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900B1 -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 - Google Patents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900B1
KR100916900B1 KR1020020055490A KR20020055490A KR100916900B1 KR 100916900 B1 KR100916900 B1 KR 100916900B1 KR 1020020055490 A KR1020020055490 A KR 1020020055490A KR 20020055490 A KR20020055490 A KR 20020055490A KR 100916900 B1 KR100916900 B1 KR 10091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ab
arm
scarfing machine
tur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024A (ko
Inventor
임호진
장종권
강문기
조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9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6Machines, apparatus, or equipment specially designed for scarfing or desur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카핑머신에서 주편의 터닝시 주편이 지지블록에 밀착되어 흠발생이 방지되는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암으로 주편을 터닝시키는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에 있어서, 암의 일측에 암과 평행하도록 설치된 제1프레임, 제1프레임에 다수개 설치된 가이들롤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제1프레임의 일측에 제1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프레임, 제2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에 스톱파가 설치되는 푸셔빔, 푸셔빔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푸셔빔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제2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회동축,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암, 회동암의 선단에 설치된 감지센서, 유압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20055490
푸셔빔, 지지블록, 프레임, 회동축, 가이드

Description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Apparatus for turning of slab of scarfing machin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나타내는 작업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에서 흠발생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2 : 제1프레임 14 : 가이드롤러
18 : 제2프레임 20 : 스톱파
22 : 푸셔빔 32 : 회동축
34 : 회동암 36 : 감지센서
본 발명은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편 터닝시 주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주편은 표면상으로 보이지 않은 흠까지 찾아내기 위하여 표면을 산소로 불어내는 스카핑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스카핑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편(100)이 롤러테이블(102)에 의해 검사구간으로 이동되면 검사구간으로 이동된 주편(100)이 케리지(104) 및 와이어(106)에 의해 주편 터닝장치로 이송된다.
주편 터닝장치로 이송된 주편(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편(100)을 A아암(108)과 B아암(110)을 이용하여 터닝시킨다.
이와 같은 주편(100)은 폭이 900㎜ 내지 2000㎜까지 다양하므로 주편(100)의 터닝시 주편(100)이 지지블록(112)에 밀착되지 못한다.
따라서 주편(100)이 A아암(108)이 상승되면 주편(100)이 지지블록(112) 측으로 쏠리면서 주편(100)이 지지블록(112)에 충돌하여 측면에 흠(114)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주편(100)이 미끄러지면서 긁힌흠(116)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흠이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가 전기그라인더를 이용하여 흠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한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주편을 옮기기 위하여 스카핑머신을 중지시켜야 하므로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카핑머신에서 주편의 터닝시 주편이 지지블록에 밀착되어 흠발생이 방지되는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암으로 주편을 터닝시키는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에 있어서, 암의 일측에 암과 평행하도록 설치된 제1프레임, 제1프레임에 다수개 설치된 가이들롤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제1프레임의 일측에 제1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프레임, 제2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에 스톱파가 설치되는 푸셔빔, 푸셔빔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푸셔빔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제2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회동축,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암, 회동암의 선단에 설치된 감지센서, 유압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는 주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롤러위에 놓여있는 주편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주편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감지부로 이루어진다.
먼저 가이드부는 암(10)의 일측에 암(10)과 평행하도록 설치된 제1프레임(12), 제1프레임(12)에 다수개 설치된 가이들롤러(14)로 이루어진다.
제1프레임(12)은 평행한 두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가이드롤러(14)를 축지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요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롤러(14)는 제1프레임(12)의 요홈(13)에 축지지되며 가이드롤러(14)의 상부에 주편(16)이 올려지고, 주편(16)이 이동함에 따라 가이들롤러(14)는 공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송부는 제1프레임(12)의 일측에 제1프레임(12)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프레임(18), 제2프레임(18)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에 스톱파(20)가 설치되는 푸셔빔(22), 푸셔빔(22)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푸셔빔(22)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24)로 이루어진다.
제2프레임(18)은 제1프레임(12)의 일측에 제1프레임(12)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측에 평행한 두개의 채널로 이루어진다. 이 채널의 웨브부에는 후술하는 푸셔빔(22)의 바퀴(30)가 지나가게 된다.
푸셔빔(22)은 제2프레임(18)과 평행한 플레이트(26)와, 이 플레이트(26)의 후부 하방에 일체로 형성된 몸체(28)와, 이 몸체(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바퀴(30)와 후단에 설치되는 스톱파(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푸셔빔(22)은 제2프레임(18)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바퀴(30)는 제2프레임(18)을 구성하고 있는 채널의 웨브부에 삽입되어 이동한다.
유압실린더(24)는 푸셔빔(22)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유압실린더(24)가 신축함에 따라 푸셔빔(22)이 이동하게 된다.
즉, 유압실린더(24)가 신장함에 따라 푸셔빔(22)이 이동하게 되고, 푸셔빔(22)이 이동함에 따라 푸셔빔(22)의 후단에 설치된 스톱파(20)가 주편(16)을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감지부는 제2프레임(18)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회동축(32a,32b), 회동축(32a,32b)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암(34a,34b), 회동암(34a,34b)의 선단에 설치된 감지센서(36a,36b), 유압실린더(24)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감지센서(38)로 이루어진다.
회동축(32a,32b)은 제2프레임(18)의 전면에 배치되며, 이 회동축(32a,32b)에 후술하는 회동암(34a,34b)이 설치되다.
회동암(34a,34b)은 “ㄴ”자 형상으로 중심에 홀(40)이 형성되고, 이 홀(40)을 통하여 회동암(34a,34b)이 회동축(32a,32b)에 조립되며, 상단에는 주편(16)의 이동시 긁힌흠이 발생되지 않도록 롤러(42)가 설치된다.
이러한 회동암(34a,34b)은 제2프레임(18)의 일측에 복수개가 동일선상으로 연장 설치된다.
감지센서(36a,36b)는 회동암(34a,34b)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회동암(34a,34b) 각각의 회동을 감지하므로 주편(16)의 이동을 감지한다.
실린더감지센서(38)는 유압실린더(24)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압실린더(24)의 복귀시 이를 감지하여 유압실린더(24)가 정지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롤러테이블에 의해 검사구간으로 이동되며 검사구간으로 이동된 주편(16)은 케리지 및 와이어에 의해 가이드롤러(14)의 상부 및 진입측 회동암(34b)의 롤러(42)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주편(16)의 안착시 진입측의 회동암(34b)이 회동축(32b)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암(34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회동암(34b)의 선단에 설치된 감지센서(36b)가 주편(16)의 안착을 감지하게 된다.
감지센서(36b)에 주편(16)의 안착이 감지되면 유압실린더(24)를 신장시켜 푸셔빔(22)이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푸셔빔(22)이 이동함에 따라 후단에 설치된 스톱파(20)가 일체로 이동하면서 주편(16)을 밀게된다.
가이드롤러(14) 및 회동암(34b) 상부에 안착된 주편(16)이 밀려 회동암(34a)으로 도달하게 되면 회동암(34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암(34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회동암(34a)의 선단에 설치된 감지센서(36a)가 주편(16)의 도달을 감지하게 되어 유압실린더(24)의 신장을 정지시킨다.
유압실린더(24)가 정지된 후 유압실린더(24)를 축소시켜 푸셔빔(2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 때 유압실린더(24)가 원래의 대기위치로 축소되면 유압실린더(24)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감지센서(38)가 이를 감지하여 유압실린더(24)가 정지되도록 한 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카핑머신의 주편터닝장치는 주편이 지지블록에 밀착되므로 흠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흠이 발생되지 않아 흠이 있는 주편을 옮기기 위해 발생되는 스카핑머신의 중단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1)

