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289B1 - 휴대 정보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정보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289B1
KR100910289B1 KR1020077030159A KR20077030159A KR100910289B1 KR 100910289 B1 KR100910289 B1 KR 100910289B1 KR 1020077030159 A KR1020077030159 A KR 1020077030159A KR 20077030159 A KR20077030159 A KR 20077030159A KR 100910289 B1 KR100910289 B1 KR 10091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unit
authentication
camera
authentication process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877A (ko
Inventor
마사아끼 사사
히로야스 하마무라
세이지 하마구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5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6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using a biometric sensor integrated in the 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저에 의한 「시크릿 모드」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를 기동하고(도 9의 (a)), 그 서브 카메라의 초기화 처리의 종료 후에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된 후, 인증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한다(도 9의 (b)). 이에 의해, 서브 카메라가 기동되고 나서 촬영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카메라가 기동한 후에 촬영 가능하게 된 것을 유저가 확인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할 때까지 생기는 타임래그를 삭감할 수 있어, 서브 카메라의 기동 후에 보다 단시간에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Figure R1020077030159
휴대 전화기, 메인 표시부, 서브 표시부, 수화용 리시버, 메인 카메라, 서브 카메라

Description

휴대 정보 단말 장치{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 중에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카메라에는, 예를 들면 광전 변환 소자로서,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서, 최근에는 조작 중에 카메라에 따른 얼굴 화상의 촬영을 재촉하고, 촬영한 얼굴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눈, 코, 입 및 윤곽의 형태나 크기 등의 특징 정보를,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인증 처리(소위 얼굴 인증)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인증 처리의 결과, 촬영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와 유저의 특징 정보의 일치도가 인식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만, 그 때 조작을 행하고 있는 사람이 진짜 유저라고 판단하고, 그 후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함으로써, 시큐리티의 향상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인증 처리 시에는, 우선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됨으로써 카메라가 기동되고, 카메라에 구비된 광전 변환 소자의 초기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게 되면, 카메라에 대한 피사체의 화상이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구비된 표시부에 리얼타임으로 표시된다. 조작을 행하는 사람은, 표시부의 표시 화면(파인더 화면)을 보면서, 자신의 얼굴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도록 조정하고, 결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얼굴 화상을 촬영한다. 이에 의해, 촬영된 얼굴 화상으로부터 특징 정보가 추출되고, 그들 특징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865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인증 처리의 방법에서는, 인증 처리를 요하는 처리의 실행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우선 카메라를 기동하고, 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게 된 후, 촬영 조작에 기초하여 얼굴 화상이 촬영되지 않으면, 인증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카메라가 기동되고 나서 촬영 가능하게 될 때까지는, 통상적으로 0.5초 정도의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유저는 그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하여야만 하여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진짜 유저라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촬영 조작을 다시 행하여야만 하여, 더욱 번거로움이 증가함과 함께, 인증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1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상 유닛과,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에 전원을 투입하고, 상기 촬상 유닛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하는 촬상 유닛 기동 수단과,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한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수단과, 얼굴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를 등록 특징 정보로서 미리 기억해 두는 특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등록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한 촬영 화상에 기초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는 인증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제어 수단이, 상기 촬상 유닛 기동 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 유닛의 초기화 처리의 종료에 기초하여 촬영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촬상 유닛이 기동되고, 초기화 처리가 종료되어 촬영 가능하게 되는 것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즉, 촬상 유닛의 기동 후에 유저가 촬영 조작을 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촬상 유닛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으로부터 특징 정보가 추출되고, 그 특징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등록 특징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촬상 유닛이 기동되고 나서 촬영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할 수 있으므 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에 촬영 가능하게 된 것을 유저가 확인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할 때까지 생기는 타임래그를 삭감할 수 있어, 촬상 유닛의 기동 후에 의해 단시간에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상 유닛과,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에 전원을 투입하고, 상기 촬상 유닛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하는 촬상 유닛 기동 수단과,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한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수단과, 얼굴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를 등록 특징 정보로서 미리 기억해 두는 특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등록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한 촬영 화상에 기초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는 인증 처리 수단과, 상기 촬영 제어 수단 및 상기 인증 처리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증 처리에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다시 촬영을 행하고, 그 촬영 화상에 기초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는 연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인증 처리에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다시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진짜 유저가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1회째의 인증 처리에 의해 진짜 유저라고 판단되지 않던 경우라도, 그 후에 유저가 촬영 조작을 행하지 않고, 인증 처리가 다시 행해진다. 즉, 진짜 유저라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가 행해지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3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서, 상기 인증 처리 수단이, 상기 촬영 화상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 수단과, 상기 특징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징 정보를 상기 특징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특징 정보와 비교하여, 수치화된 일치도를 구하는 일치도 산출 수단과, 상기 일치도를 인증 임계값과 비교하는 일치도 판정 수단을 갖고, 인증 처리 시에서의 상기 일치도와 상기 인증 임계값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결과 표시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인증 처리 시에서의 일치도와 인증 임계값의 비교 결과가 표시되므로, 유저는, 그 표시에 기초하여, 그 인증 처리 시에 촬영된 자기의 얼굴 화상이 인식하기 쉬운 화상이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4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서, 상기 인증 처리 수단이, 일련의 조작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촬상 유닛 기동 수단이, 상기 일련의 조작에서의 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행해지는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을 기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행해지는 조작에 기초하여, 촬상 유닛을 빨리 기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종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촬상 유닛을 촬영 가능한 상태로 해 두면, 촬상 유닛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유닛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되자마자,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면, 최종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인증 처리를 완료시켜 둘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제5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일련의 조작에서의 다음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촬상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키는 촬상 유닛 정지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 인증 처리가 개시되지 않고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촬상 유닛은 비교적 많은 구동 전력을 소비하므로, 인증 처리가 개시되지 않는 경우에 촬상 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6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 상기 일련의 조작에서의 다음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촬상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키는 촬상 유닛 정지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 인증 처리가 개시되지 않고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촬상 유닛은 비교적 많은 구동 전력을 소비하므로, 인증 처리가 개시되지 않는 경우에 촬상 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따르면,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촬상 유닛이 기동되고, 초기화 처리가 종료되어 촬영 가능하게 되는 것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촬상 유닛이 기동되고 나서 촬영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을 회 피할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에 촬영 가능하게 된 것을 유저가 확인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할 때까지 생기는 타임래그를 삭감할 수 있어, 촬상 유닛의 기동 후에 보다 단시간에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따르면, 인증 처리에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다시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를 행함으로써, 진짜 유저라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인증 처리 시에서의 일치도와 인증 임계값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면, 유저는 그 표시에 기초하여, 그 인증 처리 시에 촬영된 자기의 얼굴 화상이 인식하기 쉬운 화상이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따르면, 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행해지는 조작에 기초하여, 촬상 유닛을 빨리 기동할 수 있다. 최종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촬상 유닛을 촬영 가능한 상태로 해 두면, 촬상 유닛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유닛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되자마자,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면, 최종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인증 처리를 완료시켜 둘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따르면, 인증 처리가 개시되지 않은 경우에 촬상 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 인증 처리가 개시되지 않고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외관도이며, 휴대 정보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1)가 도시되어 있다. 이 휴대 전화기(1)는, 소위 절첩식의 휴대 전화기이며, 표시 케이스(100) 및 조작 케이스(200)가 힌지부(300)를 통하여 연결되고, 표시 케이스(100) 및 조작 케이스(200)의 일면을 대향시켜 절첩할 수 있다.
