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70B1 - 갑피에 밑창을 몰딩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대다리 및 주형 - Google Patents

갑피에 밑창을 몰딩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대다리 및 주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70B1
KR100913570B1 KR1020047013874A KR20047013874A KR100913570B1 KR 100913570 B1 KR100913570 B1 KR 100913570B1 KR 1020047013874 A KR1020047013874 A KR 1020047013874A KR 20047013874 A KR20047013874 A KR 20047013874A KR 100913570 B1 KR100913570 B1 KR 10091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eg
sole
lower mold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658A (ko
Inventor
엔스 에릭 소멜룬트
한스 크리스티안 한센
Original Assignee
에코 에스코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 에스코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에코 에스코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4009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6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4Welted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밑창 및 대다리를 갑피(1)에 몰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형(3)을 이용한다. 주형(3)은, 갑피(1)가 배치되는 구두골(last; 2), 종방향 중심면을 따라 분할되어 있고 개방 및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하부 주형부(4)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 절반부(5a, 5b)를 구비하는 상부 주형부(5), 및 개방 및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상부 주형부(5)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주형부(4)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환형 대다리(6)는 주형의 개방 위치에서 주형 내부에 마련되고 배치된다. 상부 주형부의 두 절반부(5a, 5b)가 폐쇄되고, 하부 주형부(4)는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그 결과, 갑피(1)를 향하는 대다리(6) 부분이 내측 하방으로 경사 이동하여 대다리(6)의 내단부면이 갑피(1)의 하부 측부와 밀봉 결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부 주형부(4)의 상부면 상의 원주방향 지지면(7)이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5a, 5b) 각각의 돌출부(15)의 하부면 상에 마련된 가압면(17)과 협력한다. 이후 상기 밑창은 플라스틱 재료를 주형의 캐비티에 공급함으로써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몰딩된다.

Description

갑피에 밑창을 몰딩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대다리 및 주형{METHOD OF MOULDING SOLES ON SHOE UPPERS, A SHOE WELT AND A MOUL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본 발명은 완성품 신발에 대다리가 대어진 형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밑창 및 대다리를 주형을 이용하여 갑피에 몰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주형은 갑피가 배치되어 있는 구두골(last), 종방향 중심면을 따라 분할되어 있고 개방 및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하부 주형부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 개의 절반부를 구비하는 상부 주형부, 그리고 개방 및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상부 주형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주형부를 구비한다.
프랑스 공보 제2609874호에는 신발에 대다리를 몰딩하여 신발에 대다리가 대어진 신발 형상을 부여하는 신발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다리는 수직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대다리와 갑피를 결합하는 밑창 재료는 갑피와 대다리 사이에서 보이므로, 만족스럽지 않다.
미국 특허 제3,855,657호에는 실제 대다리가 아닌 팍싱(foxing)을 밑창의 측면에 몰딩하는 전술한 유형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서, 두 개의 절반부로 형성된 이체형(two-part) 팍싱을 사용한다. 개방 주형 위치에서, 상부 주형 부재의 두 개의 절반부 각각에 형성된 홈에 팍싱 절반부가 배치된다. 상기 홈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주형은 폐쇄되고, 이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 내부에 밑창이 몰딩된다. 몰딩 과정에서, 갑피와 팍싱 사이에 몰딩 재료를 주입하여, 팍싱을 밑창에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밑창은 갑피에 고정된다.
영국 특허 제840,029호에는 갑피에 밑창과 대다리를 동시에 몰딩하는 전술한 유형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서, 이체형 대다리가 사용되며, 각각의 대다리 절반부는 실질적으로 완성품 신발 대다리의 절반에 대응한다. 개방 주형 위치에서, 대다리의 절반은 각각의 상부 주형 부재의 내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홈에 인접하여, 상부 주형 부재 각각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몰딩 과정 동안 대다리를 지지한다. 이후, 주형부의 절반부는 구두골 상에 배치된 갑피 둘레에서 폐쇄되어, 대다리는 갑피의 하부면 둘레에 형성된다. 그 후, 몰딩 재료를 갑피 및 상부 주형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캐비티에 부은 다음, 피스톤을 캐비티에 삽입하여 밑창을 형성하고 갑피에 몰딩한다. 이체형 대다리를 사용하면, 신발의 뒤꿈치와 발가락 부분에 있는 대다리 절반부의 단부에서 대다리와 갑피 사이로 밑창 재료가 흘러 들어갈 위험이 있다. 게다가, 상부 주형 부재의 절반부 각각에 하나의 대다리 절반부를 배치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다.
