장치(5)의 구성 부품으로 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각 실시예의 자기 엔코더(10)는 밀봉장치(5)의 구성 부품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독으로 회전검출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실시예에서의 자기 엔코더(10)를 밀봉장치(5)와는 별도로 베어링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엔코더(l0A)는, 다극 자석(14)이 직경방향으로 향하도록, 원통상의 코어(11C)의 외경면에 다극 자석(14)을 설치한 구성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자기 엔코더(10)를, 차륜용 베어링에서의 외 측부재(2A)의 외경면에 맞물림 결합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도면의 차륜용 베어링은, 내측부재(1A) 및 외측부재(2A) 중의 외측부재(2A)를 회전측의 부재로 하고, 외측부재(2A)에 차륜 장착 플랜지(26)를 설치한 것이다. 밀봉장치(5A)는, 자기 엔코더(10A)와는 별도로 베어링에 설치된다. 외측부재(2A)는 한 쌍의 분할 내륜(18A, 19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엔코더는, 다극 자석의 코어로의 고정구조 등으로 하여 다음 어느 하나의 구조 (1)∼(8)을 채용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1) 코어는 회전측 부재(예를 들면, 롤링 베어링의 회전륜)로 압입하는 압입부와, 다극 자석을 장착하는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실시예)
(2) 상기(1)에 있어서, 다극 자석의 코어로의 고정을, 코어를 조인 조임부에 의해서 행한다. 이 경우에, 다극 자석은 코어의 일부에 겹치고, 단면에서의 다극 자석의 일단을, 코어의 조임에 의해 행한다. (예를 들면, 도 1, 도 18의 각 실시예)
(3) 상기(2)에 있어서, 코어의 조임부가 원주방향의 복수 부분에 분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실시예)
(4) 상기(2)에 있어서, 다극 자석의 코어의 조임부에서 고정되는 부분이, 다극 자석의 피검출면으로 되는 표면보다도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로 되어 있어, 코어의 조임부가 상기 다극 자석의 피검출면으로 되는 표면보다도 돌출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상기 오목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피검출면으로 되는 표면에 대하여 경사 진 경사면 또는 단차면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1, 도 16의 각 실시예)
(5) 상기(2)에 있어서, 코어의 다극 자석과 접하는 면에, 공간부분을 진다. (예를 들면, 도 17의 실시예)
(6) 상기(2)에 있어서, 코어의 조임부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 또는 원환형의 부분이다. (예를 들면, 도 1, 도 15의 각 실시예)
(7) 상기(2)에 있어서, 다극 자석의 상기 조임부에서 고정되는 부분과 반대측의 단부를 접촉시키는 접촉부가 코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는, 코어를 회전측 부재(예를 들면, 롤링 베어링의 회전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겸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실시예. 그 직립판부(1lbb)와 원통부(1la)를 합한 부분이, 상기 접촉부로 된다.
(8) 상기(2)에 있어서, 조임부에서 눌러지는 코어 표면 부분과 상기 조임부의 사이에 완충재가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 실시예)
상기 자기 엔코더는, 상기(1)∼(8) 등의 신규의 특징을 가지는 여러 가지 다극 자석 장착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이로 인해, 응용범위가 넓고, 또한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고, 대단히 우수하다고 말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당업자이면, 본 명세서로부터,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할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첨부의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엔코더 및 이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종래의 엘라스토머나 플라스토머에 비해 자성분말비율을 높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위체적당의 자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감도를 향상할 수 있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2) 종래의 소결자석인 자성분말만을 소결한 것에 비해, 바인더로 되는 비자성 금속분말의 존재 때문에 갈라지기 어렵다.
(3) 종래의 엘라스토머 등에 비해 표면이 단단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또한 손상되기 어렵다.