표시 케이스(100)는, 절첩 시에 내측으로 되는 케이스면에 메인 표시부(101), 수화용 리시버(103) 및 서브 카메라(105)가 배치되고, 외측으로 되는 케이스면에 서브 표시부(102) 및 메인 카메라(10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케이스(200)는, 절첩 시에 내측으로 되는 케이스면에 다수의 조작 키(201) 및 송화용 마이크로폰(203)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1)는, 컴팩트하게 절첩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고, 케이스를 전개시키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를 보면서, 조작 키(201)를 압하(押下) 조작할 수 있다. 즉, 주된 정보 표시는 메인 표시부(101)를 이용하여 행해지고, 주된 조작 입력은 조작 키(201)를 이용하여 행해지고 있다.
이 휴대 전화기(1)는,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를 보면서 유저가 조작 키(201)의 조작을 행하고 있을 때에, 서브 카메라(105)에 의해 유저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고, 그 얼굴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 결과, 그 때 조작을 행하고 있는 사람이 진짜 유저라고 판단한 경우에만, 그 후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는 기능(소위 얼굴 인증 기능)을 갖고 있다. 비닉성이 높은 기능의 실행 시에 인증 처리를 행함으로써, 시큐리티의 향상이나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400)는, 휴대 전화기(1)의 주요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촬상 유닛 구동 제어부(401), 인증 처리부(402), 연속 인증부(403) 및 계시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00)에는, 조작 키(201)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입력됨과 함께, 메모리(410), 화상 입출력부(430), 음성 입출력부(440) 및 통신부(450)가 입출력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화상 입출력부(430)에는, 메인 표시부(101), 서브 표시부(102), 메인 카메라(104) 및 서브 카메라(105)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카메라(104) 및 서브 카메라(105)는, 각각 촬상 유닛으로서 유닛화되어 있고, 이들 촬상 유닛에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소자 및 제어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는, 촬상 유닛의 전원 투입 후에, 오프셋이나 게인의 조정 등의 초기화 처리를 행해야 한다는 필요가 있는 광전 변환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음성 입출력부(440)에는, 수화용 리시버(103) 및 송화용 마이크로폰(203)이 구비되어 있다. 통신부(450)는,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전파의 송수 신을 행함으로써, 음성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행한다.
촬상 유닛 구동 제어부(401)는, 화상 입출력부(430)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메인 카메라(104) 및 서브 카메라(105)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유닛 구동 제어부(401)가 서브 카메라(105)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메인 표시부(101)를 보면서 조작 키(201)의 조작을 행하고 있는 사람의 얼굴 화상을 서브 카메라(105)로 촬영하고, 그 얼굴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단, 메인 카메라(104)에 의해 얼굴 화상을 촬영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인증 처리부(402)는, 촬영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를, 메모리(410)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등록 특징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그 때 조작을 행하고 있는 사람이 진짜 유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연속 인증부(403)는, 촬상 유닛 구동 제어부(401) 및 인증 처리부(402)를 제어함으로써, 복수회의 인증 처리를 연속하여 행한다. 계시부(404)는, 시간의 계측을 행하여, 시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410)에는, 표시 화면 데이터 기억부(411), 화상 데이터 기억부(412), 특징 정보 기억부(413) 및 에러 이력 정보 기억부(414)가 할당되어 있다. 표시 화면 데이터 기억부(411)에는, 메인 표시부(101)나 서브 표시부(102)에 표시시키는 화면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화상 데이터 기억부(412)에는, 메인 카메라(104)나 서브 카메라(105)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통신부(45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특징 정보 기억부(413)에는, 인증 처리에 이용되는 얼굴 화상의 특징 정보가 기억된다. 에러 이력 정보 기억부(414)에는,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그 인증 시의 정보가 에러 이력 정보로서 기억된다.
단, 인증 처리에 이용되는 얼굴 화상의 특징 정보나 얼굴 화상의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같은 휴대 전화기(1)에 대해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3은 도 2의 촬상 유닛 구동 제어부(401)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촬상 유닛 구동 제어부(401)는, 촬상 유닛 기동부(405), 촬영 제어부(406) 및 촬상부(407)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유닛 기동부(405)는, 메인 카메라(104) 및 서브 카메라(10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이들을 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촬상 유닛(106)(메인 카메라(104) 또는 서브 카메라(105))에 전원을 투입하는 전원 투입부(405A)와, 초기화 처리를 실행하는 초기화 처리부(405B)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 제어부(406)는, 초기화 처리부(405B)로부터의 입력 신호나 유저에 의한 촬영 조작에 기초하여, 메인 카메라(104) 또는 서브 카메라(105)의 촬영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그 때의 메인 카메라(104) 또는 서브 카메라(105)에 대한 피사체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상 유닛 정지부(407)는, 메인 카메라(104) 또는 서브 카메라(105)에 공급하는 전력을 정지시킴으로써, 그들의 촬상 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4는, 도 2의 인증 처리부(402)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인증 처리부(402)는, 특징 추출부(402A), 일치도 산출부(402B) 및 일치도 판정부(402C)를 구비하고 있다. 인증 처리가 개시되면, 특징 추출부(402A)에 의해, 서브 카메라(105)로 촬영한 얼굴 화상으로부터 눈, 코, 입 및 윤곽 등의 얼굴의 각 부분에 대한 형태나 크기 등의 특징 정보가 추출된다. 특징 추출부(402A)에 의해 추출된 특징 정보는, 일치도 산출부(402B)에 의해, 메모리(410)의 특징 정보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특징 정보와 비교되어, 수치화된 일치도가 산출된다.
