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314B1 -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314B1
KR101215314B1 KR1020060054687A KR20060054687A KR101215314B1 KR 101215314 B1 KR101215314 B1 KR 101215314B1 KR 1020060054687 A KR1020060054687 A KR 1020060054687A KR 20060054687 A KR20060054687 A KR 20060054687A KR 101215314 B1 KR101215314 B1 KR 10121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function
scree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0222A (ko
Inventor
고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14B1/ko
Publication of KR2007012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자가 촬영 시 사용자의 표정이나 포즈가 화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으로, 카메라부가 동작하여 표시부에 프리뷰 영상이 표시되는 제 1 단계, 자가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2 단계, 자가 촬영 모드인 경우 화면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3 단계, 및 촬영 명령이 입력되고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저장되는 4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가 촬영을 하는 경우,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거나 표시부에 미리 선택된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표정이나 포즈가 표시부의 화면을 통해 프리뷰 영상으로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셀프카메라, 스크린세이버, 자가 촬영

Description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mobile device with screen saver and method for photograph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통신부 20 : 데이터 처리부
30 : 오디오 처리부 40 : 키 입력부
42 : 촬영 모드 전환 키 44 : 촬영 키
46 : 미리보기 키 50 : 카메라부
60 : 영상처리부 70 : 표시부
80 : 저장부 90 : 제어부
100 : 휴대용 단말기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가 촬영 시, 사용자의 표정이나 포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음성 또는 영상저장기능, 인터넷 기능, 오락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에 더하여 디지털카메라 기능이 추가로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가 등장함으로서, 원하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이하, 모두 영상이라 칭함)을 손쉽게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를 배경화면으로 사용하거나 이메일 또는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 등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예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슬림 슬라이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slim slide; 이하, 슬림 슬라이드 폰)를 들 수 있다. 슬림 슬라이드 폰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며,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비해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슬림 슬라이드 폰은 그 특징인 얇은 두께로 인하여 회전식이 아닌 고정식의 카메라가 슬림 슬라이드 폰의 화면과 반대되는 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슬림 슬라이드 폰을 이용하여 다른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화면에 나타나는 프리뷰 영상을 보며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지만, 자기 자신을 스스로 촬영(이하, 자가 촬영)하려는 경우, 슬림 슬라이드 폰의 화면이 사용자의 반대편을 향하기 때문에, 프리뷰 영상이 쉽게 외부로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자가 촬영 시 사용자의 표정이나 포즈 등이 주변의 사람들에게 쉽게 보여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화면을 가리면서 촬영하거나, 사람이 없는 장소를 찾아 촬영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가 촬영 시, 화면을 통해 프리뷰 영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 카메라부에 의해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자가 촬영 시 표시부에 프리뷰 영상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제어부는 프리뷰 영상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한 후,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프리뷰 영상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한 소정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카메라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으로, 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1 단계, 표시부에 프리뷰 영상이 표시되는 2 단계, 자가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3 단계, 자가 촬영 모드인 경우 화면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4 단계, 및 촬영 명령이 입력되고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되는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4 단계의 화면 보호 기능은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 기능일 수 있으며, 프리뷰 영상 대신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능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4 단계의 화면 보호 기능은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 기능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5 단계는, 촬영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 보기 명령의 입력을 기다리는 a1 단계, 미리 보기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 보호 기능을 해제하는 a2 단계, 표시부에 직전에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a3 단계,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a4 단계, 및 화면 보호 기능을 다시 실행하는 a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a2 단계의 미리 보기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화면 보호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은 자동으로 저장되거나, 특정 키의 입력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자가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 보호 기능을 해제하고, 표시부에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슬림 슬라이드(slim slide)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제어부(90), 무선통신부(10), 데이터 처리부(20), 오디오 처리부(30), 키 입력부(40), 카메라부(50), 영상처리부(60), 표시부(70), 및 저장부(80)를 포함한다.
제어부(9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어부(90)는 일반 촬영 모드 시 프리뷰 영상을 표시부(70)에 표시하며, 자가 촬영 모드 시 표시부(70)를 비활성화시키거나, 미리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 촬영 모드는 카메라부(50)에 입력되는 영상이 표시부(50)의 화면으로 표시되는 통상의 촬영 모드를 지칭하며, 자가 촬영 모드는 사용자가 본인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에 설정하는 셀프(self) 촬영 모드를 지칭한다.
무선통신부(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20)로 출력하고, 데이터 처리부(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모듈, 및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모듈 등을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복호화하여 제어부(90)에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3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 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음성 통화 시 데이터 처리부(2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반대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부(20)에 제공한다.
