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082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082B1
KR102388082B1 KR1020170063604A KR20170063604A KR102388082B1 KR 102388082 B1 KR102388082 B1 KR 102388082B1 KR 1020170063604 A KR1020170063604 A KR 1020170063604A KR 20170063604 A KR20170063604 A KR 20170063604A KR 102388082 B1 KR102388082 B1 KR 10238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content
display unit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261A (ko
Inventor
윤재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082B1/ko
Priority to US15/687,037 priority patent/US11164544B2/en
Priority to EP17911358.4A priority patent/EP3631613A4/en
Priority to PCT/KR2017/014315 priority patent/WO2018216865A1/en
Publication of KR2018012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261A/ko
Priority to US17/487,321 priority patent/US116577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확장되는 영역에 추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가이드 바, 가이드 바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인 제1 영역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컨텐트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제2 컨텐트가 표시되는 제2 영역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상기 디바이스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히 방송되는 컨텐트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들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정보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본체에 말려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변형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위와 같은 플레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가이드 바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려 디스플레이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이 변경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가이드 바, 가이드 바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인 제1 영역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컨텐트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제2 컨텐트가 표시되는 제2 영역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인출되기 이전 제1 영역의 위치는 디스플레이부가 인출된 이후 제1 영역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1 컨텐트를 시프트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3 컨텐트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제3 컨텐트가 표시되는 제3 영역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인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 드래그앤드랍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1 컨텐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제2 컨텐트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컨텐트의 정보량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인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 컨텐트를 제거하고, 제1 컨텐트를 확대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이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인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컨텐트에서 일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컨텐트에서 일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컨텐트 표시명령은 메뉴 표시명령, 화면설정메뉴 표시명령, 채널정보 표시 명령, 타임시프트 실행 명령, IOT 상태 표시 명령, 자막표시 명령, 사용자 설정정보 표시명령 및 컨텐트 관련정보 표시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컨텐트 표시명령이 제1 외부기기 연결신호이면 제2 영역에 제1 외부기기의 정보를 표시하고, 제3 컨텐트 표시명령이 제2 외부기기 연결신호이면 제3 영역에 제2 외부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외부기기 및 제2 외부기기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연결 종료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인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영역의 화면 비율과 상이한 화면 비율을 갖는 영상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의 추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비율이 영상의 화면 비율과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인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추가될 영역을 지정하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더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인출 방향 및 일출 길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높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높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결시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결시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기기 연결시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연결 종료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입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명령신호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a 내지 도 2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a 내지 도 23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24a 내지 도 24b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제3 예시 도면이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청모드 진입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청모드 진입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TV, 스마트 TV, 네트워크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지털 사이니지,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란, 디스플레이부가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장치와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테퍼이스부(135)는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는 컨텐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인입되어 가이드 바(미도시)에 감기거나, 인출되어 가이드 바(미도시)로부터 풀리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부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라 컨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디스플레이부(18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영역(181)을 갖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83) 내부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심부에 디스플레이부(18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 가능한 가이드 바(184, 도 5b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하우징(183) 내부에 가이드 바(184)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는 상하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심부에 가이드 바(184)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우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바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감기거나 풀리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하우징(183)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83)은 디스플레이부(18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바(18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184)가 R1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하우징(183)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가이드 바(184)가 R2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가이드 바(184)의 주변에 감기면서 하우징(183)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는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커버(186)는 하우징(183) 내부에 인입된 디스플레이부(180)를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심부에 가이드 바가 위치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리로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우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가 인출 또는 인입됨 따라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부(180)가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컨텐트 표시 영역이 변경 되는 모습을 도 5b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5c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을 갖도록 인출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양측으로 인출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는 우측 방향으로만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우측으로 인출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측 방향으로만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좌측으로 인출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는 상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상측으로 인출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은 제1 영역(181)의 상측에 위치하거나, 도 5f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영역(182)은 제1 영역(18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가 인출되는 길이(L1)(L2)(L3)(L4)에 의해 제2 영역(182)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 길이(L1)(L2)(L3)(L4)는 가변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표시될 컨텐트의 속성, 사용자의 길이 조절 명령 등에 따라 인출 길이(L1)(L2)(L3)(L4)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 방향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속성에 의해 결정되거나 사용자 입력명령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과 제2 영역(182) 각각에 서로 다른 컨텐트를 표시하거나, 동일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S11).
