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283A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9283A KR20210119283A KR1020210001060A KR20210001060A KR20210119283A KR 20210119283 A KR20210119283 A KR 20210119283A KR 1020210001060 A KR1020210001060 A KR 1020210001060A KR 20210001060 A KR20210001060 A KR 20210001060A KR 20210119283 A KR20210119283 A KR 202101192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external device
- audio
- information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2618 wa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 장치는, 오디오 출력부; 롤러블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웨이크업 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장치의 태깅 입력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에서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라고 불리어지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롤러블 디스플레이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함으로써 휘어지거나 굽힐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을 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모듈 속에 말려들어가 있고 사용자가 시청하려고 할 때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모듈로부터 인출되어 나와 펼쳐짐으로써 공간 활용 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컨텐츠 미러링 기술 또는 컨텐츠 스트리밍 기술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출력 기능을 구비한 두 장치 간에 하나의 장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그대로 다른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다른 장치에서 동일하게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컨텐츠 미러링 기술은 통상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비교적 작은 화면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를 보다 큰 화면에서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미러링 하기를 원할 수 있다.
컨텐츠 미러링은 오디오 컨텐츠를 공유하는 사운드 미러링 이나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공유하는 스크린 미러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미러링인 경우에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다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스크린 미러링인 경우에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다른 전자 장치에서 공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미러링의 경우에는 오디오 컨텐츠의 공유만이 요구되므로 오디오 컨텐츠를 전달받는 전자 장치에서 비디오 출력부를 동작시킬 필요성이 없다. 특히,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모듈에 인입되어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어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는 수 초에서 수십 초가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운드 미러링을 위해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모듈에 인입되어 있는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를 이용한 태깅 입력에 따라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자동으로 외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공유하려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전자 장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나 오디오 출력부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오디오 출력부; 롤러블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웨이크업 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해서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해서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오디오 컨텐츠,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하나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클로우즈드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클로우즈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부분 인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부분 인출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부분 인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부분적으로 인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상기 부분적으로 인출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인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전체 인출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전체 인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 인출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에 따라서 상기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화면비가 제1화면비 (16:9) 또는 제2화면비 (21:9) 가 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태깅 입력 수신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트리즌 (boot reason)을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NFC 통신 모듈 또는 BLE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NFC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태깅 입력을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상기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NFC 통신 모듈 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한 NFC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태깅 입력을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상기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NFC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한 상기 NFC 모듈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컨텐츠에 대한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BLE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을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BLE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의 가속도 센서 값에 기반하여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을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상기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 인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지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인 경우,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통신부에 의해 웨이크업 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방법에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NFC 태깅 기술,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무선 태깅 기술, 또는 무선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한 무선 태깅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저전력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단순히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에 태깅하는 동작만으로 외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에 공유하여 전자 장치에서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컨텐츠를 출력하는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에 태깅하는 동작 만으로 외부 장치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전자 장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부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공유할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전체 인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클로우즈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전체 인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기기를 근접시켰다 멀리 하게 하는 태깅 동작에 의해 변화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무선 태깅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공유할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전체 인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클로우즈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전체 인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기기를 근접시켰다 멀리 하게 하는 태깅 동작에 의해 변화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무선 태깅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팅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와인딩/언와인딩 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과 와인딩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하우징 모듈 19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의 대기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와인딩되어 하우징 모듈 190에 안착되어 있고, 전자 장치 100에 파워 온 입력이 수신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언와인딩되어 하우징 모듈 190으로부터 인출되고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이 모두 인출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의 표시 영역이 모두 하우징 모듈 190 바깥으로 나타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을 통해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렉서블 유리 기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판은 PI (polyimid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C (polycarbonate), PEN (polyethylenapthanate), PNB (polynorborneen), PES (polyethersulfone) 및 COP(cyclic olefin polym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하우징 모듈 190에 내재된 롤러부에 의해 와인딩되어 하우징 모듈 190 내부에 삽입되거나, 롤러부에 의해 언와인딩되어 하우징 모듈 19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하우징 모듈 190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을 안착시키기 위한 하우징 프레임과 하우징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프레임은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롤러부를 지지할 수 있고, 하우징 커버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이 출입하는 패널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는 하우징 모듈 190에 설치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시킨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언와인딩 동작에 따라 하우징 모듈 190로부터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하우징 모듈 190에 안착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이 언와인딩 되어 하우징 모듈 190로부터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지기 까지는 통상 수 초 에서 수십 초가 걸릴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가 하우징 모듈 190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지는 정도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가 오디오 컨텐츠 만을 출력하는 경우에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는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10A).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가 비디오 컨텐츠 출력 없이 오디오 정보 만을 출력하는 경우에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크기 만큼 인출될 수 있다(10B).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가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는 완전히 인출될 수 있다(10C).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가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에도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에 따라 인출되는 정도가 다르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는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가 16:9인 경우에 16:9 화면비를 제공할 수 있는 크기 만큼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는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가 21:9 인 경우에 21:9 화면비를 제공할 수 있는 크기 만큼 인출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장치 20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외부 장치는 200는 셀룰러 전화기, 스마트 폰, 시계, 손목 디스플레이, 개인용 또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 (PDA),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넷북, 울트라 북, 팜탑 컴퓨터, 무선 전자 메일 수신기, 멀티미디어 인터넷 인에이블드 셀룰러 전화기, 무선 게이밍 제어기, 및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및 회로를 포함하는 다른 유사한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200는, 전자 장치, 컴퓨팅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지만, 전자 장치 100와의 구별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주로 외부 장치로 지칭하기로 한다.