(4) 종래의 엘라스토머 등에 비해, 생산성이 우수하다

Claims (23)

  1.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자극을 형성한 환형 또는 원반형의 다극 자석과, 상기 다극 자석을 지지하는 환형 또는 원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다극 자석이 자성분말인 사마륨계 자성분말과 비자성 금속분말인 주석분말의 혼합분말을 소결시킨 소결체이며,
    상기 다극 자석은 상기 코어에 조임고정 또는 맞물림 결합고정으로 고정되며,
    상기 혼합분말의 소결 전의 압분체가 5체적% 이상 30체적% 이하의 공극을 가지는, 자기 엔코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이 2종 이상의 자성분말 또는 2종 이상의 비자성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자기 엔코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에 사용하는 자성분말 및 비자성 금속분말은 모두 평균입경이 10μm 이상 150μm 이하인, 자기 엔코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 중의 배합에 있어서, 비자성 금속분말의 체적함유율은 1체적% 이상 90체적% 이하인, 자기 엔코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다극 자석의 선팽창계수가 0.5×10-5 이상 9.O×10-5 이하인, 자기 엔코더.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의 판두께가 0.3mm 이상 5mm 이하인, 자기 엔코더.
  14. 제1항에 있어서,
    클리어계의 고방식성 도료를 이용하여 방청피막(rust preventive coating)을 상기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다극 자석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방청피막의 막 두께를 0.5μm 이상으로 하고, 상기 클리어계의 고방식성 도료로서 변성 에폭시 페놀 경화계의 도료를 이용한, 자기 엔코더.
  15. 제1항 기재의 자기 엔코더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용 베어링이 복수열의 궤도면을 내주면에 형성한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궤도면과 대향하는 궤도면을 형성한 내측부재와, 이들 양 궤도면 사이에 개재된 복수열의 전동체를 구비하고, 차체에 대하여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용 베어링으로서,
    상기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의 환형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밀봉장치는 상기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 중의 회전측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밀봉판과, 상기 제1 밀봉판에 대향하고, 상기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 중의 고정측 부재에 결합되는 단면이 L자형의 제2 밀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밀봉판은 상기 회전측 부재에 결합되는 맞물림 결합측의 원통부와, 직립판부와, 기타 통부로 이루어지되 단면이 대략 역 Z 자형으로 되고,
    상기 제1 밀봉판의 직립판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사이드 립(side lip), 및 원통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레이디얼 립(radial lip)이 상기 제2 밀봉판에 고착되고,
    상기 제1 밀봉판이 상기 자기 엔코더에서의 코어로 되고, 상기 직립판부에 겹쳐 상기 다극 자석이 설치되는, 차륜용 베어링.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판의 직립판부가 내주측 부분과 외주측 부분에서 서로 축방향으로 어긋난 단차 형상을 이루는, 차륜용 베어링.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판의 상기 기타 통부에 의해 상기 다극 자석을 조임고정한, 차륜용 베어링.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판의 상기 기타 통부에서의 원주방향 복수개 부분을 돌출상태로 소성변형시킨 소성변형부에 의해 상기 다극 자석을 제1 밀봉판에 고정한, 차륜용 베어링.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판의 상기 기타 통부에서의 원주방향 복수개 부분에 설편(舌片)형의 발톱부를 설치하고, 상기 설편형 발톱부의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다극 자석을 제1 밀봉판에 고정한, 차륜용 베어링.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용 베어링이 복수열의 궤도면을 내주면에 형성한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궤도면과 대향하는 궤도면을 형성한 내측부재와, 이들 양 궤도면 사이에 개재된 복수열의 전동체를 구비하고, 차체에 대하여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용 베어링으로서,
    상기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의 환형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밀봉장치는 상기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 중의 회전측 부재에 결합되는 단면이 L자형의 제1 밀봉판과, 상기 제1 밀봉판에 대향하여 상기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 중의 고정측 부재에 결합되는 단면이 L자형의 제2 밀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밀봉판의 직립판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사이드 립, 및 원통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레이디얼 립이 상기 제2 밀봉판에 고착되고,
    상기 제1 밀봉판이 상기 자기 엔코더에서의 코어로 되고, 상기 직립판부에 최소한 일부를 겹쳐 상기 다극 자석이 설치되는, 차륜용 베어링.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엔코더의 다극 자석 및 코어의 적어도 한 쪽이 방청처리(rust preventive treatment)를 실시한 것인, 차륜용 베어링.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처리는 클리어계의 고방식성 도료의 방청피막의 형성에 의해서 실시되는, 차륜용 베어링.
