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330B1 -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330B1
KR100913330B1 KR1020070138318A KR20070138318A KR100913330B1 KR 100913330 B1 KR100913330 B1 KR 100913330B1 KR 1020070138318 A KR1020070138318 A KR 1020070138318A KR 20070138318 A KR20070138318 A KR 20070138318A KR 100913330 B1 KR100913330 B1 KR 10091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ult
output
unit
word line
delay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339A (ko
Inventor
김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3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330B1/ko
Priority to JP2008310953A priority patent/JP2009158081A/ja
Priority to TW097148672A priority patent/TW200929233A/zh
Priority to US12/344,433 priority patent/US7965576B2/en
Priority to CNA2008101873601A priority patent/CN101471143A/zh
Publication of KR2009007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1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voltage or current gener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05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voltage or current gener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11C29/50012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of ti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84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access time or stabi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029/1202Word line control

Abstract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가 개시된다. 메모리 어레이 및 잉여 메모리를 갖는 이 장치는,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구동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력을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으로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 및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에서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에서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워드 라인 신호간의 지연 차에 상응하는 지연 차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 차 발생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 간단한 회로만을 추가하여 지연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테스트하고자 하는 메모리를 위한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정확한 사이즈(size)에 맞추어 선택 신호의 비트 수를 조정하여 구동력을 조절하면서 메모리 소자를 보다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번의 테스트 칩을 만들 필요성을 제거하여, 메모리 소자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igure R1020070138318
메모리 소자, 테스트, 지연, 구동력, 워드 라인

Description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Apparatus for testing memory device}
본 발명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예를 들면, SRAM의 워드 라인(wordline) 디코더(decoder)의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여러 개의 테스트 칩을 사용하여 메모리를 개별적으로 테스트 하였다. 메모리를 개발하는 업체에서는 최단 기간 내에 가장 적은 비용을 들여 제품을 만들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메모리를 테스트할 경우, 메모리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라이버 단의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내부 탐침(Internal Probe)의 연결이 가능한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만을 추가하여 메모리에서 주요 부분의 지연을 테스트할 수 있어 메모리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메모리 어레이 및 잉여 메모리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는,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구동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력을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으로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 및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에서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에서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워드 라인 신호간의 지연 차에 상응하는 지연 차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 차 발생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메모리의 워드 라인(word line)에 지연 상태를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 간단한 회로만을 추가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테스트하고자 하는 메모리를 위한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정확한 사이즈(size)에 맞추어 선택 신호의 비트 수를 조정하여 구동력을 조절하면서 메모리 소자를 보다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번의 테스트 칩을 만들 필요성을 제거하여, 메모리 소자의 개 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어레이(memory array)(10), 잉여 메모리(redundancy memory)(20), 로우 디코더(row decoder)(30), 컬럼(column) 어드레스 발생부(40) 및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PRD:Programmable Redundancy Decoder)(50)는 메모리 소자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블럭도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로우 디코더(30)는 어드레스(ADDR)를 받아서 디코딩하여 로우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컬럼 어드레스 발생부(40)는 어드레스(ADDR)을 받아서 컬럼(column)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메모리 어레이(10)는 다수 개의 셀들(미도시)로 구성되며, 로우 어드레스와 컬럼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셀을 선택하게 된다. 