디스플레이부(180)는 디폴트로 제1 영역(181)만을 갖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특정 명령을 수신하기 이전에는 제1 영역(181)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81)에는 방송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뉴 표시명령의 수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3).
여기서, 메뉴는 제2 컨텐트이고, 메뉴 표시명령은 제2 컨텐트 표시명령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버튼 등을 통해 메뉴 표시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뉴 표시명령의 수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뉴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고(S15), 디스플레이부(180)는 인출된 제2 영역(182)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S17).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높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높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인출되기 이전에 제1 영역(181)만을 포함하고, 인출된 이후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좌측에 위치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181)의 위치는 인출 이전과 인출 이후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텐트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과 관계없이 계속해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우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인출되기 이전에 제1 영역(181)만을 포함하고, 인출된 이후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영역(181)의 위치는 인출 이전과 인출 이후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텐트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과 관계없이 계속해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양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인출되기 이전에 제1 영역(181)만을 포함하고, 인출된 이후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좌측에 위치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의 위치가 인출 이전과 인출 이후에 동일하도록 제1 컨텐트를 쉬프트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과 동시에 제1 컨텐트를 쉬프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컨텐트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과 관계없이 계속해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고, 메뉴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에 따라 추가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양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인출되기 이전에 제1 영역(181)만을 포함하고, 인출 이후 제1 영역(181)과, 제1 영역(181)의 양측에 위치한 제2 영역(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182)은 좌측 제2 영역(182a)과 우측 제2 영역(182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좌측 제2 영역(182a)과 우측 제2 영역(182b)은 서로 다른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181)의 위치는 인출 이전과 인출 이후 동일하여, 제1 컨텐트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과 관계없이 계속해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메뉴는 좌측 제2 영역(182a)과 우측 제2 영역(182b)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c에 도시된 실시 예 보다 많은 정보를 제2 영역(182)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표시 중인 컨텐트가 가려지지 않도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트를 방해 받지 않고 시청하면서, 메뉴를 보고, 조작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c에서만 제1 컨텐트를 쉬프트시킨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도 7a, 도 7b 및 도 7d와 후술하는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제1 컨텐트 쉬프트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높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을 포함하고, 제1 영역(181)은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뉴 표시명령이 수신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높이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제2 영역(182)은 제1 영역(18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181)은 디스플레이부(180)가 인출됨에 따라 함께 상승되고, 제2 영역(182)이 추가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계속하여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트를 가리지 않으면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동시에, 제1 컨텐트의 표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높이 방향으로 인출된 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을 포함하고, 제1 영역(181)은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뉴 표시명령이 수신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높이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은 제1 영역(181)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80)가 인출되더라도, 제1 영역(181)의 위치는 고정되고, 제2 영역(182)이 제1 영역(181)의 위쪽으로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텐트는 제1 영역(181)의 고정 위치에 표시되고, 메뉴는 제1 컨텐트의 상면에서 올라오며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트를 가리지 않으면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제1 컨텐트를 고정된 위치에 표시하면서 메뉴를 별도의 영역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컨텐트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a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메뉴에 표시된 항목 선택 명령의 수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9).
제어부(170)는 메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1 영역(181) 또는 제2 영역(182)에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S21).