일치도 판정부(402C)는, 일치도 산출부(402B)에 의해 산출된 일치도를 소정의 임계값(인증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한다. 이 때, 일치도가 인증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진짜 유저라고 판단되어 인증에 성공하고, 일치도가 인증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진짜 유저라고 판단되지 않아 인증에 실패한다. 여기서, 일치도라 함은, 비교된 모든 특징 정보 중 일치한 특징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이며, 인증 임계값은 통상적으로 90% 이상의 소정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5는, 얼굴 인증에 관한 설정을 행할 때의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저가, 조작 키(201)를 조작하여 시큐리티 설정 화면을 판독한고(도 5의 (a) 참조), 그 시큐리티 설정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얼굴 인증 설정」의 항목을 선택 조작하면, 그 휴대 전화기(1)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단말기 암증 번호의 입력을 재촉하는 화면이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5의 (b) 참조). 이 표시 화면에서,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클리어 키를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a)에 도시한 시큐리티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단말기 암증 번호는, 예를 들면 4∼8 자릿수의 임의의 문자열로 이루어지고, 휴대 전화기(1)의 구입 시에 미리 설정되어 있지만, 유저가 조작 키(201)를 조작함으로써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b)의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조작 키(201)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암증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5의 (c) 참조). 또한,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입력된 문자열이 3 자릿수 이하인 경우에는, 4∼8 자릿수의 문자열을 입력해야 한다는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5의 (d) 참조).
메인 표시부(101)에 도 5의 (c) 또는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가 이루어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으로 되거나, 혹은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키가 조작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a)에 도시한 시큐리티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5의 (b)의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입력된 문자열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암증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얼굴 인증을 행하는 모드의 온/오프를 설정하기 위한 얼굴 인증 이용 설정 화면으로 절환된다(도 5의 (e) 참조). 이 표시 화면에서,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클리어 키를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b)에 도시한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얼굴 인증 이용 설정 화면에서, 조작 키(201)의 조작에 의해 얼굴 인증이 오프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a)에 도시한 시큐리티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5의 (e)의 얼굴 인증 이용 설정 화면에서, 조작 키(201)의 조작에 의해 얼굴 인증이 온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얼굴 인증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얼굴 인증 설정 화면으로 절환된다(도 5의 (f)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얼굴 인증 시에 사용하는 등록 특징 정보로서, 최대 7개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메모리(410)에 기억시켜 둘 수 있다. 2 이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등록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얼굴 인증을 행함으로써, 진짜 유저가 얼굴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인증에 성공할 확률(본인 수납율)을 높일 수 있어, 유저의 표정이나 광이 닿는 각도 등의 미묘한 차이에 의해 인증에 실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얼굴 인증에 사용하는 등록 특징 정보는, 7개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등록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얼굴 인증을 행하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유저의 얼굴 화상은, 메인 카메라(104) 또는 서브 카메라(105)를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 미리 촬영되고, 그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410)의 화상 데이터 기억부(412)에 기억된다. 얼굴 인증은, 이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어 메모리(410)의 특징 정보 기억부(413)에 기억된 등록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지므로, 이 화상 데이터 자체는 얼굴 인증 시에 필요하지 않지만, 메모리(410)에 기억해 두면, 유저가 그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얼굴 화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5의 (f)의 얼굴 인증 설정 화면에는, 상기 등록 특징 정보의 추출원인 유저를 나타내는 화상(얼굴 인증용 화상)에 각각 대응지어진 항목과, 얼굴 인증 시의 인증 임계값의 설정(시큐리티 레벨 설정)에 대응지어진 항목과, 에러 이력에 대응지어진 항목이 포함된다. 이 표시 화면에서, 얼굴 인증용 화상에 대응지어진 항목을 선택하면, 얼굴 인증용 화상의 덮어쓰기 등록이나 확인을 행하기 위한 화면(얼굴 인증용 화상 등록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시큐리티 레벨 설정에 대응지어진 항목을 선택하면, 얼굴 인증 시의 인증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시큐리티 레벨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에러 이력에 대응지어진 항목을 선택하면, 에러 이력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에러 이력 화면)이 표시된다.
이들의 각종 설정 등을 행한 후, 조작 키(201)를 조작하여, 얼굴 인증 설정을 완료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g) 또는 도 5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로 절환된다. 즉, 적어도 1개의 얼굴 인증용 화상이 등록되어 있으면, 그 얼굴 인증용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얼굴 인증을 행하는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되고(도 5의 (g) 참조), 이 화면에 포함되는 확인 키(111)를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a)에 도시한 시큐리티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얼굴 인증용 화상이 1개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얼굴 인증용 화상의 등록을 행해야 한다는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되고(도 5의 (h) 참조), 이 화면에 포함되는 확인 키(112)를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f)에 도시한 얼굴 인증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6은, 얼굴 인증용 화상 등록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f)의 얼굴 인증 설정 화면에서, 얼굴 인증용 화상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항목 을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얼굴 인증용 화상에 대응하는 얼굴 인증용 화상 등록 화면으로 절환된다. 얼굴 인증용 화상 등록 화면에는, 「덮어쓰기 등록」의 항목 및 「등록 데이터 확인」의 항목이 포함된다.
