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978A -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978A
KR20120078978A KR1020110000304A KR20110000304A KR20120078978A KR 20120078978 A KR20120078978 A KR 20120078978A KR 1020110000304 A KR1020110000304 A KR 1020110000304A KR 20110000304 A KR20110000304 A KR 20110000304A KR 20120078978 A KR20120078978 A KR 20120078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operation
time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638B1 (ko
Inventor
김태훈
허만근
한재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638B1/ko
Priority to US13/342,308 priority patent/US9007312B2/en
Publication of KR2012007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제2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동작이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드래그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상기 제2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동작이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크게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내장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내장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일예로,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시계, 착신벨 설정 등이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접속, 발신자 확인 등등이 있고,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부가서비스 중에서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들을 주위에서 검색하여 검색리스트로 표시하고, 상기 검색리스트에서 선택된 휴대단말기와는 비밀번호입력 등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친 이후에만 데이터전송을 위한 통신채널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하고, 상기 검색리스트에 원하는 휴대단말기가 찾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일일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휴대단말기 간의 복잡한 상호 인증과정 없이 편리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래그 동작만으로 두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장치가,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제2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 동작이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 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드래그 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상기 제2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동작이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 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제2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 각각은 상기 드래그 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드래그 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상기 드래그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드래그동작만으로 두 휴대단말기 간의 복잡한 상호인증과정 없이, 편리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기와 제2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기와 제2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기와 제2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도시함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기와 제2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도시함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기와 제2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휴대단말기는 제2 휴대단말기에게 통신연결을 요청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발신측 단말기이고,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통신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1 휴대단말기(100)는 근거리무선 통신 모드에서, 제2 휴대단말기(20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부터 상기 제2 휴대단말기(220)까지 드래그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른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드래그 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는 근거리무선 통신모드에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부터 상기 제2 휴대단말기(220)까지 드래그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른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제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구성을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기와 제2 휴대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제1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제1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드래그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와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근거리무선 통신모드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중인 소정의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라 발생된 드래그동작의 시긴 및 이동속도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되는 드래그 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는 상기 도 1과 같이, 시작 시간(S1), 끝나는 시간(E1) 및 시작시간(S1) 시점부터 끝나는 시간(E1)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1)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시간(S1)은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제1 터치스크린부(160)에서 상기 드래그 동작을 위해 데이터를 터치한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끝나는 시간(E1)은 상기 드래그동작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제1 터치스크린부(160)에서 발생되지 않는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끝나는 시간(E1) 및 시작시간(S1) 시점부터 끝나는 시간(E1)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1)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근거리무선 통신모드의 전환과 함께 검색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를 포함하는 모든 장치들에게 전송한다.
상기 제1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송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인증정보를 가지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인증완료가 수신되면, 통신이 연결된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에게 제1 근거리무선 통신부(170)를 통해 상기 드래그동작이 수행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 중인 데이터에 일정 간격의 두개의 터치가 동시에 발생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라 상기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로 수행되는 드래그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휴대단말기와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110)의 데이터를 상기 인증과정을 통해 통신이 연결된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간의 인증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제1 근거리무선 통신부(170)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제2 근거리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데이터를 수신하다.
상기 제1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제1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제1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제1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1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60)는 표시부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로 동작할 때 상기 제1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60)가 입력부로 동작할 때,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2 메모리(2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드래그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10)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근거리무선 통신모드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260)에 드래그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동작에 따라 발생된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되는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는 상기 도 1과 같이, 시작 시간(S2), 끝나는 시간(E2) 및 시작시간(S2) 시점부터 끝나는 시간(E2)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2)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시간(S2)은 상기 제2 휴대단말기의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260)에서 드래그동작을 위해 터치가 발생된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끝나는 시간(E2)은 상기 제2 휴대단말기의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260)에서 드래그동작이 끝나는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작시간(S2)및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의 시점부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2)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2)를 인증정보가 상기 제2 메모리(23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끝나는 시간(E1)및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1)의 시점부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1)를 포함하는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과 상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이 일치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의 인증을 완료하고, 상기 제2 근거리무선 통신부(270)를 통해 인증완료를 상기 제1 휴대단말기(200)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끝나는 시간(E1)및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1)의 시점부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1)를 포함하는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과 상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이 일치하고, 상기 이동속도(V2)와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이동속도(V1)가 일치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의 인증을 완료하고, 상기 제2 근거리무선 통신부(270)를 통해 인증완료를 상기 제1 휴대단말기(200)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증완료 전송이후 통신이 연결된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제2 근거리무선 통신부(27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260)에서 일정 간격의 두개의 터치가 동시에 발생되면,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라 상기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로 수행되는 드래그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과정을 통해 통신이 연결된 상기 제1 휴대단말기(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간의 인증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제2 근거리무선 통신부(270)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제1 근거리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데이터를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수신하다.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에서 제2 카메라부(240), 제2 영상처리부(250), 제2 터치스크린부(260), RF부(223), 제2 데이터처리부(220) 및 제2 오디오처리부(225)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상기 제1 카메라부(140), 상기 제1 영상처리부(150),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60), 상기 제1 RF부(123), 상기 제1 데이터처리부(120) 및 상기 제1 오디오처리부(125)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 간에 데이터 전송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기와 제2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도시함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에서는 하나의 터치동작을 통한 드래그동작의 수행을 예로 설명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301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제어부(210)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제1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110)는 제1 휴대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주변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를 포함하는 주변장치들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가 상기 도 1과 같이 접촉되어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60)부터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260)까지 드래그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1 제어부(110)와 상기 제2 제어부(210) 각각은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동작에 따른 드래그동작 시간 및 이동시간을 추출한다.