잉여 메모리(20)는 메모리 어레이(10)의 워드 라인 방향의 한 행(ROW)의 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PRD(50)는 선택 신호(SEL)에 상응하여 구동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력을 잉여 메모리(20)의 워드 라인으로 출력한다. 잉여 메모리(20)의 워드 라인은 구동력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된다. 이때, PRD(50)는 테스트 신호(TM)에 응답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테스트 신호(TM)는 테스트 모드에서 예를 들면 "고" 논리 레벨로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선택 신호(SEL)의 비트 수가 총 n개인 경우, PRD(50)는 2n개의 서로 다른 구동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하고자 하는 메모리 소자를 위한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크기에 맞추어 선택 신호(SEL)의 비트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선택 신호(SEL)의 비트 개수가 커지면 그 많큼 구동력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에서, 지연차 발생부(60)는 잉여 메모리(2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제2 워드 라인 신호 간의 지연 차에 상응하는 지연 차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지연 차 신호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제1 및 제2 워드 라인 신호는 잉여 메모리(20)의 워드 라인으로부터 추출된 신호들이다. 예를 들면, PRD(50)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제1 워드 라인 신호[또는, 최양호(best case) 신호]를 추출하고, PRD(50)에 가장 멀리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제2 워드 라인 신호[또는, 최불량(worst case)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지연 차 발생부(60)는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제2 워드 라인 신호들간의 상승 엣지의 지연 성분인 '상승 지연 차' 및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제2 워드 라인 신호들간의 하강 엣지의 지연 성분인 '하강 지연 차'를 모두 지연 차 신호로서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상승 지연 차와 하강 지연 차를 통해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제2 워드 라인 신호간의 지연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각 부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 각각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우 디코더(30A)는 다수개의 버퍼들(32)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어레이(10A)는 다수개의 셀들이 반복되는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잉여 메모리(20A)는 메모리 어레이(10A)에서 하나의 행의 워드 라인 방향에 셀들과 동일한 셀들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PRD(50)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n=2인 경우에, 도 1 또는 2에 도시된 PRD(50)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PRD(50)는 제1 내지 제2n 인버터들과 논리 조합부(134)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인버터는 서로 상반되는 타입의 상부 및 하부 트랜지스터들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에 해당하고 하부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n=2라면, 제1 인버터는 PMOS 트랜지스터(PM1)와 NMOS 트랜지스터(NM1)로 구성되고, 제2 인버터는 PMOS 트랜지스터(PM2)와 NMOS 트랜지스터(NM2)로 구성되고, 제3 인버터는 PMOS 트랜지스터(PM3)와 NMOS 트랜지스터(NM3)로 구성되고, 제4 인버터는 PMOS 트 랜지스터(PM4)와 NMOS 트랜지스터(NM4)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4 인버터들은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이 서로 연결된 접점을 통해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공통으로 연결된 접점인 출력단자 OUT4를 통해 구동력을 잉여 메모리(20)로 출력한다.
논리 조합부(134)는 테스트 신호(TM)가 테스트 모드임을 나타낼 때 선택 신호(SEL)의 비트들을 논리 조합하여 제1 내지 제2n인버터들로 출력한다.
이 경우, 제1 인버터(PM1 및 NM1)는 테스트 신호(TM)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즉, NAND 게이트(100)는 공급 전압(VD)과 테스트 신호를 반전 논리곱하고, 반전 논리곱한 결과를 버퍼(110 및 112)를 통해 제1 인버터(PM1 및 MN1)로 출력한다. 즉, 인버터(110 및 112)는 NAND 게이트(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버퍼링한 후, 제1 인버터(PM1 및 NM1)로 출력한다. 만일, n=2인 경우, 반전 논리합부(102)는 선택 신호(SEM)의 하위 비트(S<0>)와 상위 비트(S<1>)를 반전 논리합하고, 논리합한 결과를 버퍼(114 및 116)를 통해 제2 인버터(PM2 및 NM2)로 출력한다. 제1 반전부(104)는 하위 비트(S<0>)를 반전하여 버퍼(118 및 120)를 통해 제3 인버터(PM3 및 NM3)로 출력한다. 제1 반전 논리곱부(106)는 하위 비트(S<0>)와 상위 비트(S<1>)를 반전 논리곱하여 버퍼(122 및 124)를 통해 제4 인버터(PM4 및 NM4)로 출력한다.
이때, 논리곱부(130 및 132)는 테스트 신호(TM)가 NAND 게이트(100) 및 버퍼(110 및 112)를 통해 출력된 결과(SS0), 반전 논리합부(102) 및 버퍼(114 및 116)를 통해 출력되는 결과(SS1), 제1 반전부(104)와 버퍼(118 및 120)를 통해 출 력되는 결과(SS2)와, 제1 반전 논리곱부(106) 및 버퍼들(122 및 124)을 통해 출력되는 결과(SS3)을 논리곱하고, 논리곱한 결과를 제1 내지 제4 인버터들(136)로 각각 출력한다. 즉, 반전 논리곱부(130)는 결과들(SS0, SS1, SS2 및 SS3)을 반전 논리곱하고, 반전 논리곱한 결과를 인버터(132)를 통해 제1 내지 제4 인버터들(136)로 출력한다. 즉, SS0는 제1 인버터(PM1 및 NM1)로 출력되고, SS1는 제2 인버터(PM2 및 NM2)로 출력되고, SS2는 제3 인버터(PM3 및 NM3)로 출력되고, SS3는 제4 인버터(PM4 및 NM4)로 출력된다.
