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966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966A
KR20190033966A KR1020170122763A KR20170122763A KR20190033966A KR 20190033966 A KR20190033966 A KR 20190033966A KR 1020170122763 A KR1020170122763 A KR 1020170122763A KR 20170122763 A KR20170122763 A KR 20170122763A KR 20190033966 A KR20190033966 A KR 2019003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규환
최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3966A/ko
Priority to PCT/KR2018/004148 priority patent/WO2019059483A1/ko
Priority to US16/638,945 priority patent/US20200186641A1/en
Publication of KR2019003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6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제1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제1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외부 장치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전자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일 예로, 최근엔 TV를 단순히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TV로 인터넷 검색, 쇼핑 등 매우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이 확대되었으나, 각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해 다소 번거로운 조작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기능을 더 편리하고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어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외부 장치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제1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장치의 통신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적외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WiDi(WirelessDisplay)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화질로 특정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기 설정된 사운드 레벨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제스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식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인지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제2 통신 방식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의 송수신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장치의 통신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적외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WiDi(WirelessDisplay)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화질로 특정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기 설정된 사운드 레벨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제스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식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인지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 내지 도 4는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제공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딸느 전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그리고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110), 제1 통신부(121), 제2 통신부(122)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리모컨,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PDA 등일 수 있다.
센서(110)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에 가할 수 있는 어떠한 조작이라도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움직이는 조작,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터치하는 조작,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와 일정 거리를 두고 특정 제스처를 취하는 조작,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 전자 장치(100)가 플랙서블 장치(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전자 장치)인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접는 등의 조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10)는 예컨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값을 출력한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는 방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또 다른 예로, 센서(110)는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10)는 예컨대 정전식 터치 센서 및 감압식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전자 장치(10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을 이용한 센서이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센서이다.
또 다른 예로,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10)는 예컨대,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가 플렉서블한 경우, 센서(110)는 벤드 센서일 수 있다. 벤드 센서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 값을 감지하고, 그 저항 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벤드 센서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110)는 피사체를 캡쳐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예컨대,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센서(110)는 상술한 다양한 종류 중 어느 한 종류의 센서이거나, 2 이상의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21)는 제1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고, 제2 통신부(110)는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일 예로, 제1 통신 방식은 제2 통신 방식보다 전력 소비가 적은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제2 통신 방식은 제1 통신 방식과 비교하여 좀 더 먼 거리의 통신에 적합한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제2 통신 방식은 제1 통신 방식과 비교하여 다량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방식일 수 있다.
제1 통신부(121)가 이용하는 제1 통신 방식 또는 제2 통신부(122)가 이용하는 제2 통신방식은 예컨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미라캐스트(Miracast),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ex. 블루투스 클래식(Bluetooth Classic),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AirPlay, Z-wave, 4LoWPAN, LTE D2D, GPRS, Weightless, Edge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ANT+,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LTE(Long-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는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는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부(121)가 이용하는 제1 통신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방식이고, 제2 통신부(122)가 이용하는 제2 통신방식은 WiFi 통신방식과는 다른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방식인 경우,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가 하나의 송수신기(예컨대, WiFi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통신부(121)가 이용하는 제1 통신방식은 WiFi 통신방식이고, 제2 통신부(122)가 이용하는 제2 통신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인 경우,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가 하나의 송수신기(예컨대, 블루투스+와이파이 콤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조합 이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121)가 이용하는 제1 통신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이고, 제2 통신부(122)가 이용하는 제2 통신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30)는 CPU, ASIC, SoC, MIC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인지 식별하여 기 설정된 제스처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하고, 전송한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컴퓨터, TV, 셋톱박스, 에어컨, 프린터, 세탁기, 냉장고, 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일 수 있다.