도 6의 (a)의 얼굴 인증용 화상 등록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덮어쓰기 등록」의 항목을 선택 조작하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되고, 서브 카메라(105)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된 후, 서브 카메라(105)에 대한 피사체의 화상이 리얼타임으로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6의 (b) 참조). 이 때, 메인 표시부(101)는, 서브 카메라(105)의 파인더로서 기능하고, 메인 표시부(101)에 의해 구성되는 파인더 화면에는, 메인 표시부(101)를 보면서 조작을 행하고 있는 사람의 얼굴이 비추어지게 된다.
도 6의 (b)의 파인더 화면에서, 유저가 자신의 얼굴의 위치 정렬 등을 행한 후,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결정 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 조작을 행하면, 제어부(400)의 특징 추출부(402A)가, 그 때 서브 카메라(105)로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유저의 얼굴의 위치 정렬이 적절하게 행해져 있으면, 눈, 코, 입 및 윤곽의 형태나 크기 등의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지만, 위치 정렬이 적절하게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나, 유저의 얼굴이 메인 표시부(101)에 전혀 비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 등에는,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없다.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데에 성공한 경우에는, 그 특징 정보가 메모리(410)의 특징 정보 기억부(413)에 기억됨과 함께, 그 때의 얼굴 화상이 얼굴 인증용 화상으로서 메모리(410)의 화상 데이터 기억부(412)에 기억된다.
특징 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경우에는, 그 얼굴 화상에 기초하는 특징 정보를 메모리(410)에 기억(등록)한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6의 (c) 참조). 이 표시 화면에 포함되는 확인 키(113)를 유저가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f)에 도시한 얼굴 인증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특징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에는, 그 취지 및 특징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원인이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되고(도 6의 (d) 참조), 이 표시 화면에 포함되는 확인 키(114)를 유저가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b)에 도시한 파인더 화면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서브 카메라(105)에 의해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의 (a)의 얼굴 인증용 화상 등록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등록 데이터 확인」의 항목을 선택 조작하면, 메모리(410)의 화상 데이터 기억부(412)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얼굴 인증용 화상이 판독되어,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6의 (e) 참조). 유저는, 도 6의 (e)에 도시한 얼굴 인증용 화상 확인 화면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얼굴 인증용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표시 화면에서,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클리어 키를 조작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6의 (a)에 도시한 얼굴 인증용 화상 등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6의 (e)의 얼굴 인증용 화상 확인 화면에서, 유저가 조작 키(201)를 조작함으로써, 대응하는 얼굴 인증용 화상을 삭제하는 조작을 행하면, 메인 표시 부(101)의 표시는, 그 얼굴 인증용 화상을 삭제하여도 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삭제 확인 화면으로 절환된다(도 6의 (f) 참조). 이 표시 화면에는, 얼굴 인증용 화상을 삭제해야 한다는 취지를 지시하는 「예」의 키(115)와, 얼굴 인증용 화상을 삭제하지 않는 취지를 지시하는 「아니오」의 키(116)가 포함된다. 도 6의 (f)의 삭제 확인 화면에서, 조작 키(201)의 조작에 의해 「아니오」의 키(116)가 선택된 경우에는,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6의 (e)에 도시한 얼굴 인증용 화상 확인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6의 (f)의 삭제 확인 화면에서, 조작 키(201)의 조작에 의해 「예」의 키(115)가 선택되면, 메모리(410)의 화상 데이터 기억부(412) 및 특징 정보 기억부(413)로부터 대응하는 얼굴 인증용 화상 및 등록 특징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처리가 개시됨과 함께, 삭제 중이라는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6의 (g) 참조). 그리고, 얼굴 인증용 화상 및 등록 특징 정보를 삭제하는 처리가 완료되면, 그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되고(도 6의 (h) 참조),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으로 되거나, 혹은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5의 (f)에 도시한 얼굴 인증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7은, 시큐리티 레벨 설정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f)의 얼굴 인증 설정 화면에서, 시큐리티 레벨 설정에 대응지어진 항목을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굴 인증 시의 인증 임계값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시큐리티 레벨 설정 화면으로 절환된다. 시큐리티 레벨 로서는, 인증 임계값이 가장 높은 「레벨 3」과, 「레벨 3」보다도 인증 임계값이 낮은 「레벨 2」와, 「레벨 2」보다도 인증 임계값이 낮은 「레벨 1」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시큐리티 레벨 설정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시큐리티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에러 이력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f)의 얼굴 인증 설정 화면에서, 에러 이력에 대응지어진 항목을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러 이력을 표시하기 위한 에러 이력 화면으로 절환된다. 에러 이력 화면에는, 인증에 실패하였을 때의 일시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가, 에러 이력 정보로서 소정 횟수분(예를 들면, 9회분)만큼 리스트 표시된다. 상기 소정 횟수분의 에러 이력 정보가 메모리(410)의 에러 이력 정보 기억부(414)에 기억된 상태에서 새롭게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가장 오래된 에러 이력 정보가 삭제되고, 새로운 에러 이력 정보가 메모리(410)에 기억됨과 함께, 그 새로운 에러 이력 정보가 에러 이력 화면에 표시되도록 갱신된다.
도 9는, 얼굴 인증을 행할 때의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휴대 전화기(1)의 관리 기능에 포함되는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할 때에 얼굴 인증이 행해진다. 시크릿 모드가 온 상태일 때에는, 통상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시크릿 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로 되고, 시크릿 모드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시크릿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고, 통상의 데이터만이 표시되는 상태로 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 전화기(1)의 관리 기능을 설정하기 위 한 관리 기능 화면에서, 그 관리 기능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시크릿 모드」의 항목을 선택 조작하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된다. 그리고, 서브 카메라(105)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된 후, 서브 카메라(105)에 대한 피사체의 화상이 리얼타임으로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되고(도 9의 (b) 참조), 자동 인증이 개시된다. 이 때, 서브 카메라(105)의 초기화 처리가 종료되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된 시점에서, 유저가 촬영 조작을 행하지 않더라도, 인증용의 얼굴 화상이 촬영되고, 또한 이 촬영 화상으로부터 특징 정보가 추출된다. 그리고 추출된 특징 정보가 메모리(410)의 특징 정보 기억부(413)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인증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이 인증 처리에서, 추출된 얼굴 화상의 특징 정보와 메모리(410)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의 일치도가, 시큐리티 레벨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인증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조작자가 진짜 유저라고 판단된다. 이 경우,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되어 있는 유저의 얼굴 화상에 대해, 소위 액션 포커스에 의한 강조 표시가 행해짐으로써, 인증에 성공한 취지가 시각적 효과에 의해 고지된다.
