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508A -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508A
KR20170093508A KR1020160014997A KR20160014997A KR20170093508A KR 20170093508 A KR20170093508 A KR 20170093508A KR 1020160014997 A KR1020160014997 A KR 1020160014997A KR 20160014997 A KR20160014997 A KR 20160014997A KR 20170093508 A KR20170093508 A KR 2017009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output
processing apparatus
audio process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342B1 (ko
Inventor
김평윤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342B1/ko
Priority to EP17153918.2A priority patent/EP3203755B1/en
Priority to US15/423,766 priority patent/US10296284B2/en
Priority to CN201710066128.1A priority patent/CN107046653B/zh
Publication of KR2017009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1Application of ambisonic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오디오 표시 장치 및 오디오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표시 장치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 및 제1 제어부에서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제어부는 제2 제어부로부터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 신호를 빠르게 출력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시어터 시스템(Home Theater System)은, VCR 혹은 TV 방송 신호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채널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함으로써 극장에서 보는 듯한 효과를 구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홈시어터 시스템은 HDMI ARC(Audio Return Channel)나, 광(Optical)/동축(Coaxial)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홈시어터 시스템은, 홈시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CPU의 부팅(booting)이 완료되고, 메인 CPU의 실제 동작 수행이 가능한 시점에 ARC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홈시어터 시스템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될 때, 메인 CPU와 디코더가 초기화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그리고, ARC 또는 광/동축 케이블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한 후에 출력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ARC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빠르게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면, 메인 CPU가 초기화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ARC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에, ARC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를 빠르게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장치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 및 제1 제어부에서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제어부는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는,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이 오디오 출력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와 오디오 처리 장치의 ARC(Audio Return Channel) 포트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와 오디오 처리 장치의 ARC 포트가 일치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는, 수신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꺼질 때,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지 저장하도록 제2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은, 제1 제어부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제1 제어부에서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제2 제어부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제어부에 의해,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2 제어부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제2 제어부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는, 제1 제어부에 의해,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이 오디오 출력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와 오디오 처리 장치의 ARC(Audio Return Channel) 포트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와 오디오 처리 장치의 ARC 포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은,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제2 제어부에 의해,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2 제어부에 의해,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은,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꺼질 때, 제1 제어부에 의해,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지 저장하도록 제2 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에, ARC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가 빠르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오디오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2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부팅 모드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인스턴트 부팅 모드일 때 제1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오디오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오디오 청취만 가능한 장치와 TV, 노트북 및 휴대폰과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어 장치(101)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오디오 처리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장치(10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입력 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1)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1)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101)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1)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1)는 포인팅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1)는, 특정 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포인팅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101)를 이용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를 제공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HDMI 포트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리시버, 사운드 바, 또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HDMI 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기능을 이용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100)에 연결된 주변 장치들(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200))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1)로부터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HDMI AR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Audio Return Channel) 기능을 사용하여, ARC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RC(Audio Return Channel)는 HDMI 규격의 1.4 버전부터 추가된 기능으로서, 하나의 HDMI 케이블을 이용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100)(예를 들어, TV)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200)(예를 들어, 사운드 바, A/V 리시버) 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TV와 같은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하나의 HDMI 케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오디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켜질 때, ARC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ARC 모드는, ARC 기능을 사용하여 ARC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ARC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C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 물리적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물리적 주소를 전달하는 메시지, ARC포트의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 ARC 포트의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ARC 포트의 연결을 승낙하는 메시지, ARC 포트의 연결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ARC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ARC 메시지로 지칭하기로 한다.