본 발명은 목적은 대다리와 갑피 시이에 밑창 재료가 흘러 들어가지 않게 하면서 대다리를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설치하여 대다리가 완성품 신발 상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전술한 유형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완성품 신발의 대다리 위치에 대응하는 갑피의 하부 측부의 외측 아웃라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내측 아웃라인을 갖는 환형 대다리가 제공되고,
상기 대다리는 주형의 개방 위치에서 주형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주형부의 두 개의 절반부가 상호 결합하여, 각 절반부상의 상부 돌출부가 대다리 위로 연장되고,
하부 주형부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며, 갑피를 향하는 대다리 부분이 내측 하방으로 경사 이동하여 대다리의 내단부면이 갑피의 하부 측부와 밀봉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부 주형부의 상부면 상의 원주방향 지지면이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 각각의 돌출부의 하부면 상에 마련된 가압면과 협력하고,
상기 밑창은 플라스틱 재료를 주형의 캐비티에 공급함으로써 그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몰딩된다.
주형의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가 갑피 둘레에 폐쇄될 때 (즉, 절반부가 상호 결합할 때),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주형부가 상호 결합할 때 (즉,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대다리의 일부가 원주방향 지지면의 상부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경사 이동하고, 전체 둘레부를 따라 갑피의 측면부와 결합된다. 그 결과,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가 대다리와 갑피 사이에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대다리를 갑피에 단단히 부착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여러 가지 신발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신발을 몰딩한 이후에, 주형 부품은 분리되고, 신발은 주형으로부터 꺼내진다. 그 후, 대다리의 최외측부는 다듬질(trimming)되고 신발이 완성품 외관을 갖도록 적절히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갑피를 향하는 대다리의 내단부면은 바람직하게는 언더컷부가 마련된 실질적으로 수직한 표면을 갖는다. 그 결과, 수직 단부면에 의하여 신뢰할 수 있는 부착이 획득되며, 언더컷부는 대다리의 신뢰성 있는 부착을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가 대다리와 갑피 사이로 유동하도록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 및/또는 하부 주형부에 의하여 대다리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어서, 대다리가 경사 이동하고 그 내단부면이 갑피에 맞닿아 눌림으로써, 상기 단부면의 적어도 최상부 10%가 갑피에 밀봉식으로 맞닿는다. 따라서, 대다리는 몰딩된 밑창과 갑피에 매우 신뢰성 있게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면은 하부 주형부의 상부면에 있는 원주방향 리세스의 표면이며, 상기 표면은 단면도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각도(v)를 형성한다. 그 결과,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상부 주형부와 하부 주형부는 대다리를 리세스의 반경방향 최내측 가장자리 둘레로 경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특히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이에 따라 갑피가 리세스의 외측 경사면에 의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힘을 받을 수 있을 때 이와 동시에 대다리는 갑피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다리는 주형 내부에 배치되기 전에 비교적 얇은 보조 밑창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밑창은 플라스틱 재료에 대하여 투과성이 있고, 대다리를 갑피 둘레에 유지하도록 돕는다. 상기 방법은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 밑창은 다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압축 플라스틱 섬유 또는 접착제 처리 직물과 같은 투과성 직물로 제조되며, 상기 천공부의 직경은 1.5 내지 6 mm가 바람직하며, 천공부간의 간격은 3 내지 16 mm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 밑창은 플라스틱 섬유 메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다리는 피혁, 고무, 플라스틱 또는 압축 피혁-섬유(lefa)와 같은 비교적 소프트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것은 매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다리는 주형의 개방 위치에서 하부 주형부의 상부면 상의 원주방향 지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다리는 보조 밑창을 매개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에 의하여 및/또는 센터링 핀에 의하여 갑피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고, 지지면과 결합하거나 하부 주형부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하부 주형부 내부의 리세스에 수납된다. 따라서, 밑창이 몰딩되기 전에 대다리가 갑피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를 점유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대다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다리는, 실질적으로 환형이며, 완성품 신발의 대다리 위치에서 갑피의 하부 측부의 외측 아웃라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내측 아웃라인을 가지고, 갑피를 향하는 표면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적어도 최하단부 상에 언더컷부가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밑창 재료가 대다리 (완성품 신발) 상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밑창 재료가 갑피를 향하는 대다리의 표면과 갑피 사이의 웨지(wedge)로 유동할 수 있도록, 대다리를 특히 적절한 방식으로 갑피에 강력하게 부착한다.
