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085A -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085A
KR20130024085A KR1020110087318A KR20110087318A KR20130024085A KR 20130024085 A KR20130024085 A KR 20130024085A KR 1020110087318 A KR1020110087318 A KR 1020110087318A KR 20110087318 A KR20110087318 A KR 20110087318A KR 20130024085 A KR20130024085 A KR 2013002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creen
unit
folding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865B1 (ko
Inventor
주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865B1/ko
Priority to US13/418,939 priority patent/US8947462B2/en
Priority to EP12159714A priority patent/EP2565866A1/en
Publication of KR2013002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085A/ko
Priority to US14/612,858 priority patent/US98183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단일 표시부의 접힘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가, 접히는 단일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접힘을 통해 변경되는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INTERFAC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단일 표시부의 접힘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파일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MP3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 수집 기능을 가지기도 하며, 또한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표시부를 필요로 하는데, 상기 표시부는 휴대단말기 제조 시 휴대성 및 기타 장치 배열에 따른 공간적 제약에 따라 일정 크기 이상의 표시부를 가지기 힘들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적 제약 및 휴대성을 만족할 수 있는 표시부의 개발에 힘입어 근래에는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제안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접히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접혀진 표시부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단일 표시부의 접힘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가, 접히는 단일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접힘을 통해 변경되는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방법은, 휴대단말기의 단일 표시부의 접힘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의 접힘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의 접힘을 통해 변경되는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표시부의 화면 크게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 변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의 접힘을 통해 변경되는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힘이 가능한 단일 표시부(160)의 화면크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힘이 가능한 단일 표시부(160)의 접힘 상태를 통해 변경되는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크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170)로부터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혀진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혀지지 않은 제1 화면과 접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화면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히지 않은 제1 화면의 크기를 해상도를 통해 계산하고, 상기 제1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상기 메모리(130)에서 추출하여, 휴대단말기의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혀지지 않은 제1 화면을 온(ON)시키고, 접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화면을 오프(OFF)시킴으로써, 제1 화면에만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혀진 상기 제2 화면에 대한 입력부 사용이 선택되면, 상기 제2 화면의 TSP(Touch Screen Panel)을 온 시켜서 별도의 입력부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혀진 상기 제2 화면에 대한 표시부 사용이 선택되면, 상기 제2 화면을 온 시키고 별도의 표시부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바라보는 표시부(160)의 상단을 접히지 않은 제1 화면으로 판단하고, 표시부(160)의 하단을 접혀진 제2 화면으로 판단한다.
상기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 발생된 적어도 한 번의 접힘을 감지한다.
상기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힘 부분에 위치된 백 플레인(BackPlane)의 전기적 자극을 통해, 상기 표시부(160)에 발생된 적어도 한 번의 접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표시부(160)에 발생된 적어도 한 번의 접힘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접힘이 가능한 단일 표시부로써, 접혀지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의 접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변경하는 동작을 도 2 -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 변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에서 단일 표시부(160)가 접혀지면, 상기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170)는 201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혀진 부분에 위치된 백 플레인의 전기적 자극을 통해 상기 표시부(160)의 접힘을 감지하고, 상기 접혀진 부분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60)는 복수의 접힘 상태가 될 수 있음으로, 상기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170)가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하는 위치정보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17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표시부(160)의 접힘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서 접혀지지 않은 제1 화면과 접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화면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표시부(160)의 상단을 제1 화면으로, 상기 표시부(160)의 하단을 제2 화면으로 판단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의 접혀지지 않은 제1 화면을 온 키시고, 상기 표시부(160)의 접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화면을 오프 시킨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의 제1 화면의 해상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화면의 크기를 계산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계산된 제1 화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상기 메모리(130)에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로 변경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60)의 접힌 제2 화면에 대한 입력부 사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화면의 TSP(Touch Screen Panel)을 온 시켜서 별도의 입력부로 전환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의 접힌 제2 화면에 대한 표시부 사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화면을 온 시켜서 별도의 표시부로 전환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60)의 상기 제1 화면과 상기 제2 화면 모두를 온 시킴으로써, 거울기능 또는 멀티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2의 과정을 상기 도 3을 통해 설명하면, 상기 도 3a는 접혀지지 않은 표시부(160)를 나타내고 있으며, 크기를 10인치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3b는 상기 도 3a의 표시부(160)에서 일부가 접혀진 표시부(160)를 나타내고 있으며, 크기를 7인치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3c는 상기 도 3b의 표시부(160)에서 다시 일부가 접혀진 표시부(160)를 나타내고 있으며, 크기를 5인치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3a의 표시부(160)에서 "A"부분이 접혀지면, 상기 도 3b의 (a)와 같이 표시부에서 접힘이 발생되지 않은 제1 화면(161)은 온 되고, 상기 도 3b의 (b)와 같이 표시부에서 접혀진 제2 화면(162)은 오프된다. 상기 도 3b의 (a)는 표시부의 상단을 나타내고, 상기 도 3b의 (b)는 표시부(1600의 하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도 3b와 같이, 표시부(160)의 접힘이 발생되면, 제1 화면(161)의 크기 및 해상도를 계산하고, 계산결과 7인치에 해당하는 200DPI해상도가 추출되면, 메모리에서 "7인치, 200DPI"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추출하여 변경한다.
