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820B1 -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820B1
KR101939820B1 KR1020170092820A KR20170092820A KR101939820B1 KR 101939820 B1 KR101939820 B1 KR 101939820B1 KR 1020170092820 A KR1020170092820 A KR 1020170092820A KR 20170092820 A KR20170092820 A KR 20170092820A KR 101939820 B1 KR101939820 B1 KR 10193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external output
screen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808A (ko
Inventor
이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8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외부기기 제어장치가, 외부기기와 연결되면,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상기 외부기기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하고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 하에,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플랫폼(Platform)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제반 HW, SW 기술역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용 제어부는 Multicore로 발전 중에 있으며, OS(Operation System)역시 WM, iPhone OS, Android, LiMo 등 다양한 OS들이 현재 시장에 소개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 폰과 외부기기의 연결기능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이 외부기기와 연결될 때 현재는 단순히 TV와 같은 외부기기에 상기 스마트 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 폰에 악세사리 개념의 주변 외부기기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소형 PC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보다 큰 외부 기기 즉, 외부 입출력장치를 통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연결된 외부기기의 제어부 및 메모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를 제어하여, 사용자들에게 확장된 기능 및 서비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를 제어하여, 데이터의 보관 및 업데이트가 용이할 수 있는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기기 제어장치가, 외부기기와 연결되면,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상기 외부기기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하고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환경이 변경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 하에,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기기 제어방법이, 휴대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의 종류가 인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상기 외부기기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하고,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연결된 외부기기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한 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외부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의 제어부 및 메모리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외부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제어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은 상기 외부기기는 악세사리 개념으로 저렴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들에게 확장된 기능 및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데이터의 보관 및 업데이트가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연결된 외부기기의 종류에 대응되는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한 후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기기의 종류 및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최적의 설정데이터는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기능(function)을 포함한다.
상기 최적의 설정데이터 중 상기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는 외부 출력장치를 위한 설정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기능(function)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장치를 위한 설정데이터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키 입력부(127)가 아닌,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외부 입력장치를 통해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정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는 키 입력 장치와 같은 외부 입력장치, 표시 장치와 같은 외부 출력장치 및 제어부와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으며 입출력장치를 구비하는 PC 및 노트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이 연결된 외부기기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동안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130)에서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부 입력장치 및 외부 출력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 출력장치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 즉,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를 위한 최적의 설정 데이터 즉, 기능(function)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능(function)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의 기능(function)으로 변경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에서,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입력동작을 통해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된 외부 출력장치의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변경된 휴대단말기의 환경에서,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입력동작을 통해 수행되는 해당기능을 상기 외부 출력장치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부 출력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 출력장치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 즉,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된 외부 출력장치의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변경된 휴대단말기의 환경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127)의 입력동작을 통해 수행되는 해당기능을 상기 외부 출력장치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부 입력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를 위한 최적의 설정 데이터 즉, 기능(function)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능(function)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의 기능(function)으로 변경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에서,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입력동작을 통해 수행되는 해당기능을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6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연결된 외부기기의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환경이 변경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 2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상기 외부기기의 연결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외부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02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가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리(130)에서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최적의 설정데이터를 추출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최적의 설정데이터는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하거나 또는 기능(function)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에서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상기 추출된 외부기기의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4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기능(function)을,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의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기능(function)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기기의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 및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를 통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부 출력장치 및 외부 입력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상기 외부 출력장치를 위한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변경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상기 외부 입력장치를 위한 기능(function)으로 변경하였을 때,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입력동작을 통한 해당기능을 상기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 출력장치 및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제어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부 출력장치만이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상기 외부 출력장치를 위한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변경하였을 때,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127)의 입력동작을 통한 해당기능을 상기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 출력장치의 제어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부 입력장치만이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환경을 상기 외부 입력장치를 위한 기능(function)으로 변경하였을 때,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입력동작을 통한 해당기능을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6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제어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외부기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상기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a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으며 입출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외부기기, 즉 노트북(200)에 휴대단말기(10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a에서는 상기 노트북(200)과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환경은 상기 노트북(200)을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기능(function))로 변경된다. 그리고, 상기 노트북(200)의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노트북(200)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노트북(200)의 키 입력부의 입력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해당기능을 상기 노트북(200)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노트북(200)을 제어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자신의 메모리(130)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노트북(200)의 메모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3b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본체 없이, PC의 표시 장치(400) 및 키 입력 장치(300)와 휴대단말기(10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b에서는 상기 PC의 표시 장치(400) 및 키 입력 장치(300)가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환경은 상기 PC의 표시 장치(400) 및 키 입력 장치(300)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기능(function))로 변경된다.
그리고, 상기 PC의 표시 장치(400) 및 키 입력 장치(300)의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PC의 표시 장치(400) 및 키 입력 장치(300)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PC의 키 입력 장치(300)의 입력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해당기능을 상기 PC의 표시 장치(4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PC의 표시 장치(400) 및 키 입력 장치(300)를 제어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자신의 메모리(130)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PC의 표시 장치(400) 및 키 입력 장치(300)에 대한 메모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3c는 TV의 표시 장치(600) 및 무선 키 입력 장치(500)와 휴대단말기(10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c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상기 TV의 표시 장치(600) 및 상기 무선 키 입력 장치(500)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환경은 상기 TV의 표시 장치(600) 및 상기 무선 키 입력 장치(500)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기능(function))로 변경된다.
그리고, 상기 TV의 표시 장치(600) 및 상기 무선 키 입력 장치(500)를 위한 최적의 설정데이터로 변경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TV의 표시 장치(600) 및 상기 무선 키 입력 장치(500)에 대한 제어부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 키 입력 장치(500)의 입력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해당기능을 상기 TV의 표시 장치(6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TV의 표시 장치(600) 및 상기 무선 키 입력 장치(500)를 제어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자신의 메모리(130)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TV의 표시 장치(600) 및 상기 무선 키 입력 장치(500)에 대한 메모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단말기,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127: 키입력부,
200 - 500 : 외부기기