외부 장치 200는 다양한 컨텐츠 공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 100는 수신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 200가 음악 등의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동안 컨텐츠 공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가, 출력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하면, 전자 장치 100는 외부 장치 200에 의해 공유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 200가 영화 등의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동안 컨텐츠 공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가, 출력되는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하면, 전자 장치 100는 외부 장치 200에 의해 공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컨텐츠 공유 기술은 외부 장치 200의 디스플레이 표시되는 화면 컨텐츠를 직접 전자 장치 100에 전송하여 전자 장치 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하는 방법과 외부 장치 1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의 URL을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하면 전자 장치 100가 수신된 컨텐츠의 URL을 이용하여 직접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컨텐츠 공유 기술은, 컨텐츠 미러링 기술 또는 컨텐츠 스트리밍 기술로 언급될 수도 있다. 상용화된 컨텐츠 공유 기술은, 미라캐스트 (Miracast®), 크롬캐스트 (Chromecast®) 등이 있다.
다양한 컨텐츠 공유 기술에 의해 공유되는 컨텐츠는 사진 등과 같은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츠, 음악 등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 영화 등과 같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태깅 입력 수신에 따라 외부 장치 200에 의해서 출력되는 오디오 컨텐츠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컨텐츠 공유 기술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 수신된 태깅 입력에 따라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100에서 출력될 컨텐츠의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모드는 전자 장치 100에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모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서, 오디오 컨테츠를 출력하는 클로우즈드 모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부분적으로 인출 제어하여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부분 인출 모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적으로 인출 제어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전체 인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 동작되는 클로우즈드 모드에서 전자 장치 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없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음악 등의 오디오 컨텐츠를 감상하다가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에 태깅 입력 동작을 하면, 전자 장치 100는 태깅 입력 동작을 통해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 100는 이와 같이 공유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임을 식별함에 따라, 공유되는 컨텐츠의 출력에 디스플레이는 요구되지 않으므로, 전자 장치 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공유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상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에는 수 초 내지 수십 초가 소요되므로, 공유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필요 없는 오디오 컨텐츠를 미리 확인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를 방지함으로써 무용하게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디오 컨텐츠의 공유를 보다 신속하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 동작되는 부분 인출 모드에서 전자 장치 100는,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는데 요구되는 크기 만큼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인출하여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고, 오디오 컨텐츠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음악 등의 오디오 컨텐츠를 감상하다가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에 태깅 입력 동작을 하면, 전자 장치 100는 태깅 입력 동작을 통해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전자 장치 100가 공유되는 오디오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노래 제목, 가사, 가수, 앨범 커버 이미지 등의 메타 정보를 포함하여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오디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정도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 100는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크기 만큼의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오디오 컨텐츠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인 전체 인출 모드에서 전자 장치 100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인출을 제어하고 오디오 컨텐츠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영화 등의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감상하다가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에 태깅 입력 동작을 하면, 전자 장치 100는 태깅 입력 동작을 통해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임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 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인출 제어하고, 전체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비디오 컨텐츠를 표시하고, 오디오 컨텐츠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될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인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인지 등의 컨텐츠 타입은 컨텐츠 식별 정보 나 컨텐츠 실행이나 재생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통해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컨텐츠 식별 정보나 컨텐츠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전자장치 100의 대기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태깅 입력에 의해 전자 장치 100는 웨이크업 되어 외부 장치 200에 의해서 출력되는 오디오 컨텐츠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컨텐츠 공유 기술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전자 장치 100의 대기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와 같은 통신 모듈에 의해 태깅 입력이 감지되면,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 100의 제어부를 웨이크업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 100를 대기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노말 모드로 천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전자 장치 100의 제어부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될 컨텐츠의 출력을 위해 요구되는 전자 장치 100의 콤포넌트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동작시키고, 공유될 컨텐츠의 출력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 콤포넌트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될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동작은 필요 없으므로, 전자 장치 100의 제어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다양한 통신 모듈 및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NFC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복수개의 NFC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BLE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BLE 통신 모듈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100, 전자 장치 100와 컨텐츠를 공유를 위해 통신하는 외부 장치 200, 상기 전자 장치 100와 외부 장치 200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외부 장치 200는 공유될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라는 의미에서 소오스 장치로, 전자 장치 100는 공유될 컨텐츠를 수신하는 장치라는 의미에서 싱크 장치로 언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 통신부 120, 오디오 출력부 130, 메모리 140, 프로세서 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는 포괄적으로 제어부로 언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00는 컴퓨팅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는 프로세서 15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나 비디오,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하우징 모듈 190에 내재된 롤러부에 의해 와인딩되어 하우징 모듈 190 내부에 삽입되거나, 롤러부에 의해 언와인딩되어 하우징 모듈 19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와인딩되어 하우징 모듈 190에 안착될 수 있고, 파워 온 입력 등에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은 언와인딩 되어 하우징 모듈 190로부터 인출되어 세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는 프로세서 150의 제어에 의해 하우징 모듈 190로부터 인출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인출되어, 컨텐츠 공유를 위해 외부 장치 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인출되어, 컨텐츠 공유를 위해 외부 장치 10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 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규정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 120는 전자 장치 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장치 100와 다른 전자 장치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위한 태깅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깅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NFC 통신 모듈 또는 BT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깅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 100의 대기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도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태깅 입력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슬립 (저전력)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하고, 웨이크업된 프로세서 150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외부 장치로부터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될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될 컨텐츠 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면 어떠한 형태의 통신 모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부 120는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BT 통신 모듈 또는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 수신에 따라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태깅 입력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트리즌 (boot reason)을 웨이크업된 프로세서 15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NFC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또는 BLE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NFC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태깅 입력을 통해서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태깅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하고, 웨이크업된 프로세서 150로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복수의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NFC 통신 모듈 중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한 NFC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태깅 입력을 통해서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하고, 웨이크업된 프로세서로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 120는 복수의 NFC 통신 모듈 중에서 태깅 입력을 수신한 NFC 모듈을 식별하는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서로 하여금 어떤 NFC 모듈이 웨이크업 했는지 또는 태깅 입력을 수신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BLE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태깅 입력을 통해서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태깅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하고, 웨이크업된 프로세서로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BLE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의 가속도 센서 값에 기반하여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태깅 입력을 통해서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태깅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하고, 웨이크업된 프로세서로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130는 프로세서 150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오디오 출력부 130는 전자 장치 100 내부에 포함되어 있지만, 다른 예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부 130는 외부에 배치되어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전자 장치 100에서 처리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연결된 외부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 130는 프로세서 15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공유를 위해 외부 장치 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40는 전자 장치 100로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 프로세서 15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40는 프로세서 15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전자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구동 프로세서를 제어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가 하우징 모듈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출력부 130을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를 제어하여 필요한 정보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통신부 120에 의해 웨이크업 되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통신부 120로부터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가 인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롤러블 디스플레이 100 또는 오디오 