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80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809A
KR20200075809A KR1020200075308A KR20200075308A KR20200075809A KR 20200075809 A KR20200075809 A KR 20200075809A KR 1020200075308 A KR1020200075308 A KR 1020200075308A KR 20200075308 A KR20200075308 A KR 20200075308A KR 20200075809 A KR20200075809 A KR 2020007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area
display device
displa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043B1 (ko
Inventor
나수현
김은비
우숙영
이종기
정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5387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123620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0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구동부,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컨텐츠의 크기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로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거나 말아서 넣더라도 손상되지 않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가 디스플레이 분야의 새로운 기술로 떠오를 전망이다.
현재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구현에 다양한 장애들이 존재하고 있지만, 기술개발과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와 전기영동(Electrophoretic) 등이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말아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화면 크기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에만 이용하였다. 즉, 사용시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쳐서 사용하였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말아서 보관하는 용도로만 이용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다닐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크기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렉션만을 고려하였을 뿐, 가정에 비치하여 놓고 쓰는 대형 사이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인터렉션은 전혀 고려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구동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컨텐츠의 크기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로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화면 비율을 판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판단된 화면 비율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를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일측으로 롤링이 가능한 평평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을 롤링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롤링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가 상기 UI 요소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로 표시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이벤트는 스마트 TV 기능의 구동 명령이고, 상기 제어부는, 채널 목록이 기설정된 제1 화면 크기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된 채널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제1 화면 크기보다 큰 제2 화면 크기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이벤트는,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장치에 발생한 이벤트나 상태 변경에 대한 알림 메시지의 수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가 기설정된 제1 화면 크기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장치 정보가 상기 제1 화면 크기보다 큰 제2 화면 크기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도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를 고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은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상기 컨텐츠와 무관한 UI 요소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화면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크기 정보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로 상기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컨텐츠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화면 크기를 갖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화면 비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화면 비율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방향으로 평평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롤링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의 화면 비율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도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를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5b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7 내지 도 19는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판단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구체적으로는, TV,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랩탑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 구동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평평한 상태에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진 상태에서 다시 평평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일측으로 롤링이 가능한 평평한 영역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이 롤링되면, 영상이 표시되는 메인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롤링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체 영역 중 롤링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을 롤링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롤링할 수 있는 경우, 구동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가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을 롤링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표시될 컨텐츠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컨텐츠 크기에 대응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롤링하여, 가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경우, 세로 길이는 고정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화면 비율을 판단하고, 고정된 세로 길이 및 컨텐츠의 화면 비율에 기초하여 가로 길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가로 길이를 갖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가 UI 요소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로 표시되도록 구동부(12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 표시 방법, 레이아웃 등은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UI 요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컨텐츠 자체거나, 해당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아이콘,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등 이미지, 그래픽 이미지, 동영상 등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의 크기에 적응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자동으로 가변할 수 있는바, 화상의 왜곡이나 디스플레이의 비효율적인 활용이 없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 영역이 롤링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면이 롤링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 측면이 롤링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롤링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어 롤링 상태가 되는 영역 전체를 의미한다. 도 2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체적으로 롤링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영역)이 롤링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가 부분적으로 롤링될 수 있다.
