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0467A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90467A1
WO2023090467A1 PCT/KR2021/016727 KR2021016727W WO2023090467A1 WO 2023090467 A1 WO2023090467 A1 WO 2023090467A1 KR 2021016727 W KR2021016727 W KR 2021016727W WO 2023090467 A1 WO2023090467 A1 WO 20230904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e
display device
are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7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진희
최고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67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0467A1/ko
Publication of WO20230904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904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Definitions

  •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ous multimedia devices having a display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ize of an exposed display area is variabl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selectively exposes a partial area or the entire area of a display area to the outside using a motor or the like added to a display device.
  • the tuner 110 selects a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ing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ing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it is an analog broadcasting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110 can process both digital broadcasting signals and analog broadcasting signals.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 RF radio frequency
  • 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eg, DRAM, SRAM, SDRAM, etc.), non-volatile memory (eg, flash memory,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 Solid-state drive; SSD), etc.) may include at least one.
  • volatile memory eg, DRAM, SRAM, SDRAM, etc.
  • non-volatile memory eg, flash memory, hard disk drive (HDD)
  • solid state drive Solid-state drive; SSD, etc.
  • the controller 170 typically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display device 100 .
  • the controller 170 provides or processe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all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device 100. can do.
  • the device 100 may include a substrate therein.
  • the board is a component i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particular, various processors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170 are mounted together with other circuits and elements that assist them, and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0 .
  •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board so as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70, or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ard.
  • the controller 170 may be called various names such as a controller and a controlling device, and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and all components thereof. Accordingly, all operations and controls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all be considered as features of the controller 170.
  • the control unit 17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through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o output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created and output.
  •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that is, the display 30 described above,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 the display 180 may generate a driving signal by converting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or a video signal, data signal, o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130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 the display 18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 sub-pixels.
  •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W sub-pixels.
  • the display 180 may generate driving signals for a plurality of pixels by converting image signals, data signals, OSD signals, and control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control uni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decoder 225 can decode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and the scaler 235 can perform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image signal can be output on the display 180 .
  • the top cover 1041 and the side cover 1042 constitute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100 together with the front cover 105 and the rear cover 102 .
  • the top cover 1041 and the side cover 1042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or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straight covers.
  • 11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isplay device detects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B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first mode. Accordingly,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is detected within a preset area while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first mode, the display device 100 may change the display 180 to the second mode.
  •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the received application list 1203a to the display area.
  •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the second control signal 1205 for selecting the first application icon 1204 from the application list 1203a.
  • FIG. 12A an embodiment in which one user terminal is detected and a list of pre-registered applications is output in the detected user terminal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 FIG. 12B unlike FIG. 12A,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re detected within a detectable section by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 FIG. 12B corresponds to the same state as (a) of FIG. 12A. That is, referring to (a) of FIG. 12B,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information 1201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180 in the first mode.
  • FIGS.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isplay device receives an event from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FIGS. 11 and 12 will be omitted.
  • th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display device 100 detects the wearable device 1800 in the first mode, it may switch to the second mode.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information of the sensed wearable device 1800 to an externally exposed por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180 .
  • step S2008 the display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display is in the third mode.
  • the display device may perform step S2009 when the current state of the display is the third mode.
  •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in a state where the entire area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display device may end the output of the other content and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 the display device may reduce the screen of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in the third mode and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outside the screen of the reduced content.
  •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in an overlay format while currently outputting content in the third mode.
