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844B1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844B1
KR100911844B1 KR1020070094760A KR20070094760A KR100911844B1 KR 100911844 B1 KR100911844 B1 KR 100911844B1 KR 1020070094760 A KR1020070094760 A KR 1020070094760A KR 20070094760 A KR20070094760 A KR 20070094760A KR 100911844 B1 KR100911844 B1 KR 10091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hinge
lower hou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255A (ko
Inventor
마나부 혼고
히데히코 히즈카
다츠히토 아라키
히데카츠 고바야시
히로아키 마츠다
사토시 스도
와타루 무라타
다카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성이 좋고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개구부를 가지며, 그 개구부에 수용물이 끼워져 들어가는 하우징과, 개구부를 덮으며, 수용물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개구부를 둘러싸 수용물을 방수하는 돌기가 형성된 덮개와, 덮개를 덮으며, 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덮개를 하우징을 향해 누르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가 하우징에 장착되면, 커버에 의해서 덮개의 돌기가 개구부를 둘러싸 하우징에 압박되기 때문에, 수용물을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MOBILE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방수 가공이 행해진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를 사용한 통화나 전자메일의 송수신 등에 의해서 가족이나 친구와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전화나 전자메일 등과 같은 통신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멀리 떨어진 가족이나 친구 등에게도 생각난 그 자리에서 손쉽게 연락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나, 웹사이트를 열람하는 컴퓨터나, 출장지에서의 자명종 대용 등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상황이 다양해짐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 부품이 증가하고 있어, 휴대 단말 장치에 방수 기능을 포함시킬 필요가 생기고 있다. 특히, 전지 팩은 휴대 단말 장치 내의 각종 전자 부품과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서 빼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착탈되기 쉬울 것과, 확실하게 방수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점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고무 패킹 등을 통해 회전 로크식의 덮개로 막는 방수 장치에 관해서 기재되어 있다. 하우징의 개구부에 전지 팩을 끼워 넣음으로써, 전지 팩을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전지 팩을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35364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회전 로크식의 덮개에 사용자가 쥐는 손잡이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데다, 노약자라도 작은 힘으로 간단히 덮개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덮개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개구부 안을 확실하게 방수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패킹을 사이에 두고서 덮개를 단단히 닫을 필요가 있어, 사용자의 조작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조작성이 좋고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개구부를 가지며, 그 개구부에 수용물이 끼워진 하우징과, 개구부를 덮으며, 수용물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개구부를 둘러싸 수용물을 방수하는 돌기가 형성된 덮개와, 덮개를 덮으며, 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덮개를 하우징을 향해 누르는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커버가 하우징에 장착되면, 커버에 의해서 덮개의 돌기가 개구부를 둘러싸 하우징에 압박되기 때문에, 수용물을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무 패킹을 끼운 덮개를 단단히 돌리거나 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커버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휴대 단말 장치를 방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돌기가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을 갖는 돌기에 의해서 개구부가 간극 없이 둘러싸여, 수용물을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덮개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덮개에 맞닿아 덮개를 하우징을 향해 누르는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를 하우징을 향해 누르는 돌기가 커버에 형성됨으로써, 덮개를 확실하게 하우징에 압박할 수 있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며, 상기 하우징은 샤프트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받는 샤프트 받침부를 구비한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작은 힘으로 덮개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소정 방향으로 뻗 은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드됨으로써,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는 커버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커버 착탈시에 덮개도 함께 열어 버려, 덮개가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커버에 대응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커버는 홈에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하여 로크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 기구에 의해서 커버가 하우징에 대하여 로크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의 방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은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는 착탈하기 쉬울 것과, 확실하게 방수할 것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용물로서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성이 좋고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100)에는, 주로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음성이나 전자메일 등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휴대 전화기(100) 전체가 방수 기능을 갖고 있다.
휴대 전화기(100)는, 통화시에 사용자가 귀에 대는 상부 하우징(100A)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하부 하우징(100B)이 힌지부(100C)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접을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00)를 접었을 때에 숨는 면을 표면, 휴대 전화기(100)를 접었을 때에 노출되는, 표면의 이면의 면을 이면이라 칭하며 설명한다.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은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하우징의 일례에 해당한다.
상부 하우징(100A)의 표면에는, 메뉴 화면이나 촬영 화상 등이 표시되는 액정 패널(101) 및 내부에 스피커가 배치되어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을 발하기 위한 송화구(102)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 하우징(100B)의 표면에는, 각종 기능의 선택이나, 촬영을 할 때의 셔터 버튼으로서 사용되는 선택 버튼(104),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푸시 버튼(105) 및 내부에 마이크로폰이 배치되어 소리를 마이크로폰에 전하기 위한 수화구(106)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상부 하우징(100A)의 이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부 하우징(100A)의 이면측에는 백라이트(후술함)나 이면 액정 패널(후술함)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백라이트나 이면 액정 패널의 빛이 상부 하우징(100A)을 투과함으로써, 시계나 패턴 등이 표시된다.