그 후, 인증에 성공한 취지의 메시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되고(도 9의 (c) 참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하기 위한 화면으로 절환된다(도 9의 (d) 참조). 한편, 특징 정보의 일치도가 인증 임계값보다도 작아,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서브 카메라(105)로 촬영되는 화상으로부터 다시 특징 정보가 자동적으로 추출되고, 그 특징 정보가 메모리(410)에 기 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와 비교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증에 실패한 경우,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으로 될 때까지 인증 처리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행해지며, 인증에 성공한 시점에서 인증 처리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타임아웃의 시간을 3초로 설정한 경우에는, 인증 처리가 최대로 7회 정도 행해진다. 즉, 1회의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0.4초 정도이며, 1회째의 인증 처리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서브 카메라(105)의 초기화 처리 종료 후에 거의 대기 시간없이 다음 처리로 진행할 수 있다. 인증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지고 있는 동안, 메인 표시부(101)에는 파인더 화면이 표시되고, 서브 카메라(105)에 대한 피사체의 화상이 리얼타임으로 표시된다.
인증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질 때, 복수회의 인증 처리가 행해질 때마다, 그들 인증 처리에서의 특징 정보의 비교 결과로서, 특징 정보의 일치도에 따른 표시가 메인 표시부(101)에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되어 있는 파인더 화면의 틀(117)의 색이, 특징 정보의 일치도에 따른 색으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인증 처리 시의 특징 정보의 일치도의 비교 결과가 표시되므로, 유저는 그 표시에 기초하여, 그 인증 처리 시에 촬영된 자기의 얼굴 화상이 인식하기 쉬운 화상이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구성에 한하지 않고, 특징 정보의 일치도가 수치나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메인 표시부(101)에 레벨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모든 인증 처리에 대해 비교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적어도 1회의 인증 처리에 대해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면 된다.
자동 인증이 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으로 된 경우에는, 인증에 실패한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9의 (e) 참조). 이 표시 화면에 포함되는 재인증 키(118)를 유저가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9의 (b)에 도시한 파인더 화면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자동 인증이 개시된다. 한편, 도 9의 (e)에서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키(119)를 유저가 선택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단말기 암증 번호의 입력을 재촉하는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으로 절환된다(도 9의 (f) 참조).
도 9의 (f)의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입력된 문자열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암증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하기 위한 화면으로 절환된다(도 9의 (d) 참조).
한편, 도 9의 (f)의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조작 키(201)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암증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9의 (g) 참조). 또한,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입력된 문자열이 3 자릿수 이하인 경우에는, 4∼8 자릿수의 문자열을 입력해야 한다는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9의 (h) 참조). 그리고, 도 9의 (g) 또는 도 9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가 이루어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으로 되거나, 혹은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키가 조작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9의 (a)에 도시한 관리 기능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관리 기능 화면에서 「시크릿 모드」의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되고, 자동 인증이 행해지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실시 형태 2에서는, 얼굴 인증이 필요해지는 시크릿 모드의 선택 조작(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관리 기능의 선택 조작을 행한 시점에서 서브 카메라(105)를 기동하여, 서브 카메라(105)를 촬영 가능한 상태로 해 두고, 시크릿 모드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즉시 자동 인증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얼굴 인증을 행할 때의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 화면에서, 그 메뉴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관리 기능」의 항목을 선택 조작하면, 관리 기능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관리 기능 설정 화면이 표시되고(도 10의 (b) 참조), 이 관리 기능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시크릿 모드」의 항목을 선택 조작함으로써,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도 10의 (e) 참조).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층적인 일련의 조작에 의해,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할 수 있다.
도 10의 (a)의 메뉴 화면에서, 그 메뉴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관리 기능」의 항목을 선택 조작하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된다. 그 후,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가 관리 기능 설정 화면으로 절환되고(도 10의 (b) 참조), 이 관리 기능 설정 화면에서 「시크릿 모드」의 항목이 선택 조작되면, 메인 표시 부(101)에 파인더 화면이 표시되어 자동 인증이 개시된다(도 10의 (c) 참조).
서브 카메라(105)의 초기화 처리에 요하는 시간, 즉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되고 나서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에 요하는 시간은 0.5초 정도이므로, 통상은, 도 10의 (b)에 도시한 관리 기능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유저가 「시크릿 모드」의 항목을 선택 조작할 때까지의 동안에, 서브 카메라(105)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 기능 화면에서 「시크릿 모드」의 항목이 선택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즉시 자동 인증을 개시할 수 있다. 자동 인증 개시 후의 처리 및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도 10의 (d)∼(i))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자동 인증 개시 후의 처리 및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도 9의 (c)∼(h))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의 (a)의 메뉴 화면에서 「관리 기능」의 항목이 선택 조작되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된 후, 소정 시간 내에, 일련의 조작에서의 다음 조작, 즉 도 10의 (b)의 관리 기능 화면에서의 「시크릿 모드」의 항목을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타임아웃으로 된 경우에, 서브 카메라(105)에 공급하는 전력을 정지시킴으로써, 서브 카메라(105)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a)의 메뉴 화면에서 「관리 기능」의 항목이 선택 조작되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된 후, 일련의 조작에서의 다음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 예를 들면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클리어 키의 조작이 행해져 메뉴 화면으로 되돌아간 경우에도, 서브 카메라(105)에 공급하는 전력이 정지됨으로써, 서브 카메라(105)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된 후, 인증 처리가 개시되지 않고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 카메라(105)는 비교적 많은 구동 전력을 소비하므로, 소정 시간 내에 다음 선택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서브 카메라(105)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단, 인증 처리를 요하는 처리의 실행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조작에서의 최종 조작인 「시크릿 모드」의 선택에 대해, 직전의 선택 조작인 「관리 기능」의 선택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를 기동하도록 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일련의 조작에서의 좀더 전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를 기동하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에서는, 관리 기능 화면에서 「시크릿 모드」의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되고, 자동 인증이 행해지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실시 형태 3에서는, 얼굴 인증이 필요해지는 시크릿 모드의 선택 조작(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관리 기능의 선택 조작을 행한 시점에서 서브 카메라(105)를 기동하고, 서브 카메라(105)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되자마자, 자동 인증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얼굴 인증을 행할 때의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 화면에서, 그 메뉴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관리 기능」의 항목을 선택 조작하면, 관리 기능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관리 기능 설정 화면이 표시되고(도 11의 (b) 참조), 이 관리 기능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시크릿 모드」의 항목을 선택 조작함으로써,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도 11의 (c) 참조).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층적인 일련의 조작에 의해,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할 수 있다.