대다리의 외부면 상에는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인 다수의 절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다리는 접착 및/또는 재봉에 의하여 보조 밑창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밑창은 최종적으로 몰딩된 밑창의 아웃라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갖는다. 따라서, 갑피에 대하여 정확하게 대다리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대다리의 상부면에 대다리를 나타내는 의사 솔기가 마련되는 경우에, 완성된 신발은 실제로 대다리가 부착된 신발과 매우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다리의 단면 형상은 부등변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짧은 보조 립(lip)이 마련된 직사각형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실제로, 이러한 단면 형상은 매우 적절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주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주형은 하부 주형부와 종방향으로 분할된 상부 주형부를 구비하며, 상부 주형부의 두 개의 절반부는 개방 및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하부 주형부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부 주형부는 개방 및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상부 주형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주형은 또한 하부 주형부 상방에 갑피가 배치되어 있는 구두골을 구비하며,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 각각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주형은, 하부 주형부의 상부면에는 형성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상부면의 원주방향 리세스에 형성된 원주방향 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면은 대다리를 지지하고, 갑피의 하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 각각의 하부면 상의 돌출부는 상부 주형부와 하부 주형부가 맞물려 있는 동안 대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시키기 위한 가압면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대다리를 유지하기 위한 표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형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특히 적합함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주방향 리세스는 실질적으로 V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에서 상기 지지면은 밑창을 갑피에 몰딩하는 동안 대다리의 반경방향 최내측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한 상부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각도(v)를 형성한다. 지지면에 이러한 경사를 제공하면, 밑창의 몰딩과 관련하여 대다리는 특히 신뢰성있고 정확하게 성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 상의 돌출부의 폭은, 상부 주형부와 하부 주형부의 폐쇄 위치에서 갑피를 향하는 돌출부의 가장자리가 하부 주형부의 측벽을 지나 연장되며 갑피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때, 주형은 갑피 상에 가압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가압면 및 유지면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하부 주형부의 원주방향 상부면과 원주방향 지지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밑창을 몰딩할 때, 이에 따라 대다리의 상부면에는 특히 만족스런 형상이 제공되어, 완성품 신발에 매우 매력적인 외형을 부여한다.
폴리우레탄과 같은 용융 몰딩 재료를 주형 캐비티에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도관이 상부 절반부 내부, 바람직하게는 뒤꿈치 영역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주형부의 두 개의 절반부 사이의 결합면에 마련될 때, 상기 공급 도관은 주형 캐비티로 개방되기 전에 Y형상의 도관을 형성하도록 두 개의 작은 도관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주형 캐비티를 향하는 두 개의 도관의 유입 개구는 상이한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밑창 몰딩 재료의 일부가 주형 캐비티로 분사될 때 주형 캐비티의 전방으로 공급되고, 밑창 몰딩 재료의 또 다른 부분이 주형 캐비티의 최후방으로 공급된다. 그 결과, 밑창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경향이 최소화된다.
게다가, 지관 중 하나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경사진 각도 y로 (50° < y < 80°) 밑창 몰딩 재료의 제트를 갑피를 향하여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지관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각도 z로 (50° < z < 80°) 몰딩 재료 제트를 주형 캐비티 하방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주형은 몰딩 과정 중에 온도가 85 내지 150℃인 폴리우레탄으로 작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주형부와 하부 주형부는 0.4 내지 4톤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1.8톤의 압력으로 상호 결합되어, 완성품 밑창에 보이드가 없는 매우 만족스런 외관이 제공된다.
상기 Y 형태의 "스템" 도관은 5 내지 1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지관은 3 내지 6 mm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주형은 폴리우레탄 밑창의 몰딩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최종적으로, 상기 주형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히 주형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주형의 사시도로서, 구두골과 갑피가 없고 주형이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선 II-II를 따라 절취한 하부 주형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하부 주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대다리의 비스듬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밑창의 몰딩 중에 상부 주형부, 하부 주형부 및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갑피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작은 원 안에 도시된 세부사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보조 밑창에 부착된 대다리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보조 밑창의 일부가 또한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대다리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다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다리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다리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 중 하나의 결합면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유체인 밑창 몰딩 재료용 Y형 공급 도관의 지관 중 하나를 명확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 중 다른 하나의 결합면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Y형 공급 도관의 다른 지관을 명확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밑창을 갑피에 몰딩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주형을 도시하고 있으며, 갑피(1)는 구두골(2)에 배치되는데 이는 도 5를 참조하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3)은 하부 주형부(4)와, 상부 주형부의 두 개의 절반부(5a, 5b)를 갖는 상부 주형부(5)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는 수평면에서 서로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주형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을 실행하면, 완성품 신발에 실제로 대다리가 대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방법에서는 대다리(6)를 사용하는데, 도 4를 참조하라. 