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707B1 -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707B1
KR100919707B1 KR1020080005410A KR20080005410A KR100919707B1 KR 100919707 B1 KR100919707 B1 KR 100919707B1 KR 1020080005410 A KR1020080005410 A KR 1020080005410A KR 20080005410 A KR20080005410 A KR 20080005410A KR 100919707 B1 KR100919707 B1 KR 10091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flow path
control uni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452A (ko
Inventor
유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to KR102008000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7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8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articul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유로들을 가지는 개폐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밸브는 유량조절부를 구비한다. 상기 유량조절부와 유로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밸브들을 구비한다. 상기 유량조절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유량조절부, 제어부, 지지부, 밸브 샤프트(valve shaft)

Description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Opening and closing valve, a toilet bowl was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스톤형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유입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밸브 작동에 의해 복수개의 밸브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의 흐름이나 양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즉, 밸브는 배관 내부나 용기에 설치되어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목적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개폐밸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a는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외주면에 다단형상의 면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의 조합에 의한 밸브바디(17)와 상기 밸브바디(17)에 폐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력조절피스톤(11)의 끝단에 테이퍼(taper) 형상의 시트(16)에 의해 액체의 흐름을 제어함과 동시에 워터해머(water hammer)를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밸브가 개방되어 있을 때 압력조절피스톤(11)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동식의 시트(16)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시트(16) 및 상기 밸브바디(17) 간의 밸브 개방 거리(L)가 유출측 압력이 높을 때에는 작게 개방되고, 유출측 압력이 낮을 때에는 크게 개방된다. 즉 유출측 압력의 크기에 따라 밸브 개방 거리(L)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17)에 그 일부로서 스로틀(20)이 설치되며, 밸브가 폐쇄되어 가는 과정에서 상기 스로틀(20)이 상기 시트(16)의 외주 쪽에 겹쳐지기 때문에 그 조임작용에 의해 유량을 서서히 줄일 수 있어, 유량이나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어, 워터해머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개폐밸브는 유량의 자동조정기능과 액체차단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한 점에 대해서는 보다 진일보한 측면이 있으나, 실제로 스로틀과 시트간의 조임작용에 한계가 있어 수압이 클 경우, 여전히 워터해머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개폐밸브는 압력조절피스톤과 밸브바디가 필요하고 상기 밸브바디는 6개의 유닛 조합에 의한 복잡한 조립체이기 때문에 부품소요가 상당하고, 완성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소요시간이 길어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개의 피스톤형 밸브들을 결합하고, 밸브들 사이에 연통로를 두어 하나의 유입부로 들어온 유체를 밸브 작동에 의해 복수개의 밸브들 가운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하나의 개폐밸브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밸브들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변기 내벽을 세정하기 위한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유량조절부;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밸브들; 및 상기 유량조절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밸브들 각각은, 외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밸브샤프트를 지지하고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유로를 갖는 몸체뒤커버; 일측이 상기 몸체뒤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로를 갖고, 타측에 상기 밸브샤프트의 구동에 의하여 유동되는 밸브마개를 에워싸고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결되는 유입구를 갖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유입구 주변의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유로와 연통 되도록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마개의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완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뒤커버의 단부에는 상기 제2유로로부터 상기 몸체뒤커버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마개의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마개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샤프트(valve shaft)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샤프트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스프링은 상기 밸브마개가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에 힘을 가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밸브마개가 이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에 힘을 가하여 상기 폐쇄된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마개는 지지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밸브샤프트와 맞물리는 밸브 리테이너(valve retainer)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 리테이너의 외경은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마개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그 내부에 상기 밸브스프링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지지부와 몸체뒤커버의 제1, 2유로와의 압력 차이를 상쇄시키는 압력조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공급되는 유량에 따라 스프링 피치가 변동하고, 스프링 피치 사이의 틈으로 유체를 통과시키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정유량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양태인 개폐밸브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적은 양의 세정수공급으로 변기 내벽에 대해 림(rim) 세정을 하는 림 세정부; 상기 림 세정부에 의해 세정완료된 세정수를 토출구로 강제토출시키도록 하는 