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625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625B1
KR102469625B1 KR1020150142999A KR20150142999A KR102469625B1 KR 102469625 B1 KR102469625 B1 KR 102469625B1 KR 1020150142999 A KR1020150142999 A KR 1020150142999A KR 20150142999 A KR20150142999 A KR 20150142999A KR 102469625 B1 KR102469625 B1 KR 10246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formation
display device
displa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347A (ko
Inventor
오화준
이형남
김태준
정혜인
이건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625B1/ko
Priority to PCT/KR2016/007827 priority patent/WO2017065392A1/en
Priority to EP16855610.8A priority patent/EP3362876B1/en
Priority to US15/225,993 priority patent/US10013955B2/en
Publication of KR2017004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347A/ko
Priority to US16/011,029 priority patent/US10490169B2/en
Priority to US16/661,229 priority patent/US10916226B2/en
Priority to KR1020210106349A priority patent/KR102373838B1/ko
Priority to KR1020210106352A priority patent/KR102369600B1/ko
Priority to KR1020210106353A priority patent/KR102369601B1/ko
Priority to KR1020210106351A priority patent/KR102369599B1/ko
Priority to KR1020210106350A priority patent/KR102369598B1/ko
Priority to KR1020220027991A priority patent/KR102603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Abstract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출원은 몸체; 상기 몸체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감김과 풀림에 따라 소정의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며, 변화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다수의 모드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상기 디바이스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히 방송되는 컨텐트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들 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정보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본체에 말려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변형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말려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며, 원하는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몸체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스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컨텐트 또는 정보의 량에 따라, 적절한 화면의 크기는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본체로부터 돌출되거나 확장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형성되는 화면의 크기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제공될 정보에서 요구되는 화면의 크기에 적합하지 않는 크기를 형성하도록 디스플레이가 확장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절하게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을 수 있다. 즉, 만일 제공되는 정보에서 요구되는 화면의 크기보다 디스플레이가 크거나 작게 돌출되면, 사용자가 상기 제공되는 정보를 보는데 있어서 큰 불편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공되는 정보의 량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화면을 형성하도록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목적은 제공되는 정보의 량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화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몸체; 상기 몸체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감김과 풀림에 따라 소정의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며, 변화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다수의 모드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드들중 제 1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컨텐트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 1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1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몸체로부터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컨텐트와 관련하여 상기 제 2 정보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 2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2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몸체로부터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3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컨텐트 자체에 해당하는 제 3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 3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3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몸체로부터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4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4 모드는 상기 제 3 정보와는 다른 해상도 및 화면비를 갖는 컨텐트에 해당하는 제 4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 4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4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몸체로부터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텐트는 TV 쇼나 스포츠 중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트, 음악을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트, 및 사용자 맞춤형 정보 및 생활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컨텐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방송되거나 재생될 상기 컨텐트에 대한 리마인더 또는 알림 및,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컨텐트에 대한 요약을 포함하며,상기 제 1 크기는 화면비 10:1 - 15: 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의 리마인더 또는 알림은 방송되거나 재생될 컨텐트 명칭, 상기 컨텐트의 방송 및 재생 예정시간, 상기 컨텐트의 시청 또는 녹화의 예약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크기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는 상기 제 1 크기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높이의 3배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정보는 방송되거나 재생될 상기 컨텐트의 프리뷰를 포함하며, 제 2 크기는 화면비 4:1 - 6: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정보의 프리뷰는 목차, 줄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크기는 화면비 16: 9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크기는 상기 제 3 크기보다 크며 화면비 1.9:1 - 2.3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드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기 설정된 량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정보에 적합한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소정의 조건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제 1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건은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한 경우,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경우, 및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을 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 2 모드 및/또는 제 3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 3 모드 및/또는 제 4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3 모드를 수행할 것을 요청 받는 경우, 제공되는 컨텐트의 실제 해상도 및 실제 화면비에 적합하게 상기 제 3 모드 및 상기 제 4 모드중 어느 하나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3 모드 수행할 것을 요청 받는 경우, 제공되는 컨텐트의 실제 해상도 및 실제 화면비를 고려하여, 상기 제 3 모드 및 상기 제 4 