대다리는 환형이며, 갑피의 하부에서 완성품 신발의 둘레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갑피(1)상에 밑창을 몰딩하기 위하여, 우선 대다리(6)를 하부 주형부의 원주방향 지지면(7) 상에 배치한다. 도 3에서, 대다리의 단면이 도면부호 6의 점선으로 지시되어 있으며, 그 대다리(6)는 그 내단부면(6a)으로부터 외단부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지면(7)상에 배치하는 대신에, 대다리는 하부 주형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원주방향 리세스(21)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라. 갑피(1)를 (관련 구두골과 함께) 주형에 삽입한 이후에, 대다리(6)는 갑피의 경계를 결정하며, 갑피(1)의 하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음 단계에서, 상부 주형부의 두 절반부(5a, 5b)는 구두골(2) 둘레에서 폐쇄되며, 밑창 재료를 상부 및 하부 주형부 내부의 캐비티(10)에 공급하여 밑창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는 또한 갑피에 의하여 한정된다. 이후, 대다리가 위쪽에 있는 하부 주형부를 갑피 및 상부 주형부의 결합된 절반부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대다리는 상부 주형부의 각각의 절반부(5a, 5b)에 마련된 돌출부(15)에 의하여 형성된다. 대다리의 단부면(6a)과 갑피의 하부 사이에 소량의 밑창 재료가 유입되어, 대다리가 갑피에 강하게 부착되도록 보장한다. 도 5는 갑피[구두골 (2)]가 주형에 삽입된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는 주형을 도시한다. 또한, 주형의 캐비티(10)로 연장되는 대다리 부분이 휘어질(또는 경사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주형부의 원주방향 돌출부(15)가 주형 캐비티(10) 내로 수평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대다리(6)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 주형부(5)의 절반부(5a, 5b) 및/또는 하부 주형부(4)는 대다리가 경사이동하도록(또는 휘어지도록) 소정의 압력을 대다리(6)에 가하여, 대다리의 수직 단부면(6a)이 갑피(1) 가까이에 인접하고 단부면(6a)의 적어도 10%가 갑피에 맞닿아 밀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면(6a)의 일부에는 약간의 언더컷부(6a')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하부 주형부(4)의 원주방향 리세스(21)의 지지면(7')은 단면도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각도(v)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v)는 약 30°이다.
대다리의 단부면(6a)과 갑피(1)간이 밀봉은 도 6에 명백하게 나타나 있다. 대다리의 단부면(6a)은 도 5 및 도 6에서 갑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면(6a)은 실제로 갑피와 밀봉식으로 결합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시된 대다리는 피혁, 고무, 플라스틱 또는 압축 피혁-섬유(lefa)와 같은 비교적 소프트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주형부(4)의 리세스(21)에 배치되기 전에, 대다리(6)는 비교적 얇은 보조 밑창(16)에 장착될 수 있고, 그 보조 밑창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될 수 있다. 대다리(6)를 보조 밑창(16)에 부착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부착은 접착 및/또는 재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다리에는 의사 솔기(mock seam; 14)가 마련되어 대다리로 착시를 일으키게 할 수 있는데, 이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라. 몰딩 과정 이전에 하부 주형부(4)에 배치할 때, 대다리가 완성품 신발의 의도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보조 밑창(16)은 지지면(7')[선택적으로는, 지지면(7)]에 대하여 대다리를 적소에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밑창(16)은, 다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예컨대 압축 플라스틱 섬유 또는 접착제 처리 직물 등의 투과성 직물로 제조될 수 있다. 천공부의 직경은 1.5 내지 6 mm가 바람직하며, 천공부 사이의 간격은 3 내지 16 mm가 바람직하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천공부(11a, 11b, 11c)는 도 7에 과도하게 크게 도시되어 있다, 단지 일부의 천공부만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는, 전체 보조 밑창에 천공부가 마련된다. 선택적으로는, 천공부는 대다리(6)에 바로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천공부(11d, 11e)를 참조하라. 천공부는 몰딩 중에 보조 밑창과 갑피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로 밑창 재료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보조 밑창(16)은 또한 플라스틱 섬유 메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의 몰딩 이전에 대다리를 (보조 밑창과 함께 또는 보조 밑창을 제거하고) 직접 리세스(21)에 배치하는 대신에, 보조 밑창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대다리(6)를 보조 밑창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에 의하여 갑피의 하부면에 부착되거나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천공부(11a, 11b, 11c, 11d, 11e)와 협력할 수 있는 센터링 핀(도시 생략)에 의하여 갑피의 하부면에 보조 밑창을 부착할 수 있다.
밑창의 몰딩과 관련하여, 주형의 상부 주형부(5)와 하부 주형부(4)가 예를 들면 0.4 내지 4톤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1.8톤의 압력으로 상호 부착되기 전에, PU 포말 재료와 같은 몰딩 재료를 주형 캐비티(10)에 공급할 수 있다(도 5를 참조)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선택적으로는, 상부 주형부(5)와 하부 주형부(4)는 예컨대 PVC 등의 몰딩 재료가 캐비티(10)에 공급되기 전에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대다리(6)는, 실질적으로 환형이며 완성품 신발의 밑창의 아웃라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갖는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를 향하는 표면(6a)은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그러나, 적어도 그 최하부에는 언더컷부가 마련되는데, 이는 표면(6')을 참조하라. 갑피로부터 멀리 향하는 대다리의 외부면에는, 바람직하게는 5mm로 이격되는 것이 일반적인 다수의 등간격 절개부(13a, 13b, 13c)가 마련된다.