도 3과 같은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평평한 디스플레이 영역과 롤링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영상은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롤링 영역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롤링 영역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영역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롤링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의 경우보다 보다 빠르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롤링되는 롤링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본체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가로 길이만을 조정하는 것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롤링은 y축 방향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세로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다양한 화면 비를 제공하기 위하여 롤링은 x 축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최근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화 같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16:9 또는 21:9 와 같은 가로 길이가 긴 화면 비를 갖는데, 가로 길이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영상 제공에 보다 유리한 정사각형 비율(1:1)과 같은 화면비 제공이 가능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a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 구동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통신 인터페이스부(150), 음성 인식부(160), 모션 인식부(170), 센서부(180), 스피커(185), 외부 입력 포트(190-1 ~ 190-n)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한 특성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10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플랙서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모든 영역 아래에 모두 실장될 수 있으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 아래에만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 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 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을 롤링시킬 수 있는 회전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20)는 상술한 운동 부재 및 모터를 구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롤링하여, 가로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경우, 구동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가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을 롤링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롤링 영역 이외의 영상 표시 영역)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RAM(미도시), ROM(미도시), CPU(미도시), GPU(Graphic Processing Unit)(미도시), 버스(미도시)를 포함한다. RAM, ROM, CPU,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 시스템 구동 소프트웨어(Operating Software),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사용자 조작 내용에 대응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를 비롯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의 벤딩 상태 및 터치 상태를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부(180)는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벤드 센서, 압력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표면에 터치 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상태 또는 기울기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벤드 센서는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의 역할도 함께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는 압력 센서와 별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8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30)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일 예로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 및 스피커(185) 등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방송 수신 모듈(15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2), GPS 모듈(153), 무선 통신 모듈(15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151)이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DM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2)이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GPS 모듈(153)이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154)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154)은 3G(3rd Generation), 3GPP(3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50)의 각 구성 요소 중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 수행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 조작이나 터치 조작 이외에 음성 입력이나 모션 입력을 인식하여, 그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부(160) 또는 모션 인식부(17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음성 인식부(160)는 마이크(미도시)와 같은 음성 취득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 음향을 수집한 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기 설정된 음성 커맨드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태스크(task)를 수행할 수 있다.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태스크로는, 화면 크기 조절, 볼륨 조절, 채널 선택, 채널 재핑, 표시 속성 조절, 재생, 일시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선택, 장치 턴온, 턴오프 등과 같이 다양한 태스크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모션 인식부(170)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촬상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 커맨드에 대응되는 모션 제스쳐를 취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모션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화면 크기 조절, 채널 재핑, 장치 턴온, 턴오프, 일시 정지, 재생,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음소거 등과 같은 다양한 태스크가 모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음성으로 제어 가능한 태스크, 모션으로 제어 가능한 태스크 등에 대한 상술한 예들은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밖에, 외부 입력 포트 1, 2 ~ n(190-1 ~ 190-n)들은 각각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SB 포트, 헤드셋 포트, 마우스 포트, LAN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5a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40)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도 5b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OS(510), 커널(520), 미들웨어(530), 어플리케이션(5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5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5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52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5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5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5b에 따르면, 미들웨어(530)는 X11 모듈(530-1), APP 매니저(530-2), 연결 매니저(530-3), 보안 모듈(530-4), 시스템 매니저(5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530-6), UI 프레임워크(530-7), 윈도우 매니저(530-8), 필기 인식 모듈(530-9)을 포함한다.
X11 모듈(53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530-2)는 저장부(14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5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530-2)는 X11 모듈(5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5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5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5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53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5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530-7)나 서브 UI 프레임워크(5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530-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5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530-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530-9)는 서브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5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5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5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5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5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5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그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센서부(180)에서 감지된 초음파 센서 값을 기초로 사용자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산출 모듈이나, 촬상부(미도시)에서 촬상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 시선 방향을 계산하기 위한 시선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5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540-1 ~ 5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PU(230)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5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5b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14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컨텐츠의 화면 크기(또는 화면 비율)를 결정하고, 현재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화면 크기(또는 디스플레이 영역)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현재 화면 크기와 컨텐츠의 화면 크기가 상이하면,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현재의 화면 크기가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를 갖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크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신규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현재 화면 크기와 컨텐츠의 화면 크기가 동일하면,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의 가변 없이 바로 신규 컨텐츠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다. 이때, 제어부(130)는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표시될 UI 요소가 현재의 화면 크기와 상이하면, 해당 UI 요소에 대응되는 화면크기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가 갖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음성 인식, 얼굴 인식 등의 결과로 사용자 인식이 완료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이 인증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6b와 같이 사용자가 즐겨보는 컨텐츠 또는 최근에 신청한 컨텐츠를 메뉴 UI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6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로 확장되며, 예를 들어, 도 6c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630)는 가로 방향으로 확장되며, 확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4와 같이 배치되면, 좌측의 롤링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본체 내의 회전 롤러 내에 감기고, 우측의 롤링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측 본체 내의 회전 롤러 내에 감기게 된다.