도 3은 하부 하우징(100B)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 하우징(100B)의 이면측에는, 충전시에 외부의 충전기에 접속되는 충전 단자(108)가 구비되어 있고, 힌지부(100C)에 가까운 위치에는, 근거리용의 무선 통신에 의해서 화상이나 어드레스 정보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안테나(109a)와, 피사체광을 결상하는 촬영 렌즈(109b)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하부 하우징(100B)의 이면측에는, 기지국을 통해 음성이나 전자메일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원거리 안테나(107)(도 5 참조)도 내장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00)를 사용하여 음성이나 전자메일 등을 송신할 때에는, 사용자가 푸시 버튼(105)을 사용하여 전화번호나 전자메일 어드레스 등을 입력하면, 원거리용의 무선 통신에 의해서 데이터가 지정된 통신 상대편으로 향해 발신된다. 휴대 전화기(100)로부터 발신된 데이터는 일단 기지국에서 수신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전화 회선, LAN 회선 및 다른 기지국 등을 통해 통신 상대편에게 전달된다. 반대로, 통신 상대편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는 기지국에서 수신되어 무선의 데이터로 변환된 후, 휴대 전화기(100)에 전달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100)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는, 사용자가 촬영 렌즈(109b)를 피사체로 향하게 하여 선택 버튼(104)을 누르면, 휴대 전화기(100)에 내장된 카메라 장치(도 4 참조)에 의해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휴대 전화기(100)의 내부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휴대 전화기(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에는, CPU(110), ROM(111), 비휘발성 메모리(112), RAM(113), 마이크 장 치(121), 스피커 장치(122),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131), 시계(132), 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33), 카메라 장치(140), 근거리 무선 장치(141), 원거리 통신 장치(142), 백라이트(151), 키 장치(161), 개폐 스위치(162), 매체 컨트롤러(17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는 버스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00)에는 기록 매체(171) 및 충전지(180)도 접속되어 있다.
CPU(110)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휴대 전화기(100)의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ROM(111)에는 CPU(110)에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이들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각종 상수가 기억되어 있으며, CPU(110)는 ROM(11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13)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면서 실행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12)에는, 주소록이나 수신한 전자메일 등, 재기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 각종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마이크 장치(121)는 사용자의 소리를 픽업하는 마이크로폰 및 그 마이크로폰으로 픽업된 소리를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다.
스피커 장치(122)는 사용자에게로 향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그 스피커를 구동하며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블록이다.
근거리 무선 장치(141)는 도 3에 도시하는 근거리 안테나(109a)를 사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외부 장치에 화상이나 전화번호 등을,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서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 통신이 채용되고 있다.
카메라 장치(140)는 사진 촬영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수집을 담당하는 블록 이며,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131)는 도 1에 도시하는 상부 하우징(100A)의 표면에 구비된 액정 패널(101)에의 화상 표시를 담당하는 블록이며, 시계(132)는 현재 시각을 취득하기 위한 블록이며, 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33)는 도 2에 도시하는 상부 하우징(100A)의 이면에 내장된 이면 액정 패널(후술함)에의 화상 표시를 담당하는 블록이며, 백라이트(151)는 상부 하우징(100A)의 이면으로 향해 빛을 발하는 것이며, 키 장치(161)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버튼(104)이나 푸시 버튼(105)(도 1 참조)의 키 조작을 검출하는 블록이다.
개폐 스위치(162)는 휴대 전화기(100)의 상부 하우징(100A)과 하부 하우징(100B)이 열리면 켜지고, 이들이 닫히면 꺼지는 스위치이다. 휴대 전화기(100)의 상부 하우징(100A)과 하부 하우징(100B)이 열려 개폐 스위치(162)가 켜지면, CPU(110)는 상부 하우징(100A)의 표면에 설치된 액정 패널(101)에 시계 등을 표시하게 하고, 상부 하우징(100A)과 하부 하우징(100B)이 닫혀 개폐 스위치(162)가 꺼지면, CPU(110)는 상부 하우징(100A)의 이면에 설치된 백라이트(151)를 발광시키는 동시에, 이면 액정 패널에 시계를 표시하게 한다. 백라이트(151) 및 이면 액정 패널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매체 컨트롤러(170)는 기록 매체(17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카메라 장치(140)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 등을 기록 매체(171)에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원거리 통신 장치(142)는 원거리 안테나(107)(도 5 참조)를 통해 전화의 송수신이나 전자메일의 송수신 등을 담당하고 있다. 원거리 통신 장치(14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는 기지국을 통해 다른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보내진다.