대다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등변사각형,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짧은 보조 립(lip; 27)이 마련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주형이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은 하부 주형부(4)와 종방향으로 분할된 상부 주형부(5)를 구비하며, 상부 주형부의 두 개의 절반부(5a, 5b)는 하부 주형부(4)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부 주형부의 두 개의 절반부 사이에 그리고 하부 주형부 상방에는 갑피가 배치되어 있는 구두골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주형부의 각각의 절반부(5a, 5b)에는 돌출부(15)가 마련되고, 그 돌출부 하부면에는 성형 가압면(17)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주형부(4)의 상부면에는 원주방향 지지면(7), 선택적으로는 하부 주형부(4)의 원주방향 리세스(21)에 형성된 지지면(7')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면은 갑피(1)의 하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대다리를 정확한 위치에 지지 및 유지한다. 돌출부(15)의 하부면 상에 있는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의 성형 가압면(17)은, 상부 주형부(5)와 하부 주형부(4)가 상호 결합할 때, 상기 지지면(7)과 함께 대다리(6)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하고 형성한다. 각각의 돌출부(15)의 하부면 상에는 대다리(6)의 반경방향 최외측부를 하부 주형부(4)에 클램핑하는 유지면(18)이 더 마련된다. 클램핑 작용은 또한 하부 주형부의 상부면 상에 있는 협소한 수평 상부면(26)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부면(26)은 지지면(7')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원주방향 리세스(21)는 실질적으로 V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의 지지면(7')은 밑창을 갑피에 몰딩하는 동안 대다리(6)의 반경방향 최외측부를 지지하기만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지지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각도(v)를 형성한다.
상부 주형부(5)의 돌출부(15)의 폭(b)[상기 폭은 갑피(1)를 향하는 돌출부(15)의 가장자리면(17a)이 주형부의 결합 상태에서 하부 주형부의 측벽(19)을 지나 연장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과 관련하여, 갑피(1)가 가장자리면(17a)으로부터 과도한 압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가장자리면은 갑피를 클리어시킨다. 단부면(17a)이 갑피와 너무 단단히 결합하면, 갑피에 원주방향 가압 흔적을 형성하여, 완성품 신발의 외관의 품질을 떨어트린다. 따라서, 이러한 가압 흔적은 본 발명에 의하여 방지된다.
상부 주형부의 돌출부(15)의 가압면(17) 중 적어도 일부는 하부 주형부의 원주방향 지지면(7')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상부 주형부와 하부 주형부가 상호 결합하기 전에 또는 그 이후에, 유체인 밑창 몰딩 재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주형의 캐비티(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주형부가 상호 결합하기 전에, 예컨대 폴리우레탄 등의 유체인 몰딩 재료를 공급하는 것은 상부 절반부(5)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뒤꿈치 영역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주형부의 두 개의 절반부 사이의 결합면에서 공급이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상기 결합면에는 공급 도관(22)이 마련되는데, 도 12를 참조하라. 캐비티(10)를 향해 개방되기 바로 전에, 도관은 두 개의 작은 도관(22a 및 22b)으로 분할되어, 공급 도관이 실질적으로 Y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를 향하는 지관(22a 및 22b)의 오리피스(22a' 및 22b')는 주형 캐비티(10) 내부에서 두 개의 상이한 높이로 배치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하는 동안, 지관(22a)은 수평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상방으로 경사진 각도(Y)로 몰딩 재료 제트를 분사한다. 다른 지관(22b)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각도(z)(수평면에 대하여 측정됨)로 몰딩 재료 제트를 주형 캐비티를 향해 하방으로 분사한다. 지관은 또한, 두 개의 제트가 주형의 중앙면으로 분사되지 않고, 상기 중앙면과 0도가 아닌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도시되지 않았다.