출력부 1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 또는 오디오 출력부 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해서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해서 컨텐츠의 종류를 오디오 컨텐츠,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하나로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컨텐츠 출력 모드를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의 인출 제어 없이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클로우즈드 모드로 결정하고, 클로우즈드 모드 결정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 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컨텐츠 출력 모드를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부분 인출 상태에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부분 인출 모드로 결정하고, 부분 인출 모드 결정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가 부분적으로 인출되도록 제어하고, 오디오 정보를 상기 부분적으로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도록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를 제어하고,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오디오 출력부 130에 의해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부 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인출 상태에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전체 인출 모드로 결정하고, 전체 인출 모드 결정에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 인출 제어하고,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에 따라서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화면비가 제1화면비 (16:9) 또는 제2화면비 (21:9) 가 되도록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 200는 디스플레이 210, 통신부 220, 오디오 출력부 230, 메모리 240, 프로세서 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외부 장치 200는 또한 컴퓨팅 장치, 모바일 장치, 전자 장치로 명명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210는 프로세서 25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나 비디오,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 2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규정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 220는 외부 장치 2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외부 장치 200와 다른 전자 장치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220는 전자 장치 100로 컨텐츠 공유를 위한 태깅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깅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NFC 통신 모듈 또는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깅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태깅 입력을 통해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220는 전자 장치 100로 공유될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될 컨텐츠 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면 어떠한 형태의 통신 모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부 220는 오디오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BT 통신 모듈 또는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230는 프로세서 250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오디오 출력부 230는 외부 장치 200 내부에 포함되어 있지만, 다른 예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부 230는 외부에 배치되어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250는 외부 장치 200에서 처리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연결된 외부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240는 외부 장치 200로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 프로세서 25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240는 프로세서 25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250는 외부 장치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250는 디스플레이 21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250는 오디오 출력부 230을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 250는 메모리 240를 제어하여 필요한 정보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 250는 메모리 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서에 개시된 컨텐츠 공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250는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에 태깅시키는 동작에 따라서 태깅 입력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 포맷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 250는 외부 장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정보,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C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NFC 데이터가 전자 장치 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NFC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와 BLE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 250는 외부 장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정보, 가속도 센서 값,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이 전자 장치 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BLE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 250는 외부 장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정보, 무선 신호 세기 정보,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이 전자 장치 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BLE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 비디오 처리부 115, 통신부 120, 오디오 출력부 130, 오디오 처리부 135, 메모리 140, 프로세서 150, 감지부 160, 입출력부 170, 전원관리부 180, 센싱 모듈 18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0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진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진 구성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디오 처리부 112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110에 의해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렌더링,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방송 수신 모듈 121, 이동통신 모듈 122, 무선 인터넷 모듈 123 및 근거리 통신 모듈 12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 12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 12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 12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 123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은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 특히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은 무선 태깅을 이용한 태깅 입력에서 외부 장치 100의 와이파이 무선 신호 세기 정보에 따라서 태깅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 12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124는 NFC 통신 모듈 125, BLE 통신 모듈 126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124에 포함된 NFC 통신 모듈 125, BLE 통신 모듈 126 이나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은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서도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원관리부 180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을 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125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관련된 초단거리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기술(very short-range contactless data transfer technology)을 이용하여, 10cm이내(바람직하게는 4c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기술을 채택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리더(reader) 모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card emulation mode), 피어 투 피어 (peer to peer)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NFC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125는 NFC 통신 범위(NFC communication range) 내에서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과 태깅(tagging)을 통하여, NFC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125는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과 다양한 모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모드는, 카드 에뮬레이션 (card emulation) 모드, 리더 (reader) 모드,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125이 리더 모드(reader mode)로 동작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은 리더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은 에뮬레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이 상기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과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은 서로 데이터를 교환(exchange)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의 모드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통신 모듈 135의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라 세팅(sett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NFC 통신 모듈 125는 외부 장치 200의 태깅 입력을 통해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로부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공유할 컨텐츠의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NFC 통신 모듈 125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 수신함에 따라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NFC 통신 모듈 125는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된 프로세서 15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외부 장치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 100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이 공유할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상대방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전자 장치 100가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된 컨텐츠를 어떻게 출력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126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이 있는 경우에 외부 장치 200의 BLE 통신 모듈 226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BLE 통신 모듈 126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에 따라서 외부 장치 200의 BLE 통신 모듈 226로부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126은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 수신함에 따라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BLE 통신 모듈 126은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된 프로세서 15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은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 227으로부터 공유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될 컨텐츠는, 오디오 컨텐츠 또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130는 프로세서 15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 120 또는 입/출력부 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컨텐츠, 메모리 140에 저장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130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 13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결정한 경우에, 프로세서 15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 120로부터 수신된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 13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 13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감지부 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로폰 161, 카메라 162, 및 광 수신부 16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 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15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1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 163는, 원격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광 수신부 163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 15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 170는 프로세서 15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 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 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 170는 HDMI 포트 171, 컴포넌트 잭 172, PC 포트 173), 및 USB 포트 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 180은 전자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의 전원 제어 및 전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가 노말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전원관리부 180은 전자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각 구성요소가 동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가 대기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전원관리부 180은 전자 장치 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소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대기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전원관리부 180는 프로세서 150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의 