  • FIGS. 1 to 19 can be implemented as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20 . That is, although FIGS. 1 to 19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display device (apparatu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ll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모터; 및 상기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2 모드에서 제 3 모드로 변경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이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가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 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상기 디바이스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히 방송되는 컨텐트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들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 정보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의 모든 영역이 언제나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도 블랙의 스크린이 언제나 노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공간 활용을 충분히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터를 사용해 디스플레이 영역을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으로 출력하기 위해 커버 또는 디스플레이를 움직이는 경우 연결된 다른 단말기 또는 IoT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 역시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새로운 폼 팩터(Form Facto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가된 모터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가된 모터 등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모터 동작으로 종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대비 많은 전력 소모가 예상되어, 특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컨텐츠를 정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단말기 또는 IoT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거나 단말기 또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여 사용자와 교감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모터; 및 상기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2 모드에서 제 3 모드로 변경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이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지되는 이벤트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정보를 선택하는 제 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정보에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제 1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3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할 때, 상기 단말기와 미러링(mirroring)을 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되는 이벤트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기 연결된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IoT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IoT 디바이스 정보를 선택하는 제 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 제어 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IoT 디바이스의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전체 영역 중 제 1 영역에 상기 IoT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전체 영역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의 화면을 축소하고, 상기 전체 영역 중 상기 컨텐트의 화면 밖에 상기 IoT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를 상기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상기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2 모드에서 제 3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이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가된 모터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정 범위에서 단말기 또는 IoT 디바이스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가 포함된 단말기 또는 IoT 디바이스가 감지되는 경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추가 제어 메뉴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론트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도 7의 A-A 단면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단말기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추가 단말기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지된 단말기가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미러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추가 감지된 단말기를 미러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3 모드일 때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지한 단말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지한 단말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음향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이 모두 첨부된 도면들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으며, 중요한 일부 구성요소들만이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모두 도시되지는 않지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도 1의 구성요소들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 가능하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향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음악, 뮤직 비디오, 스포츠 중계,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원격 제어 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디바이스(100)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바이스(100)는 기판을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각종 전자부품, 특히 제어부(170)를 구성하는 각종 프로세서들이 이들을 보조하는 다른 회로 및 소자들과 함께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며, 하우징(10)내에 설치될 수 있다.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제어기(controller),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이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는 모든 작동 및 제어들은 모두 제어부(170)의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 즉 앞서 설명된 디스플레이(3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향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모터(21,51)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롤러(20), 커버(40) 및 서포터(50)의 작동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30)의 확장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30)의 확장 및 수축을 위해 모터(21,51) 및 롤러(20), 커버(40), 서포터(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크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30)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형성되는 실제 화면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감지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70)는 하우징(10)외부에 실제적으로 노출된 디스플레이(30)의 화면에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하우징(10)내부에 감춰진 디스플레이(30)의 일부는 끌 수 있다(turn off).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제어부(170)는 전력사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발열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직접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댁내에 포함된 다른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의한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접근하는지 또는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향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5.1 채널 신호 또는 7.1 채널 신호 등을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음향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명령 및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부(170)을 포함 관련 구성요소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180)은 각각의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제 1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공급부(미도시)가 본체 프레임(미도시)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 전원공급부로부터 제 1 전원 공급부로 전원의 전달은 유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이 본체 프레임에 결합 시 제 2 전원공급부와 제 1 전원공급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무선충전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은 한 쌍의 코일을 중첩배치하여 자기공명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제 1 전원공급부로서 충전 코일을 이용하고 제 2 전원공급부로서 전송 코일이 이용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에 위치하는 전송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송 코일에 전류가 흐르며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전송 코일이 형성한 전자기장 내에 위치하는 충전 코일에 전류가 흐르며 디스플레이(180)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기능들을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물리적 버튼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조는 단순히 디스플레이(30)의 확장 및 수축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확장 및 수축이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 및 량과 연계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100)의 구조 및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제어에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의도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기본적으로 수반한다. 따라서, 다양한 제어의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환경 및 인터페이스(user environment and user interface)의 향상을 포함하여 의도된 기능적 향상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의 용이함 및 편리함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user experience)도 함께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210), 영상 처리부(220), 프로세서(230), 및/또는 오디오 처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2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220)는 역다중화부(2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디코더(225), 스케일러(2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생성부(245),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250), 및/또는 포맷터(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235)는 영상 디코더(2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케일러(2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2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생성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245)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제어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5)는 이러한 포인팅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제어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5)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2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250)는 별도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2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2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210), 영상 처리부(2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2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2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2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250), 및 포맷터(260)는 영상 처리부(2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특정 조건(예를 들어, 리모컨의 파워 버튼을 한번 누르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 만족된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311)만 노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특정 조건(예를 들어, 리모컨의 파워 버튼을 두 번 누르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 만족된 경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321)이 노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물론, 도 3의 (c) 모드에서, (b) 모드 및 (a) 모드로 역방향으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고, (b) 모드 단계를 스킵(skip)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311, 32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거나 돌돌 말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재는 플라스틱 OLED(POLED 또는 P-OLED)로서, 플라스틱 소재인 투명 폴리이미드(CPI, Colorless Polyimide) 필름으로 마감될 수 있다. 여기에서, CPI 필름은 유리처럼 투명하지만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이며,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압력을 가해도 쉽게 깨지지 않는다.