휴대 전화기(10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100)의 힌지부(100C) 부근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상부 하우징(100A)의 이면측의 구성, 도 4에 도시하는 충전지(180) 부근의 구성, 및 도 3에 도시하는 충전 단자(108) 부근의 구성에 관해서 순차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휴대 전화기(100)의 힌지부(100C) 부근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휴대 전화기(100)의 힌지부(100C)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도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100)의 힌지부(100C)는, 상부 하우징(100A)과 하부 하우징(100B)을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210)와, 힌지(210)에 대하여 장착되어 힌지(210)를 은폐하는 힌지 커버(220)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210)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힌지의 일례에 해당하며, 힌지 커버(220)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힌지 커버의 일례에 해당한다.
하부 하우징(100B)의 이면에는, 도 3에도 도시하는 근거리 안테나(109a)와 촬영 렌즈(109b)가 내장되어 있고, 또한, 하부 하우징(100B)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190)나, 근거리 안테나(109a)와 촬영 렌즈(109b)를 둘러싸는 원거리 안테나(107) 등이 부착되어 있다. 원거리 안테나(107)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안테나의 일례에 해당하며, 나사(190)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체결 부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의 연결면에는, 힌지(210)가 끼워져 들어가는 홈(100E)과, 힌지(210)를 덮어 힌지를 회전 자유롭게 유지하는 힌 지 피복부(100D)와, 힌지 커버(220)에 형성된 갈고리(후술함)가 끼워져 들어가는 갈고리 고정부(1001)가 형성되어 있다. 홈(100E)은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홈의 일례에 해당한다.
힌지 커버(220)는, 힌지(210)의 끝을 덮는 끝단 커버부(221)와, 힌지(210)의 외주면을 은폐하는 외주 커버부(222)와, 하부 하우징(100B)의 일부를 덮는 하우징 커버부(223)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 커버부(222)에는, 갈고리 고정부(1001)에 끼워져 들어가는 갈고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커버부(222)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외주 커버부의 일례에 해당하며, 끝단 커버부(221)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양 끝단 커버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6은 힌지부(100C)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5의 홈(100E)에 힌지(210)가 장착되면,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에 형성된 힌지 피복부(100D)가 힌지(210)를 덮고, 상부 하우징(100A)과 하부 하우징(100B)이 힌지(210)를 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다.
이어서, 힌지 커버(220)의 하우징 커버부(223)에 양면 테이프가 접착되고, 힌지(210)의 끝단과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 사이의 간극 P에 힌지 커버(220)의 끝단 커버부(221)가 끼워져 들어간다. 그 결과, 힌지 커버(220)의 하우징 커버부(223)가 양면테이프에 의해서 하부 하우징(100B)에 접착되고, 힌지 커버(220)에 마련된 갈고리가 갈고리 고정부(1001)에 끼워져 들어가, 힌지 커버(220)가 힌지(210),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에 장착된다.
힌지 커버(220)가 장착된 휴대 전화기(100)는 힌지 피복부(100D)와 힌지 커 버(220)의 외주 커버부(222)가 힌지(210)의 외주면을 덮고, 힌지 커버(220)의 끝단 커버부(221)가 힌지(210)의 양단을 덮고, 힌지 커버(220)의 하우징 커버부(223)가 하부 하우징(100B)에 설치된 나사(190)나 원거리 안테나(107)를 덮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00)에 의하면, 힌지의 양단 각각에 개별적인 힌지 캡을 장착할 필요가 없어, 힌지 커버(220)만으로 힌지를 확실하게 은폐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커버(220)로 원거리 안테나(107) 및 나사(190)를 덮음으로써,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원거리 안테나(107)의 오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 전화기(100)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00)와, 종래의 휴대 전화기(100')의 외관도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100')는, 힌지의 외주면을 덮는 힌지 커버와는 별도로, 힌지의 양단 각각에 힌지 캡이 장착되어 있어, 부품수가 증가해 버린다. 또한, 힌지의 양단 각각에 힌지 캡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의 양단에까지 힌지부(100C')를 연장시킬 필요가 있어, 휴대 전화기(100')의 디자인이 한정되거나, 휴대 전화기(100')의 박형화가 저해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00)는, 힌지(210)를 확실하게 은폐할 수 있는 데다, 힌지부(100C)의 길이 W1을 상부 하우징(100A) 및 하부 하우징(100B)의 폭 방향의 길이 W2보다도 짧게 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100)의 디자인성을 향상시켜, 휴대 전화기(100)를 박형화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100)는 힌지 커버(220)를 떼어낸 상태에서 방수 기능을 갖고 있다. 휴대 전화기(100)의 제조 공정에서는, 힌지 커버(220)를 장착하기 전에 방수 검사가 실행되어, 방수 검사에서 합격한 휴대 전화기(100)에 힌지 커버(220)가 장착되어, 최종적인 제품이 완성된다. 방수 검사에서 불합격한 휴대 전화기(100)는 재조정 공정으로 보내져 재조정이 이루어지고, 재검사에 합격한 후에 힌지 커버(22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힌지 커버(220)를 떼어낸 상태에서 방수 기능을 가짐으로써, 힌지 커버(220)를 장착하지 않고서 방수 검사를 실행할 수 있어, 재조정 공정에서 몇 번이나 힌지 커버(220)를 착탈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으로, 휴대 전화기(100)의 힌지부(100C) 부근 구성의 설명을 끝내고, 이어서, 상부 하우징(100A)의 이면측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상부 하우징(100A)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부 하우징(100A)은 내부에 각종 부품이 수용된 케이스(310)와, 케이스(310)를 덮는 패널(32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310)에는 구멍(3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311)의 내측에, 도 4에도 도시하는 백라이트(151)나 이면 액정 패널(15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패널(320)은 아크릴제의 얇은 판에 착색이 행해진 것으로, 광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310)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박스부의 일례에 해당하고, 패널(320)은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패널의 일례에 해당하며, 백라이트(151)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광원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 패널(320)의, 케이스(310)와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빛을 가리는 차광판(330)이 접착되어 있다.