다음으로,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도 12a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통해 메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제어되거나, 음성 명령, 제스처 입력 또는 홍채 인식 등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표시 중인 제1 컨텐트를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컨텐트로 대체할 수 있다. 제2 영역(182)에는 동일한 메뉴가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영역(181)에 표시되는 제2 컨텐트를 확인하면서, 제2 영역(182)에 표시된 메뉴를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하면서,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하면서, 제2 영역(182)의 크기를 감소시켜 메뉴를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다소 불필요할 수 있는 메뉴를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집중하여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a)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통해 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a)이 더 확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가 확장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 제2 영역(182a) 및 확장된 제2 영역(182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a)에 메뉴를 표시하고, 확장된 제2 영역(182b)에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영상과 같은 제1 컨텐트와, 메뉴 및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컨텐트를 각각 오버랩되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가 인출됨에 따른 확장 영역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한 번에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통해 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컨텐트를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80)는 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2 영역(182)에 표시 중인 제2 컨텐트를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트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182)에 표시된 제2 컨텐트는 원본 컨텐트의 축소 버전일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방송 영상과 같은 제1 컨텐트를 메뉴 등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시청하면서, 메뉴를 통해 필요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a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 및 제2 영역(18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다른 영역으로 드래그앤드랍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23).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2) 및 제2 영역(182)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 드래그앤드랍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1 컨텐트와 제2 컨텐트의 표시 영역을 상호 변경할 수 있다(S25).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의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에서 일 지점을 선택하여, 제1 영역(181)으로 드래그앤드랍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에서 일 지점을 선택하여, 제2 영역(182)으로 드래그앤드랍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드래그앤드랍 명령을 수신하면 제1 컨텐트와 제2 컨텐트의 표시 영역을 상호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에 표시 중인 제1 컨텐트를 제2 영역(182)에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표시 중인 제2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에 표시 중인 제1 컨텐트의 화면비를 유지시키면서 제1 컨텐트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축소된 제1 컨텐트를 제2 영역(182)에 표시하고, 확대된 제2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에 표시 중인 제1 컨텐트의 화면비가 제2 영역(182)에 맞도록 축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축소된 제1 컨텐트를 제2 영역(182)에 표시하고, 확대된 제2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드래그앤드랍 명령을 통해 제1 영역(181)과 제2 영역(182)에 표시 중인 제1 컨텐트와 제2 컨텐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특정 컨텐트를 확대시켜 시청할 수 있다.
다시, 도 6a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7).
여기서, 제1 외부기기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기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 게임기, 태블릿 PC, DVD 플레이어, 셋톱박스 등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제1 외부기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S29).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에 제1 외부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31).
여기서, 외부기기의 정보는 제2 컨텐트이고, 외부기기와의 연결신호는 제2 컨텐트 표시명령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결시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방송 영상 등과 같은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를 표시하는 도중에 제1 외부기기(300)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300)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하고, 제2 영역(182)에 제1 외부기기(30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외부기기(300)의 기기 정보 또는 연결 정보 등에 기초하여,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상하 방향으로 인출되고, 제2 영역(182)에 제1 외부기기(300)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부기기(300)와 관련된 정보는 제1 외부기기(300)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음악, 웹 주소 등과 같은 파일 정보와 제1 외부기기(300)를 통해서 동작 가능한 기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우 방향으로 인출되고, 제2 영역(182)에 제1 외부기기(300)의 미러링 화면(310)이 표시될 수 있다. 미러링 화면(310)은 제1 외부기기(300)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재현된 화면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러링 화면(310)을 제어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외부기기(300)가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트를 시청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외부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5a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결시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방송 영상 등과 같은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를 표시하는 도중에 제1 외부기기(300)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300)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300)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트의 화면 비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제1 외부기기(300)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트의 화면 비율은 제1 컨텐트의 화면 비율과 다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비율이 제1 외부기기(300)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트의 화면 비율과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외부기기(300)로부터 재생되는 컨텐트를 제1 영역(181)과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과 제2 영역(182)을 이용하여 제1 외부기기(300)로부터 재생되는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기기(300)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트의 화면 비율에 맞게 디스플레이부(180)의 영역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a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2 외부기기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3).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외부기기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외부기기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하면, 제3 영역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S35). 제어부(170)는 제3 영역에 제2 외부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37).
다음으로, 도 16a 내지 도 1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기기 연결시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기기(300a)만 연결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a)에 제1 외부기기(300a)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300a)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외부기기(300b)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2 외부기기(300b)와의 연결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3 영역(182b)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a)에 제1 외부기기(300a)의 정보를 표시하고, 제3 영역(182b)에 제2 외부기기(300b)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6b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개수가 2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영상 등과 같은 제1 컨텐트와 함께 연결된 외부기기의 정보를 모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a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 및 제2 외부기기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종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9).
제어부(170)는 연결 종료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영역의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시킬 수 있다(S41).
다음으로, 도 1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연결 종료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입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300a)와 제2 외부기기(3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 종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연결 종료신호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의 정보가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할 수 있다.
도 16c에 도시된 예시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외부기기(300a)와 제2 외부기기(3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외부기기(300a)의 연결 종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연결이 종료된 제1 외부기기(300a)의 정보 표시 영역인 제2 영역(182a)이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불필요한 정보는 바로 제거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a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음성명령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3).
제어부(170)는 추천, 검색 등과 같은 기 설정된 키워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키워드 인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명령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5).