도 7은 컨텐츠 재생 모드인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로,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모드를 선택하면, 도 7b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예를 들어, 21:9)를 갖도록 디스플레이 영역(720)의 크기는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면으로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사용자는 다른 채널의 정보를 궁금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채널 정보를 요청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7c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화면 크기를 더 키움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730)은 기본 컨텐츠를 표시하는 메인 영역(731)과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 영역(733)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분된 서브 영역(733)에는 도 7d와 같이 다른 채널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다른 채널 정보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내의 타 장치로부터 알림 메시지 등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해당 메시지는 서브 영역(733)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브 영역(733) 내의 다른 컨텐츠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를 갖도록 화면 크기를 가변하고, 해당 컨텐츠를 가변된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음악 재생 모드인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810)은 현재 재생 중인 음악 컨텐츠의 정보 등 간단한 UI 요소만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 목록을 요청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더욱 넓은 크기로, 재생 목록 표시를 위하여 도 8b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820)을 크기 확장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가로 방향으로 1차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820)은 현재 장치의 재생 목록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재생 목록상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 크기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가 갖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고, 도 8c와 같이 크기 확장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스마트 홈 모드인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 홈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연결된 타 단말장치 또는 홈 네트워크 내의 가전 기기 등을 제어하거나, 해당 장치들에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홈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910)은 현재 연결 가능한 타 단말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최소한의 크기로 표시한다.
사용자가 표시된 복수의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기기에 대응되는 조작 UI 요소를 도 9b와 같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930)은 도 9c와 같이 확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에 대한 정보를 대형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세로 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경우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010)은 현재 재생 중인 음악 컨텐츠의 정보 등 간단한 UI 요소만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 컨텐츠에 대한 뮤직 비디오가 보고 싶어, 음성 메시지로 이를 명령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 비율(예를 들어, 16:9)을 갖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화된 디스플레이 영역(1020)에 검색된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1010)이 하단에 롤링되어 있다가 상단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부에 롤링되어 있다가 하부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110)은 현재 재생 중인 음악 컨텐츠의 정보 등 간단한 UI 요소만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 컨텐츠에 대한 뮤직 비디오가 보고 싶어, 리모컨을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 재생 명령을 입력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 비율(예를 들어, 16:9)을 갖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화된 디스플레이 영역(1120)에 검색된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점차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확장되는 것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작아질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표시될 컨텐츠가 가변되면, 가변된 컨텐츠에 대응되게 화면 크기가 변경되고, 변경된 화면 크기에서 컨텐츠를 표시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물리적으로 그 화면 크기가 변화되기 때문에 그 가변 과정에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컨텐츠를 어떠한 형태로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는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210)은 제1 화면 크기(4:3)로 제1 컨텐츠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2 화면 크기(16:9)의 제2 컨텐츠의 재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컨텐츠의 화면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좌우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장 중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220)은 도 12b와 같이 제2 컨텐츠를 현재 화면 크기에 맞추어 표시한다. 다만,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는 제2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제2 컨텐츠의 좌측 및 우측 영역(1220a, 1220b)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이 좌우측으로 확장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도 12c와 같이 제2 컨텐츠의 화면 전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230)은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와 같은 방식은 천이 과정 중에서 중앙 영역은 지속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바, 천이 과정에서의 영상의 변동이 크기 않은 장점이 있다. 다만, 영상의 일부 영역을 표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도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확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20)은 도 13a와 같이 현재의 제1 화면 크기(4:3)에 제2 컨텐츠의 영상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컨텐츠의 화면 비율은 제1 컨텐츠의 화면 비율과 다르기 때문에, 영상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블랭크 영역(1311, 1313)이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은 좌/우측으로 확장하게 되고, 확장 속도에 대응되게 제2 컨텐츠의 화면도 동일한 비율로 확장되게 된다. 최종적으로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컨텐츠에 대응되는 비율을 갖게 되는바, 도 13b에서와 같이 천이 과정 중에 표시되는 블랭크 영역은 없어지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천이 과정 중에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는 사용자가 선택과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410)은 제1 화면 크기(4:3)로 제1 컨텐츠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2 화면 크기(16:9)의 제2 컨텐츠의 재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컨텐츠의 화면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좌우측으로 확장된다.
