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466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466B1
KR100918466B1 KR1020070047041A KR20070047041A KR100918466B1 KR 100918466 B1 KR100918466 B1 KR 100918466B1 KR 1020070047041 A KR1020070047041 A KR 1020070047041A KR 20070047041 A KR20070047041 A KR 20070047041A KR 100918466 B1 KR100918466 B1 KR 10091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member
side lock
lock arm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802A (ko
Inventor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하우징이 연결되기 전에 검지 부재가 압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검지 부재(50)는,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하우징(80)이 적절히 연결되기 전에 검지 부재(50)를 로킹 위치를 향해 압박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에, 검지 부재(50)의 압입 방지부(57)와 암형 하우징(10)의 유지부(59)의 맞물림에 의해 압입 방지 위치에 유지된다.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하우징(80)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검지 부재(50)가 로킹 위치(2P)를 향해 압박되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수형 하우징(80)의 간섭부(89)와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압입 방지부(57)는 유지부(59)로부터 분리되고 검지 부재(50)는 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검지 부재(50)가 로킹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복원되어 암형 하우징(10)의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우징측 로크 아암(72)과 함께 맞물림부(88)와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커넥터, 암형 하우징, 로킹 위치, 검지 부재, 탄성 변형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를 상부 뒤쪽에서부터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며,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압입 방지 위치에 검지 부재가 조립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암형 커넥터의 배면도이고,
도 5는 암형 커넥터의 저면도이며,
도 6은 암형 커넥터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7은 암형 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8은 암형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9는 암형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암형 하우징에 대해 개방 상태에 있는 커버를 상부 앞쪽에서부터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암형 하우징에 대해 개방 상태에 있는 커버를 상부 뒤쪽에서부터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며,
도 12는 코일 및 단자 피팅이 장착되어 있고, 파괴 예정부는 단자 피팅에 여 전히 남아 있는 암형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13은 파괴 예정부가 폐기된 암형 하우징의 배면도이며,
도 14는 암형 하우징, 코일, 단자 피팅 및 커버의 분해 수평 단면도이고,
도 15는 검지 부재를 상부 앞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며,
도 16은 검지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7은 검지 부재의 저면도이며,
도 18은 연결되기 전의 2개의 커넥터의 분해 수평 단면도이고,
도 19는 하우징측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있고 2개의 하우징이 연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20은 하우징측 로크 아암이 복원되어, 2개의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며,
도 21은 검지 부재의 압입 작업을 시작하여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22는 압입 방지부가 유지부를 지나 이동하기 바로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며,
도 23은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복원되어 있어, 하우징측 로크 아암과 함께 2개의 하우징을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로킹시킨 상태를 도시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24는 검지 부재가 후퇴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적절히 연결된 2개의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며,
도 25는 검지 부재를 로킹 위치로 압입함으로써 단자 핀 간의 단락 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암형 커넥터
M : 수형 커넥터
10 : 암형 하우징(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11 : 타워부
26 : 수용부
30 : 커버
50 : 검지 부재
51 : 조작부
52 :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
54 : 검지 부재측 로크부
55 : 안내면
57 : 압입 방지부
59 : 유지부
62 : 해제편
71 : 하우징측 로크 아암
72 : 하우징측 로크부
80 : 수형 하우징(다른 커넥터 하우징)
84 : 단자 핀
85 : 단락 단자
88 : 맞물림부
89 : 간섭부
90 : 안내면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에 상응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커넥터에는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과, 이들 두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도록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내에 조립된 검지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11-86971호에 개시된 커넥터의 경우,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에 리테이너가 장착되며, 이 리테이너에는 두 커넥터 하우징을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로킹시키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로크 아암이 형성되어 있고, 이 로크 아암의 변형 영역에 검지 부재의 검지편이 삽입될 수 있다.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연결된 경우, 로크 아암은 탄성 변형된 상태로 남아 있어, 검지 부재의 압입 이동이 검지편과 로크 아암의 간섭으로 인해 제한된다. 한편,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로크 아암은 검지편의 이동 경로를 개방하도록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이에 의해 검지 부재가 압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상태는 검지 부 재가 압입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검지될 수 있다.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 로크 아암이 원래의 상태로 있을 때에 검지 부재가 압입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검지 부재가 이미 압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면, 현장에서 검지 부재를 초기 위치로 되돌릴 필요가 있는 데, 이는 시간이 걸리며 수고스런 일이다. 또한, 어쩔 수 없이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이 완료된 후에 검지 부재를 압입하여야 하는 데, 즉 두가지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이 성가시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하기 전에 검지 부재가 압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의 주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대응 커넥터의 대응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 조립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을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로킹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측 로크 아암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측 로크 아암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된 경우에 대응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맞물림부와 탄성적으로 맞물리 수 있으며,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이 제1 위치에서부터 압입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도달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한편,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검지 부재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과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검지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검지 부재가 상기 제2 위치까지 또는 그 제2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에 또는 그 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압입 방지부와 맞물리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되기 전에 상기 검지 부재를 제2 위치를 향해 압박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에, 상기 압입 방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맞물림에 의해 제1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된 경우 상기 검지 부재가 제2 위치를 향해 압박되게 되면,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부와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입 방지부는 상기 유지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제2 위치까지 또는 그 제2 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상 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은 검지 부재가 제2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배치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고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과 함께 상기 맞물림부와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검지 부재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되기 전에 검지 부재를 제2 위치를 향해 압박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에, 압입 방지부와 유지부의 맞물림에 의해 제1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된 경우 검지 부재가 제2 위치를 향해 압박되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압입 방지부 및 유지부는 맞물림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검지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상태는 검지 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가에 따라 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위치까지 또는 그 제2 위치를 향한 검지 부재의 이동이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이 시작되기 전이라도 압입 방지부와 유지부의 맞물림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검지 부재가 (예를 들면, 운반 중에) 제2 위치를 향해 우연히 압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검지 부재가 제2 위치에 실질적으로 도달함에 따라,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하우징측 로크 아암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또는 그에 실질적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고, 하우징측 로크 아암과 함께 맞물림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과 하우징측 로크 아암 중 어느 하나가 맞물림부의 맞물림 상태로부터 우연히 해방되는 경우라도,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은 나머지 로크 아암에 의해 서로에 로킹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압입 방향으로 검지 부재를 압입함으로써 검지되기 때문에,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은 검지 부재를 압입하는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 및 검지 부재의 압입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의 외면은 검지 부재가 조립 상태에 있는 경우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면으로 맞춰지고 서로 연속하게 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외면과 하우징측 로크 아암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면으로 맞춰지고 서로 연속하게 되기 때문에, 2개의 로크 아암 간에 단차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물체가 외부로부터 2개의 로크 아암 사이로 들어와, 2개의 로크 아암 중 어느 하나에 끼여 그 로크 아암을 의도하지 않게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 부재는 이 