제트(jet) 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는 개폐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개폐밸브는 유량조절부;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밸브들; 및 상기 유량조절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밸브들 각각은, 외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밸브샤프트를 지지하고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유로를 갖는 몸체뒤커버; 일측이 상기 몸체뒤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로를 갖고, 타측에 상기 밸브샤프트의 구동에 의하여 유동되는 밸브마개를 에워싸고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결되는 유입구를 갖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유입구 주변의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유로와 연통 되도록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마개의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완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뒤커버의 단부에는 상기 제2유로로부터 상기 몸체뒤커버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는 복수개의 밸브들과 각각 연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 중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세정부에 공급되어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마개의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스프링과 상기 밸브마개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샤프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스프링은 상기 밸브마개가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에 힘을 가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밸브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밸브마개가 이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에 힘을 가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세정수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된 세정수를 상기 선택된 밸브와 연통된 상기 림 세정부 또는 상기 제트 세정부에 공급하여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량조절이 유입부 내에서 이루어져 큰 공급수압으로 인한 개폐밸브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종래의 밸브에 비해 부품수 및 형상이 단순해져서 이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를 변기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변기의 하부측에서 고속으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양의 유체를 이용해 변기를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밸드몸체에 형성된 완충 공간부에 의해, 밸브마개의 밸브 리테이너 개폐시 지지부의 유입구 측에 충격이 발생하거나, 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뒤커버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안내부에 의해, 지지부의 유입구를 통해 제2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안내부를 통과할 때 유속이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빠른 유속으로 변경된 유체가 배출구를 통해 빠르게 배출되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하부측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측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유량조절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는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시키는 유량조절부(100)와 상기 유량조절부(100)와 연통되고, 복수개의 밸브들(247)을 가지는 밸브개폐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부(201)는 연통로(27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밸브들(247)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밸브들(247) 각각은, 외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밸브샤프트(250)를 지지하고 배출구(300)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300)와 연결되는 제1유로(A)를 갖는 몸체뒤커버(500)와, 일측이 상기 몸체뒤커버(500)와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A)와 연결되는 제2유로(B)를 갖고, 타측에 상기 밸브샤프트(250)의 구동에 의하여 유동되는 밸브마개(215)를 에워싸고 상기 유량조절부(100)와 연결되는 유입구(262)를 갖는 지지부(260)와, 상기 유입구(262)를 에워싸는 상기 지지부(260)의 타측에 상기 제2유로(B)와 연통 되도록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완충 공간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뒤커버(500)의 단부에는 상기 제2유로(B)로부터 상기 몸체뒤커버(500)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들(247)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완충 공간부(210)는 후술 될 밸브마개(215)의 밸브 리테이너(240) 개폐시 지지부(260)의 유입구(262) 측에 충격이 발생하거나, 유입구(262)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510)는 지지부(260)의 유입구(262)를 통해 제2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안내부(510)를 통과할 때 유속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몸체뒤커버(500)의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빠른 유속으로 유체가 배출구(3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 밸브개폐부(201)는 상기 유량조절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247)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마개(215)의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스프링(210) 및 상기 밸브마개(215)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샤프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샤프트(250)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하는 구동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스프링(210)은 상기 밸브마개(215)가 상기 지지부(260)의 유입구(262)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215)에 힘을 가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는 평상시 상기 밸브스프링(210)에 의해 폐쇄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260)는 상기 밸브마개(215)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스로틀(throttl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밸브마개(215)는 상기 밸브스프링(210)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지지부(260)와 밀착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마개(215)는 상기 지지부(260)의 유입구(262)와 밀착하는 밸브시트(230)와 상기 밸브스프링(210)과 접촉하는 밸브피스톤(220)으로 분할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피스톤(220)의 외경은 상기 밸브시트(23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밸브샤프트(250)는 