도 4 (a) 내지 (e)들은 도 3에 도시된 각 부의 파형도들이다. 즉, 도 4 (a)는 선택 신호(SEL)의 상위 비트(S<1>)와 하위 비트(S<0>)의 파형도를 각각 나타내고, 도 4 (b), (c), (d) 및 (e)들은 SS0, SS1, SS2 및 SS3을 각각 나타낸다.
도 3 및 도 4 (a) 내지 (e)들은 참조하면, 테스트 신호(TM), 상위 비트(S<1>), 하위 비트(S<0>) 및 인버터들(136)에 입력되는 결과(SS0, SS1, SS2 및 SS3)의 상태는 다음 표 1과 같이 된다.
TM S<0> S<1> 상태
1 0 0 SS0
1 0 1 SS0 SS1
1 1 0 SS0 SS1 SS2
1 1 1 SS0 SS1 SS2 SS3
표 1을 살펴보면, S<0>과 S<1>이 '00'이면 SS0만 '1'(예를 들어, '1'은 "고" 논리 레벨을 의미한다.)이 되고, S<0>과 S<1>이 '01'이면 SS0과 SS1이 모두 '1' 이 되고, S<0>과 S<1>이 '10'이면 SS0, SS1 및 SS2가 '1'이 되고,S<0>과 S<1>이 '11'이면 SS0, SS1, SS2 및 SS3이 모두 '1'이 된다. SS0, SS1, SS2 및 SS3이 모두 '1'이 되면, 구동력은 최대가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연 차 발생부(60 및 60A)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차 발생부(60A)는 제1 및 제2 위상/주파수 검출부(PFD:Phase Frequency Dectector)들(65 및 67)과 논리 소자들(61, 62, 63, 64, 66 및 68)로 구성된다.
제1 위상/주파수 검출부(65)는 제1 워드 라인 신호(72)와 제2 워드 라인 신호(74)의 위상 및 주파수의 상승 지연 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승 지연 차를 지연 차 신호로서 버퍼(66)를 통해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위해, 버퍼(61 및 62)를 통해 제1 워드 라인 신호(72)가 제1 위상/주파수 검출부(65)로 제공되고, 버퍼(63 및 64)를 통해 제2 워드 라인 신호(74)가 제1 위상/주파수 검출부(65)로 제공된다.
또한, 제2 위상/주파수 검출부(65)는 인버터(61)에서 반전된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인버터(63)에서 반전된 제2 워드 라인 신호의 위상 및 주파수의 하강 지연 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하강 지연 차를 지연 차 신호로서 버퍼(68)를 통해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출력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위상/주파수 검출부들(65 및 67) 각각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제2 내지 제10 반전 논리곱부들(202, 210, 212, 214, 216, 220, 204, 222 및 224)와 논리 소자들(200, 206, 208, 218, 226 및 228)로 구성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회로가 제1 위상/주파수 검출부(65)에 해당할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반전 논리곱부(202)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들어와서 인버터(200)에서 반전된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제8 반전 논리곱부(204)의 출력인 제1 결과를 반전 논리곱한다. 제3 반전 논리곱부(210)는 제2 반전 논리곱부(202)의 출력과 제4 반전 논리곱부(212)의 출력인 제2 결과를 반전 논리곱한다. 제4 반전 논리곱부(212)는 제3 반전 논리곱부(310)의 출력과 제10 반전 논리곱부(224)의 출력인 제3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고, 반전 논리곱한 결과를 제2 결과로서 출력한다. 제5 반전 논리곱부(214)는 제3 결과와 제6 반전 논리곱부(216)의 출력인 제4 결과를 반전 논리곱한다. 제6 반전 논리곱부(216)는 제5 반전 논리곱부(214)의 출력과 제7 반전 논리곱부(220)의 출력인 제5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제4 결과로서 출력한다.