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 1 모드의 수행이 요청될 때, 상기 제 1 모드에 따른 제 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3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소정의 정보의 량을 표시하며 이러한 정보에 적합한 화면크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서로 다른 모드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드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원하는 정보가 이에 적합한 화면크기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제어방법에 따라 상기 모드들을 수행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의 구조적 구성(configuration)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확장 및 수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드들을 수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드들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어느 한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요청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제 3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세한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수행되는 다양한 모드들의 예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비디오 컨텐트의 일 예를 제공하는 경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schematic view)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비디오 컨텐트의 다른 예를 제공하는 경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오디오 컨텐트의 일예를 제공하는 경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보조 컨텐트의 일 예를 제공하는 경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화면의 분할이 요청된 때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include)" 또는 "가지다(have)"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출원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특징들은 디스플레이의 크기 자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조절가능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갖도록 구성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의 구조적 구성(configuration)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확장 및 수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몸체(10)을 가질 수 있다. 몸체(10)은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1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과 이러한 디스플레이(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양끝단들에 형성되는 슬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리브들은 베어링들에 의해 몸체(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롤러(20)는 마찬가지로 몸체(10)내에 설치되는 모터(21)와 연결되며, 이러한 모터(2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R1) 또는 반시계방향(R2)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롤러(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모터(21)와 롤러(20)사이에는 기어트레인이 개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컨텐트들 및 이들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는 비디오 컨텐트, 오디오 컨텐트 및 기타 보조적인 컨텐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컨텐트들은 이들에 연계된 다양한 정보들, 예를 들어 비디오 컨텐트에서의 재생시간, 컨텐트의 제목등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30)는 이러한 관련 정보들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30)는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LCD,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 즉 도면상 전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기능이외에도 윈도우는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에게 보여지게 허용해야 한다. 따라서, 윈도우는 적절한 강도 및 투명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은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윈도우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제가 직접적 부착을 위해 가장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3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모듈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30)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30)의 복잡한 구성에 따라 첨부된 도면들에서 디스플레이(30)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즉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모듈 또는 어셈블리로써 표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내의 수용을 위해서는 디스플레이(30)는 기본적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은 디스플레이(30)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30)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앞서 설명된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0)는 롤러(20)에 말려질 수 있다. 또한, 롤러(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30)는 롤러(20)에 감기거나(wind) 상기 롤러(20)로부터 풀려질(unwind)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롤러(20)로부터 풀려지면서 몸체(10)의 외부로 돌출(preoject)되거나 확장(expand/roll out)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20)는 롤러(20)에 감겨지면서 몸체(10)의 내부로 수축(retract/roll in)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예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롤러(20)가 시계방향(R1)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30)는 롤러(20)로부터 풀려지면서 몸체(10)의 형성된 개구부(11)을 통해 몸체(10)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서 몸체(10)내 수용되었던 디스플레이(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외부로 확장될 수 있으며, 소정 크기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롤러(20)가 시계방향(R1)으로 더 회전하면, 디스플레이(30)는 롤러(20)로부터 더 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외부로 더 큰 크기로 돌출될 수 있으며, 더 큰 크기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만일 롤러(20)가 반시계방향(R1)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30)는 롤러(20)에 감겨지면서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c)의 디스플레이(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내부로 상대적으로 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수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더 작은 크기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롤러(20)가 반시계방행(R2)로 더 회전하면, 디스플레이(30)은 롤러(20)에 더 감겨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몸체(10)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필요한 크기로 디스플레이(20)의 확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20)는 몸체(10)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사용중에는 필요한 크기로만 확장되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감김과 풀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20)에 형성되는 화면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감지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 또는 몸체(10)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된 정보는 후술되는 도 4의 제어부(170)에서 디스플레이(30)의 감김 및 풀림, 즉 이의 확장 및 수축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30)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가변되는 화면의 크기를 감지하는 크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감지센서는 상기 변형감지센서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 또는 