공급 도관(22)의 치수와 관련하여, Y 형태의 공급 도관은 5 내지 1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지관(22a, 22b)은 3 내지 6 mm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부 및 하부 주형부가 상호 결합된 이후에, 액체인 몰딩 재료를 주형 캐비티에 공급할 때, 예를 들면 상부 주형부와 하부 주형부 모두를 통해 연장되는 공급 도관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주형(3)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밑창 및 대다리(shoe welt)를 갑피에 몰딩하여, 대다리가 대어진 형상을 갖는 완성품 신발을 제공하는 갑피 몰딩 방법으로서, 상기 주형(3)은 갑피가 배치되는 구두골(last; 2), 종방향 중심면을 따라 분할되며, 이에 따라 개방 주형 위치 및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하부 주형부(4)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 절반부(5a, 5b)를 구비하는 상부 주형부(5), 그리고 개방 주형 위치 및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상부 주형부(5)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주형부(4)를 구비하는 갑피 몰딩 방법에 있어서,
    완성품 신발의 대다리 위치에 대응하는 갑피의 하부 측부의 외측 아웃라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내측 아웃라인을 갖는 환형 대다리(6)가 제공되며,
    상기 대다리(6)는 주형의 개방 위치에서 주형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 주형부의 두 절반부(5a, 5b)가 상호 결합하여, 각 절반부 상의 상부 돌출부(15)가 대다리(6) 위쪽으로 연장되며,
    하부 주형부(4)가 주형의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갑피를 향하는 대다리(6) 부분이 내측 하방으로 경사 이동하여 대다리(6)의 내단부면이 갑피(1)의 하부 측부와 밀봉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부 주형부(4)의 상부면 상의 원주방향 지지면(7, 7')이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5a, 5b) 각각의 돌출부(15)의 하부면 상에 마련된 가압면(17)과 협력하고,
    상기 밑창은 플라스틱 재료를 주형의 캐비티에 공급함으로써 그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1)를 향하는 대다리(6)의 내단부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6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6a)에는 언더컷부(6a')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주형부(5)의 절반부(5a, 5b) 및 하부 주형부(4)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대다리(6)에 압력이 가해져서, 대다리가 경사 이동하고 대다리의 내단부면(6a)이 갑피(1)에 맞닿아 눌림으로써, 내단부면(6a)의 적어도 최상부 10%가 갑피(1)에 밀봉식으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7')은 하부 주형부(4)의 상부면에 있는 원주방향 리세스(21)의 표면이며, 상기 표면은 단면도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20 내지 40°의 각도(v)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다리(6)는, 주형 내부에 배치되기 전에 비교적 얇은 보조 밑창(16)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상기 보조 밑창은 플라스틱 재료에 대하여 투과성이 있으며 밑창의 몰딩 과정에 대다리(6)를 적소에 유지하도록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된 상기 보조 밑창(16)은 다수의 천공부를 갖는 투과성 직물로 제조되며, 상기 천공부의 직경은 1.5 내지 6 mm이고, 천공부간의 간격은 3 내지 1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직물은 압축 플라스틱 섬유 또는 접착제 처리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다리(6)는 피혁, 고무, 플라스틱 또는 압축 피혁-섬유(lefa)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다리(6)는 주형의 개방 위치에서 하부 주형부(4)의 상부 측면 상의 원주방향 지지면(7, 7')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다리(6)는 보조 밑창(16)을 매개로 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또는 센터링 핀에 의하여 갑피(1)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하부 주형부(4)가 주형의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지지면(7, 7')과 맞물리거나 하부 주형부(4)의 리세스(21)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몰딩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대다리(6)에 있어서,
    상기 대다리(6)는 실질적으로 환형이며, 완성품 신발의 대다리 위치에서 갑피의 하부 측부의 외측 아웃라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내측 아웃라인을 가지고,
    갑피를 향하는 표면(6a)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다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다리는 접착 또는 재봉에 의하여 보조 밑창(16)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며, 상기 보조 밑창(16)은 최종적으로 몰딩된 밑창의 아웃라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다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다리의 단면 형상은 부등변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짧은 보조 립(27)이 마련된 직사각형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다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다리의 단면 형상은 부등변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짧은 보조 립(27)이 마련된 직사각형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다리.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주형으로서, 상기 주형은 하부 주형부(4)와 종방향으로 분할된 상부 주형부(5)를 구비하며, 상부 주형부의 두 절반부(5a, 5b)는 개방 주형 위치와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하부 주형부(4)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부 주형부(4)는 개방 주형 위치와 폐쇄 주형 위치 사이에서 상부 주형부(5)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주형은 하부 주형부 상방에 배치된 갑피(1)가 부착되어 있는 구두골(2)을 더 구비하며, 상부 주형부(5)의 절반부(5a, 5b) 각각에는 돌출부(15)가 마련되어 있는 주형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하부 주형부(4)의 상부면에 형성된 원주방향 지지면(7, 7')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면(7, 7')은 대다리(6)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 주형부의 절반부 각각의 하부면 상의 돌출부(15)는 상부 주형부와 하부 주형부의 폐쇄 동안 대다리(6)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시키기 