나아가, 디스플레이(311, 321)는 하우징(310, 320) 내부의 롤러에 감겨져 있다가 펼쳐지는 것이 자유롭게 이루어 져야 하고,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종래 기술과 구별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설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정의할 수 있고, 도 3의 (a)에 도시된 모드를 제로 뷰(zero view)로 정의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모드를 파셜 뷰(partial view) 또는 라인 뷰(line view)로 정의하고, 도 3의 (c)에 도시된 모드를 풀 뷰(full view)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소재가 사용된다고 설명한 바 있으나,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반드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소재가 사용될 필요는 없고, 일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종래 기술과 다른 점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401) 하부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이즈의 커버(400)가 위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조건(예를 들어, 리모컨의 파워 버튼을 한번 누르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 만족된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10)가 업(up)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411)의 일부 영역만 노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물론, 도 4의 (b)의 상태에서, 도 4의 (a)의 상태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커버를 업(up)/다운(down)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커버 주변에 모터가 위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구별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설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아뜰리에 TV로 정의할 수 있고, 도 4의 (a)에 도시된 모드를 풀 뷰(full view)로 정의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모드를 라인 뷰(line view) 또는 파셜 뷰(partial view)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4의 (b)와 같이 라인 뷰 상태를 디폴트(default)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4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3과 달리 제로 뷰가 아닌 라인 뷰 상태를 디폴트로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반드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소재가 사용될 필요는 없고, 일반 디스플레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도 4와 다른 점은, 커버가 아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자체가 이동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501) 하부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이즈의 커버(500)가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501)와 상기 커버(500)는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조건(예를 들어, 리모컨의 파워 버튼을 한번 누르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 만족된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511)가 업(up)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511)의 전체 영역이 노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도 4와 다른 점은, 커버(510)가 이동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도 5의 (b)의 상태에서, 도 5의 (a)의 상태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501, 511)을 업(up)/다운(down)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501, 511) 주변에 모터가 위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구별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설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인테리어 TV로 정의할 수 있고, 도 5의 (a)에 도시된 모드를 파셜 뷰(partial view) 또는 라인 뷰(line view)로 정의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모드를 풀 뷰(full view)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5의 (a)와 같이 파셜 뷰 상태를 디폴트(default)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5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3과 달리 제로 뷰가 아닌 파셜 뷰 상태를 디폴트로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해당 모터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들에도 적용 가능하나,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된 경우를 가정하고, 도 6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의 (a)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사선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과 상기 디스플레이(30)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양 끝단들에 형성되는 슬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리브들은 베어링들에 의해 하우징(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롤러(20)는 마찬가지로 하우징(10)내에 설치되는 모터(21)와 연결되며, 이러한 모터(2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R1) 또는 반시계방향(R2)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롤러(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모터(21)와 롤러(20)사이에는 기어트레인이 개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컨텐트들 및 이들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는 비디오 컨텐트, 오디오 컨텐트 및 기타 보조적인 컨텐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컨텐트들은 이들에 연계된 다양한 정보들, 예를 들어 비디오 컨텐트에서의 재생시간, 컨텐트의 제목등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30)는 이러한 관련 정보들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30)는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LCD,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 즉 도면 상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기능이외에도 윈도우는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허용해야 한다. 따라서, 윈도우는 적절한 강도 및 투명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은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윈도우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제가 직접적 부착을 위해 가장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3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 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터치 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30)는 터치 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30)의 복잡한 구성에 따라 첨부된 도면들에서 디스플레이(30)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즉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모듈 또는 어셈블리로써 표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내의 수용을 위해서는 디스플레이(30)는 기본적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30)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30)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앞서 설명된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0)은 롤러(20)에 말려질 수 있다. 