상기 제1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제1 터치스크린부(160)에 발생된 드래그동작에 따른 드래그동작 시간 및 이동시간 즉, 드래그동작의 시작시간(S1), 끝나는 시간(E1) 및 시작시간(S1)의 시점부터 끝나는 시간(E1)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1)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부(210)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제2 터치스크린부(260)에 발생된 드래그동작에 따른 드래그동작 시간 및 이동시간 즉, 드래그동작의 시작시간(S2), 끝나는 시간(E2) 및 시작시간(S2)의 시점부터 끝나는 시간(E2)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2)를 추출하고, 상기 시작시간(S2) 및 상기 이동속도(V2)를 인증정보로 저장한다.
상기 제1 제어부(110)는 303단계에서 상기 끝나는 시간(E1) 및 상기 이동속도(V1)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된 모든 주변장치들에게 전송한다.
상기 제2 제어부(210)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에서 추출된 상기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3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 제어부(210)는 상기 끝나는 시간(E1)과 상기 시작 시간(S2)이 일치하면, 상기 제2 제어부(210)는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의 1차 인증과정을 완료한다.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가 접촉되어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에서 끝나는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간(E1)과, 연속해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에서 발생되는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작시간(S2)은 거의 오차가 없기 때문에, 두 시간의 일치과정을 인증과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속도(V1)와 상기 이동속도(V2)가 일치하면, 상기 제2 제어부(210)는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의 2차 인증과정을 완료함으로써, 상기 제1 휴대단말기(200)와의 통신수행을 위한 인증과정을 완료하는 3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가 접촉되어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에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로 연속적인 드래그동작이 발생됨으로, 각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된 드래그동작의 속도가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속도의 일치과정을 인증과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증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차 인증과정 또는 2차 인증과정만을 인증과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증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제어부(210)는 인증완료를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에게 전송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에서 인증정보를 상기 검색된 모든 주변장치에게 전송하였으나,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일치하는 인증정보를 가지는 주변장치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뿐임으로,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만이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에게 인증완료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인증완료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와 통신을 연결한 후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에서 상기 드래그 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1 근거리무선 통신부(170)를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에게 전송하는 309단계를 진행한다.
통신이 연결된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제어부(2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260)에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기와 제2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도시함 흐름도이다. 상기 도 4a 및 상기 도 4b에서는 두 개의 터치동작을 통한 드래그동작의 수행을 예로 설명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가 상기 도 1과 같이 접촉되어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의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60)에 일정간격의 두 개의 터치가 동시에 발생되면, 상기 제1 제어부(110)는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110)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4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부터 접촉된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까지 상기 일정간격의 두 개의 동시 터치를 통해 드래그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1 제어부(110)와 상기 제2 제어부(210) 각각은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일정간격의 두 개의 동시 터치를 통해 발생되는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에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로 상기 일정간격의 두 개의 동시 터치를 통해 드래그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의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260)에 상기 드래그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2 제어부(210)는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전환하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이후 상기 도 4b의 406단계 - 412단계는 상기 도 3의 상기 303단계 - 상기 309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되며, 다만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0)간에 인증과정을 통한 데이터 전송동작에 있어서, 상기 도 3의 상기 303단계 - 상기 309단계에서는 하나의 터치동작을 통한 드래그동작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도 4b의 406단계 - 412단계에서는 상기 일정간격의 두 개의 동시 터치를 통한 드래그동작을 통해 수행된다는 차이점이 있을 뿐임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는 드래그 동작을 통해 휴대단말기 대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복수의 단말기들 간에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제2 휴대단말기 - 제5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하고자 할 때, 상기 제1 휴대단말기부터 상기 제5 휴대단말기를 순서대로 접촉한 상태로 배치한다. 상기 제1 휴대단말기부터 상기 제5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먼저 상기 도 3 또는 상기 도 4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를 해제한다. 그런 후 상기 도 3 또는 상기 도 4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3 휴대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휴대단말기의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를 해제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 - 상기 제5 휴대단말기 모두에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제1 휴대단말기, 110:제1 제어부 160:제1 터치스크린부, 200:제2 휴대단말기, 210:제2 제어부, 260:제2 터치스크린부

Claims (20)

  1.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제2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동작이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드래그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상기 제2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동작이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근거리무선 통신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서의 드래그동작에 따라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및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1)의 시점부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1)를 인증정보로 추출하여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서 전송하고,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부터 인증완료가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1)은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드래그동작을 위해 데이터를 터치한 시간이고, 상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은 상기 드래그동작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지 않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서의 드래그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2) 및 드래그 동작시작시간(S2)의 시점부터 드래그 동작 끝나는 시간(E2)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2)를 인증정보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인증정보와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게 인증완료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은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서 드래그동작을 위해 터치가 발생된 시간이며, 상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2)은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서 드래그동작이 끝나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과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이 일치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의 인증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과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이 일치하고, 상기 이동속도(V2)와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이동속도(V1)가 일치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의 인증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소정의 데이터에 드래그동작을 위한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가 동시에 발생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제2 휴대단말기까지 상기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 동작을 통한 드래그동작이 발생될 때, 상기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 동작을 통한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드래그동작을 위한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가 동시에 발생되면, 상기 제2 휴대단말기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 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1.