검지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압박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상기 조작부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단부들에서 실질적으로 연결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연결 방향으로 연장하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은 상기 타워부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을 따라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에는 상기 맞물림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측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부는 제2 위치로의 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면은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될 때에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을 안내하도록, 상기 간섭부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부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 부재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연결될 때에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단락 단자(shorting terminal)에 의한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해제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이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과 연결할 수 있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 대응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은 적어도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한쌍의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 바람직하게는 검지 부재측 로크부는 제2 위치로의 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간섭부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을 구비하며,
두 안내면은 모두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되어 있을 경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을 안내하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은 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 부재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연결될 때에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단락 단자에 의한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해제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들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그 내에 조립되어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와,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로킹시키는 하우징측 로크 아암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측 로크 아암은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맞물림부와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되는 것인 커넥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는 압입 방지 위치와, 이 압입 방지 위치로부터 연결 방향으로 압임됨으로써 도달하는 로킹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한편,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상기 검지 부재의 조립 상태에서 하우징측 로크 아암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검지 부재가 압입 방지 위치에 있을 경우 검지 부재가 로킹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에 마련된 압입 방지부와 맞물리는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검지 부재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되기 전에 검지 부재를 로킹 위치를 향해 압박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에, 상기 압입 방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맞물림에 의해 압입 방지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은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검지 부재가 로킹 위치를 향해 압박되면 상기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간섭부와 미끄럼 접촉을 유지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입 방지부는 유지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검지 부재는 로킹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은 검지 부재가 로킹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하우징측 로크 아암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복원되어 하우징측 로크 아암과 함께 상기 맞물림부와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검지 부재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되기 전에 검지 부재를 로킹 위치를 향해 압박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에, 상기 압입 방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맞물림에 의해 압입 방지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검지 부재가 로킹 위치를 향해 압박되면, 상기 압입 방지부와 유지부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검지 부재가 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맞물림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상태가 검지 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가에 따라 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킹 위치로의 검지 부재의 이동이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이 시작되기 전이라도 압입 방지부와 유지부의 맞물림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검지 부재가 로킹 위치를 향해 우연히 압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검지 부재가 로킹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하우징측 로크 아암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복원되어, 하우징측 로크 아암과 함께 맞물림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과 하우징측 로크 아암 중 어느 하나가 우연히 맞물림부로부터 해방되더라도,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은 나머지 로크 아암에 의해 서로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상태가 검지 부재를 연결 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검지되기 때문에,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은 검지 부재를 압입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 및 검지 부재의 압입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의 외면은 검지 부재가 조립 상태에 있는 경우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면으로 맞춰지고 서로 연속하게 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외면과 하우징측 로크 아암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면으로 맞춰지고 서로 연속하게 되기 때문에, 2개의 로크 아암 간에 단차가 실질적으로 존재하기 않는다. 따라서, 외부 물체가 외부로부터 2개의 로크 아암 사이로 들어와, 2개의 로크 아암 중 어느 하나에 끼여 그 로크 아암을 의도하지 않게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 부재는, 이 검지 부재가 로킹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압박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상기 조작부의 대향하는 단부들에서부터 연결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연결 방향으로 연장하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은 상기 타워부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다른 커넥터 하우징은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에 대응하는 한쌍의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조작부의 대향하는 단부들에서부터 연결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한쌍의 맞물림부가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마련되기 때문에,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은 균형이 잘 맞은 상태로 로킹되고, 그 로킹 강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은 상기 맞물림부에 대응하는 검지 부재측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부는 로킹 위치로의 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안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간섭부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안내면을 구비하고,
두 안내면은 모두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을 안내하도록 서로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검지 부재측 로크부는 로킹 위치로의 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안내면을 구비하는 한편, 간섭부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수용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안내면을 구비한다. 이들 두 안내면은 모두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을 안내하도록 서로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은 원활히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간섭부에 안내면을 마련함으로써, 검지 부재와 간섭부가 검지 부재의 압입 작업 중에 서로 대면하는 경우 검지 부재와 간섭부 간의 상대 위치가 규정된 위치에 대해 다소 변위되더라도, 그러한 변위는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커넥터 하우징은 이 다른 커넥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을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 부재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연결될 때에 상기 단락 단자에 의한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단락 해제편을 포함한다.
검지 부재가 단락 단자에 의한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단락 해제편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락 해제부를 추가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관리의 불편함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할 때에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지만, 그 실시예들의 개개의 특징은 추가의 실시예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팽창기(inflator)용 커넥터, 즉 팽창기(바람직하게는 내장형)를 갖는 에어백 장치의 회로의 일부를 구성 또는 형성하는 커넥터를 예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에는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암형 및 수형 커넥터(F, M)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FBD)과 관련하여서는 2개의 커넥터(F, M)가 연결되는 쪽을 전방측으로 지칭하며, 수직 방향과 관련하여서는 도 1을 기준으로 한다.
먼저, 에어백 장치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커넥터는 소정 장비에 직접 연결되는 수형 커넥터(M)로서 구성되며, 수형 하우징(80)(바람직한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상응)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수형 하우징(80)은 상기 에어백 장치(구체적으로 이 장치의 바닥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또는 단일체로 돌출하며, 도 18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에 실질적으로 둥근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수형 하우징(80)은 외부 프레임 보디(81)(바람직하게는 구형 또는 둥근 형상)와 이 외부 프레임 보디(8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우거나 삽입될 수 있는 내부 프레임 보디(82)를 포함하며, 전방측이 개방된 내부 프레임 보디의 내부 공간은 후술하는 대응 암형 커넥터(F)의 타워부(1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끼워 맞춤 오목부(83)를 형성한다. 내부 프레임 보디(82)의 측벽(좌측 및/또는 우측벽)은 대부분이 절단된 전방부를 구비하며, 에어백 장치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구체적으로는 2개의 단자 핀(84)(수형 단자 피팅)이 끼워 맞춤 오목부(83)의 후방면에서 실질적으로 횡방향(TD)(폭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거의 나란히 돌출하고 있다.