도 9는 패널(320)의, 케이스(310)와 대향하는 대향면과, 그 대향면에 접착되는 차광판(33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320)의 대향면에는, 백색 도료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광확산 투과층(321)이 형성되어 있다. 광확산 투과층(321)은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광확산 투과층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차광판(330)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백라이트(151) 및 이면 액정 패널(152)에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홀(331, 332)이 형성되어 있고, 백라이트(151)에 대응하는 관통홀(331)은 그 주연 부분(331')이 패널(320)측으로 향한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판(330)은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차광판의 일례에 해당한다.
백라이트(151)로부터 나온 빛은 차광판(330)의 관통홀(331)을 통과하여 패널(320)의 광확산 투과층(321)으로 확산되어, 누그러진(softened) 빛이 패널(320)로부터 투과된다. 또한, 백라이트(151)로부터 나온 빛은 테이퍼형의 주연 부분(331')에서 난반사하여 확산되기 때문에, 패널(320)에 희미하고 온화한(faint gentle) 빛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151)나 이면 액정 패널(152)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차광판(330)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케이스(310)에 수용된 각종 부품이 패널(320)에 투과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패널(320)의 광확산 투과층(321)이 백색 도료로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광확산율이 높아지고, 케이스(310) 내의 각종 부품의 은폐 효과도 높아지고 있 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00)에 의하면, 빛을 확산시키는 간유리를 갖출 필요가 없고, 장치의 대형화나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여, 하우징 내의 부품이 들여다보이게 되는 문제점을 피하여 온화한 빛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상부 하우징(100A)의 이면측 구성의 설명을 끝내고, 이어서, 도 4에 도시하는 충전지(180) 부근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지(180)는 하부 하우징(100B) 내에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있으며, 덮개 및 커버로 덮임으로써 방수 가공이 행해지고 있다.
도 10은 휴대 전화기(100)의 하부 하우징(100B)의, 충전지(180)를 덮는 덮개(420) 및 커버(430)를 떼어냈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하부 하우징(100B)에는, 개구부(411)와, 샤프트 받침부(410)와, 가이드(412)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11)에 충전지(180)가 끼워져 들어가 있다. 충전지(180)는, 도 3에도 도시하는 충전 단자(108)에 접속되는 동시에, 도 4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요소와도 접속되어 있다. 샤프트 받침부(410)는, 샤프트가 끼워져 들어가는 샤프트 끼움부와, 덮개(420)가 지지되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412)는 커버(430)의 두께분만큼 내측으로 들어간 홈이며, 커버(430)가 가이드(412)를 따라서 슬라이드된다. 샤프트 받침부(410)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샤프트 받침부의 일례에 해당하고, 가이드(412)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가이드의 일례에 해당하고, 충전지(180)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수용물의 일례에 해당한다.
덮개(420)에는, 하부 하우징(100B)의 샤프트 받침부(41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샤프트(421)가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421)는 샤프트 받침부(410)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덮개(420)는 하부 하우징(100B)의 개구부(411)를 가로 열기로 개폐한다. 샤프트(421)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샤프트의 일례에 해당하고, 덮개(42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덮개의 일례에 해당한다.
커버(430)에는 상부에 갈고리(430a)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갈고리(430a)가 하부 하우징(100B)에 설치된 갈고리 고정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하부 하우징(100B)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착탈된다. 또한, 커버(430)에는, 충전 단자(108)가 끼워져 들어가는 관통홀(431)과, 하부 하우징(100B)에 대하여 로크되는 로크 기구(432)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432)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로크 기구의 일례에 해당하고, 커버(43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커버의 일례에 해당한다.