또한, 롤러(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30)은 롤러(20)에 감기거나(wind) 상기 롤러(20)로부터 풀려질(unwind)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은 롤러(20)로부터 풀려지면서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project)되거나 확장(expand/roll out)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30)은 롤러(20)에 감겨지면서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축(retract/roll in)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0)가 시계방향(R1)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30)은 롤러(20)로부터 풀려지면서 하우징(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a)에서 하우징(300)내 수용되었던 스크린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 외부로 확장될 수 있으며, 소정 크기의 스크린(31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롤러(20)가 시계방향(R1)으로 더 회전하면, 디스플레이(30)는 롤러(20)로부터 더 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외부로 더 큰 크기로 돌출될 수 있으며, 더 큰 크기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만일 롤러(20)가 반 시계방향(R1)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30)은 롤러(20)에 감겨지면서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c)의 스크린(321)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 내부로 상대적으로 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수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더 작은 크기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롤러(20)가 반시계방행(R2)로 더 회전하면, 디스플레이(30)은 롤러(20)에 더 감겨질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하우징(300) 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필요한 크기로 디스플레이(20)의 확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20)는 하우징(10)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사용중에는 필요한 크기로만 확장되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감김과 풀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20)에 형성되는 화면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감지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 또는 하우징(10)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확장된 디스플레이(30)의 전방부는 윈도우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반면, 디스플레이(30)의 후방부는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은 민감한 전자부품 및 기판들을 포함하므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확장된 디스플레이(30)의 후방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는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링크는 디스플레이(30)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된 링크들, 즉 커버(40)는 디스플레이(30)의 후방부를 덮는 단일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링크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링크에 대해 회동가능(pivotable)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는 제 1 롤러(41)에 감겨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30)의 후방까지 제 2 롤러(4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작동 중 디스플레이(30)이 확장되면 제 1 롤러(41)는 회전하면서 커버(40)를 풀 수 있다. 풀려진 커버(40)는 제 2 롤러(41)에 의해 안내되면서 디스플레이(30)의 후방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커버(40)는 디스플레이(30)과 함께 하우징(10) 외부로 확장되면서 디스플레이(30)의 후방부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30)이 수축되면, 상기 제 1 롤러(41)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버(40)를 디스플레이(3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커버(40)는 제 2 롤러(42)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 1 롤러(41)에 감길 수 있다. 상기 커버(40)에서, 제 1 롤러(41)는 롤러(20)와 함께 모터(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제 1 롤러(41)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가 하우징(10)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0)은 자신의 유연성으로 인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확장된 디스플레이(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서포터(50)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50)는 모터(51) 및 이에 연결된 보조 서포터(52)에 의해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10)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50)는 디스플레이(30)과 함께 하우징(10)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50)에 의해 확장된 디스플레이(30)는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사용자에게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 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측면 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 영역 및 제 2 측면 영역에 인 접하고 제 1 측면 영역과 제 2 측면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 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 역(LS2)을 제 1 측면 영역 및 제 2 측면 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 영역과 제 2 측면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 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 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 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 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제 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 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 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 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 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그리고 제 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그리고 제 2 단변 (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SS1)에서 제 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 2 단변(SS2)에서 제 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 1 장변(LS1)에서 제 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 2 장변(LS2)에서 제 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150)하는 하우징(102, 104, 105)을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선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 1 전원 공급부 및 제 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화면의 크기가 가변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최소로 노출된 기본 모드이고 도 8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최대로 노출된 확장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기본 모드에서 다단계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외측으로 인출되며 확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02, 104, 105)의 내부에 위치하는 화면을 제 1 영역, 외부로 노출되는 화면을 제 2 영역이라 한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크기는 가변할 수 있다.
기본모드에서 제 1 영역의 크기가 최대이고 제 2 영역의 크기는 최소이고, 확장모드에서 제 2 영역의 크기가 최대가 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기본모드에서도 외부로 노출된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본모드에서 노출된 제 2 영역의 크기에 상응하여 배면 방향의 리어 커버(102)의 크기는 전면 방향에 위치하는 프론트 커버(105)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기본모드에서 제 2 영역의 크기는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의 크기 차이에 상응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상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전면의 영역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의 크기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없어 실제 사용 가능한 화면의 크기가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커버(105)의 높이가 60cm이고, 리어 커버(102)는 70cm로 구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크기는 리어 커버(102)의 크기에 상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70cm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탑재할 수 있으며 확장모드에서 제 2 영역의 크기도 70cm에 상응하게 인출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의 외측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대부분 노출되더라도 리어 커버(102)가 이를 지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의 높이가 60cm로 동일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크기는 60cm가 최대 크기이고 외부로 인출하더라도 지지력을 고려하여 10cm정도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실제 활용 가능한 화면의 크기는 50cm로 작아지게 된다.