위한 성형 가압면(17)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대다리(6)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면(18)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 지지면(7, 7')은 갑피(1)의 하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 지지면(7, 7')은 상기 상부면의 원주방향 리세스(2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 리세스(21)는 실질적으로 V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에서 상기 지지면(7')은 밑창을 갑피에 몰딩하는 동안 대다리(6)의 반경방향 최내측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한 상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면(7')은 수평면에 대하여 20 내지 40°의 각도(v)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주형부의 각 절반부(5a, 5b) 상의 돌출부(15)의 폭(b)은 주형부가 폐쇄될 때 갑피(1)를 향하는 돌출부(15)의 가장자리(17a)가 하부 주형부(4)의 측벽(19)을 지나 연장되지만 갑피(1)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주형부의 돌출부(15)의 성형 가압면(17) 및 유지면(18)의 적어도 일부는 하부 주형부의 원주방향 지지면(7, 7')과 원주방향 상부면에 각각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KR1020047013874A 2002-03-04 2003-03-04 갑피에 밑창을 몰딩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대다리 및 주형 KR100913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200329 2002-03-04
DKPA200200329 2002-03-04
PCT/DK2003/000133 WO2003074261A2 (en) 2002-03-04 2003-03-04 Method of moulding soles on shoe uppers, a shoe welt and a moul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658A KR20040098658A (ko) 2004-11-20
KR100913570B1 true KR100913570B1 (ko) 2009-08-26

Family

ID=2777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874A KR100913570B1 (ko) 2002-03-04 2003-03-04 갑피에 밑창을 몰딩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대다리 및 주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922948B2 (ko)
EP (1) EP1480814B1 (ko)
JP (1) JP4279682B2 (ko)
KR (1) KR100913570B1 (ko)
CN (1) CN100548656C (ko)
AT (1) ATE304445T1 (ko)
AU (1) AU2003215520A1 (ko)
DE (1) DE60301618T2 (ko)
DK (1) DK1480814T3 (ko)
RU (1) RU2302342C2 (ko)
WO (1) WO20030742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079577T3 (da) * 2006-10-24 2021-03-01 Ecco Sko As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fodtøj
WO2011054509A1 (en) * 2009-11-06 2011-05-12 Ecco Sko A/S Method and insert for manufacturing a multi-density shoe sole
CN102631050B (zh) * 2012-03-22 2014-08-27 杭州恒胜鞋业有限公司 一种麻底鞋及其制鞋的方法和制鞋的模具
US9713361B2 (en) * 2013-02-22 2017-07-25 Nike, Inc. Bottom-down last for 3D forming
CN104068564B (zh) * 2013-09-04 2015-12-09 黄辉 一种鞋底和鞋面的压合方法
CN103640240A (zh) * 2013-11-26 2014-03-19 际华三五一五皮革皮鞋有限公司 一种新型缝沿条加注射皮鞋新工艺
US9706815B2 (en) * 2014-01-30 2017-07-18 Nike, Inc. Paint fixture for shoe portions
CN103859704B (zh) * 2014-03-17 2015-04-22 德州市鑫华润聚氨酯鞋材股份有限公司 鞋底沿条贴合工艺
CA2854683C (en) * 2014-06-19 2021-07-13 Genfoot Inc. Method for injection moulding safety footwear
CN104432930A (zh) * 2014-12-20 2015-03-25 史文奇 一种布鞋及其生产工艺
KR20170019952A (ko) 2015-08-13 2017-02-22 임택기 충격 흡수 및 지압기능을 갖춘 신발 제조방법
CN106426746B (zh) * 2016-11-22 2020-08-25 革乐美时尚有限公司 一种鞋模、鞋底及将鞋底模制到鞋帮的方法
WO2018106706A1 (en) * 2016-12-05 2018-06-14 Nike Innovate C.V. Overmold direct attach sole
IT201700033305A1 (it) * 2017-03-27 2018-09-27 Filippo Scolaro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suola a piu’ strati direttamente sulla tomaia e macchina funzionante con detto procedimento
TWI755582B (zh) * 2018-02-08 2022-02-2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鞋物件及其製作方法及利用共用模具製造多個不同的鞋物件的方法
CN108437505A (zh) * 2018-03-15 2018-08-24 双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鞋底注射模具及其注射成型的方法
IT201800009893A1 (it) * 2018-10-30 2020-04-30 Stemma Srl Stampo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calzature
CN109315883B (zh) * 2018-11-27 2024-02-27 南通勤润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制鞋机
CN109676851B (zh) * 2019-01-10 2021-03-02 佛山市锦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发泡鞋鞋底成型发泡工艺
RU2718247C1 (ru) * 2019-12-02 2020-03-31 Игнат Игоревич Иванов Разборная обувь
DK181170B1 (en) * 2020-12-02 2023-03-22 Ecco Sko As Footwear moulding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injection production of footwear
DE102021205536A1 (de) * 2021-05-31 2022-12-01 Adidas Ag Verfahren zum Aufbringen von Materialien auf Schuhe
DE102021210100A1 (de) * 2021-09-13 2023-03-16 Adida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rektbesohl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4444A1 (en) * 1983-05-13 1984-11-22 Carter I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ootwear
JPS63246101A (ja) 1987-04-02 1988-10-13 アキレス株式会社 靴底側面装飾テ−プを有する靴の製造方法
JPH03141902A (ja) * 1989-10-30 1991-06-17 Achilles Corp 射出成形靴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160A (en) 1906-11-06 1907-05-07 Cyrus Newell Cass Disk harrow.