커버(430)는 상부에 갈고리(430a)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 하우징(100B)의 가이드(412)를 따라서 슬라이드되어, 갈고리(430a)가 하부 하우징(100B)에 설치된 갈고리 고정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하부 하우징(100B)에 대하여 착탈된다. 또한, 커버(430)에는, 충전 단자(108)가 끼워져 들어가는 관통홀(431)과, 하부 하우징(100B)에 대하여 로크되는 로크 기구(432)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432)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로크 기구의 일례에 해당하고, 커버(43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커버의 일례에 해당한다.
우선은, 덮개(420)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덮개(420)를 개폐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에는 덮개(420)를 닫은 상태가 도시된다. 덮개(420)는 커버(430)와 대향하는 커버 대향면(420A)이 비침수성을 갖는 판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420)에는 갈고리(422)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420)가 닫혀 하부 하우징(100B)을 향해 누르면, 갈고리(422)가 하부 하우징(100B)에 형성된 갈고리 고정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져 들어가, 덮개(420)가 하부 하우징(100B)에 고정된다.
또, 도 11의 (b)에는 덮개(420)를 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덮개(420)는 충전지(180)와 대향하는 충전지 대향부(420B)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 하우징(100B)의 개구부(411)를 둘러싸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볼록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지 대향부(420B)에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복수의 보조 볼록부(423a)가 구비되어 있다.
이어서, 커버(430)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커버(430) 및 하부 하우징(100B)의, 로크 기구(432) 부근의 확대도이며, 도 13은 커버(430)의, 하부 하우징(100B)과 대향하는 하우징 대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00B)에는 로크 기구(432)와 대향하는 위치에, L자형의 홈(4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30)의 하우징 대향면에는, 하부 하우징(100B)의 홈(424)에 끼워져 들어가는 로크 레버(432a)가 구비되어 있고, 덮개(420)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볼록부(433)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430)가 하부 하우징(100B)에 세로 방향으로 장착되고, 로크 기구(432)를 형성하는 로크 레버(432a)가 하부 하우징(100B)의 홈(424)을 따라서 슬라이드됨으로써, 커버(430)가 하부 하우징(100B)에 대하여 확실하게 로크된다.
충전지(180)를 휴대 전화기(100)에 장착할 때에는,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하는 하부 하우징(100B)의 개구부(411)에 충전지(180)를 수용하고, 덮개(420)를 닫아, 도 11에 도시하는 덮개(420)의 갈고리(422)를 하부 하우징(100B)에 고정하고, 도 10에 도시하는 커버(430)를 하부 하우징(100B)의 가이드(412)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킨다. 그 결과, 커버(430)의 갈고리(430a)가 하부 하우징(100B)에 마련된 갈고리 고정부에 끼워져 들어간다. 또한, 커버(430)를 하부 하우징(100B)에 끼워 넣어, 로크 기구(432)를 로크한다.
도 14는 휴대 전화기(100)를 폭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30)의 볼록부(433)가 덮개(420)를 압박하고 있고, 그 결과, 덮개(420)의 볼록부(423)와, 도 11에 도시하는 보조 볼록부(423a)가 하부 하우징(100B)을 향해 압박되고 있다. 덮개(420)의 볼록부(423)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충전지(180)가 수용된 하부 하우징(100B)의 개구부(411)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덮개(420)에 의해서 개구부(411)가 간극 없이 막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00)에 의하면, 사용자는 덮개(420)를 닫아 커버(430)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커버(430)가 덮개(420)를 눌러 덮개(420)가 개구부(411)를 확실하게 막기 때문에, 노약자와 같이 힘이 약한 사용자라도, 충 전지(180)를 용이하게 방수할 수 있다. 또한, 덮개(420)가, 커버(430)가 슬라이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폐됨으로써, 커버(430) 착탈시에 덮개(420)가 열려 버려, 덮개(420)가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이상으로, 충전지(180) 부근 구성의 설명을 끝내고, 이어서, 도 3에 도시하는 충전 단자(108) 부근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하부 하우징(100B)의 분해 사시도이다.
하부 하우징(100B)에는, 통화 기능 등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을 구비한 본체 기판(510)과, 본체 기판(510)과 접속되는 동시에, 일부가 하부 하우징(100B)의 이면측에 노출되는 충전 단자(108)와, 본체 기판(510)과의 사이에 충전 단자(108)를 사이에 두고 본체 기판(510)에 부착되는 고정 케이스(5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00B)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충전지(180), 덮개(420), 커버(430) 등도 장착되지만,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다.