끼워 맞춤 오목부(83)의 천정면은 실질적으로 단락 단자(shorting terminal)(85)의 장착면을 형성하도록 약간 낮게, 즉 내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단락 단자(85)는 2개의 단자 핀(8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 또는 거리를 두고 갈라진, 즉 분리된 접촉편(86)을 포함하며, 이 두 접촉편(86)은 모두 그 중간 위치에서 약간 낮아진 후에, 즉 내측으로 변위된 후에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한편, 0°또는 180°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아래로 굴곡된 연장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두 접촉편(86) 모두의 계단형 부분은 전방을 향해 위쪽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87)로서 기능을 한다. 두 접촉편(86)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은 장착면의 전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있다. 두 접촉편(86)의 연장 단부는 대응 단자 핀(84)(바람직하게는 그 기단부)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두 단자 핀(84)은 단락 단자(85)에 의해 통상 서로 단락 상태로 유지된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맞물림부(88)가 수형 하우징(80)의,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프레임 보디(81)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내면의 소정 위치에, 즉 끼워 맞춤 오목부(83)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의 소정 위치에서 전방 단부로부터 약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부(88)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정(미리 정해진 또는 미리 정해질 수 있는) 범위에 걸쳐 실질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형태이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경사진 전방면 및/또는 후방면을 구비하며, 이 후방면은 바람직하게는 전방면보다 가파른 경사각을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88)는 통상 하우징측 로크 아암(71) 및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과 맞물릴 수 있다. 각 맞물림부(88)의 둘레의 한쪽,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한 상측은 대응하는 하우징측 로크 아암(71)과의 맞물림 영역으로 기능을 하며, 각 맞물림부(88)의 둘레의 다른쪽,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한 하측은 대응하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과의 맞물림 영역으로 기능을 하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과의 맞물림 영역으로서 기능을 하며, 각 맞물림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수직 방향, 또는 두 커넥터(F, M)의 전후 방향(FBD) 및/또는 연결 방향(C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부(88)의 앞에 위치하는 수형 하우징(8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간섭부(89)로서 작용을 하며, 여기에 전방(개방 에지)을 향해서 연결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고 개방 에지를 향해 간격이 넓어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안내면(90)이 형성되어 있다. 간섭부(89)(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간섭부)의 안내면(90)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가파른 경사부 및 완만한 경사부를 구비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경사각의 2개의 경사부를 구비하고, 전방 경사부(개방 에지측)는 후방 경사부(후방측)보다 가파른 경사각을 가져, 끼워 맞춤 오목부(83)가 개방 에지를 향해 크게 확장되어 있다. 경사의 변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거나, 변동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이어서, 팽창기측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커넥터는 특히 암형 커넥터(F)로서 구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암형 하우징(10)(바람직한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에 상응)과, 이 암형 하우징(10)의 후방면에 또는 그 상에 장착할 수 있는 커버(30)와, 암형 하우징(10)이 전술한 수형 하우징(80)과 적절히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50)를 포함한다. 또한, 노이즈 필터링용 코일(13) 및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구체적으로 2개의 암형 단자 피팅(12)이 암형 하우징(10)에 또는 그 내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13)은 특히 오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도선(14)이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3)의 양단부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각 단자 피팅(12)은 바람직하게는 양호하거나 충분한 전기 전도도를 갖는 도전성의 플레이트(바람직하게는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스템핑, 엠보싱, 벤 딩, 폴딩 또는 커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대응 단자 핀(84)과의 연결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방향(FBD)으로 연장하는 단자 연결부(15)와, 실질적으로 아래측 또는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단자 연결부(15)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도선부(16)를 포함한다. 단자 피팅(12)은 측면에서 볼 때에 (바람직하게는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단자 연결부(15)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튜브 형상을 하며, 그 측면(좌측 및/또는 우측)을 엠보싱 가공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접점편(17)이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단자 핀(84)은 전방에서부터 단자 연결부(15)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접점편(17)(바람직하게는 2개의 모두의 접점편)과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단자 연결부(15)의 측면(바닥면)에 또는 그 내에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제 또는 탄성의) 로킹부(18)가 바람직하게는 커팅 및 벤딩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선부(16)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수직 방향)에 대해 양단부에서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플레이트면이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하고 있는 버스바아(busbar) 형태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장착부(19)와, 이들 2개의 장착부(19) 사이에, 즉,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중앙 위치)에 위치하여 플레이트면이 실질적으로 폭방향[횡방향(TD)]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편, 그 연장 단부로부터 돌출하여 바람직하게는 거의 L자 형상을 하는 부분을 갖는 확장부(20)와, 측방향(하측) 장착부(19)의 측방향(바닥) 단부에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확장부(20)의 대한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한편, 전선(91) 단부의 코어(92) 및/또는 절연 피복(93)과 연결될 수 있는 배럴 형태의 전선 연결부(21)를 포함하고 있 다. 상측 장착부(19)의 상단부는 단자 연결부(15)의 하나의 후방 에지에 연결된다.
2개의 단자 피팅(12) 중 하나에는 높이 방향에 대한 확장부(20)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단자 피팅(12)이 암형 하우징(10) 내에 장착된 후에 (프레스 또는 커팅 장치에 의해) 분리 또는 절단될 파괴 예정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파괴 예정부(22)가 확장부(20)로부터 분리 또는 절단된 후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구멍(23) 또는 분리부가 형성되고, 이 분할 구멍(23)의 실질적으로 양측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은 코일(13)의 2개의 도선(14)과 각각 연결되는 코일 연결부(24)로서 기능을 한다. 2개의 코일 연결부(24)는 코일(13)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단자 피팅(12)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유지편(25)이 두 코일 연결부(24)의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에서 커팅 또는 벤딩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두 유지편(25)은 모두 후방[암형 하우징(10)의 후방면]을 향해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경사 또는 굴곡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방 단부는 탄성 변형의 지지점으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파괴 예정부(22)를 갖지 않는 다른 단자 피팅(12)에서 바람직하게는 커팅 및 벤딩 가공에 의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유지편(25)이 형성된다.
암형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26)(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긴 두꺼운 플레이트 형상)와, 이 수용부(26)의 전방면(바람직하게는 그의 상단부)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타워부(11)를 포함하며, 이 타워부(11)는 대응 끼워 맞춤 오목부(8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단자 피팅(12)의 단자 연결부(15)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공동(27)이 타워부(11)에서 단자 핀(8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횡방향(TD)(폭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해당 공동(2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12)의 단자 연결부(15)는 실질적으로 전후방향(FBD)[연결 방향(CD)]을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되어 있다. 대응 단자 핀(84)을 전방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하는 단자 삽입 개구(28)는 각 공동(27)의 전방 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 연결부(15)가 적절한 위치를 향해 또는 그 위치까지 압박되는 경우 금속제 로킹부(18)와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계단형 결합부(29)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27)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검지 부재(50)의 삽입을 허용하는 검지 부재 삽입 통로(94)가 암형 하우징(10)의 타워부(11)의 근방에 또는 그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검지 부재 삽입 통로(94)와 연통하는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이 수용부(26)를 두께 방향[전후 방향(FBD)]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은, 타워부(11) 위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타워부(11)의 상부면을 따라 연장(상부면의 중앙부는 제외함)하는 제1 검지 부재 삽입 구멍(96)과, 제1 검지 부재 삽입 구멍(96)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폭방향 단부와 연통하고 타워부(11)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을 따라 연장하는 제2 검지 부재 삽입 구멍(97)과, 이 제2 검지 부재 삽입 구멍(97)(바람직하게는 그 바닥 단 부)과 연통하며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타워부(11)의 대향하는 측면들을 따라 연장하는 한편, 제2 검지 부재 삽입 구멍(97)보다 폭방향 외측 방향으로 더 넓게 되어 있는 제3 검지 부재 삽입 구멍(98)으로 이루어진다.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하우징(80)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서로에 로킹시키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이 바람직하게는 그 사이에 제2 검지 부재 삽입 구멍(97)과 검지 부재 삽입 통로(94)가 실질적으로 위치한 상태로 수용부(26)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외면[타워부(11)를 향하는 면에 실질적으로 반대측 표면]은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이 실질적으로 대응 끼워 맞춤 오목부(83)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굴곡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동심의 아치 형상을 갖고 있고, 이러한 굴곡 형상 또는 아치 형상을 따라 제3 검지 부재 삽입 구멍(98)이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대응 맞물림부(88) 내에 그 맞물림부(88)의 홈 표면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측 로크부(72)가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 하우징측 로크부(72)는 바람직하게는 뾰족한 단면, 즉 산 형상의 단면을 갖고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FBD)] 중앙의 약간 앞의 소정 위치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리브 형태를 하고 있다.
