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02B1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02B1
KR102091602B1 KR1020130065936A KR20130065936A KR102091602B1 KR 102091602 B1 KR102091602 B1 KR 102091602B1 KR 1020130065936 A KR1020130065936 A KR 1020130065936A KR 20130065936 A KR20130065936 A KR 20130065936A KR 102091602 B1 KR102091602 B1 KR 10209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area
multimedia device
guide ba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029A (ko
Inventor
박정훈
최동원
김남훈
황선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02B1/ko
Priority to US14/895,438 priority patent/US9860474B2/en
Priority to EP19155027.6A priority patent/EP3503537B1/en
Priority to EP13886936.7A priority patent/EP3008894B1/en
Priority to CN201380076860.7A priority patent/CN105247853B/zh
Priority to PCT/KR2013/008153 priority patent/WO2014200151A1/en
Priority to US16/705,679 priority patent/USRE48782E1/en
Priority to CN201810886230.0A priority patent/CN108632650B/zh
Publication of KR2014014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Abstract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ULTIMEDIA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컨대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디바이스이다. 또한, 최근에 있어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고,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최근 들어, 영상표시기기의 기능 및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 TV(Smart TV)가 논의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하드(hard) 타입의 디스플레이(display)가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외형을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종횡비(aspect ratio)에 따라 화면의 상하 및/또는 좌우에 여백이 발생하여, 컨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휘어지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의 최적화된 종횡비에 맞게 디스플레이 내 화면 영역을 조절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게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는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함 -,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aspect ratio)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종횡비 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내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내 화면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와 사용자의 눈이 수평적으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내 화면은 제1 분할 영역 및 제2 분할 영역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 내에 자막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제1 분할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막 데이터는 상기 제2 분할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에서 각기 다른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종횡비 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종횡비 정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디텍트하는 단계와, 상기 디텍트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눈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와 사용자의 눈이 수평적으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 내에 자막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자막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영역 내 제1 분할 영역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영역 내 제2 분할 영역에서 상기 자막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의 최적화된 종횡비에 맞게 디스플레이 내 화면 영역을 조절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게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높이를 조절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가 구비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가 구비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가이드 바(guide bar, 11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120)를 포함한다.
가이드 바(110)는 길이 방향을 갖는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며, 일례로 원기둥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가이드 바(110)의 형태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는 가이드 바(110)에 의해 지지되며, 가이드 바(110)의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는 가이드 바(110)의 외주면에 감기는 세로 폭의 크기에 따라, 화면(122)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가 가이드 바(110)의 외주면에 많이 감겨있으면 그 만큼 화면(122)의 크기가 작아지고, 가이드 바(110)의 외주면에 적게 감겨있으면 그 만큼 화면(122)의 크기가 커진다. 여기서, 상기 화면(122)이란 비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화면(122)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 중에서 가이드 바(110)의 외주면에 감겨있지 않은 영역 내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를 가이드 바(110)의 외주면에 모두 감아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이드 바(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를 외주면에 감기 위하여 모터(미도시)를 내장하고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이며, 도 2에 도시된 구성모듈들 이외에 다른 구성 모듈을 포함하거나, 일부의 구성 모듈이 생략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2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도 1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대응된다. 또한, 도 2의 일부 구성 모듈들이 STB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80)와 분리 구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수신부(2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저장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 센서부(260), 제어부(270), 디스플레이부(280), 오디오 출력부(285), 전원공급부(2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수신부(205)는 튜너(210), 복조부(2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210)와 복조부(2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구비하면서 튜너(210)와 복조부(2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2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복조부(220)는, 튜너(2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2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2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2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2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285)로 음성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80)는 도 1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대응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외부 장치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270) 또는 저장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저장부(2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3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튜너(210) 또는 복조부(2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2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280)는 휘어지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이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사용자 입력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출력부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85)는, 제어부(2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센서부(260)는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는 안구 인식 센서,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센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튜너(210)는, 방송 프로그램의 AV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튜너(210)는, 방송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각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란 방송국,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비스 프로바이더 등을 의미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예를 들어,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내 제어부의 구성 모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270)는 역다중화부(271), 영상 처리부(272), OSD 생성부(273), 믹서(274),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75), 및 포맷터(276)를 포함한다. 나아가,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271)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고, 영상 처리부(27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 처리부(272)는, 영상 디코더(272a) 및 스케일러(272b)를 더 포함하고 있다.
영상 디코더(272a)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72b)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2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272)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274)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27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274)는, OSD 생성부(273)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272)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한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276)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27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 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276)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7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2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부(28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이며, 가이드 바(미도시)의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에서,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80)는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길 수 있으므로, 가이드 바에 감기는 정도에 따라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 내에 화면이 위치한다.