그리고, 상기 도 3b의 표시부(160)에서 다시 일부가 접혀지면, 상기 도 3c와 같이 표시부에 접힘이 발생되지 않은 제1 화면(161)만을 온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화면(161)의 크기 및 해상도를 계산하고, 계산결과 5인치에 해당하는 250DPI해상도가 추출되면 메모리에서 "5인치, 250DPI"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추출하여 변경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7인치의 해상도를 200DPI 그리고 5인치의 해상도를 250DPI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을 뿐, 해당 인치에 대한 해당 해상도 값은 변경가능한다.
또한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는 자체가 플렉서블하여, 표시부를 말은 환경에서도 말려들어간 부분과 잔여부분의 크기를 상기 도 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도 2 - 상기 도 4에서는 표시부의 접힘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접혀지는 표시부의 위치를 인식하여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변경하는 동작을 예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표시부의 접힘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때, 미리 설정된 접힌 횟수에 따라 표시부의 크기를 추출하고,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접힘이 감지되면, 표시부의 화면크기를 "7인치"로 인식하고, 2번 접히면 "5인치"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170: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

Claims (13)

  1.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에 있어서,
    접히는 단일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접힘을 통해 변경되는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적어도 한 번의 접힘을 감지하는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와,
    상기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접힘 감지부는
    상기 표시부에서 접힌 부분에 위치된 백 플레인의 전기적 인식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적어도 한 번의 접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접힘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접히지 않은 제1 화면의 해상도를 통해 상기 제1 화면의 크기를 계산하고, 상기 제1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서 접히지 않은 제1 화면을 온 시키고, 접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화면을 오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서 접혀진 제2 화면에 대한 입력부 사용이 선택되면, 상기 제2 화면을 별도의 입력부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서 접혀진 제2 화면에 대한 표시부 사용이 선택되면, 상기 제2 화면을 온 시켜서 별도의 표시부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8.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단일 표시부의 접힘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의 접힘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의 접힘을 통해 변경되는 표시부의 화면크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표시부의 접힘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에서 접히지 않은 제1 화면의 해상도를 통해 상기 제1 화면의 크기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접힌 부분에 위치된 백플레인의 전기적 인식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적어도 한 번의 접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접힘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에서 접히지 않은 제1 화면을 온 시키고, 접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화면을 오프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접혀진 제2 화면에 대한 입력부 사용이 선택되면, 상기 제2 화면을 별도의 입력부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접혀진 제2 화면에 대한 표시부 사용이 선택되면, 상기 제2 화면을 온 시켜서 별도의 표시부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방법.