제어부(170)는 인식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음성명령신호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하고,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정보의 양에 기초하여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S47).
제어부(170)는 획득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산출된 영역의 크기만큼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에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49).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에 따라 추가된 제2 영역(182)에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a 내지 도 1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명령신호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방송 영상 등과 같은 제1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7b 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음성명령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음성명령신호에 따라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영화 추천”이라는 음성명령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화 추천”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정보의 양에 기초하여 획득된 정보가 표시될 제2 영역(182)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산출된 크기에 대응하는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출된 제2 영역(182)에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에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 중인 상태에서, 다른 음성명령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최근에 수신된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의 양에 기초하여 제2 영역(182)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산출된 제2 영역(182)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 또는 인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현재 제2 영역(182)의 크기 보다 새로 산출된 제2 영역(182)의 크기가 더 크면 디스플레이부(180)를 더 인출하고, 현재 제2 영역(182)의 크기 보다 새로 산출된 제2 영역(182)의 크기가 더 작으면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음성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한 결과,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정보가 없으면 제2 영역(18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전부 인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영화 1 재생”과 같은 음성명령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정보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하고 제1 영역(181)에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음성명령신호에 따라 제2 영역(182)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 또는 인입하고, 제2 영역(182)에 음성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a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음성명령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의 수신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51).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현재 컨텐트를 표시 중인 영역 외에 새로운 표시 영역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인출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지정 영역 인출 명령과 컨텐트 표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정 영역 인출 명령은 추가될 디스플레이부의 영역과 크기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명령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출 방향과 인출 길이를 설정하는 지정 영역 인출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지정 영역 인출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인출 방향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인출 길이는 다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좌우 방향으로 1단계 인출하는 명령 또는 상하 방향으로 3단계 인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인출되는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컨텐트 표시명령은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 중인 상태에서 제2 컨텐트를 표시하는 명령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새로운 컨텐트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하고, 인출된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컨텐트 표시 명령은 화면설정메뉴 표시명령, 채널정보 표시 명령, 타임시프트 실행 명령, IOT 상태 표시 명령, 자막표시 명령, 화면 비율 변경 명령, 사용자 설정정보 표시명령 및 컨텐트 관련정보 표시명령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표시 가능한 컨텐트를 표시하는 명령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고(S53),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S55).
제2 영역(182)의 위치 및 크기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인출되고,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에 따라 추가된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가 표시되는 방법을 다양한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18a 내지 도 1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화면설정메뉴 표시명령일 수 있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화면설정메뉴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컨텐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설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설정 항목은 영화모드 설정 항목(401), 사진모드 설정 항목(402), 게임모드 설정 항목(403) 및 수동 설정 항목(4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에 표시된 화면 설정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면 설정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1 영역(181)에 표시 중인 제1 컨텐트의 화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에 표시된 수동 설정 항목(404)의 밝기를 조절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영역(181)에 표시 중인 제1 컨텐트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디바이스(100)는 추가된 제2 영역(182)에 표시된 화면 설정 항목을 통해 화면 모드를 조절하는 동시에 화면 조절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181)과 제2 영역(182)에 각각 표시되는 화면 조절 결과와 화면 설정 항목을 통해 용이하게 화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9a 내지 도 1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채널정보 표시 명령일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채널정보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컨텐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501)(502)(503)(504)(505)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정보는 채널 번호, 프로그램명 및 프로그램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에 채널정보(501)(502)(503)(504)(5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채널정보(501)(502)(503)(504)(5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된 채널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포인터(203)를 통해 채널정보(501)(502)(503)(504)(505) 중 일 채널정보(501)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선택된 채널정보(501)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디바이스(100)는 제2 영역(182)에 표시된 채널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제1 영역(181)에 해당 채널을 바로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추가된 제2 영역(182)에 표시된 채널정보를 통해 용이하게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타임시프트 실행 