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201A -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 Google Patents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201A
KR20040084201A KR1020030019097A KR20030019097A KR20040084201A KR 20040084201 A KR20040084201 A KR 20040084201A KR 1020030019097 A KR1020030019097 A KR 1020030019097A KR 20030019097 A KR20030019097 A KR 20030019097A KR 20040084201 A KR20040084201 A KR 2004008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bidet
water
supply val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선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4201A/ko
Publication of KR2004008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모터축 기어를 가진 구동모터; 상기 모터축 기어와 치합되는 레버기어를 가진 급수조작 레버; 상기 급수조작 레버에 설치되는 캠축; 상기 캠축의 캠에 의해 압압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에 의해 유입된 세척수가 흐르는 통수관; 상기 급수밸브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레버기어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포토인터럽트;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포토인터럽트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세척을 위한 구동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데 제어부로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화장실 건축공간에 따른 실내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고, 또한 자동으로 급수장치가 동작됨으로써 소비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A BIDET WITH WATER SUPPLY APPRATUS}
본 발명은 양변기에 설치되는 비데(bid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에 설치되어 그 저수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비데에 내설하여 일체화 한 자동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비데는 제어패널의 버튼 조작으로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온수에 의해 항문이나 국부세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항문세정이란 대변을 본 후에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온수로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항문을 세정토록 하는 것이고, 비데세정이란 특히 여성들의 국부를 자동으로 세정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데가 설치되는 양변기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가 세척수가 저장되는 로우탱크에 내설된 로우탱크 방식이 있고, 로우탱크없이 곧바로 수도전과 연결된 급수장치인 플러쉬밸브 방식이 있다.
그런데 종래 로우탱크 방식의 양변기에 비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비데의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국부세정을 한 후에 로우탱크의 급수조작 레버를 작동시켜 양변기의 저수조를 세척하게 되고, 플러쉬밸브 방식의 양변기에 비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비데의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국부세정을 한 후에 수도전과 연결된 급수조작 레버를 작동시켜 양변기의 저수조를 세척하게 된다.
이처럼 국부세정을 위한 비데와 저수조 세척을 위한 로우탱크 방식과 플러쉬밸브 방식의 급수장치를 가진 양변기가 각각 별개의 장치로서, 양변기에 비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따라서 로우탱크 방식이나 플러쉬밸브 방식 둘다 양변기의 외부로 돌출설치되어 있어서, 그 설치공간의 확보로 인해서 화장실의 건축공간이 커지거나 화장실의 건축공간이 정해진 경우에는 화장실의 실내공간이 비좁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로우탱크 방식이나 플러쉬밸브 방식 둘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급수레버의 조작에 의해 급수장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인데, 특히, 플러쉬밸브 방식일 경우에는 힘을 주어 급수조작 레버를 눌러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변기의 급수장치를 비데에 내설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화장실 건축공간에 따른 실내공간을 최대화하고, 또한 사용자가 용변후에 자동으로 급수장치가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급수장치의 동작전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급수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급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우측단면도로서,
도 3a는 급수밸브의 동작전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급수밸브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유량조절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급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급수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비데 제어부 120 : 적외선 센서
130 : 포토인터럽트 140 : 구동모터
141 : 모터축 기어 150 : 급수조작 레버
151 : 레버기어 160 : 캠축
210 : 푸쉬로드 220 : 유량조절구
221 : 중공부 230,250 : 압축스프링
240 : 급수밸브 241 : 상 돌부
242 : 하 돌부 243 : 안착부
260,270 : 수납구 300 : 통수관
