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195A -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195A
KR20150018195A KR1020130094821A KR20130094821A KR20150018195A KR 20150018195 A KR20150018195 A KR 20150018195A KR 1020130094821 A KR1020130094821 A KR 1020130094821A KR 20130094821 A KR20130094821 A KR 20130094821A KR 20150018195 A KR20150018195 A KR 20150018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content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섭
장희석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3009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8195A/ko
Publication of KR2015001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와 리모컨의 기능을 함께 제공하고, 휴대기기의 알람 서비스에 리모컨의 제어 기능을 융합하며, 휴대기기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제어 동작 없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ES OF CONTROLLING A CONTENT PALYING APPARATUSE USING AN USER EQUIPMENT}
컨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가정에서 수면을 취하다가 특정 시간에 일어나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핸드폰을 이용한 알람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다. 1인 가정이 많아 지는 추세에서, 아침에 일어나서 정신을 맑게 하기 위하여 출근 준비 중에 TV를 켜는 사람들이 많다. 알람을 끄기 위해 휴대폰을 찾는 것은 휴대폰의 알람 소리에 의하여 어려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TV 리모콘은 어떠한 인식 기능도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잠이 덜 깬 상태에서 TV 리모콘을 찾기 위해 시간을 허비하는 일은 대부분의 사람에게 자주 일어나는 일이다.
TV의 경우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켜지는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그러나 TV와 함께 셋탑박스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 이를 설정하여야 하여 불편하다. 그리고 휴대폰 알람 서비스와 TV 그리고 셋탑박스를 매번 함께 설정하여야 하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번거롭게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TV와 셋탑박스는 사용을 종료하기 위하여 리모콘이나 예약 종료 기능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집을 나서는 중에 TV를 끄지 않고 나가거나 TV를 끄기 위해 리모콘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경험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약 종료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집을 나서는 시간이 항상 일정하지 않은 점에서 집을 나서기 전에 TV가 종료되기도 하고 집을 일찍 나서게 되는 경우 TV의 예약 종료 기능이 의미 없게 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알람서비스 제어와 함께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지의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을 종료시키는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센서의 동작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설정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될 때부터 상기 알람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범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과될 때까지의 시간범위 및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종료시간까지의 시간 범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은,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될 제어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속할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의 제어신호 전송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전송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전송 이벤트 발생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휴면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GPS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측정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컨텐츠 재생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지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을 종료시키는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센서의 동작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설정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될 때부터 상기 알람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범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과될 때까지의 시간범위 및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종료시간까지의 시간 범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될 제어 신호를 설정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속할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의 제어신호 전송 여부를 표시하고, 전송 이벤트 발생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휴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사용하여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휴대기기와 리모컨의 기능을 함께 제공하고, 휴대기기의 알람 서비스에 리모컨의 제어 기능을 융합하며, 휴대기기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제어 동작 없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네트워크(120)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에서 DMC(Digital Media Controller)의 역할을 수행한다.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 받는다.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제공 받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현하거나, 외부기기(110)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를 받아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재생 장치는 DLNA에서 DMR(Digital Media Renderer) 또는 DMP(Digital Media Player)의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기기(11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제어를 받아 제어될 수 있으며,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영상과 음성을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위치 정보부(230), 사용자입력부(240), 센서부(250), 메모리(260), 출력부(270), 알람부(280) 및 제어 신호 생성부(290)를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 모듈(221) 및 근거리 통신모듈(222)을 포함하며 기타 다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50)는 근접센서(251), 가속도 센서(252), 자이로 센서(253) 및 기타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디스플레이부(271), 진동부(272) 및 음향부(27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독립한 형태의 컨텐츠 재생 제어 단말 장치로 구현되거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및 타블렛 PC와 같은 종래의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각 구성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210)는 알람부(280)의 작동에 따라 알람을 수행하기 위해 출력부(270)를 제어하여 영상, 음향 및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센서부(250)의 신호 또는 사용자 입력부(240)의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부(220)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신호는 제어 신호 생성부(290) 또는 메모리(260)에서 얻어질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에게 알람이 제공되고 있을 때 사용자 입력부(240) 또는 센서부(250)를 통하여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가 알람을 끄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는 모든 행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알람을 끄기 위해 사용자 입력부(240)를 조작하여 알람을 종료 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일부를 