대기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도 통신부 120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태깅 입력 감지에 따라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이크업 동작에 의해 전원관리부 180는 프로세서 15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 모듈 185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싱 모듈 185은,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위치 센서(예컨대, GPS),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압 센서, 온/습도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 모듈 185은 가속도/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자이로 센서는 BLE 통신 모듈 126과 함께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그 입력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자이로 센서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접촉이나 충격이 있는 경우 센서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센서값을 BLE 통신 모듈 126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140는, 프로세서 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 1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 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40는 전자 장치 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은 본 개시서에 설명된 컨텐츠 공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여러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외부 장치 200는 디스플레이 210, 비디오 처리부 215, 통신부 220, 오디오 출력부 230, 오디오 처리부 235, 메모리 240, 프로세서 250, 감지부 260, 입출력부 270, 전원관리부 280, 센싱 모듈 28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외부 장치 200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진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외부 장치 2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진 구성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외부 장치 200는 전자 장치, 컴퓨팅 장치, 휴대 단말 장치로 명명될 수 있으며, 다만, 전자 장치 100와 구별되기 위해 외부 장치 200 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기로 한다. 외부 장치 200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 215는 디스플레이 210에 의해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렌더링,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부 220는 방송 수신 모듈 21, 이동통신 모듈 222, 무선 인터넷 모듈 223 및 근거리 통신 모듈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 22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 22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 22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 223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 228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 228은 전자 장치 100와 공유할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전자 장치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 22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224는 NFC 통신 모듈 225, BLE 통신 모듈 226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22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225은 NFC 통신 범위(NFC communication range) 내에서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과 태깅(tagging)을 통하여, NFC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NFC 통신 모듈 225는 전자 장치 100로의 태깅 입력을 통해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로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공유할 컨텐츠의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통신 모듈 225는 태깅 입력시 외부 장치 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 250를 통해 획득하고, 이와 같이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226는 외부 장치 200의 태깅 동작을 통해 태깅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태깅 입력을 통해 BLE 통신 모듈 226은 전자 장치 100의 BLE 통신 모듈 126으로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226은 가속도 센서 값을 이용하여 태깅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무선 신호의 신호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태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모듈 227은 전자 장치 100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6로 공유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될 컨텐츠는, 오디오 컨텐츠 또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230는 프로세서 25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 220 또는 메모리 240에 저장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230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 23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 13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감지부 2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로폰 261, 카메라 262, 및 광 수신부 26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2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로폰 2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25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2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 263는, 원격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광 수신부 263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 25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 270는 프로세서 25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 2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 2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272), PC 포트(PC port, 273), 및 USB 포트(USB port, 2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 270는 HDMI 포트 271, 컴포넌트 잭 272, PC 포트 273), 및 USB 포트 2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 280은 외부 장치 200의 각 구성요소의 전원 제어 및 전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 모듈 285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외부 장치 2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싱 모듈 285은,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위치 센서(예컨대, GPS),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압 센서, 온/습도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 모듈 285은 가속도/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자이로 센서는 BLE 통신 모듈 226과 함께 전자 장치 100로 태깅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자이로 센서는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로 접촉시키거나 근접시키는 동작에 의해 검출된 센서 값을 BLE 통신 모듈 226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240는, 프로세서 2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 장치 200로 입력되거나 외부 장치 2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240는 외부 장치 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2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5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은 본 개시서에 설명된 컨텐츠 공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여러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24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전자 장치 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저전력 상태를 유지하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도 전원공급이 유지되어 활성화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에 의해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NFC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에 설치된 NFC 태그에 근접시키거나 또는 접촉시키면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과 통신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의 NFC 태그 ID, 외부 장치 100의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태깅 입력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태깅 입력에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태깅 입력을 통해 외부 장치 200의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외부 장치 200에 의해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 200에 의해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공유될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공유될 컨텐츠를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의 식별자 또는 컨텐츠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은 웨이크업된 프로세서로 외부 장치 200의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외부 장치 200에 의해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공유될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공유될 컨텐츠를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컨텐츠 파일 확장자 등을 이용하여 공유될 컨텐츠의 타입이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의 타입이나 종류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인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인지 또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 식별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의 타입이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식별 정보가 오디오 컨텐츠 또는 비디오 컨텐츠 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이를 근거로 컨텐츠의 타입이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를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의 타입이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가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경우, 공유될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의 파일 확장자를 토대로 컨텐츠의 타입이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파일 식별자가 오디오 컨텐츠 또는 비디오 컨텐츠 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이를 근거로 컨텐츠의 타입이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판단된 컨텐츠의 타입이나 종류에 기반하여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모드는 클로우즈드 모드, 부분 인출 모드, 전체 인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라고 판단한 경우,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에 이용되는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비디오 컨텐츠를 표시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클로우즈드 모드를 컨텐츠 출력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에 이용되는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크기 만큼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부분 인출하도록 제어하는 부분 인출 모드를 컨텐츠 출력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에 이용되는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비디오 컨텐츠를 표시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 인출하도록 제어하는 전체 인출 모드를 컨텐츠 출력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전체 인출 모드의 경우에도 프로세서는 공유될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를 고려하여 화면비에 적절하도록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를 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전자 장치 100는, 결정된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프로세서는 태깅 입력을 통해서 수신된 외부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될 컨텐츠를 받아올 상대방 외부 장치를 식별하고,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 20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어하고, 연결된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될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될 컨텐츠의 종류나 타입에 따라서 해당 공유 컨텐츠의 송수신 대역폭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므로,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프로세서는 컨텐츠의 종류나 타입에 따라서 공유 컨텐츠의 수신을 담당할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인 경우, 공유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 공유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공유될 컨텐츠를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우즈드 모드의 경우 프로세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가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인출 모드의 경우 프로세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부분 인출을 제어하고 부분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오디오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가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인출 모드의 경우 프로세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인출을 제어하고 전체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비디오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가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제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 100에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공유할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프로세서 150는 슬립 상태 (동작 605)에 있을 수 