한편 70cm로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의 높이를 구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크기는 70cm로 가능하나, 역시 전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없어 실제 활용 가능한 화면의 크기는 60cm에 불과하다.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가 같은 사이즈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확장모드에서 70cm의 화면을 얻기 위해서 하우징의 크기가 80cm가 되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소파에 앉은 상태에서 눈높이 보다 높아져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프론트 커버(105)보다 리어 커버(102)가 더 큰 경우 프론트 커버(105) 사이즈 보다 더 큰 사이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5, 104, 102)은 전면에 위치하는 프론트 커버(105), 배면에 위치하는 리어 커버(102)를 포함하고, 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커버(10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가 형성된 위치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인입 인출되는 제 1 개구부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내부로 완전히 투입되는 경우 제 1 개구부가 노출되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제 1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1 개구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하우징 내부로 인입 인출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사용하지 않을 때(기본모드)에는 제 2 영역을 최소화 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검은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본모드에서 시계,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부에 노출된 제 2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연동된 모바일 단말기나 가전에서 알림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알람이 발생하거나 중요 알림사항이 발생한 경우 제 2 영역을 확장하여 충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움직임을 통해 쉽게 알림사항이 발생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제 2 개구부(10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구부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사이즈로 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미세한 홀을 통해 조명효과를 낼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론트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출력부(160)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면에 배치하여 제 2 개구부(105a)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사운드 바나 홈 시어터 같이 별도의 음향출력장치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실내 공간을 차지하고, 사용자가 이를 연결하는데 어려워 사용 시 불편이 발생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음향 출력부는 사용자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므로 음향 출력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면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를 고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 프레임(22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라운드 음향 출력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한 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우퍼까지 구비하는 경우 중앙 하부에 추가로 음향 출력부(160)를 배치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를 통해 음악감상만 진행할 때에는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수납한 기본모드에서 음악을 감상하면서 음악감상에 필요한 아이콘이나 정보를 제 2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중인 음악의 제목과 가수의 이름이 디스플레이 되거나 앨범의 커버 이미지가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도 8과 같이 최대로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이동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비율에 따라 필요한 화면의 크기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화면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부(160)가 프론트 커버(105)와 디스플레이 모듈(15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론트 커버(105)가 무빙되는 동안에 음향 출력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후술하는 도 11 및 도 12에서는 프론트 커버(105)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음원 및 음향 레벨 등을 다르게 적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도 7의 A-A 단면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론트 커버(105)와 디스플레이 모듈(150) 사이는 음향 출력부(16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리어 커버(102) 사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음향 출력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회로기판 및 구동 IC등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에 실장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드 커버(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04)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에 위치하며 리어 커버(102)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커버(1041)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좌우에 위치하는 측면 커버(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041)와 측면 커버(1042)는 프론트 커버(105)와 리어 커버(102)와 함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부 커버(1041)와 측면 커버(1042)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직선형의 커버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부 커버(1041)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 부분에만 위치하므로 너비가 얇고 측면 커버(10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방향은 리어 커버(102)의 크기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전면 방향은 프론트 커버(105)의 크기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부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를 제 1 모드 내지 제 3 모드 중 하나로 변경하고, 단말기 또는 IoT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것으로 기재하나 이러한 동작은 상술한 제어부 및 각 모듈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도 11a 내지 도 20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5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모터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움직여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화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다만,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모터에 의해 커버가 움직여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화하는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함을 물론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a 내지 도 20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모드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모드, 제 2 모드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 제 3 모드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모드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모드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외부로 노출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드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로, 일부 영역에 대한 정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높이가 제 1 높이에서부터 제 2 높이까지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3 모드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로, 디스플레이가 모터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최대로 높이 올라간 상태를 제 3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단말기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을 참조하면, 도 11a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모드인 상태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1a의 (b)와 같이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디스플레이(180)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를 이용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영역 이내에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영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되는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블루투스 신호는 예시일 뿐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통신부의 모든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영역 이내에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80)를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1a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정보를 수 신하여 수신한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단말기 정보만을 출력하는 것이 아닌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패턴에 기초하여 인공지능으로 학습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퇴근이 많이 늦으셨네요. 