이와 같은 확장 중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420)은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와 전혀 무관한 그래픽 효과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표시한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이 다 확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430)은 도 14c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천이 과정을 복수개 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은 실시 예와 도 14와 같은 실시 예를 섞어, 도 15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는 중에 제2 컨텐츠를 표시하면서 동시에 그래픽 효과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면 크기의 변화 중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화면의 크기가 변동되는 시점에는 어떠한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화면 크기의 변화 중에는 영상 표시 동작을 중단하고, 화면 크기의 변경이 완료되면, 변경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특정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가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구현시에는 컨텐츠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및 타 단말장치에서의 조작 등에 대응하여서도 화면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를 가변하지 않고, 기구물을 이용하여 가변한다. 따라서, 원격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인터렉션 방법에 대해서는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6은 외부 모바일 장치에서의 조작에 대응하여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가 가변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0)를 이용하여 컨텐츠 A를 시청한다. 이때, 사용자는 컨텐츠 A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도 보고 싶어 미러링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미러링하여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0) 상의 컨텐츠의 비율을 가변하면, 도 16b, 도 16c와 같이 모바일 장치(200)에서는 가변된 비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즉, 모바일 장치(200)에서는 해당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블랭크 영역이 생성되게 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의 영상 비율이 가변됨을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화면 크기를 가변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화면 왜곡 없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도 1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0)를 이용하여 컨텐츠 A를 시청한다. 이때, 사용자는 컨텐츠 A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미러링하면,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달된 컨텐츠 및 모바일 장치(200)의 표시 방식에 대응되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7b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0)를 회전하고, 그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서의 화면 배치가 변화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7c와 같이 모바일 장치에서의 회전 비율에 대응되게 화면 크기를 가변하고, 가변된 화면 크기로 해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회전 동작뿐만 아니라, 도 17c와 같이 해당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듯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의 화면 비율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특정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단말장치(즉, 리모컨)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을 통하여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을 좌/우로 흔드는 동작을 통하여 화면을 확장할 수 있다. 반대로, 리모컨을 상/하로 흔드는 동작을 통하여 화면 축소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의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사용자는 음성을 통하여, 즉, 음성 인식 기술 또는 기등록된 모션 행위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2010). 이러한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크기를 결정하고,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변경이 필요하면(S2020-Y), 결정된 화면 크기를 갖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가변한다(S2030).
판단 결과, 변경이 필요하지 않거나, 변경이 진행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2040)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컨텐츠의 크기에 적응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자동으로 가변할 수 있는바, 화상의 왜곡이나 디스플레이의 비효율적인 활용이 없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용자 환경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판단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2110).
해당 기능이 수행되면,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212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내의 가전 기기들)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2130)
그리고 수집된 데이터에서 주요 수치를 추출해(S2140) 미리 정해진 기준 값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변환할 수 있다(S2150). 예를 들어, 온도나 정보의 성격에 따라 따뜻하고 온화한 적색계열과 차갑고 중성적인 청색계열 사이에서 정해진 기준값에 대응되는 색상값을 대입할 수 있다. 또는 수치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정해진 기준값에 대응되는 효과를 대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도 14b 및 도 15b와 관련하여 설명한 그래픽 효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S2210).
해당 기능이 수행되면,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2220).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화면 비(또는 화면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S2230).