코일(13) 및 2개의 단자 피팅(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73, 74)이 수용부(26)의 후방면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개방된 후방측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일(1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코일 수용홈(73)이 수용부(26)의 후방면에서 실질적으로 그 수용부(26)의 하나의 측부 에지(도 9에 도시한 좌측 에지)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단자 피팅(12)의 대응 도선부(1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단자 수용홈(74)이 코일 수용홈(7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단자 수용홈(74)이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 수용홈(74)은 바람직하게는 그 상단부에서 타워부(11)의 공동(27)과 실질적으로 연통하는 한편, 실질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용부(26)의 바닥 단부면에서 개구를 형성하게 되며, 이 개구를 통해 전선(91)이 암형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된다. 각 단자 수용 홈(74)의 바닥 단부는 전선(91)을 수용할 수 있는 굴곡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아치형 단면을 갖는 전선 인출홈(75)을 이루며, 이 전선 인출홈(75)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전선(9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박하거나 그와 상호 작용하여 전선을 고정시키도록 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구체적으로는 2개의 물기용 돌기(biting projection)(76)가 형성되어 있다.
확장부(20)가 장착될 확장부 장착홈(77)이 코일 수용홈(7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단자 수용 홈(74)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확장부 장착홈(77)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12)의 확장부(2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정합하게 폭방향 한쪽(도 8에서 우측)을 향해 변위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피팅(12)의 유지편(25)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해 약간 낮게 또는 변위되어, 수용부(26)의 전방면에 개구를 형성하는 유지용 오목부(78)가 수용부(26)에 또는 그 내에서 확장부 장착 홈(77)의 내면에 또는 그 내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12)은 이 단자 피팅(12)의 유지편(25)과 수용부(26)의 유지용 오목부(78) 간의 탄성 맞물림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암형 하우징(10)에서,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전후 방향(FBD)]으로 관통하는 삽입 윈도우(79)가 단자 수용홈(74)(바람직하게는 그 바닥)에 또는 그 내에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수용홈(73)에 바로 인접한 확장부 장착홈(77)의 바닥에 형성된다. 이러한 암형 하우징(10)의 삽입 윈도우(79)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단자 피팅(12)의 전술한 파괴 예정부(22)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펀칭 또는 절단되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조각으로 되어, 삽입 윈도우(79)를 통해 버려진다.
수용부(26)에서,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전후 방향(FBD)]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윈도우(99)가 실질적으로 높이 방향으로 따라 삽입 윈도우(79)(그 위 및/또는 아래)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확장부 장착홈(77)의 인접 위치(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위치한다. 윈도우(99)는 또한 도선(14)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용접 등의 기타 용도를 위해 사용되는 개구의 일부를 형성 또는 구성하게 된다. 코일 수용홈(73)과 이에 인접한 확장부 장착홈(77) 사이의 격벽의 상부 에지는 코일(13)의 각각 도선(14)(2개의 도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도선 수용홈(69)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커버(3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힌지(31)에 의해 암형 하우징(10)과 단일체로 된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30)는 수용부(26)의 후방면에 또는 그 상에 장착됨으로써 암형 하우징(10)과 협동하여 사이에 단자 피팅(12) 및 코일(13)이 끼이게 하여,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 모두)의 단자 피팅(12)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힌지(31)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30) 및 암형 하우징(10)의 측방향(상측) 단부들에 연결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하우징측 보호벽(32)이 암형 하우징(10)(바람직하게는 그 상단부)의 측방 에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에지들)에서 돌출하고 있고, 힌지(31)의 일단부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각 하우징측 보호벽(3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안내 돌기(33)가 하우징측 보호벽(32)(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호벽)의 후방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커버측 보호벽(34)이 커버(30)(바람직하게는 그 상단부)의 측방 에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에지들)에서 돌출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커버측 보호벽(34) 사이에 힌지(31)의 타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커버(30)는 힌지(31)를 중심으로 제1 상태(열린 상태)와 제2 상태(닫힌 상태) 간에 변위(바람직하게는 회전 또는 선회)할 수 있고, 커버(30)의 (회전 또는 선회) 운동은 그러한 커버(30)의 운동 중에 커버측 보호벽(34)과 안내 돌기(33)의 외측면이 미끄럼 접촉에 의해 안내된다. 힌지(31)가 원래의 상태로 있는 경우(바람직하게는 굴곡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똑바로 연장하는 경우), 커버(30)는 이 커 버(30)와 암형 하우징(10)[수용부(26)] 간에 실질적으로 180°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1 상태(열린 상태)에 있게 된다. 커버(30)가 제2 상태(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커버측 보호벽(34)은 안내 돌기(33) 및 하우징측 보호벽(32)과 실질적으로 가까이 접촉하여 유지되고, 이들 3개의 부품(32, 33, 34)은 힌지(31)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의해 힌지(31)가 외부 물체에 의해 걸리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가 제2 상태(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커버(30)의 하나 이상의 오목부(36)는 암형 하우징(10)의 후방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돌출부(35)와 맞물리게 되며, 이에 의해 커버(30) 및 암형 하우징(10)은 제위치에 배치된 동안에 전체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형 블록의 일부를 구성 또는 형성한다.
아치형 또는 굴곡형 단면을 갖는 코일 유지 오목부(37)는 암형 하우징(10)의 코일 수용홈(7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커버(30)의 전방면(전방면은 닫힌 상태에서 내면이며, 이는 이하의 설명에서도 그대로 적용됨)에 또는 그 내에 형성된다. 또한, 커버(30)에는 검지 부재 통과 구멍(38)이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검지 부재 통과 구멍(38)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10)의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하는 것으로서, 제1 검지 부재 삽입 구멍(96)과 실질적으로 연통하는 위치의 제1 검지 부재 통과 구멍(39), 통로, 또는 오목부와, 제2 검지 부재 삽입 구멍(97)과 실질적으로 연통하는 위치의 하나 이상의 제2 검지 부재 통과 구멍(40), 통로, 또는 오목부와, 제3 검지 부재 삽입 구멍(98)과 실질적으로 연통하는 위치의 제3 검지 부재 통과 구멍(4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30)의 후방면(외면)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 장착 오목부(42)를 형성하도록 약간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이 검지 부재 장착 오목부 안으로는 검지 부재(50)의 조작부(51)(후술함)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또는 끼워질 수 있거나 탈출할 수 있고, 검지 부재 통과 구멍(38)의 후단부는 검지 부재 장착 오목부(42)(바람직하게는 그 바닥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커버(30)의 바닥 에지[힌지(31)가 마련된 단부 에지의 실질적으로 반대측 단부 에지]에, 전선(91)의 느슨한 움직임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전선 압박편(43)이 전선 인출홈(75)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하며, 이 전선 압박편(43)(바람직하게는 그 돌출 단부)에 또는 그 근방에 암형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물기용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0)가 제2 상태(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전선(91)의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전선(91)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떨어진 오목부(45)(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가 커버(30)의 전방면(바람직하게는 그 바닥 단부)에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30)가 닫힌 경우에 암형 하우징(10)의 삽입 윈도우(79) 및/또는 단자 피팅(12)의 분할 구멍(23)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절연편(46)이 커버(30)의 전방면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에서 돌출하고 있다. 이 절연편(46)은 바람직하게는 상측 및/또는 하측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 위치에서 오목하게 되어 있는 거의 쌍곡선형 단면을 갖는 한편, 삽입 윈도우(79)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돌출 거리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제1 로킹편(47)(locking piece)이 높이 방향에 대해 커버(30)의 전방면의 측방 에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에지들)의 하나 이상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서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로킹편(47)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하며,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에 로킹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제2 로킹편(49)이 커버(30)의 전방면의 측방 에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에지들)에 또는 그 근방에서 대응 제1 로킹편(47)에 인접하여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로킹편(49)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하며, 이 제2 로킹편(49)의 내면의 선단부(연장 단부)에 또는 그 근방에서 실질적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로킹 발톱(68)이 돌출하고 있다. 커버(30)의 후방면에는 로킹 발톱(68)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제거할 때에 하나 이상의 몰드 제거 구멍(67)이 형성된다. 한편, 암형 하우징(10)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오목부(66)가 제1 로킹편(47)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2 오목부(65)가 제2 로킹편(49)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된다. 커버(30)가 닫히는 경우에 제1 로킹편(47)의 해당 로킹 구멍(48)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킹 돌기(64)가 제1 오목부(66)[바람직하게는 바닥면(내면)]에서부터 돌출하며, 커버(30)가 닫히는 경우에 제2 로킹편(49)의 해당 로킹 발톱(68)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킹 홈(63)이 바람직하게는 제2 오목부(65)의 바닥면을 오목하게 만듦으로써 형성된다. 제1 로킹편(47)의 외면과 제2 로킹편(49)의 외면은 커버(30)가 닫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수용부(26)의 양 측면들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으로 맞춰져 그에 연속하게 된다[제1 오목부(66) 및 제2 오목부(65)에서는 제외].