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한다는 것은, 해당 하드웨어 구성이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활성화는 다른 말로 웨이크업이라고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 해당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 시키는 것은 전원을 공급시켜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 구성에 전원은 공급되고 있으나 기능 수행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 해당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란 해당 하드웨어 구성이 완전하게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하드웨어 구성과 연관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등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TV가 턴오프된 상태(전원 콘센트에는 연결되어 있음)에서 리모컨으로 전원 온 버튼을 누르면 TV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이 표시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TV의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 시키는 제1 신호는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해 활성화가 필요한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신호는 외부 장치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부, 즉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의 통신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1 신호는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해 활성화가 필요한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만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일 수 있고, 또는, 그러한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여 다른 하드웨어 구성도 활성화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하나의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조작이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제2 통신 방식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의 송수신기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방식이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방식이고, 제2 통신방식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방식인 경우, 외부 장치에선 하나의 송수신기, 예컨대, WiFi 모듈을 통해 WiFi 통신방식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방식도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WiFi 모듈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WiFi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의 WiFi 모듈에 전송하고, 이후,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의 WiFi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선, 외부 장치가 제1 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하드웨어 구성을 통해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WiFi 모듈을 통해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2 신호는 해당 기능 실행을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이 전자 장치(100)에서 외부 장치로 블루투스를 통한 오디오 스트리밍 기능인 경우,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에서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해당하는 통신부를 활성화시키는 제1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210)를 제어하고, 오디오 스트리밍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제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통신 방식과,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이유는, 외부 장치에서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이 모두 지원되더라도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턴 오프 상태에선 전력 소비가 비교적 적고 단순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제1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부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우선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해 외부 장치의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부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르면, 간단한 사용자 조작만으로 외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하고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까지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에 화면을 공유하는 화면 미러링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30)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미러링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하고,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미러링 기능 실행과 관련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를 좌우로 흔드는 사용자 조작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에 화면을 공유하는 화면 미러링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스처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좌우로 흔들면, 센서(110)에서 이를 감지하고 프로세서(130)가 감지된 조작이 미러링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센서(110)에서 감지된 조작이 화면 미러링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화면 미러링 기능 수행에 필요한 외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200)가 TV이고 턴오프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일반적으로 TV는 턴오프 상태에서도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혹은, 외부 장치(20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에 연결되어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미러링 기능 수행에 필요한 외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들에는 예컨대 전자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신호는 외부 장치(200)의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외부 장치(200)의 통신부는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미라케스트 또는 WiDi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방식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예컨대 페어링)을 하기 위해, 외부 장치(200)와 각종 연결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 간에 연결 이력이 있는 경우, 연결 이력에 기초해서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가 자동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에 제2 통신방식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표시된 영상과 대응되는 영상이 외부 장치(200)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제2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코덱을 통해 패킷 변환이 되고 MPEG TS(MPEG transport stream) 신호로 변환이 되어 변환된 신호가 제2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를 통해서 원 데이터로 복원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자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외부 장치(2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장치(200)의 전원을 켜고,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 간에 통신 연결을 위한 설정을 하는 등의 여러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단순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화면 미러링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선 화면 미러링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사운드도 유사한 방식으로 미러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외부 장치인 TV에서 원하는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외부 장치가 기 설정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하고,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기 설정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실행과 관련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를 돌리는 사용자 조작이 TV인 외부 장치(200)에서 6번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스처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잡고 돌리면, 센서(110)에서 이를 감지하고 프로세서(130)가 감지된 조작이 외부 장치(200)에서 6번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센서(110)에서 감지된 조작이 외부 장치(200)에서 6번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6번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수행에 필요한 외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200)가 TV이고 턴오프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일반적으로 TV는 턴오프 상태에서도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혹은, 외부 장치(20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에 연결되어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일 수 있다.