수신부(205)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소스 디바이스란 방송국,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비스 프로바이더 등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란 방송 신호, VOD(Video on Demand), 애플리케이션 등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컨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컨텐츠의 이름, 러닝 타임, 최적화된 해상도, 종횡비(aspect ratio)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컨텐츠의 종횡비 정보를 추출한다. 종횡비란 화면의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종횡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최적화된 화면의 종횡비를 알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추출된 종횡비 정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한다. 즉, 제어부(270)는 상기 추출된 종횡비에 맞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여백 없이 꽉 찬 화면으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의 조절은,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감기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많이 감겨있으면 그 만큼 화면의 크기가 작아지고,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적게 감겨있으면 그 만큼 화면의 크기가 커진다. 제품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가로 폭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로 폭을 조절함으로써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하드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서 상하 및/또는 좌우에 여백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에 최적화된 종횡비 정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하여 화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여백 없이 꽉 찬 화면으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수신된 메타데이터 내 종횡비 정보가 아닌, 자신이 선호하는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70)는 화면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UI를 생성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70) 내 OSD 생성부(273)에서 종횡비 선택을 위한 GUI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GUI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80)에 전달하여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270)는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부(240)는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270)는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저장부(240)에 액세스하여 상기 함수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함수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한다. 또는 제어부(270)는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저장부(240)에 액세스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 내 값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룩업 테이블 내 값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한다. 제어부(270)는 현 상태의 제2 영역의 폭을 감지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영역의 폭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더 감아야 하는지,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긴 부분을 다시 풀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이외에, 자막 데이터(서브타이틀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 OSD 데이터, 위젯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편의상, 상기 비디오 데이터 이외의 자막 데이터(서브타이틀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 OSD 데이터, 위젯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서브 데이터라 명명한다.
제어부(270)는 수신된 컨텐츠 자체에서,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서브 데이터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라는 커맨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분할 영역에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분할 영역에는 서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 내 OSD 생성부(273)는 상기 서브 데이터를 OSD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분할 영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의 종횡비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영역의 종횡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제1 분할 영역의 크기가 상기 종횡비에 매칭되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수신부(205)에서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27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분할 영역에서 각기 다른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205)는 복수 개의 튜너(2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화면 내 제1 분할 영역에서는 수신부(205)에서 수신된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화면 내 제2 분할 영역에서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던 저장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 매체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내의 저장부(240)일 수도 있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대기 모드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80)의 광원 일부를 온(on) 하여 디스플레이부(280) 자체가 조명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대기 모드의 상태에 있다는 것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고유의 기능(예를 들어, 컨텐츠 시청이나 인터넷을 통한 검색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의 휴대폰, 댁 내 전화기, 댁 내 온도계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paring)되어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내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정보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부(260)는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는 안구 인식 센서,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센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한다.
센서부(260)는 안구 인식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고, 제어부(270)는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부(260)는 모션 인식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고, 제어부(270)는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사용자의 모션 각각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부(260)는 음성 인식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제어부(270)는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사용자의 음성 각각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는 도 1 내지 도 3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4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4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403), 디멀티플렉서(Demux)(405), PSI&(PSIP and/or SI) 디코더(404),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4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4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4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4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410),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412), SI&Metadata DB(411), UI 매니저(414), 그리고 서비스 매니저(41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1)는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망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컨텐츠 등을 수신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1)는 도 2의 수신부(205)에 대응된다.
TCP/IP 매니저(402)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로 수신되는 패킷과 IPTV(400)가 전송하는 패킷에 대하여, 즉 소스로부터 목적지까지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그리고 TCP/IP 매니저(402)는 수신된 패킷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4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 및 메타데이터 매니저(412)로 분류된 패킷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4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전달 매니저(4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디멀티플렉서(405)에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413)의 제어에 따라 SI&Metadata DB(411)에 저장한다. 그리고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
디멀티플렉서(4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406, 407), PSI&(PSIP and/or SI) Decoder(404)에 전송한다.
PSI&(PSIP and/or SI) Decoder(404)는 예를 들어,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즉, PSI&(PSIP and/or SI) Decoder(404)는 상기 디멀티플렉서(405)에서 역다중화된 PSI 섹션, PSIP(Program and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섹션 또는 SI(Service Information) 섹션 등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또한, 상기 PSI&(PSIP and/or SI) Decoder(404)는 상기 수신된 섹션들을 디코딩하여 서비스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상기 서비스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SI&Metadata DB(411)에 저장한다. 상기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에는 컨텐츠의 종횡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406/407)는, 상기 디멀티플렉서(405)에서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상기 오디오 디코더(406)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407)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4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UI 매니저(414) 및 서비스 매니저(413)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한다.