이어서, 검지 부재(50)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검지 부재(50)는 2개의 하우징(10, 80)의 적절한 연결을 (특히 기계적으로) 검지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부품들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삽입측,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서부터 커버(30) 및 암형 하우징(10)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또는 끼워질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부재(50)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연결 방향(TD)]으로 연장하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검지 부재(50)의 조립 상태에서 해당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조작부(51)의 단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단부들)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조작부(51)의 전방면의 측방 에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에지들)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하나 이상의 내면은 (바람직하게는 이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기 위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내면에서 중간 위치에서부터 선단을 향해 또는 그 선단까지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박육부(53)(thinning portion)를 형성함으로써 연장 단부(돌출 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또는 전후 방 향(FBD)에 대해 경사져 있다.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선단측은 바람직하게는 박육부(53)가 존재함으로써 그 기단측보다 얇게 되어 있다.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심을 이루는 아치 형상 또는 굴곡 형상을 가지며, 대응 맞물림부(8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어 그 맞물림부(88)의 홈 표면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검지 부재측 로크부(54)가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외면의 선단측에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검지 부재측 로크부(54)는 바람직하게는 뾰족한 단면, 즉 산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며 맞물림부(88)의 하부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리브 형상을 한다. 검지 부재측 로크부(54)의 전방면은 검지 부재(50)의 압입 방향(PID)(push-in direction)[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10)의 연결 방향(C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 대해 경사진 하나 이상의 안내면(55)으로서 기능을 하는 한편, 그 후방면은 검지 부재(50)를 뽑는 방향(POD)(pull-out direction)에 대해 경사진 안내면(56)으로서 기능을 한다.
하나 이상의 압입 방지부(57)가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외면상의 하나 이상의 검지 부재측 로크부(54) 각각에 인접하여 (바람직하게는 그 뒤에) 형성되어 있다. 압입 방지부(57)는 검지 부재측 로크부(54)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검지 부재측 로크부(54)보다 짧은 거리로 돌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입 방지부(57)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며, 그 전방면은 실질적으로 연결 방향(CD)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맞물림면(58)으로서 기능을 하는 한편, 그 후방면은 분리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검지 부재(50)는 압입 방지 위치(1P)(바람직한 제1 위치에 상응)와, 실질적으로 압입 방향(PID)으로 압임됨으로써 도달하게 되는 로킹 위치(2P)(바람직한 제2 위치에 상응)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조작부(51)는 검지 부재(50)가 압입 방지 위치(1P)(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커버(30)로부터 후방으로 거리를 두고 있는 반면, 검지 부재(50)가 로킹 위치(2P)(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51)는 커버(30)의 검지 부재 장착 오목부(4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져, 그 후방면이 바람직하게는 커버(30)의 후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으로 맞춰진다. 검지 부재(50)가 암형 하우징(10) 및 커버(30) 내에 장착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 경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커버(30)의 검지 부재 통과 구멍(38)[구체적으로는 제3 검지 부재 통과 구멍(41)] 및 암형 하우징(10)의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구체적으로는 제3 검지 부재 삽입 구멍(98)]을 통해 검지 부재 삽입 통로(94)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전술한 압입 방지부(57)를 제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지부(59)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10)[수용부(26)]의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구체적으로는 제3 검지 부재 삽입 구멍(98)]의 내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부(59)는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구체적으로, 유지부(59)는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의 내면의 전방 단부에서 높이 방향[수직 방향, 또는 연결 방향(C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리브 형상을 하며, 그 전방면은 수용 부(26)의 전방면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돌출 단부를 향해 가면서 점점 뒤쪽으로 기울게 되는 반면, 그 후방면은 연결 방향(C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로킹면(60)으로서 기능을 한다. 이 유지부(59)의 로킹면(60) 뒤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수용부(26)의 후방면에서 개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홈 영역(61)이며, 이들 홈 영역 내에서 압입 방지부(57)가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검지 부재(50)가 조립 상태에 있을 때에,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높이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하우징측 로크 아암(71)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바로 아래에서 그 하우징측 로크 아암(71)과 접촉 또는 근접하게 배치된다.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외면 및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외면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심의 아치형 또는 굴곡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면으로 맞춰져 연속하게 된다. 특히, 검지 부재(50)가 로킹 위치(2P)(제2 위치)에 도달한 경우, 검지 부재측 로크부(54) 및 하우징측 로크부(72)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에 대해 거의 동일한 위치에 정렬되어, 서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게 된다.
검지 부재(50)는 또한 수형 하우징(80)의 단락 단자(85)에 의한 단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락 해제편(6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단락 해제편(62)이 조작부(51)의 전방면의 상부 에지의 양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여, 그 플레이트면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플레이트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단락 해제편(62)은 커버(30)의 제1 검지 부재 통과 구멍(39) 및 암형 하우징(10)의 제1 검지 부재 삽입 구멍(96)을 통해 검지 부재 삽입 통로(94)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검지 부재(50)가 후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하나 이상의 분리 방지부(101)가 바람직하게는 두 단락 해제편(62) 모두의 상부면에서 돌출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분리 방지부(101)의 후방면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면(102)으로 형성되어, 검지 부재(50)가 조립 상태에 있을 때에 실질적으로 연결 방향(CD)으로 커버(30)의 전방면과 맞물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커트부가 커버(30)의 후방면에서 검지 부재 장착 오목부(42)의 내측 상부면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검지 부재(50)가 조립될 때에 분리 방지부(101)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경사부(103)가 형성된다. 분리 방지부(101)는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FBD)에 대해 압입 방지부(5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 또는 그보다 약간 뒤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검지 부재(50)에는 또한 조작부(51)의 전방면에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며 및/또는 두 단락 해제편(62)의 측방 에지와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에이프런부(104)(apron portion)가 마련되어 있다. 각 에이프런부(104) 및 대응 단락 해제편(62)으로 된 일체형 또는 단일체의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거의 L자 형상을 한다. 에이프런부(104)는 커버(30)의 제2 검지 부재 통과 구멍(40) 및 암형 하우징(10)의 제2 검지 부재 삽입 구멍(97)을 통해 검지 부재 삽입 통로(94)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그러한 에이프런부(104)는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이 내측으로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안쪽에 위치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하우징(80)을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두 하우징(10, 80)을 연결하는 작업에 앞서, 커버(30)는 암형 하우징(10)에 대해 열린 상태로 되며,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12)의 하나 이상의 단자 연결부(15)가 타워부(11)의 공동(27)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단자 피팅(12)의 도선부(16)는 수용부(26)의 단자 수용 홈(7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된다. 단자 피팅(12)은 사전에 전선(91)과 연결된다(바람직하게는 클리핑, 벤딩, 폴딩에 의해 연결됨). 이어서, 코일(13)이 수용부(26)의 코일 수용홈(7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며, 코일(13)의 도선(14)은 코일(13)에 인접하게 단자 피팅(12)의 도선부(16) 상에 배치된 후에 윈도우(99)를 통해 연결되며(바람직하게는 용접 또는 납땜됨), 그 결과 코일(13)이 단자 피팅(12)에 연결된다.