ARC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ARC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ARC 메시지가 빨리 처리될수록,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ARC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이 빨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ARC 메시지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도 2는 오디오 처리 장치에서 ARC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부, 제2 제어부 및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메인 CPU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CPU 모듈은 오디오 처리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마이컴(MiCom)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컴 모듈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원 상태,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들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를 관리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듈은 ARC 사운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ARC 사운드 드라이버는 ARC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모듈은 제1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RC 메시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제1 제어부에서 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될 때,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해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온 상태가 된 이후에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제1 제어부는 ARC 메시지를 처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ARC 메시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이후부터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온 상태가 된 후 ARC 메시지가 처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ARC 메시지가 처리되고 ARC 포트의 연결 동작이 완료되기 전까지,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된다. 그리고, ARC 포트의 연결 동작이 완료된 이후부터,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온 상태가 되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후에, 제1 제어부는 ARC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는 제2 제어부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Give Physical address”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HDMI 포트 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연결된 HDMI 포트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4개의 HDMI 포트를 포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2번째 HDMI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는, 2번째 HDMI 포트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는, ARC 포트의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2 제어부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C 포트의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Request ARC Initiation”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물리적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주소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Report Physical address"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ARC 포트의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ARC 포트의 연결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C 연결을 수락하는 메시지는 "Initiate ARC"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어부는, 수신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ARC 포트 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복수의 HDMI 포트를 제공할 때, 그 중 적어도 하나는 ARC 포트일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연결된 포트가 ARC 포트인지 확인함으로써,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연결된 포트가 ARC 포트이면, 제1 제어부는 ARC 포트의 연결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C 포트의 연결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는 “Report ARC Initiated”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RC 포트의 연결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 내부의 오디오 출력 모듈이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모듈은 ARC 사운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모듈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의 전원이 켜질 수 있고, 오디오 출력 모듈은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제1 제어부는 ARC 메시지를 처리할 수 없다. 그리고,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후에, 제1 제어부가 ARC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작이 지연될 수 있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은, 오디오 처리 장치(100)를 구성하는 세부 모듈 각각이 동작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은, 오디오 처리 장치(100) 내부의 HDMI CEC 모듈이 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320에서, 제1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은, ARC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ARC 모드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ARC 포트에 연결되어, ARC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ARC 포트에 연결되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ARC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초기화되기 전이라도, 제2 제어부는 동작할 수 있다.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대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는 제1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온 상태가 되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는 것을 기다릴 필요 없이,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한 후에,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2 제어부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다. 제2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330에서, 제1 제어부는,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 모듈이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오디오 출력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모듈은 ARC 사운드 드라이버(sound driv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모듈의 전원을 켜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의 전원이 켜지면, 오디오 출력 모듈은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1)로부터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는 "System Audio Mode Request"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1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온/오프 상태가 하나의 제어 장치(10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세부 모듈들을 초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에 의해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은 ARC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예를 들어, “Give Physical address”)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ARC 포트에 연결될 때, ARC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ARC 포트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ARC 포트에 연결되면, 물리적 주소를 오디오 처리 장치(100)로 바로 전달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ARC 포트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물리적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를 제2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주소는 4바이트(byte)의 크기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4개의 HDMI 포트를 포함하고, 그 중에서 두 번째 HDMI 포트가 ARC 포트일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ARC 포트에 연결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는 "2.0.0.0"으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ARC 포트의 연결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제2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C 포트의 연결을 수락하는 메시지는 "Initiate ARC"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제어부는, 수신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를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ARC 포트 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ARC 포트 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ARC 포트가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ARC 포트가 연결된 상태이면, 제2 제어부는 ARC 포트의 연결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C 모드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는 "Report ARC Initiated"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제어부는, ARC 포트의 연결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부에서 초기화 동작이 완료된 후에 제1제어부는 전술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ARC 포트의 연결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 내부의 오디오 출력 모듈이 ARC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모듈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모듈은 ARC 사운드 드라이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어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모듈은 ARC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RC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부팅 모드에 따라 ARC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을 다르게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부팅 모드는 콜드 부팅(Cold booting) 모드와 인스턴트 부팅(instant booting)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콜드 부팅 모드는, AC 전원이 탈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콜드 부팅 모드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완전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제1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인스턴트 부팅 모드에서는, 제1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이미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경우,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가 모두 동작 가능한 상태이고, 디스플레이부만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인스턴트 부팅 모드인 경우,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전원이 꺼지기 전에 실행중이던 동작의 마지막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스턴트 부팅 모드에 따라 전원이 켜지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저장된 상태에 기초하여 다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콜드 부팅 모드에서도 저장된 상태에 기초하여 다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콜드 부팅 모드에서는, 초기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스턴트 부팅 모드보다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제1 제어부가 제2 제어부에 비해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스턴트 부팅 모드에서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1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부팅 모드에 따라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단계 S510),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부팅 모드가 콜드 부팅인지 확인(단계 S520)할 수 있다. 그리고, 콜드 부팅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바로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31). 따라서, 제어 장치(101)로부터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 및 오디오 처리 장치(200)의 전원을 모두 켤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32). 연결 동작이 완료되면, 제2 제어부는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33). 