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328B1 -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328B1
KR100911328B1 KR1020070100658A KR20070100658A KR100911328B1 KR 100911328 B1 KR100911328 B1 KR 100911328B1 KR 1020070100658 A KR1020070100658 A KR 1020070100658A KR 20070100658 A KR20070100658 A KR 20070100658A KR 100911328 B1 KR100911328 B1 KR 10091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ed
rice
liquor
repair
fo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395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07010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3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쌀로 고두밥을 쪄서 1차증자를 하고, 여기에 종균을 투입하여 입국을 제조하고, 상기 입국에 물을 붓고 1차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한 다음, 상기 밑술에 2차 발효시킨 고두밥과 물을 혼합하여 술덧을 얻도록 하는 비수리 성분이 함유된 민속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연상태의 비수리의 줄기와 뿌리를 수거하여 이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비수리를 분쇄기에 의해 0.05~1mm크기로 잘게 분쇄하는 단계와, 자연상태의 비수리의 줄기와 뿌리를 수거하여 이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비수리를 분쇄기에 의해 0.05~1mm크기로 잘게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민속주의 제조공정 얻어진 술덧에 비수리 분말을 중량비로 5~15% 범위로 투입하여 5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비수리에 함유된 인체에 유용한 성분들을 최대한 추출한 비수리 주를 제공함으로써 약리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소비자의 미감 또한 만족시킬 수 있는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비수리, 원료, 민속주