기 설정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수행에 필요한 외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들에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신호는 외부 장치(200)의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외부 장치(200)를 턴온 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외부 장치(200)의 통신부는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방식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예컨대 페어링)을 하기 위해, 외부 장치(200)와 각종 연결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2 통신 방식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인 경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송수신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에 제2 통신방식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프로세서(130)는 6번 채널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제2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2 통신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한 외부 장치(200)는 6번 채널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셋톱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셋톱 박스(300)로 예컨대 HDMI 등의 유선 통신 방식 혹은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6번 채널로 전환하라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셋톱 박스(3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6번 채널의 영상을 외부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 장치(200)에서 6번 채널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장치(200)의 전원을 켜고, 채널을 선택하는 등의 여러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단순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채널을 바로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외부 장치에서 원하는 화질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외부 장치가 기 설정된 화질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기 설정된 화질로 특정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고, 화질을 설정하는 등의 여러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단순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특정 영상을 원하는 화질로 바로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과 유사하게 외부 장치에서 원하는 사운드 모드로 특정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외부 장치가 기 설정된 사운드 모드(예컨대, 특정 사운드 레벨로 출력하는 모드, 5.1채널 모드, 고음질 모드 등)로 특정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운드 모드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장치(200)의 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사운드 모드를 설정하는 등의 여러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단순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특정 사운드를 원하는 사운드 모드로 바로 들을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선, 영상의 화질과 사운드 모드가 각각 개별적인 사용자 조작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한 가지의 사용자 조작에 특정 화질과 특정 사운드 모드를 동시에 맵핑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한 가지의 사용자 조작만으로도 특정 화질로 영상이 표시되면서 특정 사운드 모드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특정 부분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하는 조작을 하는 것이 센서(110)에서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제1 통신부(121)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영화 모드에 해당하는 화질과 고음질 모드로 특정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제2 통신부(122)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 예컨대, TV를 스피커로서만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를 스피커로서만 사용하는 기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고 외부 장치의 스피커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하고,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잇다.
도 4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외부 장치를 스피커로서 사용하는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를 좌우로 흔드는 사용자 조작이 외부 장치(200)를 외부 장치(200)를 스피커로서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스처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좌우로 흔들면, 센서(110)에서 이를 감지하고 프로세서(130)가 감지된 조작이 외부 장치(200)를 스피커로서 사용하는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센서(110)에서 감지된 조작이 외부 장치(200)를 스피커로서 사용하는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해당 기능 수행에 필요한 외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를 스피커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외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들에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외부 장치(200)의 스피커는 활성화시키면서,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 시키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는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외부 장치(200)의 통신부는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방식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예컨대 페어링)을 하기 위해, 외부 장치(200)와 각종 연결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 간에 연결 이력이 있는 경우, 연결 이력에 기초해서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가 자동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에 제2 통신방식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특정 사운드가 외부 장치(200)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제2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컨텐츠를 코덱을 통해 MPEG TS(MPEG transport stream)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제2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200)에선 수신한 신호를 오디오 디코더를 통해 원 데이터로 복원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되면서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되면서 스피커는 활성화된 상태를 절전 상태라고 칭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절전 상태로 동작하여 사운드만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여러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단순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200)를 예컨대 블루투스 스피커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TV인 경우, 안테나 입력 포트,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포트, USB 포트, 컴포넌트 입력 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의 포트들을 통해 다양한 타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 대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외부 장치에서 어떤 포트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가 턴오프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특정 제스처를 취하는 것만으로 외부 장치를 턴온시키면서 외부 장치의 특정 통신 포트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해서 해당 컨텐츠가 바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외부 장치의 USB 포트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기능에 대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기능 실행에 필요한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컨대, 외부 장치의 USB 포트, 디스플레이,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부 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1 통신방식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에 연결된 USB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제2 통신방식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켜고, 컨텐츠 소스를 선택하는 등의 여러 조작을 거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제스처를 취하는 것만으로 특정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외부 장치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의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제스처를 취해야지 특정 기능이 실행될 것인지 알려주는 가이드 UI(510)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될 수 있는 UI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에 특정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외부 장치가 턴온되면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을 알리는 가이드 UI가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장치에는 여러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메일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VOD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전자 장치(100)에서의 간단한 사용자 조작만으로 외부 장치를 턴온시키면서 동시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가이드 UI(510)에 따라 전자 장치(100)를 좌우로 흔드는 것이 센서(110)를 통해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인 TV를 턴온하면서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해당 기능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해당 기능 수행에 필요한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TV를 턴온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TV는 턴오프 상태에서도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혹은, TV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에 연결되어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방식으로 웹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TV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TV에선 웹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켜고, 실행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등의 여러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단순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빠르게 실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의 무선 통신 수립에 대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전자 장치(100)의 센서(110)에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외부 장치(200)의 특정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사용자 조작인지 식별한다(S611). 식별되지 않으면 다시 사용자 조작을 기다려 S611 단계를 반복한다.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외부 장치(200)의 특정 기능 실행에 대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조작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에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12, S621). 여기서 근거리 통신 연결은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제1 통신부(121)를 통해 연결된다. 제1 통신부(121)는 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부(121)는 외부 장치(200)의 NFC 통신부로부터 정보를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리더의 기능 또는 태그의 기능을 가진다. NFC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21)는 외부 장치(200)의 NFC 통신부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면 외부 장치(200)의 NFC 통신부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 한편, 제1 통신부(121)의 통신 방식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 다른 통신방식이 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부(121)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 정보를 교환한다(S613, S622). 여기서 연결 정보란 제2 통신부(122)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원거리 통신을 할 때 필요한 초기설정 정보이다. 제2 통신부(122)는 제1 통신 방식보다는 먼 거리로 통신이 가능한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방식 등의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정보 교환과 더불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에 필요한 외부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신호에는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200)의 통신부를 활성화시키는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통신 방식으로 교환한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원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S614, S623), 식별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이 외부 장치(200)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제2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고(S615), 외부 장치(200)에선 이를 수신한다(S624). 외부 장치(20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S625).