도 11의 (a)의 메뉴 화면에서, 그 메뉴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관리 기능」의 항목을 선택 조작하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되고, 초기화 처리가 종료되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된 후, 자동 인증이 개시된다. 즉, 서브 카메라(105)의 초기화 처리의 종료에 기초하여, 유저가 촬영 조작을 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촬영된 얼굴 화상으로부터 특징 정보가 추출되고, 그 특징 정보가 메모리(410)의 특징 정보 기억부(413)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인증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특징 정보의 일치도가 인증 임계값보다도 작아,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서브 카메라(105)로 촬영되는 화상으로부터 다시 특징 정보가 자동적으로 추출되고, 그 특징 정보가 메모리(410)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으로 될 때까지 인증 처리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인증에 성공한 시점에서 인증 처리가 종료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과는 달리, 인증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지고 있는 동안, 메인 표시부(101)에 파인더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
1회의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0.4초 정도이므로, 1회째의 인증 처리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통상은 도 11의 (b)에 도시한 관리 기능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유저가 「시크릿 모드」의 항목을 선택 조작할 때까지의 동안에, 자동 인증이 종료되어 있다. 따라서, 인증에 성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관리 기능 화면에서 「시크릿 모드」의 항목이 선택 조작되는 것에 기초하여,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가 즉시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하기 위한 화면으로 절환된다(도 11의 (c) 참조).
단, 1회째의 인증 처리에서 인증에 실패하여, 인증 처리가 복수회 행해진 경우와 같이, 유저가 「시크릿 모드」의 항목을 선택 조작한 시점에서 아직 인증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시크릿 모드」의 항목이 선택 조작된 후, 인증 처리의 완료를 대기하고 나서 다음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소정 시간 내에 반복하여 행해진 인증 처리에서 모두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도 11의 (b)에 도시한 관리 기능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으로부터 「시크릿 모드」의 항목이 선택 조작된 후, 단말기 암증 번호의 입력을 재촉하는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이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11의 (d) 참조).
도 11의 (d)의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입력된 문자열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암증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하기 위한 화면으로 절환된다(도 11의 (c) 참조).
한편, 도 11의 (d)의 단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조작 키(201)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암증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11의 (e) 참조). 또한, 단 말기 암증 번호 입력 화면에서 입력된 문자열이 3 자릿수 이하인 경우에는, 4∼8 자릿수의 문자열을 입력해야 한다는 취지가 메인 표시부(101)에 표시된다(도 11의 (f) 참조). 그리고, 도 11의 (c) 또는 도 11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가 이루어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으로 되거나, 혹은 조작 키(201)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키가 조작되면,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메뉴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단, 인증 처리를 요하는 처리의 실행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조작에서의 최종 조작인 「시크릿 모드」의 선택에 대해, 직전의 선택 조작인 「관리 기능」의 선택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를 기동하도록 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일련의 조작에서의 좀더 전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를 기동하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자동 인증 중에 메인 표시부(101)에 파인더 화면을 표시시켜도 된다. 이 경우, 일련의 조작의 방해로 되지 않도록, 메인 표시부(101)의 표시 화면의 일부에 파인더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인증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타임 차트로서, (a)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b)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c)는 실시 형태 2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d)는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 형태 1∼3에서는, 유저에 의한 「시크릿 모드」의 선택 조작(도 12의 (b)) 또는 「관리 기능」의 선택 조작(도 12의 (c), (d))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 라(105)가 기동되고, 그 서브 카메라(105)의 초기화 처리의 종료 후에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된 후(도 12의 (b), (d)) 또는 「시크릿 모드」의 선택 조작 후(도 12의 (c)), 인증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즉, 서브 카메라(105)의 기동 후에 유저가 촬영 조작을 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서브 카메라(105)로 촬영되는 화상으로부터 특징 정보가 추출되고, 그 특징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특징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도 12의 (a)에 도시한 종래예와 같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되고 나서 촬영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a)에 도시한 종래예와 같이,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된 후에 촬영 가능하게 된 것을 유저가 확인하고 나서 촬영 조작을 행할 때까지 생기는 타임래그 TL을 삭감할 수 있어, 서브 카메라(105)의 기동 후에 보다 단시간에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인증 처리를 요하는 처리의 실행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조작에서의 최종 조작인 「시크릿 모드」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도 12의 (c), (d)에 도시한 실시 형태 2, 3에서는, 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행해지는 「관리 기능」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가 자동적으로 기동되어,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행해지는 조작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를 빨리 기동할 수 있다.
특히, 도 12의 (c), (d)에 도시한 실시 형태 2,3에서는, 최종 조작보다도 전 에 행해지는 「관리 기능」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되므로, 최종 처리가 행해질 때까지 서브 카메라(105)를 촬영 가능한 상태로 해 둘 수 있어, 서브 카메라(105)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 TS(도 12의 (a) 참조)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d)에 도시한 실시 형태 3에서는, 서브 카메라(105)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되자마자,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가 행해지므로, 최종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인증 처리를 완료시켜 둘 수 있어,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3과 같이, 인증 처리에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다시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에 따르면, 진짜 유저가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1회째의 인증 처리에 의해 진짜 유저라고 판단되지 않던 경우라도, 그 후에 유저가 촬영 조작을 행하지 않고, 인증 처리가 다시 행해진다. 즉, 진짜 유저라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자동적으로 인증 처리가 행해지므로, 인증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인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인증 처리에서의 얼굴 화상의 촬영 시에는, 셔터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차 내 등의 주위에 사람이 있는 환경에서 인증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셔터음의 발생에 의해 도촬 등의 오해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증 처리 시에 촬영 조작을 행하지 않으므로, 촬영 조작을 행함으로써 도촬 등의 오해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소정 시간 내에 진짜 유저라고 판단되지 않던 경우, 타임아웃으로 되도록 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인증에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서브 카메라(105)가 기동되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된 후, 1회만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 이어도 된다.