KR1020020057826A 2001-09-25 2002-09-24 자기 엔코더 및 이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 KR100924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90300 2001-09-25
JP2001290300 2001-09-25
JPJP-P-2002-00192908 2002-07-02
JP2002192908 2002-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708A KR20030027708A (ko) 2003-04-07
KR100924717B1 true KR100924717B1 (ko) 2009-11-04

Family

ID=2662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826A KR100924717B1 (ko) 2001-09-25 2002-09-24 자기 엔코더 및 이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89948B2 (ko)
EP (1) EP1296144B1 (ko)
KR (1) KR100924717B1 (ko)
CN (1) CN1280115C (ko)
DE (1) DE60238299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88B1 (ko) 2012-08-10 2014-06-12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마그네틱 엔코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57929A (ko) 2020-10-30 2022-05-09 현대위아 주식회사 휠베어링 조립체 및 휠베어링용 이물질 유입 방지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410A (ja) * 2002-07-19 2004-02-19 Uchiyama Mfg Corp 磁気エンコーダ
EP2913679B1 (en) * 2002-10-28 2018-12-05 NSK Ltd. Bearing apparatus with sensor and rolling bearing with sensor
JP2004212351A (ja) * 2003-01-08 2004-07-29 Uchiyama Mfg Corp 磁気エンコーダと磁気エンコーダ付軸受ユニット
JP2004245252A (ja) * 2003-02-12 2004-09-02 Uchiyama Mfg Corp エンコーダ付密封装置
JP4372438B2 (ja) * 2003-03-11 2009-11-25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
JP2004340771A (ja) * 2003-05-16 2004-12-02 Ntn Corp 磁気ゴムエンコーダ
US7237960B2 (en) 2003-09-16 2007-07-03 Ntn Corporation Magnetic encoder and wheel support bearing assembly utilizing the same
JP4543306B2 (ja) * 2003-10-07 2010-09-15 内山工業株式会社 円筒型カバー付きエンコーダ
ITTO20030868A1 (it) * 2003-11-04 2005-05-05 Skf Ab Ruota fonica.
JP2005195481A (ja) * 2004-01-08 2005-07-21 Japan Servo Co Ltd 磁気式リニアポジションセンサ
DE202005021477U1 (de) * 2004-01-22 2008-04-10 Nsk Ltd. Magnetischer Encoder und Lager
JP2005257584A (ja) * 2004-03-15 2005-09-22 Uchiyama Mfg Corp 磁気エンコーダ及びそれを装着した回転体
US20050212353A1 (en) * 2004-03-25 2005-09-29 Tolani Nirmal M Corrosion and heat resistant coating for anti-lock brake rotor exciter ring
US7456715B2 (en) * 2004-05-12 2008-11-25 Ntn Corporation Magnetic encoder and wheel support bearing assembly utilizing the same
WO2006027845A1 (ja) * 2004-09-10 2006-03-16 Ntn Corporation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4868753B2 (ja) * 2005-03-18 2012-02-01 ハイデンハイン株式会社 多回転型エンコーダ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798558B1 (en) * 2005-12-16 2013-05-01 JTEKT Corporation Magnetized pulser ring
JP2007187480A (ja) * 2006-01-11 2007-07-26 Jtekt Corp トルク検出装置
JP4889094B2 (ja) * 2006-01-11 2012-02-29 内山工業株式会社 トーンホイール
US20070172164A1 (en) * 2006-01-20 2007-07-26 Jtekt Corporation Rolling bearing system for vehicles
US8096710B2 (en) 2006-01-23 2012-01-17 Jtekt Corporation Rotor for use in rotary encoder and wheel rolling bear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FR2898188B1 (fr) * 2006-03-06 2008-07-04 Hutchinson Sa Codeur pour arbre, dispositif comprenant un tel cod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deur
FR2907895B1 (fr) * 2006-10-31 2009-02-06 Snr Roulements Sa Codeur comprenant une zone de rigidification
JP2008116267A (ja) * 2006-11-02 2008-05-22 Jtekt Corp 着磁パルサリング
WO2008059788A1 (fr) * 2006-11-16 2008-05-22 Jtekt Corporation Dispositif d'étanchéité équipé d'un capteur, et dispositif de palier à roulement apte à être utilisé dans un véhicule et utilisant le dispositif d'étanchéité