이와 같이 데이터의 송수신이 용이한 NFC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로부터 원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외부 장치(200)에 전자 장치(100)를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 통신 상대인 외부 장치(200)를 특정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를 잡고 흔드는 등의 특정한 제스처를 취한 뒤에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200)에 가져다 대는 것만으로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200)의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으므로 기능의 빠른 실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에 원거리 통신이 수립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정보 교환 단계(S613, S622)에서 외부 장치(200)가 타 외부 장치의 연결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하고, 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와 타 외부 장치 간에 원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200)가 리모컨이고, 타 외부 장치가 TV인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리모컨에 가져다 대는 것만으로도 전자 장치(100)와 TV를 원거리로 통신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TV에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전자 장치(100)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선 앞서 설명한 내용이 인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110), 제1 통신부(121), 제2 통신부(122),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카메라(150), 마이크(160), 메모리(170)를 모두 포함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터치 센서(111), 모션 센서(112)(ex.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 압력 센서(113)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제1 통신부(121)는 적외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고, 제2 통신부(122)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WiDi(WirelessDisplay)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7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 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에서 백그라운드로 항상 실행되고 있을 수 있어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제스처를 입력하기만 하면 바로 그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꺼진 턴오프 상태에서도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제스처에 따른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싶을 때만 실행시켜서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스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스처 정보는 특정 사용자 조작이 어떤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지, 그리고 그 외부 장치의 어떤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를 좌우로 흔드는 사용자 조작에 맵핑된 외부 장치가 TV이고, TV에서 화면 미러링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정보를 포함한 제스처 정보가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정보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가지고 특정 조작을 취하고, 그 조작에 맵핑시킬 외부 장치 및 외부 장치의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경우, 예컨대 리모컨인 전자 장치(100)를 한 가정 내에서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경우, 메모리(170)에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제스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식 정보, 예컨대 홍채,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정보 또는 핀 번호, 패턴 등을 입력한 뒤 나서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게 되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 중에서 입력된 사용자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인지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전자 장치(100)만으로도 여러 사용자가 자신이 개별적으로 설정한 제스처대로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액세스하며, 메모리(17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7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10), 카메라(150), 마이크(160) 등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그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메모리(170)에 저장된 이벤트 정보에 매칭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타이머나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터치나 버튼 선택이 이루어지는 이벤트, 모션 제스쳐, 음성 코맨드 등이 입력되는 이벤트,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기 설정된 시간이나 주기가 도래하는 이벤트, 시스템 알림 메시지가 발생하는 이벤트, 외부 소스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이벤트 등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140)는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RT(cathode-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와 터치 센서(111)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제스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 UI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스처를 입력하고 제스처에 맵핑시킬 외부 장치 및 외부 장치의 기능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40)는 저장된 제스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가이드 UI에서 알려주는 것에 따라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5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6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선 모션 제스처, 터치 제스처 등의 제스처가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마이크(160)를 통한 음성 명령으로도 본 개시에서의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TV로 화면을 보내"라는 음성 명령이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면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에 화면 미러링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되는 모션으로도 본 개시에서의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외부 장치(200)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고정 곡률(curvature)인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플렉시블(flexible)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벤디드(bended) TV, 및/또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현재 화면의 곡률을 변경 가능한 곡률 가변형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장치(200)는 튜너(210), 제1 통신부(221), 제2 통신부(222), 입/출력부(230), 디스플레이(240), 오디오 출력부(250), 메모리(260), 전원 공급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외부 장치(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1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210)는 외부 장치(2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외부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 유닛을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톱박스(set-top box), 입/출력부(230)에 연결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21)는 제1 통신 방식으로 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고,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통신 방식으로 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제1 통신부(221)의 제1 통신 방식은 전자 장치(100)의 제1 통신부(121)의 제1 통신방식에 대응되고, 제2 통신부(222)의 제2 통신 방식은 전자 장치(100)의 제2 통신부(122)의 제2 통신방식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21)가 이용하는 제1 통신 방식 또는 제2 통신부(222)가 이용하는 제2 통신방식은 예컨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미라캐스트(Miracast),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ex. 