또한, 얼굴 인증은, 시크릿 모드의 온/오프를 절환할 때에 한하지 않고, 시큐리티도나 프라이버시도가 높은 다른 기능, 예를 들면 카드 설정, 착신 제한, 로크 설정, 암증 번호 변경, 발신자 번호 통지/비통지 설정, 설정 리세트, 소프트웨어 갱신, 자국 번호 상세 표시, 그 밖의 데이터 변경에 관한 각종 설정 조작 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처리는, 얼굴 화상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얼굴 인증에 한하지 않고, 유저를 나타내는 화상이면, 유저의 지문 화상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것 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지문 화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의 2005년 7월 29일의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5-220085)에 기초하는 파리 조약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하여 여기에 인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외관도이며, 휴대 정보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촬상 유닛 구동 제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인증 처리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얼굴 인증에 관한 설정을 행할 때의 메인 표시부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얼굴 인증용 화상 등록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시큐리티 레벨 설정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에러 이력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얼굴 인증을 행할 때의 메인 표시부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얼굴 인증을 행할 때의 메인 표시부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얼굴 인증을 행할 때의 메인 표시부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인증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타임 차트로서, (a)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b)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c)는 실시 형태 2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d)는 실시 형태 3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
101 : 메인 표시부
102 : 서브 표시부
103 : 수화용 리시버
104 : 메인 카메라
105 : 서브 카메라
201 : 조작 키
203 : 송화용 마이크로폰
400 : 제어부
401 : 촬상 유닛 구동 제어부
402 : 인증 처리부
402A : 특징 추출부
402B : 일치도 산출부
402C : 일치도 판정부
403 : 연속 인증부
404 : 계시부
405 : 촬상 유닛 기동부
405A : 전원 투입부
405B : 초기화 처리부
406 : 촬영 제어부
407 : 촬상 유닛 정지부
410 : 메모리
411 : 표시 화면 데이터 기억부
412 : 화상 데이터 기억부
413 : 특징 정보 기억부
414 : 에러 이력 정보 기억부
450 : 통신부

Claims (6)

  1.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상 유닛과,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에 전원을 투입하고, 상기 촬상 유닛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하는 촬상 유닛 기동 수단과,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한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수단과,
    얼굴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를 등록 특징 정보로서 미리 기억해 두는 특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등록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한 촬영 화상에 기초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는 인증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제어 수단이, 상기 촬상 유닛 기동 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 유닛의 초기화 처리의 종료에 기초하여 촬영을 개시하며,
    상기 인증 처리 수단이, 일련의 조작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촬상 유닛 기동 수단이, 상기 일련의 조작에서의 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행해지는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을 기동시키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일련의 조작에서의 다음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촬상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키는 촬상 유닛 정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
  2.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상 유닛과,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에 전원을 투입하고, 상기 촬상 유닛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하는 촬상 유닛 기동 수단과,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한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수단과,
    얼굴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를 등록 특징 정보로서 미리 기억해 두는 특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등록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한 촬영 화상에 기초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는 인증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제어 수단이, 상기 촬상 유닛 기동 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 유닛의 초기화 처리의 종료에 기초하여 촬영을 개시하며,
    상기 인증 처리 수단이, 일련의 조작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촬상 유닛 기동 수단이, 상기 일련의 조작에서의 최종 조작보다도 전에 행해지는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을 기동시키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유닛이 기동된 후, 상기 일련의 조작에서의 다음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촬상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키는 촬상 유닛 정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 수단 및 상기 인증 처리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증 처리에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다시 촬영을 행하고, 그 촬영 화상에 기초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는 연속 인증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 수단이, 상기 촬영 화상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 수단과, 상기 특징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징 정보를 상기 특징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특징 정보와 비교하여, 수치화된 일치도를 구하는 일치도 산출 수단과, 상기 일치도를 인증 임계값과 비교하는 일치도 판정 수단을 갖고,
    인증 처리 시에서의 상기 일치도와 상기 인증 임계값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결과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77030159A 2005-07-29 2007-12-24 휴대 정보 단말 장치 KR100910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0085 2005-07-29
JP2005220085A JP2007036928A (ja) 2005-07-29 2005-07-29 携帯情報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877A KR20080015877A (ko) 2008-02-20
KR100910289B1 true KR100910289B1 (ko) 2009-08-03

Family

ID=3768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159A KR100910289B1 (ko) 2005-07-29 2007-12-24 휴대 정보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79043B2 (ko)
EP (1) EP1916588B1 (ko)
JP (1) JP2007036928A (ko)
KR (1) KR100910289B1 (ko)
CN (1) CN101228493B (ko)
HK (1) HK1119801A1 (ko)
WO (1) WO2007013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57208C (en) 2003-05-30 2018-09-04 Privaris, Inc. An in-circuit security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use of sensitive data
US7657849B2 (en)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8774767B2 (en) 2007-07-19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honebook using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KR101430522B1 (ko) * 2008-06-10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상 정보 활용 방법
CN107066862B (zh) 2007-09-24 2022-11-25 苹果公司 电子设备中的嵌入式验证系统
US8600120B2 (en)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JP2009171259A (ja) * 2008-01-16 2009-07-30 Nec Corp 顔認証による画面切替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
JP2009252650A (ja) * 2008-04-09 2009-10-29 Nec Saitama Ltd 情報端末の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0027035A (ja) * 2008-06-16 2010-02-04 Canon Inc 個人認証装置及び個人認証方法
US8749347B1 (en) * 2009-01-29 2014-06-1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uthorized custodian verification
US8502644B1 (en) 2009-01-29 2013-08-06 Bank Of American Corporation Physical item security: tracking device activation
JP5306046B2 (ja) * 2009-05-01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デバイス操作画面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EP2503509A4 (en) * 2009-11-17 2018-01-17 Hitachi Industry & Control Solutions, Ltd. Authentication system using organism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device