터치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흔들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움직이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들고 이동할 경우 센서부(250)를 통하여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될 제어신호는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전송될 제어신호는 제어 신호 생성부(29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210)는 사용자에게 알람이 제공되고 있을 때 사용자 입력부(240) 또는 센서부(2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인식 되었을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제어할지를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신호의 전송을 승인하는 사용자 입력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부(240) 또는 센서부(25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컨텐츠 재생 장치(300)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네트워크(12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 모듈(221) 및 근거리 통신모듈(222)을 포함하며 기타 다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모듈(221)은 외부 네트워크(120)와 통신을 수행한다. 유/무선 통신 모듈(221)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통해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모듈(221)은 WLAN(Wireless LAN)(Wi-Fi), 펨토셀(Femto cell),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222)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222)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부(23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부(23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스위치, 조그 휠, 터치 센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부(27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250)는 사용자 단말기(200)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센서부(250)는 주변 상황을 인지하기 위해 근접센서(251), 가속도 센서(252), 자이로 센서(253), 온도 센서, 조도 센서, 터치센서와 같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5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개폐, 위치변경, 움직임, 가속도 변경, 방위변경, 사용자 접촉 유무, 광량 및 온도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200)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센서부(250)는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패널 같은 일 부분에 접촉하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흔들리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들고 이동하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조도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주변의 광량의 변화를 인지하거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온도가 변화하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이 감지되었을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컨텐츠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출력부(270)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270는 디스플레이부(271), 진동부(272) 및 음향부(27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71)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71)는 알람 정보,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7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7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7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7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7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 제어부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부는 그 신호를 처리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7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진동부(272)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진동부(272)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부(27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부(273)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28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킨다. 알람은 출력부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표현된다. 예를 들어, 알람부(280)는 제어부(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71)를 제어하여 특정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진동부(272)를 제어하여 특정한 세기와 패턴의 진동을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음향부(273)를 제어하여 특정 세기와 멜로디의 음향을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29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의 예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를 휴면 상태에서 깨우거나 휴면 상태로 진입하게 하는 것, 또는 전원이나 휴면상태에 타이머를 적용하는 것, 컨텐츠 재생 장치의 음량을 설정하는 것, 컨텐츠 재생 장치가 시간 지연을 가지면서 음량을 0에서부터 설정된 음량으로 증가시키는 것, 증가되는 음량의 시간 지연 폭을 설정하는 것, 컨텐츠 재생 장치가 화면만 출력하도록 하는 것, 또는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음향만 출력하게 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290)는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 값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메모리(2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290)는 제어신호를 메모리(260)에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제어부(310), 통신부(320), 방송 수신부(330), 사용자입력부(340), 메모리(350), 출력부(360), 외부송출부(370) 및 제어신호 생성부(380)를 포함한다. 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 모듈(321) 및 근거리 통신 모듈(322)을 포함하며 기타 다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60)는 디스플레이부(361) 및 음향부(362)를 포함한다. 외부송출부(370)는 영상송출부(371), 음향송출부(372) 제어송출부(373)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컨텐츠 재생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셋탑박스(Set-Top Box),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TV,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타블렛 PC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각 구성을 제어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셋톱박스일 경우 인터넷망이나 방송망으로 수신한 컨텐츠 또는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기기(110)로 전송하여 외부기기(110)에 출력하기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통신부(320)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통신부(320)를 사용하여 얻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보로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제어한다. 제어부(310)가 통신부(320)를 사용하여 얻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통신 상태 정보,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전원을 온(ON)/오프(OFF) 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수면 상태(휴지상태)를 온/오프 할 수 있고, 출력부(36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361) 및/또는 음향부(362)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출력을 제어하거나 기타 다른 제어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의 수면 모드를 온(ON) 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수면 모드(휴면모드)가 온(ON) 될 경우,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될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의 수면 모드를 온(ON) 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컨텐츠 재생 장치가 근거리 통신으로 통신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동하여 근거리 통신 영역을 벗어날 경우가 있다. 