또, 파괴 예정부(22)는 도시하지 않은 분리 장치(펀치 등)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피팅(12)으로부터 펀칭되거나 분리된다. 펀칭 또는 분리된 파괴 예정부(22)는 수용부(26)의 삽입 윈도우(79)를 통해 폐기된다. 파괴 예정부(22)가 펀칭 또는 분리된 후에 분할 구멍(23)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코일 연결부(24)가 분할 구멍(23)의 양측에 형성된다. 분리 장치(펀치)가 그 상태에서 복귀하게 되면, 분할 구멍(23)의 에지와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분리 장치(펀치)의 이동에 따라 단자 피팅(12)이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두 코일 연결부(24) 모두에 유지편(2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편(25)이 수용부(26)의 유지용 오목부(78)와 맞물려, 단자 피팅(12)이 분리 장치(펀치)의 복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단자 수용홈(74) 밖으로 단자 피팅(12)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 참조). 코일(13)을 단자 피팅(12)의 도선부(16)와 연결하는 것은 프레스 가공 후에 수행하거나, 코일(13)과 단자 피팅(12)이 수용부(26) 안으로 조립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이어서, 커버(30)가 닫히도록 이동(회전 또는 선회)되어,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0)의 후방면[수용부(26)]에 또는 그 상에 장착된다. 커버(30)가 적절히 닫힌 경우, 제1 로킹편(47)이 제1 오목부(6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 제1 로킹편(47)의 로킹 구멍(48)과 제1 오목부(66)의 로킹 돌기(64)가 맞물리게 되며, 제2 로킹편(49)은 제2 오목부(65)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 제2 오목부(65)의 로킹홈(63)과 제2 로킹편(49)의 로킹 발톱(68)이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맞물림에 의해 커버(30)는 장착된 상태로 로킹된다. 또, 커버(30)의 절연편(46)이 단자 피팅(12)의 분할 구멍(23)을 통해 수용부(26)의 삽입 윈도우(79)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분할 구멍(2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며, 이에 의해 2개의 코일 연결부(24)는 소정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얻어짐으로써 코일(13) 이외의 경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91)은 커버(30)의 전선 압박편(43)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서부터 압박 또는 유지되어 느슨한 움직임이 방지된다.
커버(30)의 장착 작업이 완료된 후에, 검지 부재(50)가 장착 방향으로, 바람 직하게는 뒤에서부터 커버(30)의 검지 부재 통과 구멍(38)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검지 부재(50)가 특정(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양만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경우, 검지 부재(50)의 압입 방지부(57)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26)의 유지부(59)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이해 맞물림면(58) 및 로킹면(60)이 실질적으로 서로 면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50)의 어떠한 더 이상의 삽입도 방지되어, 검지 부재(50)가 압입 방지 위치(1P)(바람직한 제1 위치에 상응)에 유지된다. 이 경우, 검지 부재(50)는 압입 방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는 이동할 수 있다. 검지 부재(50)가 특정(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양만큼 후방으로 이동한 경우, 단락 해제편(62)의 분리 방지부(101)가 커버(30)의 전방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검지 부재(50)가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50)는 후퇴 위치와 압입 방지 위치(1P)(제1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지만, 그 이동 범위를 지나 이동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식으로 검지 부재(50)가 암형 하우징(10) 및 커버(30) 내에 조립된 후에,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하우징(80)을 실질적으로 서로 바로 대향시킨 상태에서부터 암형 하우징(10)의 타워부(11)가 연결 방향(CD)(도 18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수형 하우징(80)의 끼워 맞춤 오목부(83)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된다. 이러한 연결 작업의 시작시에, 하우징측 로크 아암(72)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80)의 간섭부(89)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간섭부(89)의 안내면(9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이에 의해 하 우징측 로크 아암(71)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압입 방지 위치(1P)(제1 위치) 또는 후퇴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 검지 부재측 로크부(54)는 간섭부(89)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다.
암형 하우징(10)의 타워부(11)를 수형 하우징(80)의 끼워 맞춤 오목부(83) 안으로 더 압입하면, 하우징측 로크부(72)는 실질적으로 간섭부(89) 위에서 이동하여, 맞물림부(88) 안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88)의 상부 영역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는 한편,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된다. 이러한 식으로,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에 의한 로킹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으로 2개의 하우징(10, 8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연결 상태에 도달한 경우, 단자 핀(84)은 단자 연결부(15)의 접촉편(86)과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단자 핀(84)과 단자 피팅(1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술한 상태에서, 검지 부재측 로크부(54)의 안내면(55) 및 간섭부(89)의 안내면(90)은 서로 접촉하게 되며, 압입 방지부(57)는 유지부(59)로부터 후방으로 거리를 두고 있다. 이 상태에서 검지 부재(50)의 조작부(51)가 압입되면, 검지 부재측 로크부(54)가 실질적으로 간섭부(89)의 안내면(9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이에 의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압입 방지부(57)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탄성 변형 중에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유지부(59)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도달하지만,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검지 부재(50)를 압입하는 추가적인 작업에 의해 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압입 방지부(57)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59)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검지 부재(50)가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까지 압입된 경우, 검지 부재측 로크부(54)가 맞물림부(88) 안에, 구체적으로는 맞물림부(88)의 하부 영역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면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에 의한 로킹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으로, 2개의 하우징(10, 80)이 바람직하게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 및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에 의해 이중으로 로킹된다.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로킹 위치에 도달한 경우, 압입 방지부(57)는 실질적으로 유지부(59)의 전방면과 대면하고 있어, 이들은 앞쪽에서부터 검지 부재 삽입 구멍(95)의 개방 에지와 실질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검지 부재(50)를 압입하는 그러한 과정 중에, 검지 부재(50)의 단락 해제편(62) 자체는, 단락 단자(85)의 접촉편(86)과 실질적으로 접촉한 후에 경사부(87)에 의해 안내되면서, 단락 단자(85)와 타워부(11)의 외면 사이에 압입되며, 이에 의해 단락 단자(85)는 각 단자 핀(84)으로부터 멀어지게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단락 단자(85)는 단자 핀(84)들 간의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단자 핀(84)을 분리시킨다.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하우징(80)을 연결하는 작업은 검지 부재(50)의 조작부(51)를 손끝으로 압박하는 동안에 수행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조작부(51)가 압박되는 경우, 암형 하우징(10)의 타워부(11)는 끼워 맞춤 오목부(83)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되어, 전술한 일련의 작업이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하우징(80)이 적절한 깊이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즉 타워부(11)가 특정(미리 정해지거나 미러 정해질 수 있는) 양만큼 끼워 맞춤오목부(83) 안으로 압입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이 맞물림부(88)와 아직 맞물리지 않아 단지 부분적인 로킹 상태가 이루어진 경우, 작업자는 그것을 알지 못하고 연결 작업을 중단하여, 커넥터를 그러한 상태로 남겨둘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검지 부재(50)를 로킹 위치(2P)를 향해 또는 그 로킹 위치(2P)까지 압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 경우, 압입 방지부(57) 및 유지부(59)는 서로 맞물림 상태로부터 서로 해방될 수 없고, 검지 부재(50)는 압입 방지 위치로부터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단지 부분적인 로킹 상태가 이루어진 경우에 검지 부재(50)가 압입 방지 위치에 있다면, 검지 부재측 로크부(54)는 간섭부(89)와 접촉하지 않거나, 혹은 간섭부(89)와 접촉하는 경우라도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탄성 변형이 개시될 정도까지 간섭부(89)에 의해 간섭되지는 않는다. 한편, 압입 방지부(57) 및 유지부(59)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탄성 변형될 때에 서로 맞물림 상태로부터 해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탄성 변형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서로 맞물림 상태로부터 해방될 수 없다. 따라서, 2개의 하우징(10, 80)의 연결 상태는 검지 부재(50)가 압입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검지될 수 있다.