Description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for rice wine being made from Lespedeza cuneata}
본 발명은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수리를 발효시켜 약주를 제조함으로써 비수리의 약리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수리(Lespedeza cuneata)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반관목에 해당하며, 한국,일본,타이완,인도,오스트레일리아 등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상기 비수리는 야관문(夜關門), 노우근(老牛筋), 호지자, 산채자 라고도 불리며, 대개 50∼100cm의 높이까지 자라고 줄기는 곧되 가늘며 잎은 3 겹잎형태이다.
'한국보초도감'에 비수리는 맛은 약간 쓰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으며, 폐와 간, 콩팥을 튼튼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비수리의 잎과 뿌리, 줄기에는 플라보노이트, 피니톨, 페놀, 탄닌, 시토스테롤과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염증을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살균 작용이 탁월하여 남성들의 양기부족, 조루, 유정, 음위 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상기 비수리는 종래 한방 약초로 사용되거나 기능성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으로 개발되어 복용(服用)되고 있으며, 특허출원 제10-2005-0054281호와 같이 "증류소주 35%이상 완제품에 건조 비수리를 술 량의 1/3을 채워 밀봉후 100일간 술에 숙성시켰다가 걸려내서 제조"되는 비수리 주(酒) 역시 선출원 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비수리 주는 단순히 증류소주에 비수리를 넣고 숙성시키는 기술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비수리의 줄기와 뿌리에 주로 함유된 비수리의 약리성분, 즉 플라보노이트, 피니톨, 페놀, 탄닌, 시토스테롤 등을 제대로 추출해 내기에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단순히 비수리를 증류소주에 넣고 숙성시키는 종래의 비수리 주 제조방법을 탈피하여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분말상태의 비수리를 입국단계와 술덧을 얻기 위한 단계에서 투입하되, 술의 발효 정도에 따라 비수리의 투입량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술이 발효기간의 조절이 가능하고, 주정에 접하는 비수리의 표면적을 늘려 발효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비수리 내에 함유된 약리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효된 약주를 여과하고 이를 증류하여 제조되는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수리에 함유된 인체에 유용한 성분들을 최대한 추출한 비수리 주를 제공함으로써 약리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소비자의 미감 또한 만족시킬 수 있는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자연상태의 비수리의 줄기와 뿌리를 수거하여 이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비수리를 분쇄기에 의해 0.05~1mm크기로 잘게 분쇄하는 단계와, 쌀로 고두밥을 쪄서 1차 증자를 하고, 여기에 종균을 투입하여 입국시키는 단계와, 상기 입국에 물을 부어 1차 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와, 쌀로 고두밥을 짓고 2차 증자시켜 물과 혼합하여 2차 발효시킨 다음 상기 밑술과 혼합하여 술덧을 얻는 단계와, 상기 술덧에 비수리 분말을 술덧의 중량비에 비해 5~15% 범위로 투입하여 5일간 발효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어 진다.
상기 각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처리단계로, 상기 비수리의 줄기나 뿌리를 수확하고 이를 서늘한 곳에서 잘 건조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건조된 비수리는 분쇄기에 의해 0.05~1㎜ 크기로 분쇄하여 비수리 분말을 얻도록 한다. 이때 0.05㎜ 이하의 비수리 분말은 표면적은 넓어지나 너무 미세하므로 분쇄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비수리 분말의 크기가 1㎜ 이상일 경우에는 술덧에 비수리를 5~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에서 주정에 접하게 되는 표면적이 줄어 비수리의 약리성분 및 맛과 향이 제대로 우러나지 않게 되는 폐단을 갖는다.
다음 상기 곡물을 깨끗이 씻어 물에 불린 후 바구니에서 물기를 제거하고 찜 솥에 넣어 고두밥을 찌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곡물은 쌀, 보리쌀, 수수, 조, 밀가루를 의미한다.
상기 고두밥을 잘 식혀서 종균을 혼합하고 이를 보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쌈에 사용되는 보자기는 공기가 잘 통하는 삼베, 모시, 당목천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보쌈 후 24시간이 지나면 오동나무 상자에 담아 36시간 동안 파종하도록 한다.
상기 파종된 고두밥 3㎏과 물 5ℓ, 효모 250g을 넣고 잘 혼합하여 주모를 만든 후 상기 주모는 28℃의 온도를 유지하고 60시간 숙성하여 밑술을 제조한 다음, 상기 밑술 8㎏과 물 80ℓ, 파종된 고두밥 60㎏을 잘 혼합하고 이를 48시간 동안 28℃의 온도로 숙성하여 술덧을 제조하며, 상기 술덧에 비수리를 중량비로 5~15% 범위로 혼합하고 이를 28℃의 온도로 유지하여 5일간 발효시켜 여과함으로써 본 발명 비수리 발효 약주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술덧에 비수리를 중량비율 혼합함에 있어 술덧을 10으로 할때 비수리 분말은 0.5~1.5가 된다. 상기 중량비가 10:1.5 초과인 경우에는 비수리의 양이 너무 많으므로 술덧의 발효가 너무 더디게 되며 이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고, 또 상기 중량비가 10:0.5 미만인 경우에는 비수리의 양이 너무 적으므로 상기 비수리의 약리성분 및 맛과 향이 덜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된다.
즉, 술덧의 중량에 비해 비수리의 중량비가 5% 미만일 경우에는 빠른 발효는 가능하나 비수리의 약리성분 및 향과 맛이 우러나질 않고, 15% 초과의 경우에는 발효되는데 5일 이상 소요되어 상품화시키기 위한 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효기간이 5일이 되는 술덧과 비수리의 중량비는 10:0.5~1.5로 혼합하고 이를 28℃의 온도로 유지하여 발효시켜 최적의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공정에 의해 발효된 제조된 비수리 민속주를 여과하고 증류하여 증류식 비수리 리큐르주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를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먼저 비수리의 줄기나 뿌리를 수확하여 이를 서늘한 곳에서 건조한 다음 분 쇄기에 의해 분쇄기에 의해 0.05~1㎜ 크기로 분쇄하여 미세한 분말을 얻는다.
다음 곡물을 깨끗이 씻어 물에 불린 다음 바구니에서 물기를 제거하고 찜 솥에 넣어 고두밥을 찌도록 한다.
상기 고두밥에 종균을 혼합하고 이를 보쌈하여 24시간이 지나면 오동나무 상자에 담아 36시간 동안 파종하도록 한다.
상기 파종된 고두밥 3㎏과 효모 250g을 물 5ℓ에 넣어 잘 혼합하여 주모를 만든 후, 상기 주모를 28℃의 온도로 유지하고 60시간 숙성하여 밑술을 제조하도록 한다.
상기 제조된 밑술 8㎏과 파종된 고두밥 60㎏을 물 80ℓ에 넣어 잘 혼합하고 이를 48시간 동안 28℃의 온도로 숙성하여 술덧을 제조하도록 한다.
상기 제조된 술덧 38kg에 비수리 분말 1.9kg을 혼합하고 이를 28℃의 온도로 유지하여 5일간 발효시켜 본 발명 비수리 발효 약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먼저 비수리의 줄기나 뿌리를 수확하여 이를 서늘한 곳에서 건조한 다음 분쇄기에 의해 분쇄기에 의해 0.05~1㎜ 크기로 분쇄하여 미세한 분말을 얻는다.
다음 곡물을 깨끗이 씻어 물에 불린 다음 바구니에서 물기를 제거하고 찜 솥에 넣어 고두밥을 찌도록 한다.
상기 고두밥에 종균을 혼합하고 이를 보쌈하여 24시간이 지나면 오동나무 상자에 담아 36시간 동안 파종하도록 한다.
상기 파종된 고두밥 3㎏과 효모 250g을 물 5ℓ에 넣어 잘 혼합하여 주모를 만든 후, 상기 주모를 28℃의 온도로 유지하고 60시간 숙성하여 밑술을 제조하도록 한다.
상기 제조된 밑술 8㎏과 파종된 고두밥 60㎏을 물 80ℓ에 넣어 잘 혼합하고 이를 48시간 동안 28℃의 온도로 숙성하여 술덧을 제조하도록 한다.
상기 제조된 술덧 38kg에 비수리 분말 5.7kg을 혼합하고 이를 28℃의 온도로 유지하여 5일간 발효시켜 본 발명 비수리 발효 약주를 제조하였다.