제7 반전 논리곱부(220)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들어와서 인버터(218)에서 반전된 제2 워드 라인 신호와 제9 반전 논리곱부(222)의 출력인 상승 지연 차를 반전 논리곱하여 제5 결과로서 출력한다. 제8 반전 논리곱부(204)는 제2 및 제3 반전 논리곱부(202 및 210)의 출력과 제3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고, 논리곱한 결과(UP)를 버퍼(206 및 208)를 통해 출력한다. 제9 반전 논리곱부(222)는 제3, 제4 및 제5 결과들을 반전 논리곱하고, 논리곱한 결과를 상승 지연 차(DN)로서 버퍼(226 및 228)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버퍼(66)로 출력한다. 제10 반전 논리곱부(224)는 제2 및 제3 반전 논리곱부들(202 및 210)의 출력과 제4 및 제5 결과들을 반전 논리곱하여 제3 결과로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회로가 제2 위상/주파수 검출부(67)에 해당할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반전 논리곱부(202)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들어온 반전된 제1 워드 라인 신호를 인버터(200)에서 다시 반전한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하강 지연 차를 반전 논리곱한다. 제3 반전 논리곱부(210)는 제2 반전 논리곱부(202)의 출력과 제4 반전 논리곱부(212)의 출력인 제1 결과를 반전 논리곱한다. 제4 반전 논리곱부(212)는 제3 반전 논리곱부(210)의 출력과 제10 반전 논리곱부(224)의 출력인 제2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제1 결과로서 출력한다. 제5 반전 논리곱부(214)는 제2 결과와 제6 반전 논리곱부(216)의 출력인 제3 결과를 반전 논리곱한다. 제6 반전 논리곱부(216)는 제5 반전 논리곱부(214)의 출력과 제4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제3 결과로서 출력한다.
제7 반전 논리곱부(220)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들어온 반전된 제2 워드 라인 신호를 인버터(218)에서 다시 반전한 제2 워드 라인 신호와 제5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제4 결과로서 출력한다. 제8 반전 논리곱부(204)는 제2 및 제3 반전 논리곱부(202 및 210)의 출력과 제2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고, 논리곱한 결과(UP)를 하강 지연 차로서 버퍼(206 및 208)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버퍼(68)로 출력한다. 제9 반전 논리곱부(222)는 제2, 제3 및 제4 결과들을 반전 논리곱하고, 반전 논리곱한 결과(DN)를 제5 결과로서 출력한다. 제10 반전 논리곱부(224)는 제2 및 제3 반전 논리곱부들(202 및 210)의 출력과 제3 및 제4 결과들을 반전 논리곱하여 제2 결과로서 출력한다.