UI 매니저(4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수신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채널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신호를 서비스 매니저(4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4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4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 및 메타데이터 매니저(4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4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만들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매니저(4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매니저(413)는 PSI&(PSIP and/or SI) Decoder(404)로부터 채널의 서비스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디멀티플렉서(405)에 설정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413)로부터 채널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방식과 같은 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C 게이트웨이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4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Metadata DB(411)에 저장한다.
SI&Metadata DN(411)는 PSI&(PSIP and/or SI) Decoder(4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4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Metadata DB(4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Metadata DB(4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IG(4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는 도 1 내지 도 4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응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는 예를 들어, 방송 인터페이스(501), 섹션 필터(502), AIT 필터(503),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부(504), 방송 데이터 처리부(511), 미디어 플레이어(506),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507), 인터넷 인터페이스(508), 그리고 런타임 모듈(509) 등을 포함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506)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대응된다.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501)를 통해,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데이터, 실시간 방송 컨텐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그리고 스트림 이벤트가 수신된다. 한편,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트는,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Linear A/V Content)로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501)는 도 2의 수신부(205)에 대응된다.
상기 섹션 필터(502)는,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501)를 통해 수신된 4가지 데이터에 대한 섹션 필터링을 수행하여 AIT 데이터는 AIT 필터(503)로 전송하고,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방송 데이터 처리부(511)로 전송하고, 스트림 이벤트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부(504)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 인터페이스(508)를 통해,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Non-Linear A/V Content)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수신된다. 상기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예를 들어, COD(Content On Demand)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 인터페이스(508)는 도 2의 수신부(205)에 대응된다.
상기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미디어 플레이어(506)로 전송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런타임 모듈(509)로 전송된다.
나아가, 상기 런타임 모듈(50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및 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컨대 AIT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을 컨트롤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우저는, 예컨대 상기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응된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610)에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대응하는 포인터(6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상하, 좌우(도 6의 (b)), 앞뒤(도 6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610)에 표시된 포인터(615)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61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610)에 표시된 포인터(61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61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61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c)는, 리모트 컨트롤러(3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615)에 대응하는 화면(61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615)에 대응하는 화면(61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300)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고, 리모트 컨트롤러(300)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 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325), 사용자 입력부(335), 센서부(340), 출력부(350), 전원공급부(360), 저장부(370),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325)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는 도 1 내지 도 5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3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3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로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3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3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323)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35)를 조작하여 리모트 컨트롤러(300)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센서부(340)는 자이로 센서(341) 또는 가속도 센서(343)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자이로 센서(341)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341)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343)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35)의 조작 여부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325)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3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3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3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6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36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36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3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리모트 컨트롤러(300)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와 RF 모듈(3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정치(300)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제어부(28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와 페어링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3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사용자 입력부(3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340)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325)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모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특징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가이드 바(810) 및 상기 가이드 바(8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20)에서, 상기 가이드 바(810)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8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83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8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830)에 화면이 위치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 정보를 추출한다. 종횡비란 화면의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종횡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최적화된 화면의 종횡비를 알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상기 추출된 종횡비 정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20)의 제2 영역(830)의 세로 폭(W1)을 조절한다. 상기 제2 영역(830)의 세로 폭(W1)의 조절은, 가이드 바(810)의 외주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20)가 감기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가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 정보를 추출한 결과, 상기 컨텐츠에 최적화된 화면의 종횡비가 21:9 인 것으로 가정하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 내 저장부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20) 내 종횡비에 따라, 상기 제2 영역(830)의 세로 폭(W1)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상기 컨텐츠에 최적화된 화면의 종횡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디텍트한다. 그리고, 상기 디텍트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830)의 세로 폭(W1)을 결정한다.
그 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현 상태의 제2 영역(830)의 세로 폭(W1)을 감지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영역(830)의 세로 폭(W1)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20)를 가이드 바(810)의 외주면에 더 감아서 제2 영역(830)의 세로 폭(W1)을 줄여야 하는지, 가이드 바(810)의 외주면에 감긴 부분을 다시 풀어서 제2 영역(830)의 세로 폭(W1)을 늘려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컨텐츠에 최적화된 21:9 의 종횡비에 맞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20) 내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여백 없이 꽉 찬 화면으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텐츠에 대한 몰입감을 높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가이드 바(910) 및 상기 가이드 바(9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9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920)에서, 상기 가이드 바(910)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9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93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9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930)에 화면이 위치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 정보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도 8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감상하다가 도 9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감상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가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 정보를 추출한 결과, 상기 컨텐츠에 최적화된 화면의 종횡비가 16:9 인 것으로 가정하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상기 컨텐츠에 최적화된 화면의 종횡비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디텍트한다. 그리고, 상기 디텍트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920)의 제2 영역(930)의 세로 폭(W2)을 결정한다.