연결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됨에 따라, 제1 제어부는 ARC모드로 설정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모듈이 오디오 출력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스턴트 부팅 모드인 경우, 제1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41). 제1 제어부의 처리 속도가 제2 제어부의 처리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제2 제어부보다 더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에서 연결 동작을 수행하면, 제1 제어부로 연결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동작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출력 모듈이 오디오 출력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542).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부팅 모드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은,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인스턴트 부팅 모드일 때 제1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인스턴트 부팅 모드일때,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온 상태가 되면 제1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연결 동작이 더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오디오 처리 방법에서 각각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온 상태가 된 이후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각각 t1, t2, 및 t3라고 표시하면, t2 및 t3가 t1보다 짧을 수 있다. 그리고, 인스턴트 부팅 모드인 경우, 제1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제2 제어부보다 처리 속도가 빠른 제1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t2보다 t3가 짧을 수 있다.다만, t2보다 t3가 짧은 경우는, 초기화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인스턴트 부팅 모드인 경우로 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초기화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인스턴트 부팅 모드에서는, 제1 제어부의 처리 속도가 제2 제어부의 처리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t3가 t2보다 짧을 수 있다.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다른 오디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부(1100) 및 제2 제어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제1 제어부(11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1200)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이 완료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100)는, 오디오 처리 과정(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200)는, 제1 제어부(1100)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12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1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2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저장된 ARC 포트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ARC 모드로 동작하고 있었다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전원이 꺼지기 전에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On"으로 저장할 수 있다.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가 "On"이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켜질 때, 제2 제어부(1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을 켜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가 “Off”이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이 꺼지기 전에,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가 “Off”이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켜질 때, 제2 제어부(1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을 켜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사용된 오디오 출력 방법을 고려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ARC 포트 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상태는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물리적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저장된 물리적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다른 제2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부(1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C 상태 저장부(810), ARC 상태 갱신부(820), ARC 메시지 처리부(830), 및 메모리(8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제2 제어부(1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제2 제어부(1200)는 구현될 수 있다.
ARC 상태 저장부(810)는,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ARC 포트에 연결된 경우, ARC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상태일 수 있다. ARC 상태 저장부(810)는, ARC 포트에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될 때,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ARC 상태 저장부(81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ARC 상태 갱신부(82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을 켜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가 “On”일 때, ARC 상태 갱신부(82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을 켜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가 “Off”일 때, ARC 상태 갱신부(82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전원을 켜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ARC 상태 갱신부(82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켜질 때,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물리적 주소와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ARC 포트 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주소와 ARC 포트 번호가 일치하면, ARC 상태 갱신부(820)는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On”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물리적 주소와 ARC 포트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ARC 상태 갱신부(820)는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Off”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ARC 메시지 처리부(83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ARC 포트의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ARC 메시지 처리부(83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ARC 포트의 연결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840)는, ARC 포트 연결 정보 및 물리적 주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ARC 포트 연결 정보와 물리적 주소 정보는 서로 다른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또는 하나의 메모리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도 9는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처리 장치(100a)는, 제1 제어부(1100), 제2 제어부(120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3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메모리(1700), 및 출력부(18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1100) 및 제2 제어부(1200)에 대하여,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9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입력부(1300)는, 사용자가 오디오 처리 장치(100a)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13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a)의 전원을 켜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0)가 키 패드 또는 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오디오 처리 장치(100a)의 전원을 켜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원 온/오프에 대응되는 키를 클릭(click)하거나 누르는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1300)가 터치 패드로 구성되는 경우, 특정 방향에 대응되는 키를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0)는, 전술한 제어 장치(101)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오디오 처리 장치(100a)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출력부(1800)는, 디스플레이부(1810) 이외에 음향 출력부(1820) 및 진동 모터(1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8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82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a)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82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a)의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출력부(1820)는, ARC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8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8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8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8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센싱부(14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a)의 상태 또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a)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10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50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a)가 외부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오디오 처리 장치(100a)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1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1 제어부(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오디오 처리 장치(100a)로 입력되거나 오디오 처리 장치(100a)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700)는, 제1 제어부(1100)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100a)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제1 제어부(1100)에서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제2 제어부(1200)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100a)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오디오 처리 장치(100a)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제어부(1100)로 전송하고, 제1 제어부(1100)에 의해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별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a)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730)은 오디오 처리 장치(100a)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a)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8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8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8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오디오 처리 장치(100 및 100a)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 및 100a)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오디오 처리 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이 오디오 출력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와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ARC(Audio Return Channel) 포트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와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ARC(Audio Return Channel) 포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는,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꺼질 때, 오디오 신호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상태를 저장하도록 상기 제2 제어부를 제어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10. 제1 제어부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제2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이 오디오 출력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와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ARC(Audio Return Channel) 포트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와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ARC(Audio Return Channel) 포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 방법은,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는,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ARC 포트의 연결 상태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 방법은,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전원이 꺼질 때,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지 저장하도록 상기 제2 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방법.