상기 지지부(260)의 유입구(262)로부터 상기 밸브마개(215)가 이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215)에 힘을 가하여 상기 폐쇄된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26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밸브마개(215)에는 밸브샤프트(250)와 맞물리는 밸브 리테이너(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 리테이너(240)의 외경은 상기 지지부(260)의 유입구(262)를 개폐하는 상기 밸브시트(23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밸브샤프트(250)와 맞물리는 상기 밸브 리테이너(240)는 상기 밸브샤프트(250)와 함께 상기 지지부(260)의 내부 제2유로(B)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밸브피스톤(220), 상기 밸브시트(230) 및 상기 밸브 리테이너(240)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몸체뒤커버(500)는 상기 밸브샤프트(25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몸체뒤커버(500)의 제1유로(A)는 지지부(260)의 제2유로(B)와 연결되어 유입된 유체를 배출구(300)로 안내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밸브개폐부(201)는 몸체앞커버(400), 입수부마개(700), 배출부마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수부마개(700)는 상기 유량조절부(10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측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마개(600)는 상기 배출구(300)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에서, 밸브가 닫혀있을 때의 개폐밸브 내부의 단면형상을 볼 때, 상기 밸브마개(215)는 상기 밸브스프링(210)에 의해 힘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밸브마개(215)에서 상기 밸브피스톤(220)과 결합된 상기 밸브시트(230)가 상기 지지부(260)와 밀착함으로써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부(100)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좌, 우 위치에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배출구(300)는 상기 몸체뒤커버(500)의 상, 하 위치에 조립이 가능한 구조이다. 다시 말해, 상기 입수부마개(700)를 상기 밸브개폐부(201)에서 분리하여 그 위치에 상기 유량조절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마개(600)를 상기 몸체뒤커버(500)로부터 분리하여 그 위치에 상기 배출구(3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밸브마개(215)는 그 내부에 상기 밸브스프링(210)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지지부(260)와 몸체뒤커버(500)의 내부에 형성된 제2유로(B) 및 제2유로(A)와의 압력 차이를 상쇄시키는 압력조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밸브스프링(210)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지지부(260)의 내부 제2유로(B)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25)들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b에서, 상기 밸브샤프트(250)는 상기 지지부(260)와 상기 몸체뒤커버(500)를 관통하며, 상기 밸브 리테이너(240)를 밸브개방방향으로 밀어 상기 밸브마개(215)와 상기 지지부(260)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제2유로(B)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샤프트(250)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하는 구동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750)의 동작에 의해, 도 3b에서 개방되어 있던 밸브는 다시 원래의 폐쇄상태가 되고, 도 3b에서 폐쇄상태에 있던 밸브 측의 밸브샤프트(250)에 힘이 가해져 도 3c에서 볼 때 상부측에 있는 밸브의 제유로(B)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각각의 밸브들(247)은 연통로(2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부측 밸브의 제2유로(B)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시트(230)보다 외경이 작은 상기 밸브피스톤(220)과 상기 밸브몸체(200)와의 틈으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통과한 유체는 상기 연통로(270)를 지나 상부측 밸브의 밸브마개(215)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샤프트(250)의 밸브개방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상부측 밸브마개(215)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폐쇄되어 있던 상기 밸브시트(230)와 상기 지지부(260) 사이에 공간이 생김으로써, 그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도면에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밸브들(247)이 상기 연통로(27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상기 유량조절부(100)로 들어온 유체를 원하는 밸브의 상기 밸브샤프트(250)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부(260)의 유로를 개방하여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00)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밸브시트(230)와 상기 지지부(260)의 유입구(262) 사이의 틈으로 통과하여 상기 몸체뒤커버(500)와 연결된 배출구(300)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량조절부(100)는 공급되는 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스프링 피치가 변동하고, 스프링 피치 사이의 틈으로 유체를 통과시키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정유량밸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유량밸브(160)는 공급되는 유체의 유입량에 따라 움직이는 정유량 밸브몸체(200)와 상기 정유량 밸브몸체(200)가 삽입되어 함께 움직이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유로방향으로 외경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정유량 밸브몸체(200)는 머리부와 다리부로 분할구성되어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정유량 밸브몸체(200)와 상기 코일스프링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00)는 유입측으로 들어온 유체에 포함된 찌꺼기를 거를 수 있도록 하는 필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120)는 가운데가 솟아오른 둥근 철망구조로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정지상태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부(100)가 닫혀있다가 유체가 공급되면 유압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부(100)가 열리게 하는 역지밸브(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유입측으로 들어온 유체가 상기 필터(120)를 거쳐 정화된 후 상기 역지밸브(140)를 통과하여 상기 정유량밸브(160)에 이르게 되는데, 이 때, 설계한 유량보다 적은 유량이 흐를 때에는 원래 유량이 그대로 공급되지만, 설계유량보다 큰 유량이 흐를 때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압축되어 스프링 피치가 줄어들어 설계유량 만큼의 유체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유량밸브(160)는 일정유량의 유체를 상기 밸브개폐부로 공급할 수 있어 큰 공급수압으로 인한 개폐밸브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세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세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양태인 개폐밸브(800)가 제공된다. 상기 개폐밸브(800)는 복수개의 밸브들을 가진다. 