  1. 복수개의 암으로 주편을 터닝시키는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의 일측에 암과 평행하도록 설치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다수개 설치된 가이들롤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1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에 스톱파가 설치되는 푸셔빔, 상기 푸셔빔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푸셔빔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암, 상기 회동암의 선단에 설치된 감지센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
KR1020020055490A 2002-09-12 2002-09-12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 KR10091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90A KR100916900B1 (ko) 2002-09-12 2002-09-12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90A KR100916900B1 (ko) 2002-09-12 2002-09-12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024A KR20040024024A (ko) 2004-03-20
KR100916900B1 true KR100916900B1 (ko) 2009-09-09

Family

ID=3732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490A KR100916900B1 (ko) 2002-09-12 2002-09-12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356B1 (ko) 2003-05-28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자력을 이용한 슬라브 푸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700A (en) * 1975-12-30 1978-06-20 Institutul Pentru Proiectari de Sectii si Uzine de Laminare -- Iprolam Turn-over device for slab materials
JPS5633120A (en) * 1979-08-27 1981-04-03 Kawasaki Steel Corp Slab inverter
KR20010046837A (ko) * 1999-11-16 2001-06-15 이구택 연속주조설비의 슬라브 자동 터닝장치
KR20030054556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주편 터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700A (en) * 1975-12-30 1978-06-20 Institutul Pentru Proiectari de Sectii si Uzine de Laminare -- Iprolam Turn-over device for slab materials
JPS5633120A (en) * 1979-08-27 1981-04-03 Kawasaki Steel Corp Slab inverter
KR20010046837A (ko) * 1999-11-16 2001-06-15 이구택 연속주조설비의 슬라브 자동 터닝장치
KR20030054556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주편 터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356B1 (ko) 2003-05-28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자력을 이용한 슬라브 푸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024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9074A (ja) ストリップ又はスラブの幅及び/又は位置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3285810B2 (ja) サイドガイド装置
JPH03264112A (ja) 帯板のサイドガイド方法及びサイドガイド装置
KR100916900B1 (ko) 스카핑머신의 주편 터닝장치
WO2001072443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deplacement d&#39;un cylindre de travail d&#39;un laminoir sexto
JPH1099917A (ja) プレス加工装置
KR20010048999A (ko) 스트립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KR102105023B1 (ko) 동관 절단기용 유압식 척장치
JPH068353A (ja) トレッドのセンタリング装置
JPH1089949A (ja) ロールプロフィール計測装置
KR200203849Y1 (ko) 압연스탠드의 롤표면 검사장치
KR20030044581A (ko) 슬라브 정렬장치
EP2562111B1 (en) Web guide device
JPH034033B2 (ko)
KR101786234B1 (ko) 소재절단장치와 소재절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재권취방법
KR200204802Y1 (ko) 조질압연기의 스트립 평탄도 교정장치
KR101344327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102026323B1 (ko) 에어나이프용 접촉식 및 비접촉식 겸용 배플장치
KR100928822B1 (ko) 회전형 롤러가 장착된 조압연기의 슬라브바 안내장치
KR100829934B1 (ko) 날판의 제촌선 정렬장치
JP3844553B2 (ja) 切断機に対するワーク給材方法および装置
JPH087922Y2 (ja) 圧延機
WO2020066556A1 (ja) 板厚検出装置
KR200176952Y1 (ko) 강판 하면 검사용 자동 스키드 장치
JP4371208B2 (ja) 印刷欠陥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