도 6 (a) 내지 (c)들은 도 2에 도시된 지연 차 발생부(60A)의 입/출력을 나타내는 파형도로서, 도 6 (a)는 제1 워드 라인 신호(72)(300) 및 제2 워드 라인 신호(74)(302)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6 (b)는 상승 지연 차를 나타내고, 도 6 (c)는 하강 지연 차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위상/주파수 검출부들(65 및 67) 각각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경우, 도 6 (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워드 라인 신호들(300 및 302)이 지연 차 발생부(60A)에 주어지면, 도 6 (b)에 도시된 상승 지연 차(310)가 버퍼(226 및 228)를 통해 버퍼(66)로 출력되고, 도 6 (c)에 도시된 하강 지연 차(320)가 버퍼(206 및 208)를 통해 버퍼(68)로 출력된다. 즉, 상승 지연 차(310)는 제1 및 제2 워드 라인 신호들(300 및 302)의 상승 엣지의 지연 차를 나타내고, 하강 지연 차(320)는 제1 및 제2 워드 라인 신호들(300 및 302)의 하강 엣지의 지연 차를 나타낸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장치는 PRD(50)에서 선택된 구동력으로 워드 라인의 지연을 측정하므로,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최적의 구동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n=2인 경우에, 도 1 또는 2에 도시된 PRD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4 (a) 내지 (e)들은 도 3에 도시된 각 부의 파형도들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위상/주파수 검출부들 각각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6 (a) 내지 (c)들은 도 2에 도시된 지연 차 발생부의 입/출력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모리 어레이 20 : 잉여 메모리
30 : 로우 디코더 40 : 컬럼 어드레스 발생부
50 : PRD 60 : 지연차 발생부

Claims (8)

  1. 메모리 어레이 및 잉여 메모리를 갖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구동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력을 상기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으로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 및
    상기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에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상기 잉여 메모리의 워드 라인에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워드 라인 신호간의 지연 차에 상응하는 지연 차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 차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2n(여기서, n은 상기 선택 신호의 비트 개수)개의 서로 다른 상기 구동력을 결정 가능한 상기 프로그래머블 잉여 디코더는
    각각은 서로 상반되는 타입의 상부 및 하부 트랜지스터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지스터들의 접점을 통해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1 내지 제2n 인버터들; 및
    상기 선택 신호의 비트들을 논리 조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2n인버터들로 출력하는 논리 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버터는 테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n=2일 때, 상기 논리 조합부는
    상기 선택 신호의 하위 비트와 상위 비트를 반전 논리합하여 상기 제2 인버터로 출력하는 반전 논리합부;
    상기 하위 비트를 반전하여 상기 제3 인버터로 출력하는 제1 반전부;
    상기 하위 비트와 상기 상위 비트를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4 인버터로 출력하는 제1 반전 논리곱부; 및
    상기 테스트 신호, 상기 반전 논리합부의 출력, 상기 제1 반전부의 출력 및 상기 제1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들을 논리곱하고, 논리곱한 결과를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인버터들로 출력하는 논리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차 발생부는
    상기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상기 제2 워드 라인 신호의 위상 및 주파수의 상승 지연 차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상승 지연 차를 상기 지연 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 위상/주파수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 트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차 발생부는
    반전된 상기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반전된 상기 제2 워드 라인 신호의 위상 및 주파수의 하강 지연 차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하강 지연 차를 상기 지연 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 위상/주파수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주파수 검출부는
    반전된 상기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제1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는 제2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과 제2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는 제3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3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과 제3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2 결과로서 출력하는 제4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3 결과와 제4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는 제5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5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과 제5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4 결과로서 출력하는 제6 반전 논리곱부;
    반전된 상기 제2 워드 라인 신호와 상기 상승 지연 차를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5 결과로서 출력하는 제7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과 상기 제3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제8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3, 제4 및 제5 결과들을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상승 지연 차로서 출력하는 제9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및 제3 반전 논리곱부들의 출력과 상기 제4 및 상기 제5 결과들을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3 결과로서 출력하는 제10 반전 논리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주파수 검출부는
    상기 제1 워드 라인 신호와 상기 하강 지연 차를 반전 논리곱하는 제2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과 제1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는 제3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3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과 제2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1 결과로서 출력하는 제4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결과와 제3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는 제5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5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과 제4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3 결과로서 출력하는 제6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워드 라인 신호와 상기 제5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4 결과로서 출력하는 제7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반전 논리곱부의 출력과 상기 제2 결과를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하강 지연 차로서 출력하는 제8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제3 및 제4 결과들을 반전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제9 반전 논리곱부;