오늘도 고생 많으셨어요”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1a의 (b)는 디스플레이(180)가 제 2 모드인 경우, 일부 영역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출력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1a의 (c)와 같이 제 2 모드에서 제 3 모드로 디스플레이(180)를 변경할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에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을 수 있고(블랙 스크린 상태), 기 설정된 컨텐트(예를 들어, 단순한 정보인 날짜, 시계, 날씨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영역 이내에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80)를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1a의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1a의 (b)와 달리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전체 영역이기 때문에 도 11a의 (b) 보다 더 많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홈 화면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지정된 위젯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12a 및 eh 12b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추가 단말기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a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a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가 감지되고,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이하, 도 11b에서는 도 11a와 달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감지 가능한 구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감지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b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모드인 상태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영역 이내에서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80)를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1b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우선 감지된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가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 중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영역 이내에서 제 2 사용자 단말기를 추가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 단말기와 제 2 사용자 단말기를 순차적으로 감지하거나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도 11b의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제 2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80)를 위로 더 움직여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80)를 일시적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다른 사용자 단말기가 추가 감지되었다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 등록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경우에는 도 11a와 같이 “퇴근이 많이 늦으셨네요. 오늘도 고생 많으셨어요”와 같은 기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나,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기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외부인으로 판단하여, 도 11b의 (c)와 같이 “친구분께서 집에 놀러오셨나봐요. 좋은시간 보내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인공지능으로 학습된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 등록된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일 상단에 출력하고, 추가로 감지된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그 아래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1b는 제 1 사용자 단말기와 제 2 사용자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추가 단말기가 감지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사용자 단말기가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180)를 조금 더 위로 올린 후, 출력된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 아래에 제 3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지된 단말기가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미러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a의 (a)는 도 11의 (b)의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사용자의 단말기를 감지하여 제 2 모드로 디스플레이(180)를 전환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1201)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단말기 정보(1201)를 선택하는 제 1 제어 신호(1202)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제어 신호(1202)는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어 신호(1202)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2a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어 신호(1202)에 기초하여 단말기 정보에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03a)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03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출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03a)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03a)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03a) 중 제 1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204)를 선택하는 제 2 제어 신호(1205)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2a의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어 신호(1205)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를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80)를 제 3 모드로 변경함과 동시에 제 1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204)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1206)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2의 (b)에서 도 12의 (c)로 디스플레이를 하우징 위로 상승시키는 동안 블랙 스크린을 출력하거나 제 1 애플리케이션(1206)을 바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어 신호(1205)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1206)을 단말기와 미러링(mirroring)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단말기가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180)에 그대로 송출할 수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추가 감지된 단말기를 미러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a 내지 12a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a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가 감지되고,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이하, 도 12b에서는 도 12a와 달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감지 가능한 구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감지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b의 (a)는 도 12a의 (a)와 동일한 상태에 대응한다. 즉, 도 12b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1201)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영역 이내에서 제 2 사용자 단말기를 추가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2b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사용자 단말기를 추가로 감지함에 따라, 제 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7)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8)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1b와 달리 도 12b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7)와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8)가 상하가 아닌 좌우로 출력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 12b의 (a)와 달리 도 12b의 (b)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높이가 한정적인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7)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8)를 모두 출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7)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8)를 도 12b의 (a)보다 간략하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7)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8)를 사용자 단말기의 이름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2b의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8)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1209)에 기초하여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8)에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03b)를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7)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기 정보(1208) 중 제어 신호(1209)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03b)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도 12b의 (c) 이후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203b)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실시예는 도 12a의 (c)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 및 도 12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마트 홈(smart home) 생활에서는 집 안에 서로 연결 가능한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집 안에 다양한 IoT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는 냉장고, 도어벨 및 홈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이러한 IoT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13내지 도 16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IoT 디바이스와 다양한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연결될 상태를 가정하도록 한다.