또는 사용자가 통신 연결을 중단시킨 경우에도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받은 정보에 따라 통신부(320) 또는 방송 수신부(330)를 통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메모리(350)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 생성부(380) 및 외부송출부(370)를 사용하여 외부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 또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와 네트워크(12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 모듈(321) 및 근거리 통신 모듈(322)을 포함하며 기타 다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모듈(321)은 네트워크(120)와 통신을 수행한다. 유/무선 통신 모듈(321)은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모듈(321)은 WLAN(Wireless LAN)(Wi-Fi), 펨토셀(Femto cell),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22)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322)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40)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340)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스위치, 조그 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50)는 제어부(3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컨텐츠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3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출력부(360)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360)는 디스플레이부(361) 및 음향부(36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61)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61)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서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61)는 알람 정보,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6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음향부(362)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포함된 음향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서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컨텐츠의 음향을 표현할 수 있다. 음향부(36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송출부(370)는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10)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외부송출부(370)는 영상송출부(371), 음향송출부(372) 및 제어송출부(373)을 포함한다. 외부송출부(37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사용하여 외부 기기(110)에 영상, 음향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송출부(371)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영상송출부(371)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10)에 영상신호를 송출하여 외부기기(110)가 사용자에게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수신하거나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음향송출부(372)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음향송출부(372)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10)에 음향신호를 송출하여 외부기기(110)가 사용자에게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서 생성된 음향 정보를 표시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수신하거나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제어송출부(373)는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외부기기(11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기기(110)로 전달한다. 제어신호의 예로,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것과 같이 제어하거나 외부기기의 휴면 모드를 온/오프하거나, 외부기기의 음량, 화면 밝기 등을 제어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380)는 외부기기(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의 예로, 외부기기(110)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외부기기(110)를 휴면 상태에서 깨우거나 휴면 상태로 진입하게 하는 것, 또는 전원이나 휴면상태에 타이머를 적용하는 것, 외부기기(110)의 음량을 설정하는 것, 외부기기(110)가 시간 지연을 가지면서 음량을 0에서부터 설정된 음량으로 증가시키는 것, 증가되는 음량의 시간 지연 폭을 설정하는 것, 외부기기(110)가 화면만 출력하도록 하는 것, 또는 외부기기(110)가 음향만 출력하게 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380)는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또는 통신부(32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 값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380)는 제어신호를 메모리(350)에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210, 31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60, 350)에 저장되고, 제어부(210, 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작동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알람을 설정한다(410).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알람을 설정할 때, 알람에 대응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전송될 제어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제어신호를 전송할지 여부를 요일별 또는 시간별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는 설정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알람을 울린다(420). 알람이 울린 후,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지를 인식한다(430).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하는 사용자 조작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알람을 끄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하여 터치 센서를 작동시키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움직이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들고 이동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반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할 사용자 조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을 종료시키는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센서의 동작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 신호와 같은 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러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조작이 인식될 경우(430)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440). 사용자 단말기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의 휴면 상태를 오프(OFF)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을 시작하는 제어신호일 수 있다. 또는 채널을 설정하거나, 음량을 조절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제어신호는 컨텐츠 녹화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이 인식되지 않을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제어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작동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알람을 설정한다(41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는 설정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알람을 울린다(420).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이 인식되는 지를 확인하여 이벤트가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430). 사용자의 조작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알람을 울리는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한다(431). 알람을 울리는 시간이 경과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은 종료된다. 알람을 울리는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다시 알람을 울리는 단계(420)를 수행한다.