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크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출되는 도 4의 제어부(170)는 실제적으로 몸체외부에 노출되는 화면에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30), 특히 이의 후방부는 하우징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확장된 디스플레이(30)의 전방부는 윈도우에 의해 보호되는 반면, 이의 후방부는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은 민감한 전자부품 및 기판들을 포함하므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확장된 디스플레이(30)의 후방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4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는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링크는 디스플레이(30)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된 링크들, 즉 커버(40)는 디스플레이(30)의 후방부를 덮는 단일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링크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링크에 대해 회동가능(pivotable)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는 제 1 롤러(41)에 감겨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30)의 후방까지 제 2 롤러(4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작동중 디스플레이(30)가 확장되면 제 1 롤러(41)는 회전하면서 커버(40)를 풀 수 있다. 풀려진 커버(40)는 제 2 롤러(41)에 의해 안내되면서 디스플레이(30)의 후방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커버(40)는 디스플레이(30)과 함께 몸체(10)외부로 확장되면서 디스플레이(40)의 후방부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30)이 수축되면, 상기 제 1 롤러(41)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버(40)를 디스플레이(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커버(40)는 제 2 롤러(42)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 1 롤러(41)에 감길 수 있다. 상기 커버(40)에서, 제 1 롤러(41)는 롤러(20)와 함께 모터(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제 1 롤러(41)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가 몸체(10)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0)는 자신의 유연성으로 인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확장된 디스플레이(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서포터(50)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50)는 모터(51) 및 이에 연결된 보조 서포터(52)에 의해 개구부(11)를 통해 몸체(10)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50)는 디스플레이(30)과 함께 몸체(10)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50)에 의해 확장된 디스플레이(20)는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사용자에게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조적인 구성에 뒤이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디바이스(100)의 기능적인 구성이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앞서 참조된 도 1 - 도 3은 디바이스(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모두 보여주므로, 뒤따르는 본원의 모든 설명들은 특별하게 참조할 도면이 언급될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도 1 -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또한, 도 4는 디바이스(100)의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들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서 설명되지 않는 구성요소들은 모두 기판위에 제공되는 전자적 회로 및 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이 모두 첨부된 도면들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으며, 중요한 일부 구성요소들만이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모두 도시되지는 않지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도 4의 구성요소들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 가능하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음악, 뮤직 비디오, 스포츠 중계,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분리된 저장부(140)를 도시하고 있으나,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도 4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디바이스(100)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바이스(100)는 기판을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각종 전자부품, 특히 제어부(170)를 구성하는 각종 프로세서들이 이들을 보조하는 다른 회로 및 소자들과 함께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며, 몸체(10)내에 설치될 수 있다.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4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몸체(10)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제어기(controller),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이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는 모든 작동 및 제어들은 모두 제어부(170)의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 즉 앞서 설명된 디스플레이(3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모터(21,51)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롤러(20), 커버(40) 및 서포터(50)의 작동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30)의 확장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30)의 확장 및 수축을 위해 모터(21,51) 및 롤러(20), 커버(40), 서포터(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크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30)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형성되는 실제 화면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감지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70)는 몸체(10)외부에 실제적으로 노출된 디스플레이(30)의 화면에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몸체(10)내부에 감춰진 디스플레이(30)의 일부는 끌 수 있다(turn off).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제어부(170)는 전력사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발열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직접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댁내에 포함된 다른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의한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접근하는지 또는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앞서 설명된 디스플레이(30)에 해당되며,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명령 및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부(170)을 포함 관련 구성요소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기능들을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물리적 버튼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조는 단순히 디스플레이(30)의 확장 및 수축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확장 및 수축이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 및 량과 연계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100)의 구조 및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제어에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의도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기본적으로 수반한다. 따라서, 다양한 제어의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환경 및 인터페이스(user environment and user interface)의 향상을 포함하여 의도된 기능적 향상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의 용이함 및 편리함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user experience)도 함께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1-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대한 제어방법이 개발되었으며, 다음에서 도 1-도 4에 추가적으로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한 도 1-도 4 및 이에 대한 설명들은 다음의 제어방법의 설명 및 도면들에 기본적으로 포함되고 참조된다.