Claims (2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을 검출하고-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에 존재함-,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출력 장치 상에,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2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출력 장치를 제어하고-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이함-,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2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출력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도중에, 독립형 컴퓨터 키보드의 연결을 검출하고,
    상기 독립형 컴퓨터 키보드 및 상기 외부 출력 장치 모두가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도중에, 상기 독립형 컴퓨터 키보드로부터 제 3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3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출력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의 검출에 대응하여 제 1 설정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설정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을 검출하는 동작-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에 존재함-;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출력 장치 상에,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2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이함-;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2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도중에, 독립형 컴퓨터 키보드의 연결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독립형 컴퓨터 키보드 및 상기 외부 출력 장치 모두가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도중에, 상기 독립형 컴퓨터 키보드로부터 제 3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3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의 검출에 대응하여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의 검출에 대응하여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연결의 검출에 대응하여 제 1 설정 데이터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설정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컴퓨터 키보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제 2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은,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컴퓨터 키보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제 2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은,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092820A 2017-07-21 2017-07-21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3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820A KR101939820B1 (ko) 2017-07-21 2017-07-21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820A KR101939820B1 (ko) 2017-07-21 2017-07-21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931A Division KR101763426B1 (ko) 2010-08-20 2010-08-20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060A Division KR102070079B1 (ko) 2019-01-11 2019-01-11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808A KR20170088808A (ko) 2017-08-02
KR101939820B1 true KR101939820B1 (ko) 2019-01-18

Family

ID=5965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820A KR101939820B1 (ko) 2017-07-21 2017-07-21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8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77B1 (ko) * 2008-05-06 2010-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메뉴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808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44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101832492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718999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24085A (ko)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KR20120122051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 악세사리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201336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conversion in portable terminal
KR20130024166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20130466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1017140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42210B1 (ko) 휴대단말기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및 방법
CN112637481B (zh) 图像缩放方法和装置
KR101939820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78978A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2070079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735836B1 (ko) 휴대단말기의 메뉴실행 장치 및 방법
KR20070019158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전송방법
KR20120073049A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부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101163228B1 (ko)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KR20070044426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80083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카메라를 개인용 컴퓨터의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17272A (ko) 휴대단말기의 띄어쓰기 수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