그 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현 상태의 제2 영역(930)의 세로 폭(W2)을 감지한다. 현 상태의 제2 영역(9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9 의 종횡비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상기 결정된 제2 영역(930)의 세로 폭(W2)에 따라, 가이드 바(810)의 외주면에 감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920) 부분을 다시 풀어서 제2 영역(930)의 세로 폭(W2)을 늘린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컨텐츠의 종류가 바뀌더라도 컨텐츠에 최적화된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내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여백 없이 꽉 찬 화면으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UI(1000)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수신된 메타데이터 내 종횡비 정보가 아닌, 자신이 선호하는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에 GUI(1000)를 디스플레이하여, 화면의 종횡비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GUI(1000)에 포함된 여러 종횡비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들(1011, 1012, 1013, 1014)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의 종횡비를 선택한다. 사용자는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사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1020)를 체크 박스들(1011, 1012, 1013, 1014) 중에서 어느 하나에 위치시킨 후 종횡비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 창(1030)에 화면의 가로 대 세로 비율을 숫자로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 창(1030)에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드가 GUI(10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GUI(1000)를 통해 화면의 종횡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메타데이터 내 종횡비 정보가 아닌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가이드 바(1110) 및 상기 가이드 바(11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0)에서, 상기 가이드 바(1110)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11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113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11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1130)에 화면이 위치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이외에, 자막 데이터(서브타이틀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가 있는지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수신된 컨텐츠 자체에서,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라는 분리 커맨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상기 수신된 분리 커맨드 신호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0)의 제2 영역(1130) 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분할 영역(1231)에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분할 영역(1232)에는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화면의 종횡비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영역(1131)의 종횡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상기 분리 커맨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분할 영역(1131)의 크기가 상기 종횡비에 매칭되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0)의 제2 영역(1132)의 세로 폭(W3)을 조절한다. 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제1 분할 영역(1131)의 크기가 상기 종횡비에 매칭되도록 하면서 제2 분할 영역(1132)을 위한 세로 폭을 더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0)의 제2 영역(1130)의 세로 폭(W3)을 조절한다.
화면의 종횡비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종횡비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0)의 제2 영역(1130)의 세로 폭(W3)의 조절은, 상기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디텍트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이용하여 제1 분할 영역(1131)의 세로 폭(W4)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1131)의 세로 폭(W4)에 제2 분할 영역(1132)의 세로 폭(W5)의 값을 더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할 영역(1132)의 세로 폭(W5)은 자막 데이터가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기설정된 값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 데이터와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가이드 바(1110)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0)를 풀어서 화면 영역을 손쉽게 늘릴 수 있고, 비디오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막에 의해 영상이 가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가이드 바(1210) 및 상기 가이드 바(12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20)에서, 상기 가이드 바(1210)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12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123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12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1230)에 화면이 위치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이외에, 자막 데이터(서브타이틀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가 있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언어로 각각 이루어진 복수 개의 자막 데이터가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수신된 컨텐츠 자체에서,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라는 분리 커맨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상기 수신된 분리 커맨드 신호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20)의 제2 영역(1230) 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분할 영역(1231)에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분할 영역(1232)에는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화면의 종횡비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영역(1231)의 종횡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상기 분리 커맨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분할 영역(1231)의 크기가 상기 종횡비에 매칭되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20)의 제2 영역(1232)의 세로 폭(W3)을 조절한다. 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200)는 제1 분할 영역(1231)의 크기가 상기 종횡비에 매칭되도록 하면서 제2 분할 영역(1232)을 위한 세로 폭을 더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20)의 제2 영역(1230)의 세로 폭(W3)을 조절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20)의 제2 영역(1230)의 세로 폭(W3)의 조절은, 상기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디텍트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이용하여 제1 분할 영역(1231)의 세로 폭(W4)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1231)의 세로 폭(W4)에 제2 분할 영역(1232)의 세로 폭(W5)의 값을 더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할 영역(1232)의 세로 폭(W5)은 자막 데이터가 하나인 경우보다 더 넓게 설정된다. 상기 제2 분할 영역(1232)의 세로 폭(W5)은 복수 개의 언어로 이루어진 자막 데이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기설정된 값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어학 학습 등을 이유로 한국어로 된 자막과 영어로 된 자막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컨텐츠를 감상하는 경우, 화면 상에서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서 사용자의 몰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언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가이드 바(1210)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20)를 풀어서 화면 영역을 손쉽게 늘릴 수 있고, 비디오 데이터와 분리하여 복수 개의 자막 데이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막에 의해 영상이 가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가이드 바(1310) 및 상기 가이드 바(13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3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320)에서, 상기 가이드 바(1310)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13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133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13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1330)에 화면이 위치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320)의 화면을 분할하라는 분할 커맨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상기 수신된 분할 커맨드 신호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330)의 제2 영역(1330) 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분할 영역(1331)에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분할 영역(1332)에는 설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설정 데이터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볼륨 제어 신호, 채널 정보 신호, 화면 밝기 제어 신호 등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각종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 경우, 화면의 종횡비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영역(1331)의 종횡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상기 분리 커맨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분할 영역(1331)의 크기가 상기 종횡비에 매칭되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320)의 제2 영역(1332)의 세로 폭(W3)을 조절한다. 