먼저, 도 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수행되는 다양한 모드들의 예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제어방법 및 이에 포함된 다양한 모드들은 앞서 도 1 -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 즉 다양한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러한 작동에 기초하에 의도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방법과 관련된 작동 및 기능들은 제어방법의 특징 뿐만 아니라 모두 관련된 해당 구조적 구성요소들의 특징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170)는 제어기(controller) 및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소정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가 실질적으로 본 출원에서 다음에 설명되는 모든 방법 및 모드들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이후 설명될 모든 단계들은 제어부(170)의 특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에도, 다음의 단계들 및 모드들은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되고 제어된다고 이해되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컨텐트 및 이에 관련된 정보의 량은 변화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러한 정보를 표시하기 적절한 화면의 크기도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공될 정보에 적합하지 않는 화면크기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정보는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만일 제공되는 정보에서 요구되는 화면보다 큰 화면이 제공되면, 제공되는 정보는 화면에 맞춰질 수 없으며, 상당한 영역이 비어있게 된다. 반면, 만일 제공되는 정보에서 요구되는 화면보다 작은 화면이 제공되면, 일부 정보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공되는 정보를 보는데 있어서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공되는 정보의 량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화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화면의 크기는 몸체(10)로부터 확장되는 디스플레이(3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즉 이의 제어부(170)는 제공되는 정보의 량에 따라 이에 적절한 크기의 화면을 형성하도록 몸체(10)로부터 확장되는 디스플레이(30)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디스플레이(30) 및 화면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방법은 먼저 제공되는 정보의 량들 및 이에 적합한 확장된 디스플레이(30)의 크기(즉, 화면의 크기)들을 특정하고, 특정된 정보량 및 적합한 디스플레이의 크기의 쌍(pair)을 하나의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방법은 서로 다른 정보의 량 및 이에 적합한 크기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량은 일반적으로 정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제어방법의 모드들은 디스플레이(30)의 확장된 크기의 조절에 정보의 종류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즉 제어부(170)는 상기 디바이스(100) 즉, 디스플레이(30)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량 또는 종류에 따라 이에 적합한 크기의 화면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30)를 상기 몸체(10)로부터 서로 다른 크기들로 각각 확장시키는 다수개의 모드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즉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30)의 감김과 풀림에 따라 소정의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며, 변화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다수의 모드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작동하므로, 상기 모드들은 당연히 확장된 디스플레이(30)의 크기 조절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이 조절된 크기의 디스플레이(20)에서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작동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제어방법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앞서 개략적으로 언급된 모드들이 도 10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먼저 설명된다. 또한, 상기 모드의 설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도 11-도 14도 함께 다음에서 참조된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비디오 컨텐트의 일 예를 제공하는 경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비디오 컨텐트의 다른 예를 제공하는 경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1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오디오 컨텐트의 일예를 제공하는 경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1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보조 컨텐트의 일 예를 제공하는 경우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모드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컨텐트들은 해당 컨텐트 자체 뿐만 아니라 이에 관련된 다양한 부수적인 정보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즉 이의 모드들은 해당 컨텐트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수적인 정보들도 표시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뒤따르는 설명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들은 모두 소정의 "정보"라는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텐트는 비디오 컨텐트, 오디오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트는 멀티미디어 정보 이외에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컨텐트는 TV 쇼나 스포츠 중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컨텐트는 음악이나 뮤직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끝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컨텐트는 사용자 맞춤형 정보 또는 생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들의 컨텐트들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들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앞서 설명된 비디오, 오디오, 보조 컨텐트들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수반하며, 이들 정보들의 보다 상세한 특징 및 예들은 각각의 모드들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다뤄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모드들은 먼저 가장 기본적인 제 1 모드(M1)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및 수동 실행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상기 제 1 모드(M1)이 요청되면, 제어부(170)는 제 1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모드(M1)는 소정의 제 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모드(M1)은 상기 제 1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1 크기(A1)로 디스플레이(30)를 몸체(10)로부터 확장시킬 수 있다.