400 : 유입 간극 500 : 입수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축 기어를 가진 구동모터; 상기 모터축 기어와 치합되는 레버기어를 가진 급수조작 레버; 상기 급수조작 레버에 설치되는 캠축; 상기 캠축의 캠에 의해 압압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에 의해 유입된 세척수가 흐르는 통수관; 상기 급수밸브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레버기어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포토인터럽트;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포토인터럽트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세척을 위한 구동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데 제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기술구성을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급수장치의 동작전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급수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급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우측단면도로서, 도 3a는 급수밸브의 동작전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급수밸브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유량조절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급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급수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수동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기어(151)가 설치된 급수조작 레버(150); 사용자가 용변후 일어서거나 양변기를 일정거리 벗어나면 자동조작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기어(151)와 치합된 모터축 기어(141)를 가진 구동모터(140)와, 상기 레버기어(151)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포토인터럽트(130)와,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120)와, 상기 포토인터럽트(13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량을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120)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세척을 위한 구동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데 제어부(110); 및상기 급수조작 레버(150)에 설치되는 캠축(160)으로 수동 및 자동조작을 위한 능동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포토인터럽트(130)는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고장시와 같은 비상시에 비상복구후에 비상시의 캠(161)의 위치를 파악하여 초기상태로 리셋시키고, 작동시 캠(161)이 푸쉬로드(210)를 누르는 위치에서 캠(161)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레버기어(151)의 회전위치로 캠(161)의 위치를 파악하여 그 검출신호를 비데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조작 레버(150)의 조작과 구동모터(14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캠축(160)의 캠(161)에 의해 일단이 압압되는 푸쉬로드(210); 상기 푸쉬로드(210)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밸브(240); 상기 급수밸브(240)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230); 및 상기 급수밸브(240)의 개방에 의해 유입되는 세척수 유입량을 조절토록 압축스프링(230)이 외주연에 설치된 유량조절구(220)로 피동장치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능동장치의 조작에 의해 피동장치가 작동됨으로써 세척수가 유입되어 양변기의 저수조로 토수되도록 유통로(310)와 토출로(320)로 이루어진 통수관(300)이 구성된다.
상기 유통로(310)에 상기 푸시로드(210)의 타단쪽 몸체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구(220)는 상기 푸쉬로드(210)가 삽입되는 중공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밸브(240)는 상기 중공부(221)로 삽입된 푸쉬로드(210)의타단과 접촉설치되도록 상기 중공부(221)로 삽입설치되는 상 돌부(241)와 압축스프링(250)이 내삽설치되는 하 돌부(242) 및 상기 상 돌부(241)와 하 돌부(242) 사이에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절구(220)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안착부(243)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처럼 상기 유량조절구(220)와 급수밸브(240)는 안착부(243)가 유량조절구(220)의 하단부와 접촉되게 상 돌부(241)가 상기 중공부(221)로 삽입되되, 상 돌부(241)의 외주면과 중공부(22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입 간극(400)이 형성되어 상호결합된다.
이렇게 상호 결합되는 상기 유량조절구(220)와 급수밸브(240)는 각각 그 압축스프링(230)(250)을 지지하는 수납구(260)(270)에 피스톤식으로 슬라이딩 승강되게 내설된다.
상기 유량조절구(220)의 수납구(260)의 내주면에는 하강 슬라이딩시 그 하강한계를 결정짓는 걸림턱(2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261)은 예상치 못한 돌발사태에 의해 유량조절구(220)의 하단부와 급수밸브(240)의 안착부(243)가 접촉되어 유입 간극(400)이 닫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같은 능동장치와 피동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급수장치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조(組)로 구성되어 상기 캠축(160)의 캠(161)에 의해 푸쉬로드(210)가 순차적으로 압압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포토인터럽트(130), 적외선 센서(120), 비데 제어부(110) 및 구동모터(140)에 의해 자동급수 장치가 동작되고,정전시나 기타 고장시에는 사용자가 급수조작 레버(150)에 의해 수동급수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작용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양변기에서 용변을 본 후에 본 발명의 수동 급수장치인 급수조작 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세척수가 토출되어 양변기의 저수조가 세척되고, 사용자가 양변기에서 일어서거나 그 자리를 벗어나게 되면 본 발명의 자동 급수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수가 토출되어 양변기의 저수조가 세척된다.
먼저, 평상시의 자동세척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 양변기에서 일어서거나 그 자리를 일정거리 벗어나게 되면 도 5의 블럭구성도에 나타낸 것처럼, 비데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120)가 검출신호를 비데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비데 제어부(110)는 구동모터(14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1과 도 3a의 급수장치 동작전 상태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40)가 회전구동하여 그 모터축 기어(141)가 회전되고, 치합된 레버기어(151)가 회전되어 캠축(160)이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도 2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161)이 푸쉬로드(210)를 누르면 급수밸브(240)가 그 압축스프링(250)이 수납구(270)에서 압축되면서 슬라이딩 하강된다.