본체 기판(510)에는, 충전 단자(108)를 고정 케이스(530)로 향해서 밀어붙이는 금속 스프링(511)이 구비되어 있고, 고정 케이스(530)에는 충전 단자(108)의 일부가 끼워져 들어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충전 단자(108)는, 플라스틱제의 기체(基體) 상에, 비도전성의 비도전 부분(524)과, 도전성을 갖는, 전지 접점(521), 바이브레이터 접점(522) 및 전지 접점(521)이나 바이브레이터 접점(522)으로부터 연결된 접속 부분(523)이 형성되어 있다. 전지 접점(521)에는 그 전지 접점(521)을 둘러싸는 O링(600)이 장착되어 있 다. O링(600)은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O링의 일례에 대응하는 동시에,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방수 부재의 일례에도 해당한다.
도 16은 제조 도중의 충전 단자(108)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에는 제조 도중의 충전 단자(108)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의 (b)에는 제조 도중의 충전 단자(108)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충전 단자(108)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우선 도금이 부착되지 않는 PC 수지(폴리카보네이트)와 도금이 부착되는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의 공중합 화합물)가 2색 성형되어 단자 기체(108')가 형성된다. ABS 수지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도금이 부착되는 제1 재료」의 일례에 해당하고, PC 수지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도금이 부착되지 않는 제2 재료」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기체(108')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비도전 부분(524)에 대응하는 비도전 부분(524')이 PC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전지 접점(521), 바이브레이터 접점(522) 및 접속 부분(523)에 대응하는 도전 부분(521', 522', 523')이 ABS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단자 기체(108')에 도금 가공이 행해진다. 그 결과, PC 수지로 형성된 비도전 부분(524')에는 도금이 부착되지 않고, ABS 수지로 형성된 도전 부분(521', 522', 523')에만 도금이 부착되어, 충전 단자(10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금이 부착되는 수지와 도금이 부착되지 않는 수지를 2색 성형하여 단자 기체를 생성하고, 그 단자 기체에 도금 가공을 하여 단자를 형성함으로 써, 도전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두께의 단자를 생성할 수 있다.
도 l7은 도금 가공이 행해진 후의 충전 단자(108)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a)에는 도금 가공이 행해진 직후의 충전 단자(108)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의 (b)에는 O링(600)이 장착된 후의 충전 단자(108)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기체(108') 중, ABS 수지로 형성된 도전 부분(521', 522', 523')에 도금이 부착되어, 전지 접점(521), 바이브레이터 접점(522) 및 접속 부분(523)이 형성된다. 단자 기체(108') 중, PC 수지로 형성된 비도전 부분(524')에는 도금이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전지 접점(521)은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전지 접점(521)을 둘러싸도록 O링(600)이 부착되어 있다.
도 18은 충전 단자(108)가 장착된 하부 하우징(100B)을 폭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 단자(108)의 전지 접점(521)은 고정 케이스(530)의 개구부(531)에 끼워져 들어가 있으며, 그 전지 접점(521)은 휴대 전화기(100)의 하부 하우징(100B)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그 개구부(531)와 전지 접점(521)과의 사이의 간극이 O링(600)에 의해서 막혀 있기 때문에, 하부 하우징(100B) 내부로의 침수가 확실하게 방지되고 있다.
또한, 충전 단자(108)의 바이브레이터 접점(522)은, 착신했을 때 등에 휴대 전화기(100)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700)와 접속되어 있다. 충전 단자(108)에 충전용의 접점과 바이브레이터(700)용의 접점이 형성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조 비용이나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9는 하부 하우징(100B)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00)에 의하면, 도전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두께의 단자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방수 부재[O링(600)]의 두께나 접착면을 억제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와 확실한 방수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판금 등을 가공하지 않고서 플러스 접점과 마이너스 접점을 확실하게 분극할 수 있고, 또한, O링(600)의 접착면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충전기와 접속되는 충전 단자(108)의 면적을 확대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를 휴대 전화에 적용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PDA 등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패널에 도포된 백색의 도료로 이루어지는 광확산 투과층을 갖추는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백색 이외의 도료가 도포된 광확산 투과층을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백색의 도료로 이루어지는 광확산 투과층을 이용함으로써, 광 확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회색의 도료 등이라도 광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하우징 내에 수용된 충전지를 덮개와 커버를 사용하여 방수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예컨대 하우징 내에 수용된 기록 매체를 덮개와 커버를 사용하여 방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ABS 수지와 PC 수지를 2색 성형하여 충전 단자를 생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단자는, ABS 수지나 PC 수지 이외의, 금도 금이 부착되는 수지와 금도금이 부착되지 않는 수지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 관해서 부기한다.
(부기 1)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에 수용물이 끼워져 들어가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수용물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 상기 수용물을 방수하는 돌기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를 덮으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덮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누르는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
상기 덮개는 상기 돌기가 탄성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3)
상기 커버는 상기 덮개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덮개에 맞닿아 상기 덮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누르는 돌기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4)
상기 덮개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받는 샤프트 받침부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휴 대 단말 장치.