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300)는 제1 분할 영역(1331)의 크기가 상기 종횡비에 매칭되도록 하면서 제2 분할 영역(1332)을 위한 세로 폭을 더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30)의 제2 영역(1330)의 세로 폭(W3)을 조절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320)의 제2 영역(1330)의 세로 폭(W3)의 조절은, 상기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디텍트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이용하여 제1 분할 영역(1331)의 세로 폭(W4)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1331)의 세로 폭(W4)에 제2 분할 영역(1332)의 세로 폭(W5)의 값을 더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할 영역(1332)의 세로 폭(W5)은 설정 데이터를 별도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기설정된 값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감상하는 동안 볼륨 등을 조절하는 경우 볼륨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몰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 화면을 분할하여 비디오 데이터와 별도로 설정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므로 화면을 가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400)는 가이드 바(1410) 및 상기 가이드 바(14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4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420)에서, 상기 가이드 바(1410)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14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143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14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1430)에 화면이 위치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40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400)가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주식 정보 등의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4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420)의 화면을 분할하라는 분할 커맨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400)는 상기 수신된 분할 커맨드 신호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430)의 제2 영역(1430) 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분할 영역(1431)에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분할 영역(1432)에는 상기 위젯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감상하는 동시에 날씨나 주식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 바(1210)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420)를 풀어서 화면 영역을 넓힘으로써 위젯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위젯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분할하여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몰입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가이드 바(1510) 및 상기 가이드 바(15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20)에서, 상기 가이드 바(1510)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15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153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15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1530)에 화면이 위치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개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 개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동일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개의 컨텐츠를 수신(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두 개의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각각 컨텐츠를 수신(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수신하고, IP 서버로부터 VOD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20)의 화면을 분할하라는 분할 커맨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분할 커맨드 신호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감상하고자 할 때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두 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상기 수신된 분할 커맨드 신호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20)의 제2 영역(1530) 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분할 영역(1531)에는 제1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분할 영역(1532)에는 제2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1 컨텐츠 내 오디오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에 내장된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고, 제2 컨텐츠 내 오디오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30)의 세로 폭(W6)과, 제1 분할 영역(1531)의 가로 폭(W7) 및 제2 분할 영역(1532)의 가로 폭(W8)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의 종횡비란, 수신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종횡비일 수도 있고, G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종횡비일 수도 있다. GUI를 통해 사용자가 종횡비를 선택하는 경우, 복수 개의 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종횡비를 선택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서만 종횡비를 선택하고 다른 컨텐츠에 대해서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종횡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제1 컨텐츠에 최적화된 종횡비가 21:9이고,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제2 컨텐츠에 최적화된 종횡비가 16:9라는 정보를 얻은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제1 컨텐츠의 종횡비 정보에 포함된 가로 폭 비율과 제2 컨텐츠의 종횡비 정보에 포함된 가로 폭 비율에 기초하여 제1 분할 영역(1531)의 가로 폭(W7)과 제2 분할 영역(1532)의 가로 폭(W8)을 결정한다.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에 동일한 화면 분할 단위를 적용할 경우, 제1 분할 영역(1531)의 가로 폭(W7)과 제2 분할 영역(1532)의 가로 폭(W8)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20)의 전체 가로 폭에서 21:16의 비율에 해당할 것이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제1 분할 영역(1531)의 가로 폭(W7)과 제2 분할 영역(1532)의 가로 폭(W8)을 결정하였으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20)의 제2 영역(1530)의 세로 폭(W6)을 결정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20)의 제2 영역(1530)의 세로 폭(W6)은,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 중에서 더 큰 세로 폭의 화면을 필요로 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종횡비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가 동일한 세로 폭의 화면을 필요로하는 경우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제1 컨텐츠보다 제2 컨텐츠가 더 큰 세로 폭의 화면을 필요로하는 경우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경우, 제1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분할 영역(1531)의 상하에 여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700)는 가이드 바(1710) 및 상기 가이드 바(17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7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720)에서, 상기 가이드 바(1710)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및 상기 가이드 바(17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173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1720)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제2 영역(1730)에 화면이 