명령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타임시프트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컨텐트는 타임시프트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임시프트 실행 정보는 녹화 중인 타임시프트 영상(601), 녹화 정보(602) 및 저장된 녹화물(603)(6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는 동시에 제2 영역(182)에 타임시프트 실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컨텐트와 함께 녹화 중인 타임시프트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고, 타임시프트 영상의 녹화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IOT 상태 표시 명령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IOT 상태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컨텐트는 IOT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연결된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연결된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공기청정기, 카메라, CCTV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연결된 세탁기 상태 정보(701), CCTV 영상 정보(702)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송 영상 등과 같은 제1 컨텐트와 함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연결된 외부기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컨텐트의 시청을 중지할 필요 없이 컨텐트 시청과 동시에 외부기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2a 내지 도 2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자막표시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막표시 명령은 원격제어장치(200) 등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자막표시 명령은 제어부(170)가 표시 중인 컨텐트에 포함된 자막을 감지함에 따라 수신될 수 있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자막을 포함하는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자막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컨텐트는 제1 영역(181)에 표시 중인 제1 컨텐트의 자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컨텐트의 크기 및 화면비를 유지하면서 제1 컨텐트와 오버랩되지 않는 제2 영역(182)에 자막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제1 컨텐트와 함께 제1 컨텐트와 별도의 영역에 표시된 제1 컨텐트의 자막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3a 내지 도 23b 및 도 24a 내지 도 2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화면 비율 변경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비율 변경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80), 원격제어장치(200) 등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비율 변경 명령은 제1 영역(181)의 화면 비율과 상이한 화면 비율을 갖는 컨텐트의 표시 명령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컨텐트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제1 영역(181)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트 표시 명령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화면 비율은 제1 영역(181)의 화면 비율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표시 명령에 대응하는 컨텐트가 I-MAX 영상, 축구 영상(21:9) 등과 같은 특수 화면비를 갖는 컨텐트인 경우 컨텐트의 화면 비율은 제1 영역(181)의 화면 비율과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의 화면 비율에 맞게 컨텐트의 일부를 생략한 제1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컨텐트의 상하 영역 일부가 생략된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컨텐트의 화면 비율을 인식하면,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의 일부가 생략되지 않도록 컨텐트의 화면 비율에 기초하여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컨텐트의 일부가 생략된 제1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하고, 생략된 일부 컨텐트인 제2 컨텐트를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컨텐트의 좌우 영역 일부가 생략된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컨텐트의 화면 비율을 인식하면,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의 일부가 생략되지 않도록 컨텐트의 화면 비율에 기초하여 제2 영역(182)이 추가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컨텐트의 일부가 생략된 제1 컨텐트를 제1 영역(181)에 표시하고, 생략된 일부 컨텐트인 제2 컨텐트를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의 화면 비율과 상이한 화면 비율을 갖는 컨텐트 표시 명령을 수신한 경우 컨텐트의 일부를 생략하지 않고, 컨텐트 전체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가 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하면 새로운 영역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더 인출할 수 있다.
이하, 도 6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이 추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의 수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57).
제어부(170)는 제2 영역이 추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하면 제3 영역이 생성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고(S59), 제3 영역에 제3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S61).
다음으로, 도 25a 내지 도 2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를 표시 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사용자 설정정보 표시명령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설정정보 표시명령은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하여 추가되는 영역에 기 설정된 컨텐트를 표시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대중교통 정보, 도로교통 상황 정보, 날씨 정보, 인기뉴스 정보, 주식 정보 및 쇼핑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명령에 따라 설정된 컨텐트를 표시하거나 랜덤으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앞에서 나열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5b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설정정보 표시명령에 따라 제2 영역(182a)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하고, 제2 영역(182a)에 대중교통 정보 등과 같은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a)이 추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하면, 제3 영역(182b)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3 영역(182b)에 제3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컨텐트는 제2 컨텐트와 관련된 컨텐트일 수 있다. 또는, 제3 컨텐트는 제3 컨텐트와 무관한 컨텐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텍스트(text)로만 구성된 제2 컨텐트를 제2 영역(182a)에 표시 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하면, 텍스트 및 이미지로 구성된 제3 컨텐트를 제2 영역(182a)과 제3 영역(182b)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컨텐트는 제2 컨텐트와 동일한 정보를 나타내나 표현 형식이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80)의 크기에 기초하여 적정한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80)의 크기가 더 커진 경우 더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6a 내지 도 2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를 표시 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컨텐트 관련정보 표시명령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관련정보 표시명령은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하여 추가되는 영역에 현재 표시 중인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컨텐트 관련정보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기 표시 중인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컨텐트 관련정보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a)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a)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컨텐트는 제1 영역(181)에 표시중인 제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트가 