부분적 로킹 상태는 검지 부재(50)가 압입될 수 없는 경우에 검지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2개의 하우징(10, 80)은 다시 더 깊게 연결될 수 있다. 그 때,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은 맞물림부(88)와 탄성적으로 맞물리며, 이에 의해 2개의 하우징(10, 80)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로킹된다. 또한, 로킹 위치(2P)까지 또는 그 위치를 향한 검지 부재(50)의 이동이 허용되어,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하우징측 로크 아암(71)과 함께 맞물림부(88)와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압입 방지부(57) 및 하나 이상의 유지부(59)는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고, 로킹 위치(2P)까지 또는 그 위치를 향한 검지 부재(50)의 이동은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탄성 변형이 2개의 하우징(10, 80)의 연결 작업에 의해 시작되지 않았다면 방지된다. 따라서, 2개의 하우징(10, 80)의 연결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검지 부재(50)가 로킹 위치(2P)까지 또는 그 위치를 향해 우연히 압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검지 부재(50)가 실질적으로 로킹 위치(2P)에 도달한 경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과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은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검지 부재측 로크부(54)와 하우징측 로크부(72)는 맞물림부(88)와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검지 부재측 로크부(54) 또는 하우징측 로크부(72)가 맞물림부(88)로부터 우연히 해방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하나가 여전히 맞물림부(88)와 맞물림 상태로 있다면 2개의 하우징(10, 80)은 서로에 로킹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하우징(10, 80)의 우연한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 및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하우징(10, 80) 간의 로킹 강도는 증가하며, 2개의 하우징(10, 80)의 우연한 분리는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 검지 부재(50)의 압입 방향(PID) 및 암형 하우징(10)의 연결 방향(CD)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연결 작업이 검지 부재(50)를 압입하는 동안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하우징(10, 80)을 연결하는 작업과, 검지 부재(50)를 압입하는 작업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외면과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외면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면으로 맞춰지고 서로 연속하기 때문에, 외부 물체가 외부에서부터 로크 아암(52, 71) 사이로 들어가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외부 물체가 끼일 때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 또는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의도하지 않은 탄성 변형을 피할 수 있다.
간섭부(89)는 끼워 맞춤 오목부(83)를 개방 에지를 향해 확장시키는 하나 이상의 안내면(90)을 갖고 있으며, 검지 부재(50)의 검지 부재측 로크부(54)는 안내면(90)에 의해 끼워 맞춤 오목부(83) 안으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50)와 간섭부(89)가 서로 대면할 때에 검지 부재(50)와 간섭부(89)의 상대적 위치가 특정(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위치에 대해 폭방향[횡방향(TD)]으로 약간 변위되더라도, 그러한 변위는 안내면(90)의 형성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하우징(10, 80)이 연결되기 전에 검지 부재(50)가 압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하우징(80)이 적절히 연결되기 전에 검지 부재(50)를 로킹 위치(2P)(제2 위치)를 향해 압박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에, 검지 부재(50)는 이 검지 부재(50)의 하나 이상의 압입 방지부(57)와 암형 하우징(10)의 하나 이상의 유지부(59)가 맞물림으로써 암형 하우징(10)에 대해 압입 방지 위치(1P)(제1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2개의 하우징(10, 80)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검지 부재(50)가 로킹 위치를 향해 압입되는 경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수형 하우징(80)의 하나 이상의 간섭부(89)와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압입 방지부(57)는 유지부(59)로부터 분리되고 검지 부재(50)는 로킹 위치(2P)(제2 위치)까지 또는 그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검지 부재(50)가 로킹 위치(2P)(제 2위치)에 실질적으로 도달함에 따라,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암형 하우징(10)의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에 인접하게 또는 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배치되게 되고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 및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은 수형 하우징(80)의 맞물림부(88)와 탄성적으로 맞물리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였고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의 실시예도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다음의 실시예 외에도,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 커버와 암형 하우징이 힌지를 통해 일체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와 암형 하우징이 상이한 부재로서 분리될 수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외면과 하우징측 로크 아암 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면으로 맞춰지고 서로 연속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들은 단차부를 통해 연결되거나, 서로 특정(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 코일과 단자 피팅은 암형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피팅(전선의 단부 포함)만이 암형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 검지 부재측 로크부가 간섭부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검지 부재측 로크부(검지 부재측 로크부가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과는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도 포함) 이외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의 부분이 간섭부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5)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측 로크 아암이 수형 하우징에 형성되고, 이 수형 하우징 내에 검지 부재가 조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하기 전에 검지 부재가 압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대응 커넥터(M)의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에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10)을 포함하는 커넥터(F)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조립되어 커넥터 하우징(10)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50)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을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로킹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80)과 제 위치에 연결된 경우에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에 마련된 맞물림부(88)와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검지 부재(5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하여 제1 위치(1P)와, 이 제1 위치(1P)에서부터 압입 방향(PID)으로 압박됨으로써 도달하는 제2 위치(2P)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한편,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검지 부재(50)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71)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는 상기 검지 부재(50)가 제1 위치(1P)에 있는 경우 검지 부재(50)가 상기 제2 위치(2P)까지 또는 그 제2 위치(2P)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압입 방지부(57)와 맞물리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5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검지 부재(5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80)과 제 위치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검지 부재(50)를 제2 위치(2P)를 향해 압박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에, 상기 압입 방지부(57)와 상기 유지부(59)의 맞물림에 의해 제1 위치(1P)에 유지되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80)과 제 위치에 연결된 경우, 상기 검지 부재(50)가 제2 위치(2P)를 향해 압박되면,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부(89)와 미끄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입 방지부(57)는 상기 유지부(59)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검지 부재(50)는 상기 제2 위치(2P)까지 또는 그 제2 위치(2P)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검지 부재(50)가 제2 위치(2P)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고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71)과 함께 상기 맞물림부(88)와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측 로크 아암(71)의 외면은 검지 부재(50)가 조립 상태에 있는 경우 서로 동일면으로 맞춰지고 서로 연속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50)는 이 검지 부재(50)가 제2 위치(2P)로 이동할 때에 압박되는 조작부(51)와, 적어도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상기 조작부(51)의 대향하는 단부들에서 연결 방향(CD)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연결 방향(CD)으로 연장하는 타워부(11)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상기 타워부(11)의 대향하는 측면들을 따라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에는 상기 맞물림부(88)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 부재측 로크부(5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제2 위치(2P)로의 검지 부재(50)의 이동 방향(PID)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55)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면(55)은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80)이 연결될 때에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탄성 변형을 안내하도록 상기 간섭부(89)와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50)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80)이 연결될 때에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에 마련된 단락 단자(85)(shorting terminal)에 의한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해제편(62)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커넥터(F)와, 이 커넥터(F)의 커넥터 하우징(10)과 연결할 수 있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을 갖는 대응 커넥터(M)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은 적어도 한쌍의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과 대응하는 적어도 한쌍의 맞물림부(88)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은 제2 위치(2P)로의 검지 부재(50)의 이동 방향(PID)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55)을 구비하며,