(부기 5)
상기 하우징은 소정 방향으로 뻗은 가이드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덮개는 상기 커버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6)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에 대응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커버는 상기 홈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로크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7)
상기 수용물은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 하우징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부 하우징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휴대 전화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휴대 전화기의 힌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힌지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와,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도이다.
도 8은 상부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패널의, 하우징과 대향하는 대향면과, 그 대향면에 접착되는 차광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휴대 전화기의 하부 하우징의, 충전지(180)를 덮는 덮개 및 커버를 떼어냈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덮개를 개폐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커버 및 하부 하우징의, 로크 기구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커버의, 하부 하우징과 대향하는 하우징 대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충전지가 장착된 휴대 전화기를, 폭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하부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조 도중의 충전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금 가공이 행해진 후의 충전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충전 단자가 장착된 하부 하우징을 폭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하부 하우징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 전화기
100A : 상부 하우징
100B : 하부 하우징
100C : 힌지부
101 : 액정 패널
102 : 송화구
104 : 선택 버튼
105 : 푸시 버튼
106 : 수화구
107 : 원거리 안테나
108 : 충전 단자
109a : 근거리 안테나
109b : 촬영 렌즈
110 : CPU
111 : ROM
112 : 비휘발성 메모리
113 : RAM
121 : 마이크 장치
122 : 스피커 장치
131 :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
132 : 시계
133 : 이면 디스플레이 장치
151 : 백라이트
140 : 카메라 장치
141 : 근거리 무선 장치
142 : 원거리 통신 장치
161 : 키 장치
162 : 개폐 스위치
170 : 매체 컨트롤러
180 : 충전지
210 : 힌지
220 : 힌지 커버
100E : 홈
100D : 힌지 피복부
1001 : 갈고리 고정부
221 : 끝단 커버부
222 : 외주 커버부
223 : 하우징 커버부
310 : 케이스
311 : 구멍
320 : 패널
330 : 차광판
321 : 광확산 투과층
331, 332 : 관통홀
331' : 주변 부분
410 : 샤프트 받침부
411 : 개구부
420 : 덮개
421 : 샤프트
422 : 갈고리
423 : 볼록부
423a : 보조 볼록부
424 : 홈
430 : 커버
430a : 갈고리
431 : 관통홀
432 : 로크 기구
432a : 로크 레버
510 : 본체 기판
511 : 금속 스프링
521 : 전지 접점
522 : 바이브레이터 접점
523 : 접속 부분
524 : 기체(基體) 부분
530 : 고정 케이스
531 : 개구부
600 : O링

Claims (5)

  1.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에 수용물이 끼워진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수용물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 상기 수용물을 방수하는 돌기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를 덮으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덮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누르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소정 방향으로 뻗은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커버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돌기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덮개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덮개에 맞닿아 그 덮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누르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에 대응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홈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로크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70094760A 2006-11-24 2007-09-18 휴대 단말 장치 KR100911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17612 2006-11-24
JP2006317612A JP5250200B2 (ja) 2006-11-24 2006-11-24 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255A KR20080047255A (ko) 2008-05-28
KR100911844B1 true KR100911844B1 (ko) 2009-08-11

Family

ID=3946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760A KR100911844B1 (ko) 2006-11-24 2007-09-18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925316B2 (ko)
JP (1) JP5250200B2 (ko)
KR (1) KR100911844B1 (ko)
CN (1) CN101188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0200B2 (ja) * 2006-11-24 2013-07-3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TWM332217U (en) * 2007-10-26 2008-05-1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CN101541153B (zh) * 2008-03-19 2011-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的转轴结构及组装该转轴结构的方法
JP5120028B2 (ja) * 2008-03-31 2013-01-16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WO2009125864A1 (ja) * 2008-04-09 2009-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筐体取り付け構造、筐体および筐体の取り付け方法
JP4722986B2 (ja) * 2008-10-31 2011-07-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169777B2 (ja) * 2008-12-03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8623494B2 (en) 2008-12-29 2014-01-07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9106042B2 (en) * 2009-06-30 2015-08-11 Motorola Solutions, Inc. Battery connector system
JP5158044B2 (ja) * 2009-09-01 2013-03-06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9025317B2 (en) 2010-03-17 2015-05-05 Otter Products, Llc Multi-material protective case for sliding/articulating/rota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1107016B1 (ko) * 2010-09-02 2012-01-25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KR101107015B1 (ko) * 2010-09-02 2012-01-25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JP5569275B2 (ja) * 2010-09-08 2014-08-13 富士通株式会社 防水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TWM408915U (en) * 2011-01-21 2011-08-0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KR101801186B1 (ko) * 2011-02-25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20250272A1 (en) * 2011-03-29 2012-10-04 Kai-Hung Wang Protective casing and waterproof cover thereof