US1530297A (en) * 1924-03-20 1925-03-17 Patrick J Byrne Insole for welt shoes
US2062339A (en) 1935-04-24 1936-12-01 Barbour Welting Co Ring welt and method of making
US2161902A (en) 1937-12-13 1939-06-13 Cambridge Rubber Co Rubber shoe welting
GB653106A (en) 1947-07-21 1951-05-09 Bata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n ornamental welt, with an imitation ofa sewn seam on a sole and other lower parts of footwear having rubber and similar soles
FR1073710A (fr) 1953-03-23 1954-09-28 Procédé de fabrication des chaussures
GB797746A (en) * 1956-07-10 1958-07-09 Herbert Ludwi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twear
GB840029A (en) * 1958-10-04 1960-07-06 Ohg Antonio Nov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ubber-soled shoes and the like
US3042975A (en) 1960-08-26 1962-07-10 Cambridge Rubber Co Welt in shoes with molded soles
GB1258966A (ko) * 1967-12-14 1972-01-05
GB1375159A (ko) 1970-10-17 1974-11-27
US3965517A (en) * 1973-10-29 1976-06-29 Ro-Search, Inc.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footwear
US3855657A (en) * 1973-11-12 1974-12-24 G Mazzotta Shoe moulds
GB1594232A (en) 1978-02-15 1981-07-30 Rolls Royce Fluid apparatus
US4217081A (en) * 1979-05-22 1980-08-12 Usm Corporation Shoe sole molds
FR2561981B1 (fr) * 1984-03-27 1986-08-08 Ours Roger Procede de fabrication de chaussure, moul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et chaussures ainsi realisees
FR2609874A1 (fr) 1987-01-26 1988-07-29 Marquet Cie Procede de fabrication d'un article chaussant a semelle surmoulee et articles chaussants ainsi obtenus
US5032330A (en) * 1989-06-22 1991-07-16 Ro-Search, Inc. Method of footwear manufacture
US5247741A (en) 1992-03-06 1993-09-28 Suave Shoe Corporation Footwear having a molded so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4444A1 (en) * 1983-05-13 1984-11-22 Carter I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ootwear
JPS63246101A (ja) 1987-04-02 1988-10-13 アキレス株式会社 靴底側面装飾テ−プを有する靴の製造方法
JPH03141902A (ja) * 1989-10-30 1991-06-17 Achilles Corp 射出成形靴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4261A3 (en) 2004-01-29
CN100548656C (zh) 2009-10-14
CN1649721A (zh) 2005-08-03
EP1480814B1 (en) 2005-09-14
EP1480814A2 (en) 2004-12-01
AU2003215520A1 (en) 2003-09-16
DE60301618T2 (de) 2006-04-27
JP4279682B2 (ja) 2009-06-17
WO2003074261A2 (en) 2003-09-12
US7922948B2 (en) 2011-04-12
DK1480814T3 (da) 2006-01-09
KR20040098658A (ko) 2004-11-20
RU2004129575A (ru) 2005-08-10
DE60301618D1 (de) 2005-10-20
ATE304445T1 (de) 2005-09-15
RU2302342C2 (ru) 2007-07-10
US20050116383A1 (en) 2005-06-02
JP2005518963A (ja)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570B1 (ko) 갑피에 밑창을 몰딩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대다리 및 주형
EP2752125B1 (en) Shoes of automated process production and shoemaking method thereof
JP4913064B2 (ja) 靴及び靴製造方法
KR102506567B1 (ko)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CN106426746B (zh) 一种鞋模、鞋底及将鞋底模制到鞋帮的方法
US3855657A (en) Shoe moulds
US6295679B1 (en) Method of making footwear
US4217081A (en) Shoe sole molds
US2994920A (en) Patera
US20230278304A1 (en) Injection-molding method
GB2048160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shoes
US353541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JPH01320003A (ja) 熱可塑性の材料から靴底を製造しかつ甲皮に射出成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GB2146282A (en) Moulding water-proof footwear
CA2224285C (en) Manufacture of sandals
KR100560372B1 (ko) 기능성 인서트를 포함하는 신발 솔과 그 제조방법
US3729843A (en) Soft-soled foorwear
IL45937A (en)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513268C (en) Method of making a skate boot
US3444591A (en) Apparatus for casting an article onto a workpiece
CN213785661U (zh) 一种野外可调式防变形注塑鞋
SU1489704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уви
JPH0753433B2 (ja) 射出成形靴の製造方法
CN1104462A (zh) 在鞋统上连接并泡沫化塑料制鞋底的注模
IE43173L (en) Manufacture of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