야구 영상이면 제2 컨텐트는 야구 스코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a)이 추가된 상태에서 컨텐트 관련정보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제3 영역(182b)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3 영역(182b)에 제3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3 컨텐트는 제2 영역(182a)에 표시중인 제2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텐트가 야구 스코어 정보인 경우 제3 컨텐트는 스포츠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현재 표시 중인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단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현재 표시 중인 컨텐트를 가리지 않으면서 컨텐트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컨텐트를 시청하면서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 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a)을 추가하여 제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7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a)이 추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더 수신한 경우 제3 영역(182b)을 추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80)는 제3 영역(182b)에 날씨 정보 등과 같은 도 25a 내지 도 25c에서 설명한 기 설정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라 현재 표시 중인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외부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8a 내지 도 2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를 표시 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은 제1 내지 제7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a)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하고,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영역(182a)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텐트는 화면설정 메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영역(182a)에 표시된 제2 컨텐트 중 일부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싶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a)에 표시된 제2 컨텐트 중 일부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느 제2 영역(182a) 중 일 영역에 포인터(205)가 감지되면, 포인터(205)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ㄹ레이부 인출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3 영역(182b)이 추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하고, 디스플레이부(180)는 제3 영역(182b)에 제2 컨텐트 중 일부분에 대한 정보인 제3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컨텐트는 제2 컨텐트에 대한 도움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즉시 다른 영역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컨텐트와 필요한 정보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9a 내지 도 2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모두 인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는 가이드 바(미도시)에 감겨 인입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 영역 전체가 가이드 바(미도시)에 감길 수 있다. 가이드 바(미도시)는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183)에 수용될 수 있고, 하우징(183)은 투명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83)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83)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의 모든 영역이 인입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는 모두 인입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 중 영상 표시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가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 영상 표시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과 제2 영역(182)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181)에 영상 표시명령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스피커 모드를 제어하는 오디오 컨트롤러를 표시하면서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이 완료되면,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오디오 컨트롤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동시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피커 모드에 대한 동작 제어와 컨텐트 표시에 대한 제어를 한 화면을 통해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부 인출명령의 종류와 표시되는 컨텐트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다시, 도 6b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의 수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63).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은 현재 컨텐트를 표시 중인 일부 영역이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은 제거될 영역을 지정하는 인입 명령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제거될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영역이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은 자동 인입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에 표시 중인 컨텐트의 축소 가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65).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2 영역에 표시 중인 컨텐트를 제2 영역 보다 면적이 작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에 표시 중인 컨텐트의 축소가 가능하면, 제2 영역의 크기가 축소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를 인입하고(S67), 축소된 제2 영역에 축소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S69).
제어부(170)는 제2 영역에 표시 중인 컨텐트의 축소가 가능하면, 축소될 컨텐트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2 영역의 크기가 축소될 컨텐트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를 인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0a 내지 도 3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을 수신하면 제2 컨텐트의 축소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의 축소가 가능하면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를 인입할 수 있다.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인입에 따라 축소된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의 축소가 불가하면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인입할 수 있다. 즉, 도 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2 영역(182)이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임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컨텐트의 축소 가능 여부와 관계 없이,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을 수신하면 도 31a에서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제2 영역(182)이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인입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불필요한 컨텐트 표시 영역을 단계적으로 축소 및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b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시청모드 진입명령의 수신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71).
여기서, 시청모드 진입명령은 제1 영역(181)에 표시 중인 컨텐트를 집중 표시하는 명령으로, 제1 영역(181)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 표시 중인 컨텐트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메뉴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에 표시된 버튼을 통해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감지하는 경우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에 기 설정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S73).