적은 양의 세정수공급으로 변기 내벽에 대해 림(rim) 세정을 하는 림 세정부와 상기 림 세정부에 의해 세정완료된 세정수를 토출구(B)로 강제토출시키도록 하는 제트(jet) 세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는 복수개의 밸브들과 각각 연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 중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세정부에 공급되어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800)는 전술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밸브(800)는 유량조절부(100)와, 상기 유량조절부(100)와 연통되는 복수의 밸브들 및, 상기 유량조절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의 밸브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밸브들 각각은, 외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밸브샤프트(250)를 지지하고 배출구(300)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300)와 연결되는 제1유로(A)를 갖는 몸체뒤커버(500)와, 일측이 상기 몸체뒤커버(500)와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A)와 연결되는 제2유로(B)를 갖고, 타측에 상기 밸브샤프트(250)의 구동에 의하여 유동되는 밸브마개(215)를 에워싸고 상기 유량조절부(100)와 연결되는 유입구(262)를 갖는 지지부(260)와, 상기 유입구(262)를 에워싸는 상기 지지부(260)의 타측에 상기 제2유로(B)와 연통 되도록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완충 공간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뒤커버(500)의 단부에는 지지부(260)의 단부로터 상기 몸체뒤커버(500)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세정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부분과 연통된 배관들(810, 820)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들(810, 8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850)에 관통되어 있다. 상기 변기(850)는 상기 밸브개폐부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와 연통된 상기 배관들(810, 820)을 통해 세정수를 공급받아 상기 변기(850)의 내벽(830)을 세정할 수 있다.
상기 배관들은 상부배관(810)과 하부배관(8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배관(810)은 상기 변기(850)의 상부측에서 상기 변기(850)의 내벽(830)으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배관(810)은 상기 림 세정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배관(820)은 상기 변기(850)의 하부측에서 고속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상기 변기(850) 내부에 남아있는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배관(820)은 상기 제트 세정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기 변기세정장치를 이용하여 변기를 세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용변을 본 후 물내림 버튼(미도시)을 누를 수 있다. 이 때, 우선 복수개의 밸브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통해 세정수가 통과하여 상기 상부배관(810)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상부배관(810)을 통해 상기 변기 내벽(830)을 타고 세정수가 흘러 내려올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상부배관(810)과 연통된 밸브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하부배관(820)과 연통된 밸브의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850)의 하부측에서 고속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상기 변기 내부에 남아있는 오물을 토출구(B)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배관(820)과 연통된 유로를 갖는 밸브를 차단시키고 상기 상부배관(810)과 연통된 유로를 갖는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변기(850) 내부에 세정수를 채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변기세정장치 및 방법은 적은 양의 세정수를 이용하여 변기를 세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a는 종래의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하부측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측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유량조절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세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세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17)

  1. 유량조절부;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밸브들; 및 상기 유량조절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밸브들 각각은, 외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밸브샤프트를 지지하고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유로를 갖는 몸체뒤커버; 일측이 상기 몸체뒤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로를 갖고, 타측에 상기 밸브샤프트의 구동에 의하여 유동되는 밸브마개를 에워싸고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결되는 유입구를 갖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유입구 주변의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유로와 연통 되도록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마개의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완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뒤커버의 단부에는 상기 제2유로로부터 상기 몸체뒤커버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마개의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스프링; 및
    상기 밸브마개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밸브샤프트를 포함하는 개폐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샤프트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하는 구동부와 연결되되,
    상기 밸브샤프트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체를 유입시키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프링은 상기 밸브마개가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에 힘을 가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밸브마개가 이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에 힘을 가하여 상기 폐쇄된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마개는
    상기 지지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밸브샤프트와 맞물리며, 상기 유입구에 에워싸이는 밸브 리테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 리테이너의 외경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마개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마개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스프링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와의 압력 차이를 상쇄시키는 압력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공급되는 유량에 따라 스프링 피치가 변동하고, 스프링 피치 사이의 틈으로 유체를 통과시키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정유량밸브를 포함하는 개폐밸브.