JP2009047562A (ja) * 2007-08-21 2009-03-05 Nok Corp 磁気エンコーダのパルサーリング
JP2009065027A (ja) * 2007-09-07 2009-03-26 Daido Electronics Co Ltd ヨーク一体型磁石体
JP5097489B2 (ja) * 2007-09-21 2012-12-12 Ntn株式会社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転がり軸受
DE102007050256B4 (de) * 2007-10-20 2019-05-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gerbestandteil mit einem Encoderelement zur Anzeige einer Stellung oder Bewegung des Lagerbestandteils
EP2220751B1 (fr) * 2007-12-19 2019-05-15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quipee de moyens de determination de la position angulaire du rotor
WO2010029742A1 (ja) * 2008-09-11 2010-03-18 Ntn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および回転検出装置付き軸受
WO2010088964A1 (en) * 2009-02-09 2010-08-12 Aktiebolaget Skf Instrumented bearing
EP2988102A4 (en) * 2013-04-09 2016-11-30 Ntn Toyo Bearing Co Ltd MAGNETIC ENCOD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241188B2 (ja) * 2013-10-16 2017-12-06 日本精工株式会社 エンコーダ付組み合わせシールリング及びエンコーダ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CN105199383B (zh) * 2015-10-27 2017-11-17 苏州宽温电子科技有限公司 聚苯胺磁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IT201600119368A1 (it) * 2016-11-28 2018-05-28 Skf Ab Ruota fonica per gruppo mozzo-ruota
CN106969917B (zh) * 2017-05-25 2018-11-23 兰州理工大学 滚动轴承摩擦学试验用的载荷加载装置
JP2018204642A (ja) * 2017-05-31 2018-12-27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回転用シール
IT201700083818A1 (it) * 2017-07-24 2019-01-24 Skf Ab Ruota fonica per gruppo mozzo-ruota
FR3073435B1 (fr) * 2017-11-10 2021-07-16 Safran Trans Systems Procede de fabrication de piece tournante magnetisee, piece tournante et systeme de mesure de rotation d'une piece tournante
CN115932314A (zh) * 2018-06-18 2023-04-07 克朗设备公司 具有用于测量轮运动的传感器的轮组件
DE102019134246B3 (de) * 2019-12-13 2021-04-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odierer für ein Radlager sowie Radlager mit einem solchen Kodierer
GB2592611A (en) 2020-03-03 2021-09-08 Zf Automotive Uk Ltd A magnetic encoder
DE102022107234B3 (de) * 2022-03-28 2023-08-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ichtungsanordnung für Radlager und Radlager mit Dichtungsanordnu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5008A (ja) * 1986-11-04 1988-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エンコ−ダ
JPS63300910A (ja) * 1987-05-30 1988-12-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センサ用リング
JPH06281018A (ja) * 1993-01-19 1994-10-07 Snr Roulements コーダ内蔵密閉構造
EP0992797A1 (en) * 1998-10-06 2000-04-12 SKF INDUSTRIE S.p.A. Rolling bearing unit with rotational speed sensor
JP2001045718A (ja) * 1999-07-29 2001-02-1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永久磁石型モータその他の永久磁石応用装置
KR20010023605A (ko) * 1997-09-08 2001-03-26 하시모토 신이치 자기식 엔코더장치
JP2004037441A (ja) * 2003-01-08 2004-02-05 Ntn Corp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907A (ja) 1990-07-16 1992-03-09 Isuzu Ceramics Kenkyusho:Kk 永久磁石とその製造方法
JPH04127405A (ja) 1990-09-18 1992-04-2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高耐蝕性永久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耐蝕性ボンド磁石の製造方法
JP2816783B2 (ja) 1992-02-26 1998-10-27 内山工業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を有するベアリングシール
FR2710985B1 (fr) * 1993-10-06 1995-11-24 Skf France Elément codeur pour roulement muni d'un ensemble capteur d'informations et roulement comportant un tel élément codeur.