US8528072B2 (en) 2010-07-23 2013-09-03 Apple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ccess mode control of a device
US8587547B2 (en) 2010-11-05 2013-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US8659562B2 (en) 2010-11-05 2014-02-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US9250798B2 (en) 2011-01-24 2016-02-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dynamic gesture disambiguation threshold
US8638385B2 (en) 2011-06-05 2014-01-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US8769624B2 (en) 2011-09-29 2014-07-01 Apple Inc. Access control utilizing indirect authentication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JP5950571B2 (ja) * 2011-12-28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213822B2 (en) 2012-01-20 2015-12-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JP2013161261A (ja) * 2012-02-06 2013-08-1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情報処理端末、その認証制御方法、及び認証制御プログラム
JP6023879B2 (ja) 2012-05-18 2016-11-0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指紋センサ入力に基づく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操作するための機器、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6200265B2 (ja) * 2012-11-06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898642B2 (en)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10482461B2 (en) 2014-05-29 2019-11-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DK179471B1 (en) * 2016-09-23 2018-11-26 Apple Inc. IMAGE DATA FOR ENHANCED USER INTERACTIONS
JP6652664B2 (ja) * 2017-01-27 2020-02-2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3382937B1 (en) * 2017-03-28 2022-05-18 Rohde & Schwarz GmbH & Co. KG Transmission device, system as well as method for transmitting monitoring information
DK179948B1 (en) 2017-05-16 2019-10-22 Apple Inc. Recording and sending Emoji
US10521948B2 (en) 2017-05-16 2019-12-31 Apple Inc. Emoji recording and sending
KR102143148B1 (ko) 2017-09-09 2020-08-10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KR102185854B1 (ko) 2017-09-09 2020-12-02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DK201870380A1 (en) 2018-05-07 2020-01-29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DK180078B1 (en) 2018-05-07 2020-03-3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VATAR CREATION
WO2019216131A1 (ja) * 2018-05-11 2019-1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
US11170085B2 (en) 2018-06-03 2021-11-09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860096B2 (en) 2018-09-28 2020-12-08 Apple Inc.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US20220019650A1 (en) * 2018-11-30 2022-01-20 Showcase Inc. Authentication device, autehnt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1159520B1 (en) 2018-12-20 2021-10-26 Wells Fargo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passive continuous session authentication
US11095641B1 (en) 2018-12-20 2021-08-17 Wells Fargo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passive continuous session authentication
US11107261B2 (en) 2019-01-18 2021-08-31 Apple Inc. Virtual avatar animation based on facial feature movement
DK201970530A1 (en) 2019-05-06 2021-01-28 Apple Inc Avatar integration with multiple applications
US11158028B1 (en) * 2019-10-28 2021-10-26 Snap Inc. Mirrored selfie
CN113095831A (zh) * 2019-12-23 2021-07-09 阿尔派株式会社 电子装置、认证方式的决定方法以及认证方式的决定程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9152A (ja) * 1995-09-01 1997-03-11 Nippon Yunishisu Kk 表面画像採取装置
JP2005122700A (ja) * 2003-09-25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正使用防止装置及び方法、並びに不正使用防止機能付き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1517A (en) * 1996-12-30 2000-08-29 Visionics Corporation Continuous video monitoring using face recognition for access control
JP2000278658A (ja) * 1999-03-25 2000-10-06 Kyocera Corp 携帯テレビ電話端末
US6819219B1 (en) * 2000-10-13 2004-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for access control
JP2002229955A (ja) * 2001-02-02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端末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JP2002330318A (ja) * 2001-04-2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3067731A (ja) * 2001-08-28 2003-03-07 Nec Corp 携帯無線端末装置
JP2003099675A (ja) * 2001-09-20 2003-04-04 Sony Corp 課金対象機器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管理装置、課金対象機器、記録媒体、プログラム
JP2005001642A (ja) * 2003-04-14 2005-01-06 Fujitsu Ten Ltd 盗難防止装置、監視装置、及び盗難防止システム
US7088220B2 (en) * 2003-06-20 2006-08-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using biometric sensor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5063077A (ja) 2003-08-08 2005-03-10 R & D Associates:Kk 個人認証方法、個人認証装置及びコネクタ
EP1521161A3 (en) 2003-09-25 2006-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and a device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unauthorized use
US8159561B2 (en) * 2003-10-10 2012-04-17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with feature extraction device
US20050273626A1 (en) * 2004-06-02 2005-12-08 Steven Pearson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authentication
US20070009139A1 (en) * 2005-07-11 2007-01-11 Agere Systems Inc. Facial recognition device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9152A (ja) * 1995-09-01 1997-03-11 Nippon Yunishisu Kk 表面画像採取装置
JP2005122700A (ja) * 2003-09-25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正使用防止装置及び方法、並びに不正使用防止機能付き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64684A1 (en) 2010-07-01
US8279043B2 (en) 2012-10-02
EP1916588A4 (en) 2014-12-10
CN101228493A (zh) 2008-07-23
WO2007013307A1 (ja) 2007-02-01
KR20080015877A (ko) 2008-02-20
JP2007036928A (ja) 2007-02-08
EP1916588B1 (en) 2019-04-03
EP1916588A1 (en) 2008-04-30
CN101228493B (zh) 2010-10-13
HK1119801A1 (en)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289B1 (ko) 휴대 정보 단말 장치
KR100961286B1 (ko) 휴대 정보 단말 장치
JP4646734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4622763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認証方法
JP4646731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5522976B2 (ja) 携帯端末機の画像情報活用方法
JP2008306487A (ja) 個人識別通信システム及び個人識別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JP495701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キーロック解除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05164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JP5322969B2 (ja) 認証方法及び認証処理装置
JP4841687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の認証情報登録方法
JP4476194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CN108830194B (zh) 生物特征识别方法及装置
CN109033928A (zh) 防止信息泄露的图像处理方法和装置
CN114066458A (zh) 生物识别方法、生物识别装置及存储介质
KR101215314B1 (ko)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JP5523001B2 (ja) 電子機器、ロック解除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6016997A1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ならびに通信システム
CN113609474A (zh) 一种pin码强化记忆方法和电子设备
JP2006222810A (ja) カメラ付き携帯型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