제 1 정보는 컨텐트 자체가 아닌 상기 컨텐트에 대한 가장 간략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정보는 사용자에게 컨텐트를 이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정보는 방송되거나 재생될 예정인 컨텐트에 대한 리마인더(reminder) 또는 알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보는 방송되거나 재생될 컨텐트, 즉 TV 쇼, 스포츠중계, 음악등의 명칭, 상기 컨텐트의 방송 및 재생 예정시간, 상기 컨텐트의 시청 또는 녹화의 예약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아닌 사용자에게 유용하고 실질적인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목적을 갖는 컨텐트에 대한 요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보는 사용자 맞춤정보 또는 생활정보의 요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공될 컨텐트와 관련있거나 상기 컨텐트를 특정할 수 있는 모든 정보가 제 1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정보는 상당히 간략하므로, 1줄 또는 2줄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의 량 및 크기에 맞도록 상기 제 1 크기(A1)는 화면비, 즉 가로(또는 폭)(W)에 대한 세로(또는 높이)(H)의 비 10:1 - 15:1를 갖는 화면크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들은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모드(M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모드(M1)가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요청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즉 제어부(170)는 상기 디바이스(100)를 기 설정된 제 2 모드(M2)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모드(M2)는 소정의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드(M2)은 상기 제 2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2 크기(A2)로 디스플레이(30)를 몸체(10)로부터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와 마찬가지로, 제 2 정보도 컨텐트 자체가 아닌 그와 같은 제공될 컨텐트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컨텐트를 이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 2 정보는 상기 컨텐트와 관련하여 제 1 정보보다는 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정보와는 적어도 제공되는 정보의 량에 있어서 구별될 수 있다. 즉, 제 2 정보는 제 1 정보보다는 보다 상세하나 상기 컨텐트 자체에 적합한 화면 크기로 제공되기에는 비효율적인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정보는 방송되거나 재생될 예정인 컨텐트에 대한 프리뷰(preview)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아, 제 2 정보는 TV쇼의 목차, 줄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정보는 스포츠 중계와 관련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경기들의 목록 및 이러한 경기들의 현황의 요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정보는 재생되는 앨범의 리스트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되는 어느 한 곡에 대한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정보는 사용자 맞춤정보 또는 생활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요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공될 컨텐트와 관련되며 상기 제 1 정보보다는 상세한 모든 정보가 제 2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 2 정보는 간략하나, 제 1 정보보다는 상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는 1줄 또는 2줄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에 반해, 제 2 정보는 3줄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크기(A2)에 따른 디스플레이(30) 또는 화면의 높이(H2)는 상기 제 1 크기(A1)로 따른 디스플레이(30) 또는 화면의 높이(H1)의 3배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이와 같은 제 2 정보의 량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 2 크기(A2)는 화면비 4:1-6:1를 갖는 화면크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모드들은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3 모드(M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모드(M3)가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요청되면,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제 3 모드(M3)를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3 모드(M3)의 수행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드(M3)는 소정의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모드(M3)은 상기 제 3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3 크기(A3)로 디스플레이(30)를 몸체(10)로부터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와는 달리 제 3 정보는 제공될 컨텐트 자체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정보는 단순한 관련정보가 아닌 제공될 풀 콘텐트(full content), 즉, 앞서 언급된 비디오, 오디오, 보조 컨텐트들의 풀 컨텐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정보는 TV 쇼나 스포츠 중계 자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정보는 상기 앨범에 포함되는 어느 한 곡에 대한 뮤직 비디오가 될 수 있다. 