상기 캠(161)이 푸쉬로드(210)를 누르는 위치에서 구동모터(140)가 몇 초간 일시 정지하게 되는데, 캠(161)의 위치는 포토인터럽트(130)가 구동모터(140)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기어(151)의 특정 위치를 감지하여 그 검출신호를 비데 제어부(110)로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비데 제어부(110)에 의해 선정된다.
그 결과 상호 접촉되어 있던 유량조절구(220)의 하단부와 급수밸브(240)의 안착부(243)가 이탈되면서 개방 폭 W1으로 오픈되게 된다.
이렇게 오픈되면 입수구(500)에 연결된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 돌부(241)의 외주면과 중공부(22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유입 간극(400)을 통해 통수관(300)으로 유입되게 된다.
통수관(300)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유통로(310)를 거쳐 토출로(320)로 빠져나가서 양변기의 저수조로 유입되어 오물을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동 급수장치의 동작은 도 2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하나의 캠(161)이 푸쉬로드(210)를 압압하여 급수밸브(240)가 개방된 후에 다시 또 하나의 캠(161)이 푸쉬로드(210)를 압압하여 급수밸브(240)를 개방시키는 방식으로 순차동작한다.
여기서도 상기 처럼 캠(161)이 푸쉬로드(210)를 누르는 위치에서 구동모터(140)가 몇 초간 일시 정지하게 된다.
한편, 통수관(300)의 유통로(31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은 지대에 따라 집집마다 일정하지 않다. 그래서 수압이 높을 경우에는 급수밸브(240)의 개방정도, 즉 개방 폭 W1을 좁혀 유입되는 세척수의 량을 줄여서 절수를 하도록 유량조절구(220)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조절구(220)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통로(310)가 세척수 상승시의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구조이므로 지대에 따라 다른 수압의 차이는 유통로(310)에서 적절하게 반영된다.
푸시로드(210)가 급수밸브(240)를 눌러 유량조절구(220)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있던 급수밸브(240)의 안착부(243)가 이탈되게 되면 유입 간극(400)이 입수구(500)와 연통되고, 유입 간극(400)을 통해서 세척수가 유통로(310)로 상승되어 유입된다.
이때 유입되는 수압이 강한 경우,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압에 의해 유량조절구(220)가 그 압축스프링(230)이 수납구(260)에서 압축되면서 피스톤식으로슬라이딩 하강된다. 따라서 개방 폭 W1이 W2로 좁아짐에 따라 세척수의 유입량이 감소하게 된다.
개방 폭은 좁아지지만 수압이 세면 적은 량의 세척수로도 양변기의 저수조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으므로 유량조절구(220)는 절수기능을 하게되는 것이다.
그런데 세척수의 량이 적어지면서 수압도 약해지므로 수압에 의해 개방 폭이 제로가 되어 유입 간극(400)이 닫히는 경우가 발생되지는 않겠지만 예상하지 못한 돌발사태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유량조절구(220)의 수납구(260)의 내주면에 걸림턱(261)이 형성되어 있다.