위치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70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컨텐츠가 수신되고, 복수 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감상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화면을 분할하라는 제1 분할 커맨드 신호가 수신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70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이외에, 자막 데이터(서브타이틀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가 있는지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수신된 컨텐츠 자체에서,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라는 제2 분리 커맨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700)는 상기 수신된 제2 분리 커맨드 신호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720)의 제2 영역(1730) 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분할 영역(1731)에는 제1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분할 영역(1732)에는 제1 컨텐츠 내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분할 영역(1733)에는 제2 컨텐츠 내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800)는, 대기 모드 상태일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820)의 광원 일부를 온(on) 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820) 자체가 조명(예를 들어, 간접 조명이나 무드 조명)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800)가 대기 모드의 상태에 있다는 것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800) 고유의 기능(예를 들어, 컨텐츠 시청이나 인터넷을 통한 검색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820)가 가이드 바(1810)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정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820)의 제2 영역(1830)의 세로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는, 대기 모드 상태일 때, 댁 내 다른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댁 내 다른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가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paring)되어 있는 경우를 전제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900)는 내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페어링되어 있는 댁 내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화기, 온도계, 조명 등)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폰)로부터 부재중 전화 유무, 현재 날씨나 집안 온도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로 처리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9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920)가 가이드 바(1910)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정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920)의 제2 영역(1930)의 세로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높이를 조절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0)는 가이드 바(2010) 및 상기 가이드 바(20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바(201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바(2010)에는 가이드 바(201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스트링(2030)이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트링(2030)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이드 바(20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눈 높이에 맞게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2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20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거리 감지 센서가 존재할 수 있다. 가이드 바(2010)가 천장(ceiling)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까지 상승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까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거리 센서 감지에서 이를 감지하여 가이드 바(2010)의 상승 또는 하강이 멈추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가 구비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100)는 가이드 바(2110) 및 상기 가이드 바(21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120)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100)는 사용자의 눈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S)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100)는 상기 센서(S)를 통해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고, 상기 센서(S)와 사용자의 눈이 수평적으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가이드 바(2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센서(S)와 사용자의 눈이 수평적으로 나란히 위치한다는 의미는, 센서(S)와 사용자의 눈이 반드시 180도 선 상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기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위치하면 족하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바(2110)의 높이 조절은 가이드 바(2110)에 체결된 스트링(2130)의 길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S)를 통해,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도록 가이드 바(211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120)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21에서는 상기 센서(S)가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는 센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1에는 상기 센서(S)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120)의 하단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센서(S)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가 구비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200)는 가이드 바(2210) 및 상기 가이드 바(22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220)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20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인식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모션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모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가이드 바(2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200) 내 저장부에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 또는 팔을 아래에서 위로 올리는 제1 모션이 가이드 바(2210)를 상승시키는 제1 제어 신호에 매칭되어 저장되고, 사용자가 손 또는 팔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제2 모션을 가이드 바(2210)를 하강시키는 제2 제어 신호에 매칭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200)는 사용자가 제1 모션을 취할 경우 모션 인식 센서에서 상기 제1 모션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가이드 바(2210)를 상승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220)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200)는 사용자가 제2 모션을 취할 경우 모션 인식 센서에서 상기 제2 모션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가이드 바(2210)를 하강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2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바(2210)의 높이 조절은 가이드 바(2210)에 체결된 스트링(2230)의 길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순히 직관적인 모션을 취하는 것에 의해 자신의 눈 높이에 맞게 가이드 바(221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S2310). 그리고, 화면의 종횡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2320). 화면의 종횡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된 종횡비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화면의 크기를 조절한다(S2340). 반면, 화면의 종횡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 정보를 추출하고(S2330), 상기 추출된 종횡비 정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화면의 크기를 조절한다(S2340). 실시예에 따라서는, 화면의 종횡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S2330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300: 리모트 컨트롤러