제어부(170)는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컨텐트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디폴트로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컨텐트를 설정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명령을 통해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컨텐트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1a 내지 도 3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청모드 진입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입력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2 영역(182)에 기 설정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컨텐트는 현재 시간, 현재 날씨 및 사용자의 시청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시청모드 진입명령에 따라 기 설정된 컨텐트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82)에 다시 제2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컨텐트는 기 설정된 컨텐트를 표시하기 이전에 표시한 컨텐트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트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2a 내지 도 3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청모드 진입명령에 따른 컨텐트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역(181)에 제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182)에 제2 컨텐트를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입력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2 영역(182)에 표시 중인 제2 컨텐트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가 축소 표시되고 남은 영역에 제1 컨텐트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를 축소 표시한 상태에서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를 제거하고, 제1 컨텐트를 확대하여 제1 영역(181) 및 제2 영역(182)에 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인출된 디스플레이부(180)를 다시 인입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인출된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 영역을 낭비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시청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하면 제2 영역(182)이 제거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제2 영역(182)을 제거하여 제1 컨텐트를 집중 시청할 수 있는 방법을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b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명령의 수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75).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부 인입명령의 수신시 제2 영역에 표시 중인 컨텐트의 축소가 불가한 경우 제2 영역(18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입입할 수 있다(S77).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불필요한 제2 영역(182)을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를 인출하거나 인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모두 인입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는 중 영상 표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인출하고, 인출된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 상기 스피커 모드의 제어를 위한 오디오 컨트롤러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드 하에서 음악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컨트롤러는 상기 음악의 제목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컨트롤러는 되감기, 빨리 감기 및 중지 버튼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컨트롤러는 상기 음악의 전체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시간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컨트롤러는 상기 음악의 전체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63604A 2017-05-23 2017-05-2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8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04A KR102388082B1 (ko) 2017-05-23 2017-05-2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US15/687,037 US11164544B2 (en) 2017-05-23 2017-08-25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7911358.4A EP3631613A4 (en) 2017-05-23 2017-12-07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PROCESS
PCT/KR2017/014315 WO2018216865A1 (en) 2017-05-23 2017-12-07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7/487,321 US11657783B2 (en) 2017-05-23 2021-09-28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04A KR102388082B1 (ko) 2017-05-23 2017-05-2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61A KR20180128261A (ko) 2018-12-03
KR102388082B1 true KR102388082B1 (ko) 2022-04-19

Family

ID=6439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604A KR102388082B1 (ko) 2017-05-23 2017-05-2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164544B2 (ko)
EP (1) EP3631613A4 (ko)
KR (1) KR102388082B1 (ko)
WO (1) WO2018216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6706B (zh) * 2018-10-12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EP4044159A4 (en) 2019-10-11 2023-06-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EP4083765A4 (en) 2019-12-26 2023-09-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37309A1 (ko) * 2019-12-30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1194068A1 (ko) * 2020-03-24 2021-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833749B (zh) * 2020-07-13 2022-1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CN111787408B (zh) * 2020-07-31 2022-07-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多类型多媒体混合播放的处理方法、播放装置及存储介质
KR20220069370A (ko)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컨텐츠 제공 방법
WO2022119339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22225B2 (en) 2021-03-08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54420A (ko) * 2021-05-13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045834A1 (en) * 2021-08-10 2023-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screen of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WO2023080280A1 (ko) * 2021-11-05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90467A1 (ko) * 2021-11-16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28017A1 (ko) * 2021-12-30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17B1 (ko) 2008-09-04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37555B1 (ko) 2010-11-29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20130271661A1 (en) * 2010-12-28 2013-10-1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KR20130056674A (ko)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US9898155B2 (en) 2012-05-11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9070209B2 (en) * 2012-12-21 2015-06-30 Volkswagen Ag Moving control console
KR20140140957A (ko) 2013-05-30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데이터의 미러링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2091602B1 (ko) * 2013-06-10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53777A1 (en) 2013-12-03 2015-06-04 Nvid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both inflexible display screen and flexible display screen
US9986296B2 (en) * 2014-01-07 2018-05-29 Oath Inc. Interaction with multiple connected devices
KR20160123620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36174A (ko) 2015-05-19 2016-11-29 신진철 복수 화면을 가지는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KR102359550B1 (ko) 2015-08-26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69625B1 (ko) * 2015-10-13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90295A (ko) *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545746B2 (ja) 2017-05-09 2019-07-17 山田化学工業株式会社 色素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3086A1 (en) 2022-01-13
EP3631613A1 (en) 2020-04-08
WO2018216865A1 (en) 2018-11-29
EP3631613A4 (en) 2021-05-26
US11657783B2 (en) 2023-05-23
US20180342225A1 (en) 2018-11-29
KR20180128261A (ko) 2018-12-03
US11164544B2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08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06242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45324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373828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8886634B (zh) 显示装置及操作显示装置的方法
US11978374B2 (en) Display apparatus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442679B2 (en) Display device
US20170318327A1 (en)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e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48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469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31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026197A1 (en) Display device
KR20130022687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텔레비전
KR1024230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84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494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3573095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20240236396A1 (en) Display device
EP4351153A1 (en) Display device
KR201701381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99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