도 13은 IoT 디바이스가 냉장고인 실시예를, 도 14는 IoT 디바이스가 세탁기인 실시예를, 도 15는 IoT 디바이스가 도어벨인 실시예를, 도 16은 IoT 디바이스가 홈 CCTV인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IoT 디바이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냉장고로부터 기기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수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가 냉장고인 경우, 기기 상태 정보 업데이트는 냉장고에 포함된 식품에 대한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디바이스 중 하나인 냉장고는 냉장고 내에 포함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 중 업데이트된 사항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보고(report)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냉장고로부터 기기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도 13의 (a)와 같은 제 1 모드에서 도 13의 (b)와 같은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로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냉장고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된 기기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A식품의 유통기한이 지났습니다. 냉장고 안을 살펴볼까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 중인 기기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미도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도 13의 (b)의 제 2 모드에서 도 13의 (c)와 같은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냉장고로부터 추가 기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냉장고에 카메라가 포함된 경우, 냉장고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냉장고로부터 수신한 추가 기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냉장고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 및 냉장고에 저장된 기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세탁기로부터 기기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수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가 세탁기인 경우, 기기 상태 정보 업데이트는 세탁기가 세탁을 완료했다는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디바이스 중 하나인 세탁기는 세탁 진행 사항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 중 업데이트된 사항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세탁기로부터 기기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도 14의 (a)와 같은 제 1 모드에서 도 14의 (b)와 같은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로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세탁기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된 기기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이 완료되었습니다. 다른 동작을 수행할까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 중인 기기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미도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도 14의 (b)의 제 2 모드에서 도 14의 (c)와 같은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세탁기로부터 추가 기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세탁기에 카메라가 포함된 경우, 세탁기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세탁기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어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는 세탁이 종료된 이후 여러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의 추가 제어 메뉴는 예를 들어, 건조, 헹굼 추가, 문 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세탁기로부터 수신한 추가 제어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제 3 모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세탁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추가 제어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현재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확인한 뒤 추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IoT 디바이스 중 하나인 도어벨(doorbell)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도어벨은 사용자가 도어벨을 누르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게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어벨로부터 이벤트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도 15의 (a)와 같은 제 1 모드에서 도 15의 (b)와 같은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로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도어벨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에서 호출이 왔어요. 누구인지 확인해볼까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어벨에 카메라가 포함된 경우, 도어벨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 중인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미도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5의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도 15의 (b)의 제 2 모드에서 도 15의 (c)와 같은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벨로부터 추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어벨에 카메라가 포함된 경우, 도어벨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어벨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어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벨은 외부인이 도어벨은 누른 후 여러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어벨의 추가 제어 메뉴는 예를 들어, 문 열기, 통화 연결, 경비실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어벨로부터 수신한 추가 제어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제 3 모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어벨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추가 제어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외부인의 현재 이미지와 함께 추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IoT 디바이스 중 하나인 홈 CCTV (home CCTV)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홈 CCTV는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이벤트(예를 들어, 감지 중인 오브젝트의 움직임)가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게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홈 CCTV로부터 이벤트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도 16의 (a)와 같은 제 1 모드에서 도 16의 (b)와 같은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로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홈 CCTV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방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었습니다. 잘자고 있는지 확인해볼까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홈 CCTV 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홈 CCTV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도 16의 (b)와 같은 제 2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홈 CCTV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기에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기 때문에 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 중인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미도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도 16의 (b)의 제 2 모드에서 도 16의 (c)와 같은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홈 CCTV로부터 추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홈 CCTV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을 통해, IoT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제어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즉,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집에서 거실 소파에 앉아있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앞에 있는 경우에는, IoT 디바이스에 가까이 가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연결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외부로 전혀 노출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 13 내지 도 16과 같이 IoT 디바이스가 감지한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는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3 모드일 때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6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컨텐트(1701)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컨텐트(1701)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영역이 최대인 상태에서 전체 영역에 컨텐트(1701)를 최대 크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8의 (a)와 같은 제 3 모드에서 IoT 디바이스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도 18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1701)의 화면을 축소하고, 전체 영역 중 컨텐트의 화면 밖에 영역인 제 1 영역(1702)에 감지된 IoT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력되는 IoT 디바이스 정보는 상술한 도 13 내지 도 16을 참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7의 (a)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1701)의 크기를 단순히 세로 비율만을 축소하여 제 1 영역(1702)에 감지된 IoT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7의 (a)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1701)의 가로 및 세로 비율을 고려하여 출력 중인 컨텐트(1701)의 크기를 축소한 뒤, 제 1 영역(1702)에 IoT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텐트(1701)의 가로 및 세로 비율을 고려하여 컨텐트(1701)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블랙 스크린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IoT 디바이스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제 3 모드에서 컨텐트(1701)를 그대로 출력한 상태에서, IoT 디바이스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 형식으로 기 설정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지한 단말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7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를 감지하는 경우, 제 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외부로 노출된 일부 영역에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에서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제 2 모드에서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에서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80)를 제 2 모드에서 제 3 모드로 변경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경우에는 단순히 제 2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의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에서 실행 중인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 3 모드의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가 스피닝인 경우, 빠른 리듬을 가진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8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가 요가인 경우, 느린 리듬을 가진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지한 단말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8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9 