정전이나 고장시와 같은 비상시의 수동세척의 경우에는 급수조작 레버(15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설명대로 캠축(160)이 회전되면서 캠(161)이 푸쉬로드(210)를 순차적으로 누르고, 푸쉬로드(210)가 급수밸브(240)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유입 간극(400)이 입수구(500)와 연통되어 세척수가 통수관(300)을 통해 저수조로 토출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데에 양변기의 급수장치를 내설함으로써 화장실 건축공간에 따른 실내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고, 또한 자동으로 급수장치가 동작됨으로써 소비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모터축 기어를 가진 구동모터;
    상기 모터축 기어와 치합되는 레버기어를 가진 급수조작 레버;
    상기 급수조작 레버에 설치되는 캠축;
    상기 캠축의 캠에 의해 압압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에 의해 유입된 세척수가 흐르는 통수관;
    상기 급수밸브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레버기어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포토인터럽트;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포토인터럽트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세척을 위한 구동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데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2. 제 1항에 있어서, 급수장치를 1조(組)로 구성하여 상기 캠축의 캠에 의해 푸쉬로드를 순차적으로 압압하되, 각 푸쉬로드 압압 시 구동모터가 일시 정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관과 급수밸브 사이에 통수관으로의 세척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구는 상기 푸쉬로드가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연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중공부로 세척수 유입 간극을 형성토록 삽입되는 상 돌부와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는 하 돌부 및 상기 상 돌부와 하 돌부 사이에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절구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안착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구와 급수밸브를 그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는 수납구에 피스톤식으로 슬라이딩 승강되게 내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구의 수납구의 내주면에 하강 슬라이딩시 그 하강한계를 결정짓는 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KR1020030019097A 2003-03-27 2003-03-27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KR20040084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097A KR20040084201A (ko) 2003-03-27 2003-03-27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097A KR20040084201A (ko) 2003-03-27 2003-03-27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201A true KR20040084201A (ko) 2004-10-06

Family

ID=3736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097A KR20040084201A (ko) 2003-03-27 2003-03-27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420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07B1 (ko) * 2008-01-17 2009-10-06 주식회사 노비타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KR100972611B1 (ko) * 2008-03-28 2010-07-27 주식회사 노비타 변기 저수조 세척용 비데의 급수 장치
KR101012466B1 (ko) * 2008-07-04 2011-02-08 주식회사 노비타 급수 장치
KR102331094B1 (ko) * 2020-09-28 2021-12-01 김창호 위생도기용 급수장치
KR20220042622A (ko) * 2020-09-28 2022-04-05 김창호 위생도기용 급수장치
KR20230134212A (ko) * 2022-03-14 2023-09-21 왕태철 연속공급을 위한 리던던시 기능을 갖는 플라스마 발생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07B1 (ko) * 2008-01-17 2009-10-06 주식회사 노비타 개폐밸브, 이를 이용한 변기세정장치
KR100972611B1 (ko) * 2008-03-28 2010-07-27 주식회사 노비타 변기 저수조 세척용 비데의 급수 장치
KR101012466B1 (ko) * 2008-07-04 2011-02-08 주식회사 노비타 급수 장치
KR102331094B1 (ko) * 2020-09-28 2021-12-01 김창호 위생도기용 급수장치
KR20220042622A (ko) * 2020-09-28 2022-04-05 김창호 위생도기용 급수장치
KR20230134212A (ko) * 2022-03-14 2023-09-21 왕태철 연속공급을 위한 리던던시 기능을 갖는 플라스마 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9604B2 (en) Tankless western-style flush toilet
US8701222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101899043B1 (ko) 절수형 욕실 시스템
JP7478962B2 (ja) 手洗い器付き水洗便器装置
KR20040084201A (ko) 급수장치를 구비한 비데
US20050022292A1 (en) Toilet water saving apparatus linkable with bidet, and water saving method thereof
KR20080049422A (ko)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용변 사용자 하중을 이용한무전력 대.소변 배수기능이 구비된 자동 물내림 시스템
US8152135B2 (en) Automatic flush actuation apparatus
KR102195888B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자동물내림 기능을 갖는 전자식 비데의 자동물내림장치
US8430118B2 (en) Automatic flush device
KR100980398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0959693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구비된 변좌시트
KR100978354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 구비된 변좌시트
JP5582312B2 (ja) 自家発電ビデの制御方法
KR102195889B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정전시 계속 물내림 해지장치
KR102085963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JP2000297454A (ja) 便器洗浄装置
KR200187602Y1 (ko) 절수형 좌변기 자동 세척 장치
JPS59155666A (ja) 自動水栓
JP2685798B2 (ja) 水洗便所のフラッシュバルブ用節水装置
KR200436828Y1 (ko) 비데용 세정수의 배압차단장치
JP4114475B2 (ja) 洗浄給水装置
KR20020062861A (ko) 절수 장치 및 그 방법
JPH09256448A (ja) 男子小用の自動洗浄装置
JP2519221Y2 (ja) 排水、非排水自動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