키 입력부(4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키(도시되지 않음)들 및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40)는 촬영 모드 전환 키(42), 촬영 키(44), 및 미리보기 키(46)를 포함한다.
촬영 모드 전환 키(42)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자가 촬영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키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촬영 모드 전환 키(42)가 입력될 때 마다 일반 촬영 모드와 자가 촬영 모드가 반복적으로 변경된다.
촬영 키(44)는 카메라부(50)에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부(80)에 저장하기 위한 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상 운용 모드에서 촬영 모드로 진입 시, 정지 영상 촬영 시, 그리고 동영상 촬영의 시작 및 완료 시에 모두 촬영 키(44)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보기 키(46)는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로써, 촬영 모드에 상관 없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보기 키(46)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직전에 촬영된 영상을 표시부(70)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촬영 모드 전환 키(42), 촬영 키(44), 및 미리보기 키(46)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종 문자 키들 및 제어 키들와 연결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50)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처리부(60)는 카메라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70)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알맞게 출력하며, 카메라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90)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처리부(60)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7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70)는 영상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7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7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부(8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과, 카메라부(50)를 통해 입력된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촬영 명령이 제어부(90)로 입력되고, 휴대용 단말기(100)가 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110). 촬영 명령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촬영 키(44)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90)로 입력되며, 제어부(9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촬영 모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카메라부(50)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본적으로 일반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표시부(70)의 화면에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0). 카메라부(50)에 입력된 영상은 영상처리부(60)에서 영상 데이터로 가공된 후, 표시부(70)로 전송되며, 이에 따라 표시부(70)에는 카메라부(50)에 입력된 영상이 프리뷰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어서, 자가 촬영 모드 전환 명령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30).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반 촬영 모드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촬영 모드 전환 키(42)를 조작하면, 자가 촬영 모드 전환 명령이 제어부(90)로 입력된다. 이에 제어부(9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자가 촬 영 모드로 전환시킨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자가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90)는 신속하게 화면 보호 기능을 실행한다(S140).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은 자가 촬영 시 카메라부(50)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표시부(70)의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기능으로, 이를 위해 제어부(90)는 우선적으로 표시부(70)로 프리뷰 영상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부(70)의 화면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비활성화된 화면으로 보여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자가 촬영 모드 시 표시부(70)를 비활성화된 화면으로 유지하거나, 소정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이 표시부(70)에 표시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은 기본적으로 비활성 기능, 정지 영상 표시 기능, 및 동영상 표시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은 자가 촬영 모드로 전환될 때마다 제어부(90)가 어느 하나의 기능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반 촬영 모드나 정상 운용 모드에서 직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여 자가 촬영 모드 전환 시마다 선택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비활성 기능이 선택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가 자가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90)는 표시부(70)의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도록 표시부(70)를 비활성화시킨다. 따라서, 표시부(70)의 화면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화면으로 외부에 보여지게 된다.
또한, 정지 영상 표시 또는 동영상 표시가 선택된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100)가 자가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90)는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이하, 모두 영상이라 칭함)을 표시부(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부(70)에는 프리뷰 영상이 표시되지 않고 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영상이 표시된다.
한편, 이 과정에서 표시부(7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어부(90)가 임의로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메라부(50)를 바라보며 다양한 표정이나 포즈를 취하며 자가 촬영을 하더라도, 주변의 다른 사람들은 표시부(70)를 통해 이를 인지할 수 없으며, 단지 비활성화된 화면이나 별도의 영상만을 보게 된다.
계속해서, 촬영 명령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50). 사용자가 촬영 키(44)를 입력하여 제어부(90)로 촬영 명령을 전송하면, 제어부(90)는 신속하게 카메라부(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정지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80)에 임시적으로 저장시키게 된다(S160). 이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부(70)는 계속해서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표시하고 있게 된다.
이어서, 미리보기 명령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70). 미리보기 명령은 사용자가 직전에 촬영한 영상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여주기 위한 명령으로,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퀵 뷰(quick view)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미리보기 키(46)를 조작하여 제어부(90)에 미리보기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일시적으로 화면 보호 기능을 해제하고(S171), 화면 보호 기능이 해제된 표시부(70)에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72).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이 촬영한 영상이 원하는 모습으로 촬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표시부(70) 화면의 하단부에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 및 삭제하기 위한 키(도시되지 않음)가 소프트웨어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한 후, 촬영된 영상을 저장시키기 위해 저장 명력을 입력하게 되면(S173), 제어부(90)는 임시적으로 저장시켰던 촬영된 영상에 파일 이름을 부여한 후, 저장부(80)에 저장한다(S174). 반면에,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시키기 않고 삭제하기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삭제 명령을 입력하게 되고, 이에 제어부(90)는 임시적으로 저장시켰던 영상을 삭제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저장이나 삭제가 완료되면, 제어부(90)는 다시 화면 보호 기능을 실행한다(S175). 따라서, 표시부(70)는 전술된 화면 보호 기능 실행 과정(S140)과 동일하게 비활성화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다시 표시하게 된다.