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80)를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에서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를 통하여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컨텐트(1901)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컨텐트(19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로부터 수신한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컨텐트,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컨텐트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턴-오프(turn-off) 전에 출력 중이던 컨텐트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출력되는 컨텐트(1901)를 일부 영역의 크기에 맞게 축소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일부 영역에 출력 중인 컨텐트(1901)는 아래 부분이 하우징에 의해 잘린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1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컨텐트(1901)를 일부 출력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가 사용자의 운동 목표를 0% 달성한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운동 목표를 50% 달성한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조금 더 높게 움직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조금 더 넓어지도록 제어할 수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트(1901)를 조금 더 넓게 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가 운동 목표를 100% 달성한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제 3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트(1901)를 전체 영역에서 볼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에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90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동 목표를 달성해야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1901)를 전체 화면으로 볼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S2001)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는 상술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연결되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S2002)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현재 디스플레이가 제 1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제 1 모드이면 단계(S2003)를 수행하고,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제 1 모드가 아니면 단계(S2006)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단계(S2003)에서, 디스플레이를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S2004)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일부 영역에 출력하거나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일부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단계(S2005)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된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단계(S2007)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일부 영역에 사용자 단말기 정보가 출력되거나,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출력되거나,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기기 상태 정보 등을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단계(S2007)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006)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현재 디스플레이가 제 2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제 2 모드이면 단계(S2007)를 수행하고,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제 2 모드가 아니면 단계(S2008)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단계(S2007)에서, 디스플레이를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005)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된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제 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S2008)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현재 디스플레이가 제 3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제 3 모드이면 단계(S2009)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009)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전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체 영역에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3 모드에서 현재 출력 중인 다른 컨텐트가 있는 경우, 다른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하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3 모드에서 현재 출력 중인 컨텐트의 화면을 축소하고, 축소된 컨텐트의 화면 밖에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3 모드에서 현재 출력 중인 컨텐트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오버레이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19를 통해 상술한 실시예들은 도 20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1 내지 도 1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장치)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모든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전 목차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고,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도면들에 기재된 실시예들을 결합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폼 팩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인정된다.

Claims (14)

  1.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모터; 및
    상기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2 모드에서 제 3 모드로 변경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이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이벤트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정보를 선택하는 제 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정보에 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제 1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3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할 때, 상기 단말기와 미러링(mirroring)을 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이벤트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기 연결된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IoT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IoT 디바이스 정보를 선택하는 제 3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 제어 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IoT 디바이스의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전체 영역 중 제 1 영역에 상기 IoT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전체 영역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의 화면을 축소하고, 상기 전체 영역 중 상기 컨텐트의 화면 밖에 상기 IoT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를 상기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상기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 2 모드에서 제 3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이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PCT/KR2021/016727 2021-11-16 2021-11-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904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6727 WO2023090467A1 (ko) 2021-11-16 2021-11-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6727 WO2023090467A1 (ko) 2021-11-16 2021-11-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467A1 true WO2023090467A1 (ko) 2023-05-25

Family

ID=8639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727 WO2023090467A1 (ko) 2021-11-16 2021-11-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9046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261A (ko) * 2017-05-23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30547A (ko) * 2015-12-18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5809A (ko) * 2015-04-16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069441A (ko) * 2019-12-03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19283A (ko) * 2020-03-24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809A (ko) * 2015-04-16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30547A (ko) * 2015-12-18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8261A (ko) * 2017-05-23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69441A (ko) * 2019-12-03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19283A (ko) * 2020-03-24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1189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026017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9039634A1 (ko) 영상표시장치
WO2012046928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8021885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6144044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display apparatus
WO201518286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2081803A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메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WO2017003022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8625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26651A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s and display device enabling the method
WO2017034065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359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2074189A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EP3132340A1 (en) Multi-display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output method
WO201203005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WO20160935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WO2021132757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86951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audio output method thereof
WO201819051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WO201913226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149426A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9571A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컬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108595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3090467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48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