끝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정보는 사용자 맞춤정보 또는 생활정보와 같은 보조 컨텐트 자체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컨텐트들이 제 3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같은 제 3 정보, 즉 컨텐트 자체는 최근에는 화면비 16:9로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모드(M3)에서 제 3 크기(A3)는 화면비 16:9의 화면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트들은 앞서 설명된 제 3 크기(A3)에 추가적으로 컨텐트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화면비 또는 해상도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다양한 화면비 또는 해상도에 따른 컨텐트를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해, 모드들은 제 4 모드(M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4 모드(M3)가 요청되면,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제 4 모드(M4)를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4 모드(M3)는 소정의 제 4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며, 상기 제 4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4 크기(A4)로 디스플레이(30)를 몸체(10)로부터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 4 정보는 기 설정된 제 3 모드(M3), 즉 제 3 정보 및 제 3 크기(A3)에 따른 화면비 또는 해상도와는 다른 화면비 또는 해상도를 갖는 풀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모드(M4)에 따른 제 4 정보는 보다 파노라마적인 뷰를 제공하는 스포츠 중계 컨텐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iMax 기준에 따라 보다 생생한 화면을 제공하는 영화나 TV show가 될 수도 있다. 도 10은 iMax기준에 따른 제 4 모드(M4)의 제 4 크기(A4)를 보여준다. 따라서, 상기 제 3 크기(A3)와는 다르게, 상기 제 4 크기(A4)는 화면비 1.9:1 - 2.35:1의 화면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크기(A4)는 파노라마적인 스포츠 중계를 위해 화면비 32:9의 화면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공되는 컨텐트의 화면비 또는 해상도에 따라 제 4 크기(A4)는 보다 다양한 화면비 또는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모드들에 대한 설명에 뒤이어, 이러한 모드들을 이용하는 제어방법이 도 10에 추가적으로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드들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의 제어방법은 앞서 설명된 모드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작동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도 5의 제어방법의 설명을 위해 도 11-도 14도 함께 다음에서 참조된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즉 제어부(170)는 제공될 수 있는 컨텐트들에 대한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1). 이러한 옵션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켜질 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옵션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컨텐트들, 예를 들어 도 12-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디오, 오디오, 및 보조 컨텐트를 나타내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옵션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며 선택가능한 아이콘 및 바로가기등을 포함하는 가상적인 메뉴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원격제어장치(200)내의 물리적 버튼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S1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을 포함한 다양한 선택도구를 이용하여 표시된 가상적인 메뉴로부터 원하는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다른 장치에 제공된 물리적 버튼들을 직접 누름으로써 원하는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원하는 컨텐트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기 모드들(M1-M4)에 대한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2). 앞선 컨텐트에 대한 옵션과 마찬가지로, 상기 옵션은 모드들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상적 메뉴 또는 물리적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옵션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2). 즉, 사용자는 가상적인 메뉴로부터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물리적 버튼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원하는 컨텐트 및 모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컨텐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3).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 모드(M1), 제 2 모드(M2), 제 3 모드(M3) 또는 제 4 모드(M4)를 수행할 수 있다(S13a-S13d). 이러한 수행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기 설정된 량의 정보, 즉 제 1 -제 4 정보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정보에 적합한 크기, 즉 제 1-제 4 크기들중 어느 하나로 디스플레이(30)를 확장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11-S1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최초로 켜질때 수행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모드들(M1-M4)중 어느 하나를 이미 수행하는 도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S11-S1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작동중 어느 때라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소정의 모드가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단계(S11-S13)이 수행되는 경우, 컨텐트 및 모드에 대한 옵션들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제 1 - 제 4 정보중 어느 하나와 함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옵션은 제공되는 정보와 겹쳐지거나 겹쳐지지 않을 수 있다. 만일 겹쳐지지 않는 경우, 옵션이 표시될 화면을 추가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30)을 추가적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계들(S11-S13)에 따른 수동적인 모드 수행(S10)에 의해 사용자는 어느 때라도 원하는 컨텐트의 원하는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사용자가 모드만을 변경하기를 원하는 경우, 모드에 대한 옵션만이 요청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S12,S13) 만이 수행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도 5의 수동적인 모드 수행(S10)에 대조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소정 조건하에서 특정모드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적인 모드 수행을 위한 제어방법(S20)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6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드들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마찬가지로 도 11-도 14도 함께 참조된다.