KR1020110087318A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KR101881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318A KR101881865B1 (ko)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US13/418,939 US8947462B2 (en) 2011-08-30 2012-03-13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terminal
EP12159714A EP2565866A1 (en) 2011-08-30 2012-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terminal
US14/612,858 US9818370B2 (en) 2011-08-30 2015-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318A KR101881865B1 (ko)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085A true KR20130024085A (ko) 2013-03-08
KR101881865B1 KR101881865B1 (ko) 2018-07-25

Family

ID=4585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318A KR101881865B1 (ko)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947462B2 (ko)
EP (1) EP2565866A1 (ko)
KR (1) KR10188186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484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6047860A1 (en) * 2014-09-22 2016-03-31 Lg Electronics Inc. Foldable display device displayng stored image by folding or unfolding action and method of therefor
CN106210298A (zh) * 2016-07-01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与控制装置
KR20190039624A (ko) * 2013-08-02 2019-04-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10437414B2 (en) 2014-02-10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503368B2 (en) 2014-02-1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200066602A (ko) * 2014-02-10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21060889A1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윈도우 운용 방법
KR20210148385A (ko) * 2013-06-07 2021-12-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US11699414B2 (en) 2019-02-19 202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865B1 (ko) * 2011-08-30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KR101916416B1 (ko) *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117110A (ko) * 2013-03-26 2014-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102091602B1 (ko) 2013-06-10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8615744A (zh) 2013-07-12 2018-10-0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
KR20200139848A (ko) 2013-08-30 2020-1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CN105980954B (zh) * 2014-02-10 2019-12-1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US10120659B2 (en) 2014-05-30 2018-11-06 Apple Inc. Adaptive user interfaces
KR20160001602A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US9807213B2 (en) * 2015-07-31 2017-10-31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form factor and orientation modality control
KR102545605B1 (ko) * 2016-09-20 202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091601B2 (ja) * 2016-11-07 2022-06-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137840A1 (en) * 2016-11-17 2018-05-17 Fuji Xerox Co., Ltd. Terminal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7103875B (zh) * 2017-05-04 2020-06-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操作方法和柔性显示装置
CN108536411A (zh) * 2018-04-12 2018-09-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526949B1 (ko) * 2018-11-14 2023-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WO2021112272A1 (ko) * 2019-12-03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542497A (zh) 2020-03-31 2021-10-2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可折叠终端的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1832A1 (en) * 2001-10-11 2003-04-17 Branson Michael John Adjustable display device with display adjustment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US20070279315A1 (en) * 2006-06-01 2007-12-06 Newsflex,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058879A (ko) * 2008-09-08 2011-06-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패널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 크기 또는 스크린 해상도에 기초한 파라미터의 서버에 대한 전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3816B2 (en)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860765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with an inclinometer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JP5707694B2 (ja) 2009-12-04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881865B1 (ko) * 2011-08-30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1832A1 (en) * 2001-10-11 2003-04-17 Branson Michael John Adjustable display device with display adjustment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US20070279315A1 (en) * 2006-06-01 2007-12-06 Newsflex,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058879A (ko) * 2008-09-08 2011-06-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패널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 크기 또는 스크린 해상도에 기초한 파라미터의 서버에 대한 전송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385A (ko) * 2013-06-07 2021-12-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90039624A (ko) * 2013-08-02 2019-04-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11836007B2 (en) 2013-08-02 2023-1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11340657B2 (en) 2013-08-02 2022-05-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10437414B2 (en) 2014-02-10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543940B2 (en) 2014-02-10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437421B2 (en) 2014-02-10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503368B2 (en) 2014-02-1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200066602A (ko) * 2014-02-10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831343B2 (en) 2014-02-10 2020-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928985B2 (en) 2014-02-10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936166B2 (en) 2014-02-10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960705B2 (en) 2014-02-10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789591B2 (en) 2014-02-10 202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334222B2 (en) 2014-02-10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50094484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347372B2 (en) 2014-02-10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911054B2 (en) 2014-09-22 2018-03-06 Lg Electronics Inc. Foldable display device displaying stored image by folding or unfolding action and method of therefor
WO2016047860A1 (en) * 2014-09-22 2016-03-31 Lg Electronics Inc. Foldable display device displayng stored image by folding or unfolding action and method of therefor
CN106210298A (zh) * 2016-07-01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与控制装置
US11699414B2 (en) 2019-02-19 202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651750B2 (en) 2019-09-24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ulti-window operation method using same
WO2021060889A1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윈도우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7462B2 (en) 2015-02-03
US9818370B2 (en) 2017-11-14
EP2565866A1 (en) 2013-03-06
US20130050270A1 (en) 2013-02-28
US20150145798A1 (en) 2015-05-28
KR101881865B1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4085A (ko)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CN108459815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60001602A (ko)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US20190318169A1 (en) Method for Generating Video Thumbnail o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1444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20120122051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 악세사리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58101A (ko)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비
KR20130040547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35262B1 (ko) 휴대단말기의 자동표시방법
CN109684277B (zh) 一种图像显示方法及终端
KR20090046113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20130466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10080080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KR20130058120A (ko)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KR1017140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894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밝기조절 방법
CN111475247B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3485580B (zh) 显示设备、触控笔检测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499133B1 (ko)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CN109788124B (zh) 一种功能栏的启动位置确定方法及装置、移动终端
KR20130011203A (ko) 휴대단말기의 팝업창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20085514A (ko) 손 회전인식 장치 및 방법
CN111083361A (zh) 图像获取方法及电子设备
KR101939820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70079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