사용자의 조작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알람을 울리는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한다(432). 알람을 울리는 시간이 경과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은 종료된다. 알람을 울리는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440).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작동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알람을 설정한다(61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는 설정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알람을 울린다(620).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이 인식될 경우(630), 사용자에게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여부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640).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 이벤트를 생성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650).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제어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을 종료시키는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센서의 동작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 신호와 같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동작을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시간의 범위는 특정한 값의 초기값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설정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될 때부터 알람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범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되고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도과될 때까지의 시간범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작시간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종료시간까지의 시간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알람이 울리고 알람이 종료된 뒤 10분간의 시간을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을 종료시키는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센서의 동작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 신호와 같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작동 순서도이다. 먼저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한다(710). 컨텐츠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 시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직접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확인한다.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와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 시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경우,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받아 통신 연결이 지속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기지국이나, 중계기,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기타 장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이 끊어졌거나,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하였는지 여부와 같은 통신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직접 연결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결이 종료되었는지를 주기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730).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거나, 수면상태를 오프(OFF) 하거나, 일시 정지(PAUSE) 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 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수면상태를 온(ON) 하거나,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PAUSE) 하는 것과 같은 컨텐츠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은 경우,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에 따라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작동 순서도이다. 먼저 컨텐츠 재생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한다(810).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이미 근거리 통신을 포함한 다른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연결하고 있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새로운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해당 근거리 통신이 단절된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820). 근거리 통신의 단절은 사용자 단말기가 컨텐츠 재생 장치의 근거리 통신 영역을 벗어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컨텐츠 재생 장치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단절된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수면상태를 온(ON) 하거나,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PAUSE) 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재생 장치는 외부기기의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수면상태를 온(ON)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작동 순서도이다. 먼저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한다(910).
다음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다(920).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측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GPS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특정위치에 존재하는 NFC 태그를 태그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930). 컨텐츠 재생 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를 계산 한 후, 기 설정된 거리보다 사용자 단말기가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멀어진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수면상태를 온(ON) 하거나,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PAUSE) 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재생 장치는 외부기기의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수면상태를 온(ON) 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재생 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설정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 위와 같은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작동 순서도이다. 먼저 컨텐츠 재생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한다(1010).
다음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1020).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컨텐츠 재생 장치의 근거리 통신 연결의 품질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거나,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수면상태를 온(ON) 하거나,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PAUSE) 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재생 장치는 외부기기의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수면상태를 온(ON)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펨토셀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펨토셀 중계기에 연결되는 경우에, 컨텐츠 재생 장치가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2)

  1.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지의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을 종료시키는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센서의 동작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설정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될 때부터 상기 알람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범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과될 때까지의 시간범위 및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종료시간까지의 시간 범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은,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될 제어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속할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의 제어신호 전송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전송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전송 이벤트 발생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7.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휴면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11.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GPS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측정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 방법.
  12.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컨텐츠 재생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지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을 종료시키는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센서의 동작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설정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될 때부터 상기 알람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범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이 시작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과될 때까지의 시간범위 및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부터 미리 설정된 종료시간까지의 시간 범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될 제어 신호를 설정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속할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의 제어신호 전송 여부를 표시하고, 전송 이벤트 발생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8. 컨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휴면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22. 컨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사용하여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KR1020130094821A 2013-08-09 2013-08-09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8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821A KR20150018195A (ko) 2013-08-09 2013-08-09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821A KR20150018195A (ko) 2013-08-09 2013-08-09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195A true KR20150018195A (ko) 2015-02-23

Family

ID=5304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821A KR20150018195A (ko) 2013-08-09 2013-08-09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81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182A1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182A1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방법
KR20190066175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방법
CN111587578A (zh) * 2017-12-05 2020-08-25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和音频输出方法
EP3703383A4 (en) * 2017-12-05 2020-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US11494162B2 (en) 2017-12-05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udio outputting method
CN111587578B (zh) * 2017-12-05 2023-09-2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和音频输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600B1 (ko)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CN105472423B (zh) 用于控制显示设备的用户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158208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02289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US1152334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399748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そのui提供方法、ネットワーク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249323A1 (en) Low Battery Remote Display System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KR20150042569A (ko)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468130A (zh) 用户终端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
CN103997669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和系统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210119283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93508A (ko)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JP743653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000310A (ko) 전자장치, 무선신호 수신 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JP2017134448A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22029A (ko) 에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7852425A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501224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18195A (ko)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26432A (ko)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40039640A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0775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N113190855A (zh) 终端控制方法、系统、产品和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