있고, 통신부 120는 활성화 상태 (동작 610)에 있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모드 상태는 전자 장치 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전자 장치 100는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면서 사용자로부터의 파워 온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 100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도 외부 장치 200의 태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태깅 입력을 감지하는데 이용되는 통신부 120는 전원공급이 유지되어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통신부 120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태깅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통신 모듈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지만, 그외 다른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50과 마찬가지로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전자 장치 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 있는 동안 전자 장치 100의 통신부 12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태깅 입력은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에 접촉시키거나 근처에 갖다대거나 하는 등의 동작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장치 200의 태깅 입력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감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FC 통신 모듈 이나 BT 통신 모듈 등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태깅 입력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 200는 컨텐츠를 실행하여 출력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음악 등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영화 등과 같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다가 보다 오디오 성능이 좋은 전자 장치 10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고 싶거나 또는 외부 장치 200를 통하여 듣는 음악을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음악 재생 중의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에 태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 장치 200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다가 대형 화면에서 영화를 감상하고 싶을 때 또는 감상중인 영화를 다른 사용자들과도 편하게 공유하고 싶을 때 외부 장치 200를 대기 모드에 있는 전자 장치 100에 태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지 간단하고 단순한 외부 장치를 이용한 태깅 동작 만으로 본 개시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 장치 200에 의해 출력되는 컨텐츠가 전자 장치 100에 의해 공유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컨텐츠 공유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태깅 동작은 전자 장치 100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도 인식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컨텐츠 공유를 위해 대기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 100를 미리 파워 온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 100의 통신부 120는 태깅 입력 동작을 통해서 또는 태깅 입력의 후속 동작을 통해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는, 외부 장치의 식별자, 외부 장치의 주소 정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현재 외부 장치 200에서 출력되며 전자 장치 100와 공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컨텐츠 식별 정보, 컨텐츠 파일명이나 컨텐츠의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25에서, 전자 장치 100의 통신부 120는 외부 장치 100로부터의 태깅 입력 감지에 따라서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120는 프로세서 150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를 깨울 수 있다.
동작 630에서, 프로세서 150는 통신부 120의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활성화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동작 635에서, 활성화 상태로 천이한 프로세서 150는 왜 자신을 깨웠는지를 문의하기 위해 통신부 120로 부트리즌 (boot reason)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통신부 120는 프로세서 150의 부트리즌 요청에 따라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 15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작업에 대한 코드 예를 들어, 컨텐츠 공유 작업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와 같은 정보와 함께 전달됨으로써 프로세서 150로 하여금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645에서, 프로세서 150는 통신부 120로부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은 A 로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전체 인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5에서, 전자 장치 100의 프로세서 150는 통신부 120로부터 수신된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 인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인지 또는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 동작 B로 진행하고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 동작 C로 진행하고,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 경우 동작 7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식별 정보에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파일 확장자에 기반하여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파일 확장자에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파일 확장자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음악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 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영화나 동영상 제공 어플리케이션 인 경우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임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가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라고 판단하여 동작 710으로 진행하면, 동작 710에서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전체 인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와 비디오 컨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비디오 컨텐츠의 출력을 위해 대기 모드에서 하우징 모듈에 와이딩된 상태로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인출할 수 있도록, 컨텐츠 출력 모드를 전체 인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전체 인출 모드는 비디오 컨텐츠의 출력을 위해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을 위해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715에서,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전체 인출 모드로 결정함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 인출 제어하고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출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동작 725에서, 프로세서 15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 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과 함께,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모듈에서 전체 인출되도록 롤러블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통신부 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에 이용될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가 영화와 같이 데이터 요구량이 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의 경우에 이와 같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동작 735에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을 담당할 통신 모듈로 외부 장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식별 정보는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외부 장치의 통신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이 와이파이 통신 모듈인 경우, 이러한 외부 장치의 통신 주소는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통신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40에서,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50로부터 전달받은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50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통신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통신 모듈과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동작 745에서, 통신 연결 수립 후 전자 장치 100의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할 컨텐츠인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750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컨텐츠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755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비디오 컨텐츠를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전체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760에서 오디오 출력부는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고 동작 765에서 전체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에 맞추어 인출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화면비가 16:9 인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16:9 화면비를 가지는 표시 영역이 되도록 인출 정도가 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컨텐츠 화면비가 21:9 인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21:9 화면비를 가지는 표시 영역이 되도록 인출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공유할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에 대한 정보는 태깅 입력을 통해 수신될 수 있거나 또는 실제로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안 획득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클로우즈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705에서, 전자 장치 100의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 라고 판단하여 동작 805로 진행하면, 동작 805에서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클로우즈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하면, 비디오 컨텐츠의 출력은 요구되지 않으므로, 대기 모드에서 하우징 모듈에 와이딩된 상태로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는 수행하지 않도록, 컨텐츠 출력 모드를 클로우즈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클로우즈드 모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는 없이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을 위해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810에서,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클로우즈드 모드로 결정함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 인출 제어 없이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출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통신부 120의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에 이용될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가 음악과 데이터 요구량이 비교적 크지 않은 오디오 컨텐츠의 경우에 이와 같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동작 825에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을 담당할 통신 모듈로 외부 장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식별 정보는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외부 장치의 통신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경우, 이러한 외부 장치의 통신 주소는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50로부터 전달받은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50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동작 835에서, 통신 연결 수립 후 전자 장치 100의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할 컨텐츠인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컨텐츠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845에서 오디오 출력부는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유할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인 경우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바로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여 오디오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면 되므로 무용하게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을 제어하는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전체 인출 모드에 따른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705에서, 전자 장치 100의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라고 판단하여 동작 905으로 진행하면,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부분 인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인 것으로 판단하면 오디오 정보의 출력을 위해 대기 모드에서 하우징 모듈에 와이딩된 상태로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부분 인출할 수 있도록, 컨텐츠 출력 모드를 부분 인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부분 인출 모드는 오디오 정보의 출력을 위해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부분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을 위해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910에서, 프로세서 150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부분 인출 모드로 결정함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부분 인출 제어하고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915에서,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출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오디오 출력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 15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부분 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과 함께,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모듈에서 부분 인출되도록 롤러블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기에 