  19. 제 10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014997A 2016-02-05 2016-02-05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KR10245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997A KR102458342B1 (ko) 2016-02-05 2016-02-05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EP17153918.2A EP3203755B1 (en) 2016-02-05 2017-01-31 Audio processing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US15/423,766 US10296284B2 (en) 2016-02-05 2017-02-03 Audio processing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CN201710066128.1A CN107046653B (zh) 2016-02-05 2017-02-06 音频处理设备和音频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997A KR102458342B1 (ko) 2016-02-05 2016-02-05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508A true KR20170093508A (ko) 2017-08-16
KR102458342B1 KR102458342B1 (ko) 2022-10-25

Family

ID=5799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997A KR102458342B1 (ko) 2016-02-05 2016-02-05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96284B2 (ko)
EP (1) EP3203755B1 (ko)
KR (1) KR102458342B1 (ko)
CN (1) CN10704665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905A1 (en) * 2018-09-18 2020-03-26 Roku, Inc. Dynamically switching to/from a first network during audio playback over hdmi/arc
WO2020060904A1 (en) * 2018-09-18 2020-03-26 Roku, Inc. Audio cancellation and content recognition of audio received over hdmi/arc
WO2022092871A1 (ko) * 2020-10-28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3803B (zh) * 2019-06-10 2024-03-2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声音再现方法及显示设备
KR102630446B1 (ko) 2019-08-02 202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
CN111131895B (zh) * 2019-11-18 2022-05-27 晶晨半导体(深圳)有限公司 一种通过关于android的cec/arc开关与arc功放设备交互的方法
US10848829B1 (en) * 2019-11-20 2020-11-24 Roku, Inc. Automatic audio source selection system
US20210218591A1 (en) * 2020-01-15 2021-07-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utilization
CN116017006A (zh) * 2020-11-05 2023-04-2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与功放设备建立通信连接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588B1 (ko) * 2005-11-16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199693A (ja) * 2010-03-23 2011-10-06 Yamaha Corp オーディオア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441A (ko) 2009-08-31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지원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케이블 연결 상태 표시 방법
US8745366B2 (en) * 2011-03-31 2014-06-03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a self-refreshing display device coupled to a graphics controller
US9210352B2 (en) 2012-09-28 2015-12-08 Key Digital Systems, Inc. Audio video instruction format switcher
KR102159228B1 (ko) * 2013-09-12 2020-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처리 장치, 오디오 처리 방법, 초기화 모드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40612B1 (ko) 2013-09-13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a/v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a/v 신호 처리 시스템
CN103942507A (zh) * 2014-04-21 2014-07-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986697B (zh) * 2014-04-25 2018-05-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音频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588B1 (ko) * 2005-11-16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199693A (ja) * 2010-03-23 2011-10-06 Yamaha Corp オーディオアンプ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905A1 (en) * 2018-09-18 2020-03-26 Roku, Inc. Dynamically switching to/from a first network during audio playback over hdmi/arc
WO2020060904A1 (en) * 2018-09-18 2020-03-26 Roku, Inc. Audio cancellation and content recognition of audio received over hdmi/arc
US10812751B2 (en) 2018-09-18 2020-10-20 Roku, Inc. Dynamically switching to/from a first network during audio playback over HDMI/ARC
US11392342B2 (en) 2018-09-18 2022-07-19 Roku, Inc. Audio cancellation and content recognition of audio received over HDMI/ARC
US11625215B2 (en) 2018-09-18 2023-04-11 Roku, Inc. Audio cancellation and content recognition of audio received over HDMI/ARC
WO2022092871A1 (ko) * 2020-10-28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342B1 (ko) 2022-10-25
EP3203755A1 (en) 2017-08-09
US10296284B2 (en) 2019-05-21
CN107046653B (zh) 2020-07-10
EP3203755B1 (en) 2020-06-24
CN107046653A (zh) 2017-08-15
US20170228213A1 (en)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342B1 (ko)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US1152334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CN107925948B (zh) 电子设备、音频装置以及由电子设备可执行以设置音频装置的网络的方法
US20140092004A1 (en) Audio information and/or control via an intermediary device
US101400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putting method thereof
JP721074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れによるディスプレイ装置
JP743653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881304A (zh) 资源下载方法及装置
EP289194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118283B2 (ja) ディスプレイ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20210025812A (ko)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034206A (zh) 显示装置及其提供内容的方法
KR20160076565A (ko) 전자 장치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능동 알림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202102479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udio output
KR20190090535A (ko) 외부 전자 장치와 페어링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30104866A1 (en) Video call processing method,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same metho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same, server for performing sam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program for performing same method is stored
US11695982B2 (en) Content cas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240184502A1 (en) Terminal device and mirroring method performed thereby
US1076224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40016784A (ko) 화상통화 서비스를 제공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83706A (ko)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미러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