    상기 간섭부(89)는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90)을 구비하며,
    두 안내면(55, 90)은 모두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80)이 연결될 경우 상기 검지 부재측 로크 아암(52)의 탄성 변형을 안내하도록 서로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은 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8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복수 개의 단자 피팅(8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단자(85)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 부재(50)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80)이 연결될 때에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80)에 마련된 단락 단자(85)에 의한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해제편(62)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KR1020070047041A 2006-05-15 2007-05-15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0918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35606 2006-05-15
JP2006135606A JP4752606B2 (ja) 2006-05-15 2006-05-15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802A KR20070110802A (ko) 2007-11-20
KR100918466B1 true KR100918466B1 (ko) 2009-09-24

Family

ID=3847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041A KR100918466B1 (ko) 2006-05-15 2007-05-15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96253B2 (ko)
EP (1) EP1858122B1 (ko)
JP (1) JP4752606B2 (ko)
KR (1) KR100918466B1 (ko)
CN (1) CN10058596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2517A (ja) * 2007-02-06 2008-08-21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911712B2 (ja) * 2007-04-10 2012-04-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DE202008014604U1 (de) * 2008-11-04 2010-04-08 Coninver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5212256B2 (ja) * 2009-05-22 2013-06-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12257B2 (ja) * 2009-05-22 2013-06-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2485341B1 (en) 2009-09-29 2017-01-25 Yazaki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molded resin component
JP5569267B2 (ja) * 2010-09-03 2014-08-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00893B2 (ja) * 2011-07-25 2015-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42168B2 (ja) 2012-10-17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5978398B2 (ja) * 2013-05-30 2016-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KR101491270B1 (ko) * 2013-07-05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JP2015082363A (ja) * 2013-10-21 2015-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70808B2 (ja) * 2013-10-23 2017-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CN203660180U (zh) * 2013-12-06 2014-06-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连接器固定件及应用此连接器固定件的连接器模块
CN203589288U (zh) * 2013-12-06 2014-05-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位置保持件、端子组件、连接器壳体组件及连接器
US8968021B1 (en) 2013-12-11 2015-03-03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automotive harness connector
US9356394B2 (en) 2013-12-11 2016-05-31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connector
US10050382B2 (en) * 2014-04-14 2018-08-14 Fci Usa Llc Crimp-to-wir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3046185B1 (en) * 2015-01-13 2024-01-24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Connector
CN108365360B (zh) 2017-01-20 2020-06-16 第一精工株式会社 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锁定部件
JP6135834B1 (ja) * 2017-01-20 2017-05-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部材
EP3396790A1 (en) * 2017-04-27 2018-10-31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Connector assembly for safety systems
US10855025B2 (en) 2017-05-01 2020-12-01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nnector system
US11183793B2 (en) * 2018-10-08 2021-11-2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system with a terminal retaining device having a reverse hinged lock feature
CN209045863U (zh) * 2018-10-19 2019-06-28 矢崎(中国)投资有限公司 端子保持器以及连接器
JP6996487B2 (ja) * 2018-12-25 2022-0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10892579B2 (en) * 2019-02-25 2021-01-12 J.S.T. Corporation Fema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device for a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JP6966510B2 (ja) * 2019-06-04 2021-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10326329U (zh) * 2019-06-21 2020-04-14 重庆市鸿腾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与之相对接的插头连接器
JP7357348B2 (ja) 2019-10-28 2023-10-0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位置保証機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322A (ja) * 1994-06-03 1995-12-22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H1186971A (ja) 1997-09-09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4079206A (ja) 2002-08-09 2004-03-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251540A (ja) 2004-03-03 2005-09-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7802885Y1 (pt) 1997-09-09 2010-08-10 disposição introduzida em conector elétrico com trava.
JP3502787B2 (ja) * 1999-05-19 2004-03-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1185290A (ja) * 1999-12-27 2001-07-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650034B2 (ja) * 2000-03-01 2005-05-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KR100564091B1 (ko) *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BRPI0105829B1 (pt) * 2000-11-17 2016-05-24 Framatome Connectors Int conector de encaixe
JP2002324638A (ja) * 2001-04-26 2002-11-08 Jst Mfg Co Ltd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2003142206A (ja) * 2001-10-31 2003-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203722A (ja) * 2001-12-31 2003-07-18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用プラグ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034125B2 (ja) * 2002-06-06 2008-01-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的接続装置
JP2004164956A (ja) * 2002-11-12 2004-06-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811424B2 (en) * 2003-03-26 2004-11-0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JP2005166575A (ja) 2003-12-05 2005-06-2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190860A (ja) * 2003-12-26 2005-07-14 Fci Asia Technology Pte Ltd 電気コネクタ
DE102005015155B4 (de) * 2005-04-02 2007-10-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Fahrzeugrückhaltesyste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322A (ja) * 1994-06-03 1995-12-22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H1186971A (ja) 1997-09-09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4079206A (ja) 2002-08-09 2004-03-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251540A (ja) 2004-03-03 2005-09-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6253B2 (en) 2008-07-08
JP4752606B2 (ja) 2011-08-17
CN101075714A (zh) 2007-11-21
EP1858122A2 (en) 2007-11-21
JP2007305541A (ja) 2007-11-22
EP1858122A3 (en) 2009-10-21
EP1858122B1 (en) 2011-11-02
KR20070110802A (ko) 2007-11-20
US20070264863A1 (en) 2007-11-15
CN100585960C (zh)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466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10644416B2 (en) Connector
US7294013B2 (en) Connector
JP3324690B2 (ja) コネクタ
US6638109B2 (en) Connector with a side retainer
EP1521335B1 (en) Connector system
US8366493B2 (en) Connector having a retainer with a plate shaped detection part
US7294015B2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ssembly thereof
EP1986288B1 (en) A shorting terminal,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KR100851709B1 (ko) 전기 커넥터
CN102623857A (zh) 连接器
JP2009032666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KR20070032896A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CN111033904A (zh) 连接器
EP1801926B1 (en) A conne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5556568B2 (ja) コネクタ
JP3638126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4396652B2 (ja) コネクタ
US20060154512A1 (en) Pressure-weldin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3228425B (zh) 连接器
JP4449985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2006269200A (ja) コネクタ
JP4377011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614927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