충분한 크기 만큼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롤러블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 925에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통신부 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에 이용될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가 음악과 같이 데이터 요구량이 크지 않은 오디오 컨텐츠의 경우에 이와 같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오디오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할 컨텐츠의 수신을 담당할 통신 모듈로 외부 장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식별 정보는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외부 장치의 통신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경우, 이러한 외부 장치의 통신 주소는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35에서,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50로부터 전달받은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150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통신 연결 수립 후 전자 장치 100의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할 컨텐츠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45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컨텐츠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정보를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부분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955에서 오디오 출력부는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고 동작 960에서 전체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외부 장치 200는 각각 NFC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에 근접시키거나 접촉시키는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과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은 NFC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NFC 통신 링크에 의해 전자 장치 10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장치 200가 전자 장치 100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동작에 의해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와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는 NFC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①)
형성된 NFC 통신 링크를 통해서 NFC 리더 (reader) 로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는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로부터 NFC 표준에서 정의된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형식의 NFC 태그 데이터 1000을 읽어들일 수 있다. (②)
NFC 태그 데이터 1000은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010, 통신 연결 정보 1020,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010는 외부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연결 정보 1020외부 장치 200에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연결 정보 10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ID,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 또는 그외 다른 통신을 위한 통신 ID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03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030는 컨텐츠 식별 정보, 컨텐츠 파일명, 컨텐츠의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125은 수신된 NFC 태그 데이터 1000로부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010, 통신 연결 정보 1020,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030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NFC 통신 모듈 125은 태깅 입력에 따라, 태깅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해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③)
이와 같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 150는 슬립상태에서 깨어나 웨이크업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NFC 통신 모듈 125로 부트 리즌 (boot reason)을 요청할 수 있다. (④)
프로세서 150로부터 부트 리즌 요청을 수신한 NFC 통신 모듈 125은 NFC 태그 데이터 1000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부트 리즌을 프로세서 150로 제공할 수 있다. (⑤) 부트 리즌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정보,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 리즌은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 컨텐츠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 리즌을 수신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및 오디오 출력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의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통신 모듈이 공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⑥)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부트리즌에 포함된 정보 중 통신 연결 정보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로 제공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은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부트리즌에 포함된 정보 중 통신 연결 정보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를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로 제공하고,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은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외부 장치 200는 각각 NFC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에 근접시키거나 접촉시키는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과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은 NFC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NFC 통신 링크에 의해 전자 장치 100는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가 도 10에 도시된 예와 다른 점은, 도 11의 경우에 전자 장치 100에 복수의 NFC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외부 장치 200가 복수의 NFC 통신 모듈중 어느 NFC 통신 모듈에서 태깅 입력이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공유할 컨텐츠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에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제1 NFC 통신 모듈과 제2 NFC 통신 모듈을 각각 구비하고, 예를 들어 외부 장치 200가 제1 NFC 통신 모듈에 태깅 입력을 수행하였으면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것으로 결정하고, 외부 장치 200가 제 2 NFC 통신 모듈에 태깅 입력을 수행하였으면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NR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의 타입을 결정하게 되므로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NFC 메타데이터에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없게 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는 제NFC 통신 모듈 125 외에 제2NFC 통신 모듈 12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외부 장치 200가 전자 장치 100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동작에 의해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와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는 NFC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①)
형성된 NFC 통신 링크를 통해서 NFC 리더 (reader) 로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 100의 NFC 통신 모듈 125는 외부 장치 200의 NFC 통신 모듈 225로부터 NFC 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②)
도 11에 도시된 NFC 태그 데이터 1100은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110, 통신 연결 정보 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NFC 태그 데이터 1000과 달리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110는 외부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연결 정보 1120외부 장치 200에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연결 정보 11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ID,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 또는 그 외 다른 통신을 위한 통신 ID를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125은 수신된 NFC 태그 데이터 1100로부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110, 통신 연결 정보 1120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NFC 통신 모듈 125은 태깅 입력에 따라, 태깅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해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③)
이와 같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 150는 슬립상태에서 깨어나 웨이크업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NFC 통신 모듈 125로 부트 리즌 (boot reason)을 요청할 수 있다. (④)
프로세서 150로부터 부트 리즌 요청을 수신한 NFC 통신 모듈 125은 NFC 메타 데이터 1000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부트 리즌을 프로세서 150로 제공할 수 있다. (⑤) 부트 리즌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정보, 컨텐츠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타입 정보는 NFC 메타 데이터 1100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아니라, NFC 통신 모듈 125에 대응하여 정해진 정보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통신 모듈 125는 오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모듈로서 NFC 통신 모듈 125이 태깅 입력을 수신하였다는 것은 사용자가 오디오 컨텐츠를 공유하려는 의도로 판단하여 NFC 통신 모듈 125는 부트 리즌에 "컨텐츠 타입 정보"로서 "오디오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NFC 통신 모듈 129는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모듈로서 제2NFC 통신 모듈 129가 태깅 입력을 수신하였다는 것은 사용자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공유하려는 의도로 판단하여, 제2NFC 통신 모듈 129는 부트 리즌에 "컨텐츠 타입 정보"로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부트 리즌은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 컨텐츠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 리즌을 수신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및 오디오 출력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의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통신 모듈이 공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⑥)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부트리즌에 포함된 정보 중 통신 연결 정보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로 제공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은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부트리즌에 포함된 정보 중 통신 연결 정보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를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로 제공하고,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은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외부 장치 200는 각각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에 접촉시키는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 100의 가속도 센서 186과 외부 장치 200의 가속도 센서 286은 각각 가속도 센서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전자 장치 100에서 검출된 가속도 센서 값과 외부 장치 200에서 수신된 가속도 센서 값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태깅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외부 장치 200가 전자 장치 100에 접촉이나 터치되는 동작에 의해 외부 장치 200의 가속도 센서 286는 가속도 센서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가속도 센서 값을 BLE 통신 모듈 226로 제공할 수 있다. (①)
외부 장치 200로부터의 접촉이 있는 경우에 저전력 모드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 100의 가속도 센서 186도 접촉으로 인한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해 가속도 센서 값을 검출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 186는 검출된 가속도 센서 값을 BLE 통신 모듈 126로 제공할 수 있다. (②)
외부 장치 200에서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한 BLE 통신 모듈 226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BLE 어드버타이징(Advertising)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③)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은 최대 31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BLE 통신 모듈 226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른 데이터를 담아서 BLE 어드버타이징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한 BLE 통신 모듈 226은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200를 생성할 수 있다.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200는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210, 통신 연결 정보 1220, 가속도 센서 값 1230,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2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210는 외부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연결 정보 1220외부 장치 200에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연결 정보 12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ID,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 또는 그외 다른 통신을 위한 통신 ID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값 1230은 가속도 센서 286으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24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240는 컨텐츠 식별 정보, 컨텐츠 파일명, 컨텐츠의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 100에서도 가속도 센서 186가 가속도 센서 값을 BLE 통신 모듈 126로 제공하면, BLE 통신 모듈 126은 BLE 스캐닝을 수행(④)함으로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브로드캐스된 BLE 어드버타이징을 인식할 수 있다.