블루투스 클래식(Bluetooth Classic),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AirPlay, Z-wave, 4LoWPAN, LTE D2D, GPRS, Weightless, Edge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ANT+,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LTE(Long-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통신부(221)와 제2 통신부(222)는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부(221)와 제2 통신부(222)는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부(221)가 이용하는 제1 통신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방식이고, 제2 통신부(222)가 이용하는 제2 통신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방식과는 다른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방식인 경우, 제1 통신부(221)와 제2 통신부(222)가 하나의 송수신기(예컨대, WiFi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통신부(221)가 이용하는 제1 통신방식은 Wi-Fi 통신방식이고, 제2 통신부(222)가 이용하는 제2 통신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인 경우, 제1 통신부(221)와 제2 통신부(222)가 하나의 송수신기(예컨대, 블루투스+와이파이 콤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조합 이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21)가 이용하는 제1 통신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이고, 제2 통신부(222)가 이용하는 제2 통신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입/출력부(230)는 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입/출력부(230)는 HDMI 입력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31), 컴포넌트 입력 잭(232), 및 USB 포트(2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것 이외에도 입/출력부(230)는 RGB, DVI, HDMI, DP, 썬드볼트 등의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RT(cathode-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4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250)는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튜너(2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또는 제1 통신부(211), 제2 통신부(212), 입/출력부(23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또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50)는 스피커(251) 및 헤드폰 출력 단자(25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프로세서(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60)는 외부 장치(200) 내의 저장 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70)는 프로세서(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외부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외부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외부 장치(2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80)는 예컨대 CPU, ASIC, SoC, MIC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전원 공급부(270)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메모리(260)에 액세스하며, 메모리(2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2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턴오프 상태, 턴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데, 턴오프 상태란 외부 장치(200)가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으나 전원은 오프된 상태이고, 턴온 상태란 디스플레이(240)를 통해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턴온 상태에서 동작하고, 턴오프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메인 프로세서와, 턴오프 상태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턴오프 상태에선 제1 통신부(221)가 활성화되어 있고 제1 통신부(221)를 통해 턴온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서브 프로세서가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는 절전 상태로도 동작할 수 있고, 절전 상태에선 메인 프로세서가 동작 가능하며, 디스플레이(240)는 비활성화되고 스피커(251)는 활성화될 수 있다.
턴오프 상태에서 서브 프로세서는 제1 통신부(22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21)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서브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업 시키고, 메인 프로세서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2 통신부(222) 및 타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턴오프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외부 장치(200)가 TV로 구현된 경우, 외부 장치(200)가 제공하는 설정 메뉴를 통해 TV를 Wi-Fi로 턴온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메뉴는 디스플레이(240)를 통해 표시되는 UI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TV를 Wi-Fi로 턴온하는 기능이 설정된 경우, 턴오프 상태에서 서브 프로세서는 Wi-Fi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통신부(22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Wi-Fi 통신 방식을 통해 TV 전원 온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이용해서 TV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TV를 턴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로부터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가 제2 통신 방식으로 제2 통신부(222)를 통해 수신되면, 프로세서(28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2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신호는 단순히 어떤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되었는지를 알리는 정보만을 포함하고 외부 장치(200)에서 해당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식별하여 식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260)에는 다양한 제스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2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신호에 사용자 제스처에 해당하는 기능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외부 장치(200)는 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제스처가 어떤 기능에 대응되는 것인지를 식별하는 동작이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외부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먼저, 전자 장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조작을 감지한다(S910). 이 경우, 터치 센서, 모션 센서, 이미지 센서(카메라 모듈) 등 다양한 센서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조작이 감지될 수 있다.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한다(S920).