KR101281895B1 (ko) * 2011-08-24 2013-07-03 주식회사 팬택 Fpc 방수 구조체
WO2013121633A1 (ja) * 2012-02-16 2013-08-2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防水構造、該防水構造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防水方法
JP6046920B2 (ja) * 2012-06-05 2016-12-2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176537B2 (en) 2013-03-15 2015-11-03 Intel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CZ20131045A3 (cs) 2013-12-19 2015-05-20 Masarykova Univerzita Způsob plazmové úpravy vnitřního a/nebo vnějšího povrchu dutého elektricky nevodivého tělesa a zařízení pro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DE102014215047A1 (de) * 2014-07-31 2016-02-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Gehäuse mit einer Öffnung und einer Abdeckeinrichtung
USD818981S1 (en) * 2015-11-20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3042717C (en) * 2016-11-14 2024-01-09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GB2572294B (en) 2017-01-13 2022-03-02 Symbol Technologies Llc Interchangeably connectable charging cradle, battery pack and mobile device
CN106788548B (zh) * 2017-01-25 2019-04-19 安徽达尔智能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防水型对讲机
CN109862239B (zh) * 2018-12-10 2021-01-29 西南石油大学 语言信息前端采集装置
USD958781S1 (en) * 2019-11-27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402877B2 (en) 2020-05-19 2022-08-02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folding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164A (ja) * 2002-07-16 2004-02-19 Japan Radio Co Ltd 電池のための防水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07A (ja) * 1989-06-13 1991-01-22 Fujikura Ltd 基板型光導波路の製造方法
JPH0726965Y2 (ja) 1989-06-26 1995-06-21 吉田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式化粧容器
JPH0773221B2 (ja) * 1993-03-29 1995-08-02 日本電気株式会社 防水型無線通信機用筐体
JPH08233108A (ja) * 1994-12-26 1996-09-10 Casio Comput Co Ltd 容器の開口部の遮蔽構造
US5625688A (en) * 1995-06-15 1997-04-29 Jing Mei Industrial Holdings, Ltd. Shower telephone
JP2713245B2 (ja) * 1995-06-16 1998-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JP2872141B2 (ja) * 1996-08-16 1999-03-17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発注端末機
JP3907774B2 (ja) * 1997-03-27 2007-04-1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カバーの開閉機構
JP3786849B2 (ja) 2001-05-30 2006-06-14 株式会社バーテックススタンダード 筐体の防水装置
DE10232947A1 (de) * 2002-07-19 2004-01-29 Siemens Ag Behältnis, insbesondere Gehäuse für ein Telefonmobil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häuseteils
JP2004286987A (ja) * 2003-03-20 2004-10-14 Olympus Corp 防水構造
TW570483U (en) * 2003-05-07 200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TW581377U (en) * 2003-05-09 200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TW568362U (en) * 2003-05-20 2003-12-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JP4182430B2 (ja) * 2003-11-28 2008-11-19 オムロン株式会社 送信機
TWM269579U (en) * 2004-12-03 2005-07-01 Fih Co Ltd Battery cover and shell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763984Y (zh) * 2004-12-11 2006-03-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携带式电子装置电池盖结构
JP2006216342A (ja) * 2005-02-03 2006-08-17 Smk Corp 防水型電気機器の電池収容部構造
CN1971974A (zh) * 2005-11-25 2007-05-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结构
CN101001507B (zh) * 2006-01-14 2010-06-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的盖体结构
JP5250200B2 (ja) * 2006-11-24 2013-07-3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233244B2 (ja) * 2007-10-30 2013-07-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164A (ja) * 2002-07-16 2004-02-19 Japan Radio Co Ltd 電池のための防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50200B2 (ja) 2013-07-31
JP2008131596A (ja) 2008-06-05
KR20080047255A (ko) 2008-05-28
CN101188632B (zh) 2014-03-12
US7925316B2 (en) 2011-04-12
US20080125197A1 (en) 2008-05-29
US8180415B2 (en) 2012-05-15
US8320979B2 (en) 2012-11-27
CN101188632A (zh) 2008-05-28
US20110159933A1 (en) 2011-06-30
US20120129582A1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44B1 (ko) 휴대 단말 장치
KR100888835B1 (ko) 휴대 단말 장치
KR100910197B1 (ko) 단자 및 휴대 단말 장치
KR100810300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7239897B2 (en) Opening/closing typ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197345B2 (en)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US2005024529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and pop-up type keypads
JPH11196166A (ja) 携帯端末機器とこの携帯端末機器の使用方法
US20050020327A1 (en) Speaker-up type portable terminal
KR2008008877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JP5403014B2 (ja) 携帯端末装置
JP4946384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575935B1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JP4239441B2 (ja) 電子機器
KR100703266B1 (ko)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KR20170078277A (ko) 이동 단말기
KR20040044338A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8182597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