BLE 통신 모듈 126은 인식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200을 파싱하여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210, 통신 연결 정보 1220, 가속도 센서 값 1230,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240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127은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200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값 1230과 가속도 센서 186으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100의 가속도 센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외부 장치 20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과 전자 장치 100의 가속도 센서 값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이면 BLE 통신 모듈 126은 해당 가속도 센서 값을 보낸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126은 가속도 센서 값을 이용하여 확인된 태깅 입력에 따라, 태깅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해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⑤)
이와 같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 150는 슬립상태에서 깨어나 웨이크업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BLE 통신 모듈 126로 부트 리즌 (boot reason)을 요청할 수 있다. (⑥)
프로세서 150로부터 부트 리즌 요청을 수신한 BLE 통신 모듈 126은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200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부트 리즌을 프로세서 150로 제공할 수 있다. (⑦) 부트 리즌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정보,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 리즌은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 컨텐츠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 리즌을 수신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및 오디오 출력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의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통신 모듈이 공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⑧)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부트리즌에 포함된 정보 중 통신 연결 정보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로 제공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은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부트리즌에 포함된 정보 중 통신 연결 정보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를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로 제공하고,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은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무선 태깅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태깅 (Wireless Tagging)은 특정한 태그 장치 없이 무선 통신을 통해 기기 간 근접을 판단하여 태그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태그 이벤트 발생에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무선 태깅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른 무선 신호, 예를 들어 와이파이 신호나 블루투스 신호와 같은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두 기기간의 근접도를 판단하고 근접도 판단에 따라 태그 이벤트를 발생하며, 태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태그 이벤트에 따라서 서비스를 동작시킨다. 무선 태깅은 이와 같이 무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두 기기간 근접도를 판단하는데, 두 기기간 근접도에 따라 무선 신호의 세기가 달라지므로 이와 같은 무선 신호의 세기 값을 토대로 태깅 입력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기기 200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신호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른 무선 신호가 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 또는 와이파이 통신 기술에 따른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기기를 근접시켰다 멀리 하게 하는 태깅 동작에 의해 변화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에 블루투스 외부 기기나 와이파이 외부 기기가 근접하게 되면 외부 기기의 무선 신호의 세기가 커지게 되고, 이격이 발생하면 다시 무선 신호가 감쇠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1번 구간은 외부 기기가 전자 장치 100가 접근함으로 인해 무선 신호의 세기가 커지는 구간, 2번 구간은 외부 기기가 전자 장치 10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여 무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구간, 3번 구간과 4번 구간은 각각 외부 기기가 전자 장치 100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무선 신호의 세기가 감쇠하는 구간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무선 태그 동작을 위해 외부 장치 200를 전자 장치 100에 근접시켰다가 떨어뜨리는 무선 태그 동작에 의해 통상 도 13에서와 유사한 신호 세기 패턴이 나타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무선 태깅을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에 외부 장치 200를 근접시켰다가 떨어뜨리는 동작에 의해 외부 장치 200의 BLE 통신 모듈 226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BLE 어드버타이징 (Advertising)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①)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은 최대 31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BLE 통신 모듈 226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른 데이터를 담아서 BLE 어드버타이징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400는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410, 통신 연결 정보 1420, 신호 세기 정보 1430,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4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410는 외부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연결 정보 1420외부 장치 200에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연결 정보 14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ID,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 또는 그외 다른 통신을 위한 통신 ID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정보 1430는 무선 신호의 전송 파워 정보 및 수신 신호 강도 지표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44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440는 컨텐츠 식별 정보, 컨텐츠 파일명, 컨텐츠의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 100에서, BLE 통신 모듈 126은 BLE 스캐닝을 수행(②)함으로서 외부 장치 200로부터 브로드캐스된 BLE 어드버타이징을 인식할 수 있다.