FR2730566B1 (fr) 1995-02-09 1997-06-13 Skf France Dispositif de codeur pour capteur de vitesse de rotation et roulement equipe d'un tel dispositif
JPH0933551A (ja) 1995-07-24 1997-02-07 Nippon Seiko Kk トーンホイール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DE69728195T2 (de) 1996-01-22 2005-03-17 Nsk Ltd. Wälzlagereinheit mit frequenzbestimmendem Rad
US6692582B1 (en) * 1997-02-20 2004-02-17 Alps Electric Co., Ltd. Hard magnetic alloy, hard magnetic alloy compa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0860838B1 (en) * 1997-02-20 2004-04-21 Alps Electric Co., Ltd. Hard magnetic alloy, hard magnetic alloy compa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692153B2 (en) * 2001-03-07 2004-02-17 Ntn Corporation Wheel support bear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5008A (ja) * 1986-11-04 1988-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エンコ−ダ
JPS63300910A (ja) * 1987-05-30 1988-12-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センサ用リング
JPH06281018A (ja) * 1993-01-19 1994-10-07 Snr Roulements コーダ内蔵密閉構造
KR20010023605A (ko) * 1997-09-08 2001-03-26 하시모토 신이치 자기식 엔코더장치
EP0992797A1 (en) * 1998-10-06 2000-04-12 SKF INDUSTRIE S.p.A. Rolling bearing unit with rotational speed sensor
JP2001045718A (ja) * 1999-07-29 2001-02-1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永久磁石型モータその他の永久磁石応用装置
JP2004037441A (ja) * 2003-01-08 2004-02-05 Ntn Corp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88B1 (ko) 2012-08-10 2014-06-12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마그네틱 엔코더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57929A (ko) 2020-10-30 2022-05-09 현대위아 주식회사 휠베어링 조립체 및 휠베어링용 이물질 유입 방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9948B2 (en) 2004-09-14
CN1280115C (zh) 2006-10-18
KR20030027708A (ko) 2003-04-07
DE60238299D1 (de) 2010-12-30
US20030059139A1 (en) 2003-03-27
EP1296144A3 (en) 2004-02-04
EP1296144B1 (en) 2010-11-17
EP1296144A2 (en) 2003-03-26
CN1409097A (zh) 200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717B1 (ko) 자기 엔코더 및 이를 구비한 차륜용 베어링
US20080226211A1 (en) Magnetic encoder and wheel support bearing assembly using the same
JP4372438B2 (ja) 車輪用軸受
JP2004037441A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EP1788359B1 (en) Magnetic encoder and bearing for wheel comprising same
JP4633480B2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4361003B2 (ja) 車輪用軸受
JP3967353B2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軸受
JP4312149B2 (ja) 磁気エンコーダ付き軸受および車輪用軸受
JP2004085534A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2004084925A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4319135B2 (ja) 車輪用軸受
JP4408798B2 (ja) 磁気エンコーダ付き軸受および車輪用軸受
JP4672377B2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4037406B2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軸受
JP3881359B2 (ja) 軸受のシール装置
JP2004084926A (ja) 車輪用軸受
JP2006145365A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2004085533A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2005099042A (ja) 磁気エンコーダ付き軸受および車輪用軸受
JP2005099041A (ja) 磁気エンコーダ付き軸受および車輪用軸受
JP2004085535A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2005049359A (ja) 磁気エンコーダ付き軸受
JP2006153576A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JP2004085536A (ja) 磁気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