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 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간의 인증과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2.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기부터 접촉된 제2 휴대단말기까지 드래그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 각각은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상기 드래그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근거리무선 통신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드래그동작에 따라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및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1)의 시점부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1)를 인증정보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드래그동작에 따라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2) 및 드래그 동작시작시간(S2)의 시점부터 드래그 동작 끝나는 시간(E2)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2)를 인증정보로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1)은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드래그동작을 위해 데이터를 터치한 시간이고, 상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은 상기 드래그동작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지 않는 시간이며,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은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서 드래그동작을 위해 터치가 발생된 시간이며, 상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2)은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서 드래그동작이 끝나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및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1)의 시점부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1)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2) 및 드래그 동작시작시간(S2)의 시점부터 드래그 동작 끝나는 시간(E2)의 시점까지의 이동속도(V2)를 포함하는 인증정보와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인증완료를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부터 인증완료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상기 드래그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과 상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이 일치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의 인증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드래그동작 시작시간(S2)과 상기 드래그동작 끝나는 시간(E1)이 일치하고, 상기 이동속도(V2)와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이동속도(V1)가 일치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의 인증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서 드래그동작을 위한 일정간격의 두 개의 터치가 동시에 발생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접촉된 상기 제2 휴대단말기까지 일정간격의 두 개의 터치를 통해 드래그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일정간격의 두 개의 터치가 동시에 발생되면, 상기 제2 휴대단말기를 근거리무선 통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 각각에서 상기 일정간격의 두 개의 터치 동작을 통한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간격의 두 개의 터치 동작을 통한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상기 드래그동작이 발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의 두개의 터치 동작을 통해 발생되는 드래그동작의 시간 및 이동속도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단말기간의 인증과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110000304A 2011-01-03 2011-01-03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73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304A KR101737638B1 (ko) 2011-01-03 2011-01-03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US13/342,308 US9007312B2 (en) 2011-01-03 2012-01-03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304A KR101737638B1 (ko) 2011-01-03 2011-01-03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978A true KR20120078978A (ko) 2012-07-11
KR101737638B1 KR101737638B1 (ko) 2017-05-29

Family

ID=4638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304A KR101737638B1 (ko) 2011-01-03 2011-01-03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07312B2 (ko)
KR (1) KR101737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0080B2 (en)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KR102101818B1 (ko) * 2012-07-30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데이터전송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87027B1 (ko) * 2014-06-25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291411B (zh) * 2017-05-19 2019-01-2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传屏中信息共享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5669B1 (en) * 1999-03-26 2003-04-08 Husam Kinawi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screens
EP1596538A1 (en) * 2004-05-10 2005-11-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device for bluetooth pairing
US7636794B2 (en) * 2005-10-31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20070264976A1 (en) * 2006-03-30 2007-1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Portable device with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US20090140986A1 (en) * 2007-11-30 2009-06-0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ferring files between devices via drag and drop
US8077157B2 (en) * 2008-03-31 2011-12-1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transfer of files
KR101579482B1 (ko) 2008-09-24 201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99739B1 (ko) * 2010-05-14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9638A1 (en) 2012-07-05
US9007312B2 (en) 2015-04-14
KR101737638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0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608861B (zh)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11979251B2 (en) Home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EP26006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device in a wireless terminal
US10027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router setup interface
KR101593916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영상 인식을 이용한 무선 연결 방법 및 장치
EP3223147A2 (en) Method for accessing virtual desktop and mobile terminal
CN104159218A (zh) 网络连接建立方法和装置
CN105532634A (zh) 超声波驱蚊方法、装置及系统
JP2017506403A (ja) タッチボタン及び指紋認証を実現する装置、方法、端末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144547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30029237A (ko)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
CN104640166A (zh) 通信方法及装置
CN104735813A (zh) 网络连接建立方法和装置
US201201336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conversion in portable terminal
KR20130024166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장치 및 방법
CN104219038A (zh) 一种同步数据的方法及装置
CN105578557A (zh) 传输路由信息的方法及装置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KR101737638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763426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CN105978663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1201515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rtificating security in portable terminal
CN111800836B (zh) 一种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73049A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부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