Claims (19)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하는 TV(Television)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각각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는 부분을 제1 영역,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 부분을 제2 영역이라 함 - ;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는 센서부; 그리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 음성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타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외주면에 감겨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풀도록 제어함으로써, 추가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었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추가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1 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의 제2 부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종횡비(aspect ratio)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종횡비 정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하는, TV.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내 화면의 종횡비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함수 또는 룩업 테이블 내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하는, TV.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내 화면의 종횡비를 선택하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의 세로 폭을 결정하는, TV.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TV.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와 사용자의 눈이 수평적으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TV.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30065936A 2013-06-10 2013-06-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36A KR102091602B1 (ko) 2013-06-10 2013-06-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895,438 US9860474B2 (en) 2013-06-10 2013-09-10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155027.6A EP3503537B1 (en) 2013-06-10 2013-09-10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3886936.7A EP3008894B1 (en) 2013-06-10 2013-09-10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380076860.7A CN105247853B (zh) 2013-06-10 2013-09-10 具有柔性显示器的多媒体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3/008153 WO2014200151A1 (en) 2013-06-10 2013-09-10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ps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6/705,679 USRE48782E1 (en) 2013-06-10 2013-09-10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810886230.0A CN108632650B (zh) 2013-06-10 2013-09-10 具有柔性显示器的多媒体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36A KR102091602B1 (ko) 2013-06-10 2013-06-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29A KR20140144029A (ko) 2014-12-18
KR102091602B1 true KR102091602B1 (ko) 2020-03-20

Family

ID=5202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936A KR102091602B1 (ko) 2013-06-10 2013-06-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860474B2 (ko)
EP (2) EP3503537B1 (ko)
KR (1) KR102091602B1 (ko)
CN (2) CN105247853B (ko)
WO (1) WO201420015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270B2 (en) 2019-12-30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3027463A1 (ko) * 2021-08-26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127983A1 (ko) * 2021-12-28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262B2 (en) * 2013-03-14 2019-11-19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iRI Systems and methods for replicating vehicular illumination
JP6245610B2 (ja) * 2014-03-28 2017-12-13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照明制御電源
JP6557457B2 (ja) * 2014-07-25 2019-08-0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CN106663392A (zh) * 2014-07-30 2017-05-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形状改变支撑板的显示器
KR102188267B1 (ko) * 2014-10-02 202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99531A1 (en) * 2015-03-17 2016-10-13 Roel Vertegaal Cylindrical Comput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KR102420043B1 (ko) * 2015-04-16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23620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48980B1 (ko) * 2015-07-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469625B1 (ko) 2015-10-13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00060B1 (ko)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87115B1 (ko) 2015-11-18 202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02837B1 (ko) * 2015-12-07 2022-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4744B1 (ko) * 2015-12-18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015435B2 (en) 2015-12-18 201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D821347S1 (en) * 2016-02-19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1778963B1 (ko) 2016-02-25 2017-09-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끊어짐 없는 영상을 표시하는 슬리브형 스마트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US10924717B2 (en) * 2016-03-29 2021-02-16 Robert C. Weisgerber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wide-screen picture-dominance effect in a conventional motion-picture theater
EP3400496B1 (en) * 2016-04-28 2023-09-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a deployable flexible display
CN106205390B (zh) 2016-07-08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10506221B2 (en) * 2016-08-03 2019-12-10 Adobe Inc. Field of view rendering control of digital content
US11461820B2 (en) 2016-08-16 2022-10-04 Adobe Inc. Navigation and rewards involving physical goods and services
US10198846B2 (en) 2016-08-22 2019-02-05 Adobe Inc. Digital Image Animation
US10068378B2 (en) 2016-09-12 2018-09-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Digital content interaction and naviga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US10430559B2 (en) 2016-10-18 2019-10-01 Adobe Inc.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US20180217631A1 (en) * 2017-02-01 2018-08-02 Marsiste ADOLPHE Mountable Display for Different Surfaces
WO2018179034A1 (ja) * 2017-03-27 2018-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388082B1 (ko) 2017-05-23 202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32710B1 (ko) * 2017-07-31 2021-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CN107316567B (zh) * 2017-08-11 2020-09-01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420877B1 (ko) * 2017-08-25 2022-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WO2019039634A1 (ko) * 2017-08-25 2019-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469194B1 (ko) * 2017-12-27 2022-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US11437461B2 (en) * 2018-03-22 2022-09-06 Sharp Kabushiki Kaisha Rollable display panel with switched power delivery
CN108766235B (zh) * 2018-03-31 2021-04-23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卷轴式柔性屏、显示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1758263A (zh) * 2018-06-29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的显示方法及终端
KR102581242B1 (ko) * 2018-08-01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D915317S1 (en) * 2018-09-10 2021-04-06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TWD200861S (zh) * 2018-10-16 2019-11-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x9 電視機
KR20200042660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D891507S1 (en) * 2018-10-16 2020-07-28 Michael Chau-Lun CHANG Combined rollable screen, remote and remote container with a hook