Claims (2)

  1. 쌀로 고두밥을 쪄서 1차 증자를 하고, 여기에 종균을 투입하여 입국을 제조하고, 상기 입국에 물을 붓고 1차 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한 다음, 상기 밑술에 쌀로 고두밥을 쪄서 2차 증자된 고두밥과 물을 혼합하여 술덧을 얻도록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연상태의 비수리의 줄기와 뿌리를 수거하여 이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비수리를 분쇄기에 의해 0.05~1mm크기로 잘게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민속주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술덧에 비수리 분말을 중량비로 5~15% 범위로 투입하여 5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된 민속주를 여과하고 이를 재차 증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KR1020070100658A 2007-10-05 2007-10-05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KR10091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658A KR100911328B1 (ko) 2007-10-05 2007-10-05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658A KR100911328B1 (ko) 2007-10-05 2007-10-05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95A KR20090035395A (ko) 2009-04-09
KR100911328B1 true KR100911328B1 (ko) 2009-08-07

Family

ID=4076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658A KR100911328B1 (ko) 2007-10-05 2007-10-05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440B1 (ko) * 2014-07-25 2018-07-11 지리산 그린영농조합법인 운봉주조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야관문 막걸리
KR102249253B1 (ko) * 2019-10-11 2021-05-07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오자, 오가피, 야관문 및 계피를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740A (ko) * 2003-09-30 2005-04-06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솔잎 착즙 상징액의 발효액과 비수리 추출물의 혼합액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KR20060039520A (ko) * 2004-11-03 2006-05-09 태안군 해당화가 함유된 술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740A (ko) * 2003-09-30 2005-04-06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솔잎 착즙 상징액의 발효액과 비수리 추출물의 혼합액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KR20060039520A (ko) * 2004-11-03 2006-05-09 태안군 해당화가 함유된 술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95A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9343B2 (ja) 枇杷酒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2451B1 (ko) 약주의 제조방법
CN103327830A (zh) 大麻植物汁液的获取方法以及生产饮料的用途
CN104054868A (zh) 一种山楂味红茶的制备方法
KR101278657B1 (ko) 하수오주 및 그 제조방법
CN106561854A (zh) 一种古树晒红的制作工艺
CN107518097A (zh) 一种白茶的生产方法
KR101248067B1 (ko) 대추 퓨레를 이용한 발효조청 제조방법
KR101196440B1 (ko) 인공발효 보이숙차 분말 제조방법
Kumari et al. Indigenous alcoholic beverages of South Asia
CN104774700A (zh) 一种金樱子精酿啤酒及其制备方法
CN104920680B (zh) 浅度发酵的红砖茶的生产方法
CN104138008A (zh) 一种黑番茄花香醋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911328B1 (ko) 비수리를 원료로 하는 민속주 제조방법
CN102599313A (zh) 一种绞股蓝发酵茶的制作方法
KR100672842B1 (ko)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KR102148188B1 (ko) 음료용 파우더 및 시럽의 혼합 조성물
KR102366870B1 (ko) 익모초 식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36487B1 (ko) 복분자?홍삼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복분자?홍삼주
KR101736079B1 (ko) 엉겅퀴가 함유된 삼양주를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CN106085748A (zh) 一种柿子酒的酿造方法
KR20220054530A (ko) 자소엽주의 제조방법
KR101199878B1 (ko) 곰보배추 메주 제조방법
KR101754812B1 (ko) 뜰보리수 발효차, 뜰보리수 발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355029B1 (ko)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