그리고 수집된 화면 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기준값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변환할 수 있다(S2250). 구체적으로, 화면이 정지해 있거나, 확장중일 경우, 그에 따라 그래픽 모션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화면의 크기 변환 또는 비율 변화에 따라 그래픽의 개체수 및 크기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120: 구동부 130: 제어부

Claims (11)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롤링 또는 언롤링하는 롤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제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된 영역을 축소시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 보다 작은 제2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컨텐츠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상기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지 않은 영역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컨텐츠의 종횡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연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구동되는 모터;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이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갖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영역 상에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롤링 또는 언롤링하는 롤러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된 영역을 축소시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보다 작은 제2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컨텐츠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상기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지 않은 영역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컨텐츠의 종횡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제1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연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모터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이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갖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 상에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롤링 또는 언롤링하는 롤러;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된 영역을 축소시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보다 작은 제2 영역이 상기 본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컨텐츠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상기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75308A 2015-04-16 2020-06-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2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308A KR102420043B1 (ko) 2015-04-16 2020-06-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75A KR20160123620A (ko) 2015-04-16 2015-04-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00075308A KR102420043B1 (ko) 2015-04-16 2020-06-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75A Division KR20160123620A (ko) 2015-04-16 2015-04-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809A true KR20200075809A (ko) 2020-06-26
KR102420043B1 KR102420043B1 (ko) 2022-07-13

Family

ID=8240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308A KR102420043B1 (ko) 2015-04-16 2020-06-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043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172B1 (ko) * 2020-11-06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035727A (zh) * 2021-11-04 2022-02-11 河北雄安三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日历系统及其显示方法
US11282167B1 (en) 2020-11-06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22103174A1 (ko) * 2020-11-11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영역이 가변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앱 아이콘을 이용하여 화면 비율을 가변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WO2022114584A1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WO2022119346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143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확장 방법
WO2023017938A1 (ko) * 2021-08-11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90467A1 (ko) * 2021-11-16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01163A1 (ko) * 2021-11-30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러링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3106463A1 (ko) * 2021-12-10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06432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77071A1 (ko) * 2022-03-17 2023-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204609A1 (ko) * 2022-04-19 2023-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형태를 변경하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93303B2 (en) 2021-11-30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irroring
WO2024043439A1 (ko) * 2022-08-24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11960697B2 (en) 2021-08-10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US11996021B2 (en) 2020-11-20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display and content provision method
US12014105B2 (en) 2021-06-10 2024-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2111698B1 (en) 2023-03-19 2024-10-0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automatic translation when operating as a controller for another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162A (ko) * 2006-01-06 2008-02-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및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144029A (ko) * 2013-06-10 201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162A (ko) * 2006-01-06 2008-02-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및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144029A (ko) * 2013-06-10 201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172B1 (ko) * 2020-11-06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282167B1 (en) 2020-11-06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22097860A1 (en) * 2020-11-06 202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22103174A1 (ko) * 2020-11-11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영역이 가변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앱 아이콘을 이용하여 화면 비율을 가변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US11996021B2 (en) 2020-11-20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display and content provision method
WO2022114584A1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US12026339B2 (en) 2020-11-25 2024-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in electronic device
WO2022119346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143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확장 방법
US12014105B2 (en) 2021-06-10 2024-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960697B2 (en) 2021-08-10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WO2023017938A1 (ko) * 2021-08-11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90070B2 (en) 2021-08-11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4035727A (zh) * 2021-11-04 2022-02-11 河北雄安三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日历系统及其显示方法
WO2023090467A1 (ko) * 2021-11-16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01163A1 (ko) * 2021-11-30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러링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1893303B2 (en) 2021-11-30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irroring
WO2023106432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06463A1 (ko) * 2021-12-10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77071A1 (ko) * 2022-03-17 2023-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204609A1 (ko) * 2022-04-19 2023-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형태를 변경하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43439A1 (ko) * 2022-08-24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12111698B1 (en) 2023-03-19 2024-10-0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automatic translation when operating as a controller for another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043B1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0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17491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82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348504B2 (en) Multi-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293146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JP2015535974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方法
US201601918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W201643661A (zh)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329124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17474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040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1634B1 (ko) 사용자 단말장치, 음향 시스템 및 외부 스피커의 음량 제어 방법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KR1022690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