  11. 적은 양의 세정수공급으로 변기 내벽에 대해 림(rim) 세정을 하는 림 세정부; 상기 림 세정부에 의해 세정완료된 세정수를 토출구로 강제토출시키도록 하는 제트(jet) 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는 개폐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하되,
    상기 개폐밸브는 유량조절부;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밸브들; 및 상기 유량조절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밸브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밸브들 각각은, 외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밸브샤프트를 지지하고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유로를 갖는 몸체뒤커버; 일측이 상기 몸체뒤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로를 갖고, 타측에 상기 밸브샤프트의 구동에 의하여 유동되는 밸브마개를 에워싸고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결되는 유입구를 갖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유입구 주변의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유로와 연통 되도록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마개의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완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뒤커버의 단부에는 상기 제2유로로부터 상기 몸체뒤커버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는 복수개의 밸브들과 각각 연통되고, 상 기 복수개의 밸브들 중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세정부에 공급되어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마개의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스프링; 및
    상기 밸브마개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밸브샤프트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스프링은 상기 밸브마개가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밸브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밸브마개가 이격되도록 상기 밸브마개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2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세정수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유입된 세정수를 상기 선택된 밸브와 연통된 상기 림 세정부 또는 상기 제트 세정부에 공급하여 상기 림 세정부와 상기 제트 세정부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080005410A 2008-01-17 2008-01-17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KR10091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410A KR100919707B1 (ko) 2008-01-17 2008-01-17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410A KR100919707B1 (ko) 2008-01-17 2008-01-17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452A KR20090079452A (ko) 2009-07-22
KR100919707B1 true KR100919707B1 (ko) 2009-10-06

Family

ID=4129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410A KR100919707B1 (ko) 2008-01-17 2008-01-17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743B1 (ko) 2018-10-02 2020-02-20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직수압식 양변기 세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8832B (zh) * 2018-04-19 2023-10-13 厦门融技精密科技有限公司 冲洗盖板用水路控制阀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112Y1 (ko) * 1992-03-26 1995-05-20 이제혁 절수형 정유량 역지 밸브
KR950006325B1 (ko) * 1989-03-30 1995-06-14 도오도오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변기의 세정급수장치
KR20040084201A (ko) * 2003-03-27 2004-10-06 대림통상 주식회사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JP2015006937A (ja) * 2013-06-25 2015-01-15 日立化成株式会社 巻芯保持具、巻芯ユニット及びフィルム状接着剤セ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25B1 (ko) * 1989-03-30 1995-06-14 도오도오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변기의 세정급수장치
KR950004112Y1 (ko) * 1992-03-26 1995-05-20 이제혁 절수형 정유량 역지 밸브
KR20040084201A (ko) * 2003-03-27 2004-10-06 대림통상 주식회사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JP2015006937A (ja) * 2013-06-25 2015-01-15 日立化成株式会社 巻芯保持具、巻芯ユニット及びフィルム状接着剤セ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743B1 (ko) 2018-10-02 2020-02-20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직수압식 양변기 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452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2625B2 (ja) 水洗便器と洗浄水給水装置
JP6002878B2 (ja) 便器の給水弁とその制御方法
KR20080045251A (ko) 수세식 대변기
KR100919707B1 (ko)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CN111733943A (zh) 一种改善噪音的马桶冲洗装置
JP5980959B2 (ja) ビールの泡噴出及びビールストーン生成防止装置
JP3793983B2 (ja)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の洗浄水供給装置
JP4119549B2 (ja) 洗浄機用切替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洗車装置
KR101696865B1 (ko)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JP6001832B2 (ja) 水洗式便器
CN102518196B (zh) 喷射装置及使用该喷射装置的卫生清洗装置
JP6386307B2 (ja) リンス槽および該リンス槽を用いた基板洗浄方法
CN114277897B (zh) 卫生洁具用供水装置
JP2016113818A (ja) 便器装置
JP2015068121A (ja) 水洗大便器装置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JP4687275B2 (ja) 充填バルブ
JP5034168B2 (ja) 洗浄装置
KR20050043610A (ko)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JP6362018B2 (ja) 水洗大便器装置
JP3359353B2 (ja) 自己洗浄機能付充填ノズル
JP6544574B2 (ja) 水洗大便器装置
JP7390696B2 (ja) 充填バルブ
KR102350287B1 (ko) 절수형 직수 양변기 장치
JP2018199902A (ja) 給水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