한편, 촬영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보기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90)는 촬영된 영상을 자동으로 저장시키게 된다(S180). 제어부(90)는 촬영 명령 이 입력된 순간부터 일정 시간동안 미리보기 명령의 입력을 기다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촬영된 영상에 파일 이름을 부여하여 저장부(80)에 저장하게 된다.
이처럼 자동으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경우, 화면 보호 기능은 해제되지 않고 계속 유지 된다. 또한, 미리보기의 명령을 기다리는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 입력부(40)에 저장 키(도시되지 않음)에 저장 명령을 할당하여 저장 키가 입력되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 또는 삭제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자가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90). 사용자가 자가 촬영을 마치기 위해 촬영 모드 전환 키(42)를 조작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의 촬영 모드는 다시 일반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90)는 화면 보호 기능을 해제하고(S200), 표시부(70)에 프리뷰 영상을 다시 표시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계속해서 자가 촬영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 제어부(90)는 화면 보호 기능을 유지시키며 촬영 키(44)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 촬영 모드 및 자가 촬영 모드는 사용자가 특정 키(예컨데, 종료 키)를 입력하는 경우, 즉시 촬영 모드가 종료되고 정상 운용 모드로 전환될 수 있 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부가 회전되지 않는 슬림 슬라이드 폰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자가 촬영 시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거나 미리 선택된 별도의 영상을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표정이나 포즈가 표시부의 화면을 통해 프리뷰 영상으로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자가 촬영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프리뷰 영상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한 후, 상기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이 전송되는 것을 차단한 후, 소정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4. 카메라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으로,
    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1 단계;
    표시부에 프리뷰 영상이 표시되는 2 단계;
    자가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3 단계;
    자가 촬영 모드인 경우, 화면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4 단계; 및
    촬영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저장부에 저장되는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상기 화면 보호 기능은,
    상기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상기 화면 보호 기능은,
    상기 프리뷰 영상 대신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상기 화면 보호 기능은,
    상기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 기능;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는,
    상기 촬영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 보기 명령의 입력을 기다리는 a1 단계;
    상기 미리 보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보호 기능을 해제하는 a2 단계;
    상기 표시부에 직전에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a3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a4 단계; 및
    상기 화면 보호 기능을 다시 실행하는 a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의 상기 미리 보기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화면 보호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은 자동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은 특정 키의 입력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자가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보호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KR1020060054687A 2006-06-19 2006-06-19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121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87A KR101215314B1 (ko) 2006-06-19 2006-06-19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87A KR101215314B1 (ko) 2006-06-19 2006-06-19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222A KR20070120222A (ko) 2007-12-24
KR101215314B1 true KR101215314B1 (ko) 2012-12-26

Family

ID=3913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687A KR101215314B1 (ko) 2006-06-19 2006-06-19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4945A1 (ja) * 2017-01-19 2018-07-26 株式会社クリエイターズ・ヘッド 情報制御プログラム、情報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229A (ja) 1998-04-28 1999-11-09 Eastman Kodak Japan Ltd 電子スチルカメラ用スクリーンセーバ
JP2004112375A (ja) 2002-09-19 2004-04-08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229A (ja) 1998-04-28 1999-11-09 Eastman Kodak Japan Ltd 電子スチルカメラ用スクリーンセーバ
JP2004112375A (ja) 2002-09-19 2004-04-08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222A (ko) 200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JP4646734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722308B1 (ko) 촬영 사진 입력된 주소정보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를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251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8891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4249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KR100796340B1 (ko)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20070113578A (ko)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처리 방법
KR10067821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KR101215314B1 (ko)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70346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JP2011087306A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の認証情報登録方法
JP2010161785A (ja) 認証方法及び認証処理装置
KR100678208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JP3927903B2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513053B1 (ko) 영상데이터 프리뷰 자동 제어 방법
KR100663555B1 (ko) 카메라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데이터 합성방법
KR1007033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57152B1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KR101163228B1 (ko)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KR2005004134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동작제한장치 및 방법
KR100606045B1 (ko)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