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228B1 -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228B1
KR101163228B1 KR1020050059404A KR20050059404A KR101163228B1 KR 101163228 B1 KR101163228 B1 KR 101163228B1 KR 1020050059404 A KR1020050059404 A KR 1020050059404A KR 20050059404 A KR20050059404 A KR 20050059404A KR 101163228 B1 KR101163228 B1 KR 10116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hotographing
incoming
shooting mod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430A (ko
Inventor
정창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228B1/ko
Priority to CNA2006100829354A priority patent/CN1893462A/zh
Publication of KR2007000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를 원격으로 조작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호 신호를 착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피사체 촬영을 요구하는 제어신호 수신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가 특정번호에 해당하는 호 착신인가를 확인하여 상기 카메라부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MOBILE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무선 통신부 13: 카메라부
15: 메모리 17: 제어부
19: 표시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를 원격으로 조작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 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일컫는 통칭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달은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휴대용 단말기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 휴대용 단말기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화상 송수신 등의 기능과 음성 송수신 기능이 함께 구현된 휴대용 복합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되었다.
이러한 복합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평소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현해 놓은 일명 카메라폰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갑자기 어떠한 장면이나, 업무상 필요한 피사체를 찍어 간직하고 싶을 때 이러한 카메라폰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면을 찍어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촬영버튼을 누를 수 없는 이격거리에서 사진을 찍기 위한 방법이 단순히 수초후에 촬영하는 방식밖에는 없었다. 이는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확인한후 수초후 촬영을 위한 키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촬영버튼을 누를수 없는 이격거리상에서 사용자 자신이 담긴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때 수초안에 포즈를 취해야 하므로 촬영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를 원격으로 조작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호 신호를 착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피사체 촬영을 요구하는 제어신호 수신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가 특정번호에 해당하는 호 착신인가를 확인하여 상기 카메라부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이 지원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촬영방법에 있어서,
촬영모드시, 특정 호 착신에 의해 촬영하는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로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특정 호 착신시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에 따른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를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11)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부(1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와, 송신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카메라부(13)는 피사체 촬영을 요구하는 제어신호 수신시 피사체를 촬영한 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13)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와, 그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와, 그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메모리(15)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모드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는 특정번호를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7)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는 촬영모드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가 특정번호에 해당하는 호 착신인가를 확인하여 상기 카메라부(13)로 촬영을 요구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19)는 상기 제어부(17)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9)는 촬영 모드시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7)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촬영모드시 제어부(17)는 메모리(15)에 특정 호 착신신호를 이용한 착신 카메 라 촬영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가 설정되면 무선 통신부(11)를 통해 착신되는 호의 번호와 메모리(15)에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번호가 일치하는 판단한다. 그래서, 상기 착신된 호의 번호와 특정번호가 일치하면, 제어부(17)는 카메라부(13)측으로 촬영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카메라부(13)는 영상을 촬영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제어부(17)는 호 착신을 대기하는 대기상태에서 203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촬영모드이면, 205단계에서 제어부(17)는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설정된다.
우선,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의 선택여부를 설정하고, 그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 선택시, 특정 호 착신신호에 해당하는 특정번호에 대해서만 촬영할 수 있게 특정번호를 설정한다.
이에,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207단계에서 제어부(17)는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로 설정되어있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부(19)에 표시하고 209단계로 진행한다.
그래서 상기 209단계에서 제어부(17)는 일반 카메라 촬영모드로 동작수행한다.
한편, 상기 205단계의 판단결과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211단계에서 사용자는 촬영하려는 대상물(피사체)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한다.
이후, 213단계에서 사용자는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호를 시도한다.
그러면, 215단계에서 제어부(17)는 특정 호가 착신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호는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모드의 설정과정에서 설정된 특정번호로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걸려오는 호를 착신하면 촬영요구명령신호로 인식하는 설정된 타인의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특정 호가 착신되면, 217단계에서 제어부(17)는 카메라부(13)를 제어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모드시, 특정번호로 설정된 타인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걸려오는 호를 착신하면 촬영요구명령신호로 인식하여 자동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호 신호를 착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피사체 촬영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 수신 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의 선택 여부가 설정되고,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가 특정 번호에 해당하는 호 착신인가를 확인하여 상기 카메라부 측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촬영 버튼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부 측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는 상기 특정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3. 삭제
  4. 카메라 기능이 지원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촬영 방법에 있어서,
    촬영 모드 시,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의 선택 여부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로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가 선택되어 있으면,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가 특정 번호에 해당하는 호 착신인가를 확인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며,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촬영 버튼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의 선택 여부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착신 카메라 촬영 모드의 선택 시, 특정 호 착신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 번호에 대해서만 촬영할 수 있게 상기 특정 번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법.
KR1020050059404A 2005-07-01 2005-07-01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KR10116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04A KR101163228B1 (ko) 2005-07-01 2005-07-01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CNA2006100829354A CN1893462A (zh) 2005-07-01 2006-06-19 具备摄像头功能的便携式终端及其拍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04A KR101163228B1 (ko) 2005-07-01 2005-07-01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430A KR20070003430A (ko) 2007-01-05
KR101163228B1 true KR101163228B1 (ko) 2012-07-05

Family

ID=3759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404A KR101163228B1 (ko) 2005-07-01 2005-07-01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3228B1 (ko)
CN (1) CN18934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8870B (zh) * 2013-04-23 2017-02-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远程监控方法、被控设备、主控设备、服务器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430A (ko) 2007-01-05
CN1893462A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125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video communication
KR100703332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KR100810303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및 전송방법
US111444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2011008891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061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17140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0346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1163228B1 (ko)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KR10070335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전송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31643B1 (ko) 홍채 인식을 이용한 촬영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6781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100513053B1 (ko) 영상데이터 프리뷰 자동 제어 방법
KR101255009B1 (ko) 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획득 및 처리 방법
KR100664154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KR10080083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카메라를 개인용 컴퓨터의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100697627B1 (ko)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08353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방법
KR20040081962A (ko) Sm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39820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