    상기 제2 및 제3 반전 논리곱부들의 출력과 상기 제3 및 상기 제4 결과들을 반전 논리곱하여 상기 제2 결과로서 출력하는 제10 반전 논리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KR1020070138318A 2007-12-27 2007-12-27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KR10091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318A KR100913330B1 (ko) 2007-12-27 2007-12-27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JP2008310953A JP2009158081A (ja) 2007-12-27 2008-12-05 メモリ素子のテスト装置
TW097148672A TW200929233A (en) 2007-12-27 2008-12-12 Apparatus for testing memory device and testing method thereof
US12/344,433 US7965576B2 (en) 2007-12-27 2008-12-26 Apparatus for testing memory device
CNA2008101873601A CN101471143A (zh) 2007-12-27 2008-12-29 测试存储器件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318A KR100913330B1 (ko) 2007-12-27 2007-12-27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339A KR20090070339A (ko) 2009-07-01
KR100913330B1 true KR100913330B1 (ko) 2009-08-20

Family

ID=4080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318A KR100913330B1 (ko) 2007-12-27 2007-12-27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65576B2 (ko)
JP (1) JP2009158081A (ko)
KR (1) KR100913330B1 (ko)
CN (1) CN101471143A (ko)
TW (1) TW2009292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9394B (zh) * 2017-06-28 2022-02-01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车辆用制动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157A (ja) * 1998-11-24 2000-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テスト方法
JP2005339623A (ja) * 2004-05-25 2005-12-08 Toshiba Corp 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5018A (ja) * 1985-02-25 1986-08-29 Seiko Epson Corp ワ−ド線遅延検出回路
US5217917A (en) * 1990-03-20 1993-06-08 Hitachi,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substrate arrangement to permit forming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random access memory, and a testing method therefor
KR0172844B1 (ko) * 1995-12-11 1999-03-30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리페어 회로
JP3093655B2 (ja) * 1996-09-27 2000-10-03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多値マスクromのワード線駆動方法及びその駆動回路
US5781557A (en) * 1996-12-31 1998-07-14 Intel Corporation Memory test mode for wordline resistive defects
JP3358518B2 (ja) * 1997-11-07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ワード線昇圧回路を備えた半導体スタティックramの低電圧動作試験方法
JP2000113678A (ja) * 1998-09-30 2000-04-21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1174519A (ja) * 1999-12-22 2001-06-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4011248B2 (ja) * 1999-12-22 2007-11-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386031B2 (ja) * 2000-03-06 2003-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同期遅延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454259B1 (ko) * 2001-11-02 2004-10-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모니터링회로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
JP2004319890A (ja) * 2003-04-18 2004-11-11 Sony Corp 半導体回路
US7002861B2 (en) * 2004-04-16 2006-02-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programming setup time
US7948819B2 (en) * 2006-11-21 2011-05-24 Agere Systems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a memory with process-voltage-temperature control
US7646658B2 (en) * 2007-05-31 2010-01-12 Qualcomm Incorporated Memory device with delay tracking for improved timing margin
US7787325B2 (en) * 2008-05-14 2010-08-31 Lsi Corporation Row decode driver gradient design in a memor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157A (ja) * 1998-11-24 2000-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テスト方法
JP2005339623A (ja) * 2004-05-25 2005-12-08 Toshiba Corp 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5576B2 (en) 2011-06-21
KR20090070339A (ko) 2009-07-01
CN101471143A (zh) 2009-07-01
US20090172311A1 (en) 2009-07-02
JP2009158081A (ja) 2009-07-16
TW200929233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487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JP2012198983A (ja) 集積回路デバイス用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US6980036B2 (en)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requency multiplier of external clock and output buffer of test data and semiconductor test method
US8531196B1 (en) Delay test circuitry
KR100913330B1 (ko)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US7352252B2 (en) Circuit and method to measure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s in SRAM devices
JPH09147599A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050229067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6610216B2 (ja) 遅延回路および遅延回路の試験方法
CN109635436B (zh) 一种电路结构
JP3603440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924024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use circuit
KR100524925B1 (ko) 테스트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병렬 비트 테스트를 구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병렬 비트 테스트 방법
US6130851A (e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redundancy fuse broken by an electric current
JP2013149332A (ja) メモリ装置及びメモリ装置のテスト方法
JP2848441B2 (ja) Cmos半導体装置
KR20080046919A (ko) Odt회로의 테스트 장치
KR018297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웨이퍼 번-인 테스트 회로
KR20070021502A (ko)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JP2024033179A (ja) 半導体記憶装置。
JPH08273392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テスト方法
KR100663339B1 (ko) 특정 시간 모니터링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05234398A (ja) 半導体記憶装置のテスト回路
KR19980034259A (ko) 로오 어드레스 프리디코더 회로
KR20010001462A (ko) 어드레스 카운터를 이용한 데이타 기입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