BLE 통신 모듈 126은 인식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400을 파싱하여 외부 장치 식별 정보 1410, 통신 연결 정보 1420, 신호 세기 정보 1430,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1440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126은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400에 포함된 신호 세기 정보 1430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 200로부터 태깅 입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126은 외부 장치 200가 근접했다가 떨어지는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 패턴을 가지고,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400에 포함된 신호 세기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 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태깅 입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세기 패턴은 무선 신호의 하나 이상의 신호 세기 임계값 및 하나 이상의 구간 (duration)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세기 패턴은, 무선 신호의 두개의 신호 세기 임계값 및 두개의 구간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세기 패턴은, 무선 신호에서 제1시점에서의 신호 세기 임계값, 제2시점에서의 신호 세기 임계값, 제1시점에 대응하는 구간의 임계값, 및 제2시점에 대응하는 구간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12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도에서 두개의 파라미터, Rth 및 Rpre를 신호 세기를 판단하는 파라미터로 결정할 수 있다. Rth는 수신된 무선 신호의 세기가 초과해야되는 제1임계 파라미터 이고, Rpre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미만이 되어야 하는 제2임계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Rpre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제1임계 파라미터 Rth 값을 넘은 시점보다 일정 시간 구간 P 이전 시점의 무선 신호 세기가 미만이 되어야 하는 제2임계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즉, BLE 통신 모듈 126은 수신된 무선 신호의 세기가 Rth 보다 큰 시점을 확인하고, 이 시점보다 일정 시간 구간 P 이전 시점의 무선 신호의 세기가 Rpre보다 작으면 이러한 무선 신호에 대해서 태깅 입력이 발생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BLE 통신 모듈 126은 태깅 입력의 발생의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들, 즉, 제1임계 파라미터 Rth, 제2임계 파라미터 Rpre를 기반으로 태깅 입력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BLE 통신 모듈 126은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태깅 입력에 따라, 태깅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해 슬립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 150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서 150를 웨이크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③)
이와 같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 150는 슬립상태에서 깨어나 웨이크업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BLE 통신 모듈 127로 부트 리즌 (boot reason)을 요청할 수 있다. (④)
프로세서 150로부터 부트 리즌 요청을 수신한 BLE 통신 모듈 126은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 1400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부트 리즌을 프로세서 150로 제공할 수 있다. (⑤) 부트 리즌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정보,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 리즌은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 200로부터 공유 컨텐츠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 리즌을 수신한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및 오디오 출력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의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통신 모듈이 공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⑥)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부트리즌에 포함된 정보 중 통신 연결 정보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로 제공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7은 외부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공유하려는 컨텐츠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 경우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부트리즌에 포함된 정보 중 통신 연결 정보 중에서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를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로 제공하고, 와이파이 통신 모듈 128은 외부 장치 2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ID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2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 200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는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모듈로서 BLE 통신 모듈을 예로 들었지만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태깅 입력을 처리하는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무선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제 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 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또는 제 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 3 장치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 3 장치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 3 장치는 프리로드 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
롤러블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웨이크업 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 실행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해서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해서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오디오 컨텐츠,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하나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클로우즈드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클로우즈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부분 인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부분 인출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부분 인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부분적으로 인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상기 부분적으로 인출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인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전체 인출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전체 인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 인출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비에 따라서 상기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화면비가 제1화면비 (16:9) 또는 제2화면비 (21:9) 가 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태깅 입력 수신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트리즌 (boot reason)을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제공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NFC 통신 모듈 또는 BLE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NFC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태깅 입력을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상기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NFC 통신 모듈 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한 NFC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태깅 입력을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상기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NFC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한 상기 NFC 모듈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컨텐츠에 대한 종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BLE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을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BLE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의 가속도 센서 값에 기반하여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을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송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된 제어부로 상기 외부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 인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인지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컨텐츠 인 경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인 경우,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 롤러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태깅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통신부에 의해 웨이크업 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반해서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오디오 컨텐츠,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하나로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클로우즈드 모드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클로우즈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제어 없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드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부분 인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부분 인출 모드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부분 인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부분적으로 인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상기 부분적으로 인출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인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전체 인출 모드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전체 인출 모드 결정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전체 인출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중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태깅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NFC 태깅 기술,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무선 태깅 기술, 또는 무선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한 무선 태깅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태깅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1/000545 WO2021194068A1 (ko) | 2020-03-24 | 2021-01-14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US17/703,635 US11910142B2 (en) | 2020-03-24 | 2022-03-24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5807 | 2020-03-24 | ||
KR20200035807 | 2020-03-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9283A true KR20210119283A (ko) | 2021-10-05 |
Family
ID=7807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1060A KR20210119283A (ko) | 2020-03-24 | 2021-01-05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19283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5452A1 (ko) * | 2021-11-10 | 2023-05-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090467A1 (ko) * | 2021-11-16 | 2023-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096402A1 (ko) * | 2021-11-25 | 2023-06-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106463A1 (ko) * | 2021-12-10 | 2023-06-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106432A1 (ko) * | 2021-12-06 | 2023-06-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v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128017A1 (ko) * | 2021-12-30 | 2023-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2021
- 2021-01-05 KR KR1020210001060A patent/KR2021011928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5452A1 (ko) * | 2021-11-10 | 2023-05-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090467A1 (ko) * | 2021-11-16 | 2023-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096402A1 (ko) * | 2021-11-25 | 2023-06-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106432A1 (ko) * | 2021-12-06 | 2023-06-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v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106463A1 (ko) * | 2021-12-10 | 2023-06-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128017A1 (ko) * | 2021-12-30 | 2023-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119283A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0057632B2 (en) |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device, operating method of content reproducing device, portable device, and content reproducing device | |
US955397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 |
KR101837333B1 (ko) | 전자 디바이스를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0306313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 |
US11523341B2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8875191B2 (en) | Device for reproduc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 |
US933851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 |
KR20150040127A (ko) | 전력 절감을 위하여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
CN105681969A (zh) | 电子装置、音频装置、控制电子装置和音频装置电源的方法 | |
US9992439B2 (en) |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 |
US9997064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 |
KR20190033966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US9678763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191014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KR10239908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40078914A (ko) |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 |
US2023024672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240104738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50018195A (ko) |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102059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CN116671112A (zh) | 控制装置及其操作方法 | |
KR20200118941A (ko) |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