이 경우, 외부 장치에서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라면, 외부 장치는 상기 제1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복수개이고, 외부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는 비활성화되어 있고 나머지는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외부 장치는 제1 신호를 수신하여 비활성화되어 있는 일부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는 활성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제1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외부 장치가 이미 턴온 상태에 있어서 턴온을 위한 제1 신호의 전송이 필요 없는 경우라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바로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는 예컨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가 동일 AP에 연결되어 와이 파이 통신이 가능한 경우,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한다(S930). 이에 따라 제2 신호를 수신한 외부 장치에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선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와 활성화된 하드웨어 구성을 이용해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선 동일한 통신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를 턴온하고, 미러링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간단한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기능이 빠르게 실행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빠르게 원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센서
121: 제1 통신부 122: 제2 통신부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제1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장치의 통신부인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적외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WiDi(WirelessDisplay) 통신 방식인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화질로 특정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기 설정된 사운드 레벨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제스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식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인지 식별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제2 통신 방식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의 송수신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장치의 통신부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적외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WiDi(WirelessDisplay) 통신 방식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기 설정된 화질로 특정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이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기 설정된 사운드 레벨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에서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20.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조작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이면, 외부 장치의 기 결정된 하드웨어 구성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제1 신호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구성을 이용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70122763A 2017-09-22 2017-09-2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33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63A KR20190033966A (ko) 2017-09-22 2017-09-2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CT/KR2018/004148 WO2019059483A1 (ko) 2017-09-22 2018-04-09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6/638,945 US20200186641A1 (en) 2017-09-22 2018-04-09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63A KR20190033966A (ko) 2017-09-22 2017-09-2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66A true KR20190033966A (ko) 2019-04-01

Family

ID=6581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63A KR20190033966A (ko) 2017-09-22 2017-09-2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86641A1 (ko)
KR (1) KR20190033966A (ko)
WO (1) WO20190594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266A (ko) 2019-06-18 2020-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방송을 위한 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그것의 방법
US11910142B2 (en) 2020-03-24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0433B2 (en) * 2018-09-26 2020-12-2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on and delivery of content for use in electronic calls
KR20210087653A (ko) * 2020-01-03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359971A (zh) * 2020-03-06 2021-09-07 中光电创境股份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系统及穿戴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1884B2 (en) * 2008-11-15 2017-05-02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content mirroring session
MX342956B (es) * 2011-08-30 2016-10-19 Allure Energy Inc Administrador de recursos, sistema y método para comunicar información de administración de recursos para recursos inteligentes de energía y medios.
KR101999762B1 (ko) * 2013-04-09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70039359A1 (en) * 2014-06-10 2017-02-09 Mediatek Inc.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and user registration method
KR102301240B1 (ko) * 2014-07-09 2021-09-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차량 제스쳐 인식 장치와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102287160B1 (ko) * 2014-07-31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74018B1 (ko) * 2015-08-07 202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사이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355624B1 (ko) * 2015-09-11 202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59590B1 (ko) * 2015-12-24 202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483832B1 (ko) * 2016-02-19 202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기반 인증을 이용한 전자 장치들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US10469892B2 (en) * 2016-09-13 2019-11-05 Dvdo, Inc. Gesture-based multimedia casting and slinging command method and system in an interoperable multiple display device environ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266A (ko) 2019-06-18 2020-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방송을 위한 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그것의 방법
US11910142B2 (en) 2020-03-24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483A1 (ko) 2019-03-28
US20200186641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9527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29269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US1021639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19003396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41291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539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coordinates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US201701809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2000758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7637069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屏幕的方法
US20180103229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nectable t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141631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
AU2015202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US20200265651A1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devic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214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8565A (ko) 전자 장치의 보조 입력 장치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3153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338167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476342B (zh)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EP289194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407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2100873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