CN109600659B (zh) 2018-12-17 2021-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播放视频时的操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543857B2 (en) * 2018-12-29 2023-01-03 Intel Corporation Display adjustment
US10769755B1 (en) * 2019-04-03 2020-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ntextual display of key images
CN110677712A (zh) * 2019-09-29 2020-01-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弹幕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10930878B (zh) * 2019-11-11 2021-06-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的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11090408A (zh) * 2019-11-19 2020-05-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1100932A1 (ko) 2019-11-22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R3103667A1 (fr) * 2019-11-27 2021-05-28 Sagemcom Broadband Sas Equipement décodeur transmettant des métadonnées à un équipement auxiliaire pour le piloter
KR20220100695A (ko) * 2019-12-03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14521A (ko) * 2019-12-13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및 그 제어 방법
CN111045626B (zh) * 2019-12-17 2024-04-02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屏调节方法、电视机及存储介质
US11436959B2 (en) 2019-12-31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20101145A1 (de) * 2020-01-20 2021-07-22 Audi Aktiengesellschaft Displaysystem mit haptischer Rückmeldung
KR20220044591A (ko) * 2020-02-14 2022-04-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롤링 디바이스들의 자체-적응형 디스플레이 종횡비 조정기 및 제스처
KR102218703B1 (ko) * 2020-08-21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220072227A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WO2022119143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확장 방법
WO2022163965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199503A4 (en) 2021-01-29 202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21121136B3 (de) 2021-08-13 2022-12-22 Audi Aktiengesellschaft System zum Darstellen eines Videos
WO2024024996A1 (ko) * 2022-07-26 2024-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429A (ja) 1993-02-10 1994-08-23 Sony Corp スクリーン装置及びフロント投射型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US6788347B1 (en) * 1997-03-12 2004-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DTV downconversion system
JP2002506539A (ja) * 1998-04-29 2002-02-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少なくとも二つの異なるレベルで横方向に物理的に再寸法決めできる投影スクリーンを有する可変サイズ投影スクリーン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に用いるためのスクリーン装置
US7075587B2 (en) * 2002-01-04 2006-07-1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separate display means for textual information
US7415289B2 (en) * 2002-10-02 2008-08-19 Salmon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eploying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JP4256665B2 (ja) * 2002-11-15 2009-04-22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
CN1701349A (zh) * 2003-03-19 2005-1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设备
US7154526B2 (en) * 2003-07-11 2006-12-26 Fuji Xerox Co., Ltd. Telepresence system and method for video teleconferencing
US7463238B2 (en) * 2003-08-11 2008-12-09 Virtualblue, Llc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US7701518B2 (en) * 2005-07-29 2010-04-20 Optoma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video in multiple aspect ratios
EP2919226B1 (en) 2006-01-06 2020-04-01 Unified Innovative Technology, LLC Mobile terminal unit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KR101406235B1 (ko) 2007-09-19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6909B1 (ko) * 2009-01-22 2015-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KR101057016B1 (ko) 2009-04-10 2011-08-1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인터넷 중개 사이트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05574A (ko) * 2010-03-19 201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TW201207751A (en) 2010-08-06 2012-02-16 Hometouch Co Ltd Television shopping system and its method
EP2479658B8 (en) * 2011-01-21 2016-02-24 BlackBerry Limited Multi-bend display activation adaptation
US8484313B2 (en) 2011-05-25 2013-07-09 Google Inc. Using a closed caption stream for device metadata
KR101837714B1 (ko) 2011-08-10 2018-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81865B1 (ko) 2011-08-30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KR101860880B1 (ko) * 2011-11-18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16416B1 (ko) *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78218B1 (ko) * 2013-02-27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270B2 (en) 2019-12-30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3027463A1 (ko) * 2021-08-26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127983A1 (ko) * 2021-12-28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3537A1 (en) 2019-06-26
CN105247853A (zh) 2016-01-13
US9860474B2 (en) 2018-01-02
EP3503537B1 (en) 2022-06-22
EP3008894B1 (en) 2019-02-20
CN105247853B (zh) 2018-08-31
CN108632650A (zh) 2018-10-09
CN108632650B (zh) 2022-01-28
USRE48782E1 (en) 2021-10-19
US20160112667A1 (en) 2016-04-21
EP3008894A1 (en) 2016-04-20
WO2014200151A1 (en) 2014-12-18
EP3008894A4 (en) 2017-05-03
KR20140144029A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60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513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52818B1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EP3447633A1 (en) Rollabl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remote controller
KR101804916B1 (ko) 인핸스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77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3773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56165B1 (ko)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75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203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10204060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222129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3004990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16341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61118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20130127022A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컨텐트 제어 방법
KR10170296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031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33108B1 (ko) 네트워크 tv의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KR1016800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7060062A (ja) プログラム、携帯通信機及びテレビ操作方法
KR2011008160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18112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0183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202100739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