먼저, 자동적인 특정 모드 수행을 위해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조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 즉,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조건이 실제로 발생되었거나 만족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이 도래한 경우,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접근하는 경우, 및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경우들이 상기 조건들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된 조건들이 존재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설정에 따라 모드들(M1-M4)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모드(M1)는 사용자가 쉽고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간략한 제 1 정보를 제공하므로, 상술된 조건들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M1)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S22).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사용자가 특정 TV 쇼를 시청하거나 녹화하기로 예약한 경우, 상기 특정 TV쇼가 방송될 시간이 다가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M1)의 수행을 통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청이나 녹화의 예약이 없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새로운 TV 쇼의 방송이전에 제 1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 1 모드(M1)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TV 쇼에 대한 제 1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 1 모드(M1)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11에 도시된 단계(S21,S22)의 예는 유사하게 도 12-도 14에 도시된 다른 컨텐트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 14에 도시된 보조 컨텐트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정보 및 생활정보, 예를 들어 날씨, 주식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보조 컨텐트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특히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접근하는 경우에 제 1 모드(M1)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1 모드(M1)은 사용자에 의해 바로 인식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최초 작동으로서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켜질 때, 수동모드수행(S10)이 수행될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6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의 켜짐은 상기 단계(S21)에서 판단되는 자동 수행을 위한 조건이 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켜지면, 바로 제 1 모드(M1)이 수행될 수도 있다(S22).
상기 수행단계(S22)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M1)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S23). 다른 한편, 제 1 모드(M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해제될 수도 있다(S23). 제 1 모드(M1)가 해제 또는 중단되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30)을 몸체(10)내로 완전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
앞서 수행단계(S22)는 소정 조건하에서의 제 1 모드(M1)의 자동 수행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 수행되는 모드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술된 조건하에서 제 2 - 제 4 모드(M2-M4)중 어느 하나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계들(S21-S23)에 의해 소정 조건하에서 원하는 모드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수동 및 자동 모드 수행(S10,S20)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기 수행된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든 전환을 위한 제어방법(S30)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7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어느 한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마찬가지로 도 11- 도 14도 함께 참조된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드들(M1-M4)의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S31). 상기 수행단계(S31)에서 디바이스(100)는 해당 모드를 앞서 설명된 수동 모드 수행(S10) 또는 자동 모드 수행(S20)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즉, 해당 모드는 사용자의 수동적인 선택에 의해 수행되거나 소정 조건하에서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드가 수행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현재 수행되는 모드와는 다른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S32). 즉, 상기 제공단계(S32)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수행되는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모드 수행(S10)이 제공되는 정보와 분리된 독립적인 옵션을 제공하는 반면,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공단계(S32)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현재 수행되는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 즉 제 1 - 제 4 정보중 어느 하나내에 포함되며 다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O1-O4)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모드(M1-M4)에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도록 모든 모드들(M1-M4) 즉 제 1 - 제 4 정보들이 상기 옵션(O1-O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공단계(S32)의 옵션은 제 1 - 제 4 정보에 일체화된 옵션이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모드(M1)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컨텐트와 관련하여 가장 기초적이고 직관적인 제 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모드(M1)로부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모드(M1)의 제 1 정보는 다른 모든 모드들(M1-M4)로 진입할 수 있을 있는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드(M1), 즉 제 1 정보는 제 2 모드(M2) 및 제 3 모드(M3)로 진입할 수 있는 옵션들(O1,O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제 1 모드(M1)은 상기 옵션(01) 또는 옵션(O2)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모드(M1), 즉 제 1 정보는 제 4 모드(M4)를 수행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모드(M2)는 이미 제 1 모드(M1)의 제 1 정보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더 많은 정보를 위해 제 2 모드(M2)로부터 제 3 또는 제 4 모드(M3,M4)를 수행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모드(M2), 즉 제 2 정보는 제 3 및/또는 제 4 모드(M3,M4)로 진입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모드(M2), 즉 제 2 정보는 제 3 모드(M3)로 진입할 수 있는 옵션(O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4 모드(M4)로 직접 진입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의 스포츠 중계의 경우, 제 2 모드(M2)에 제공되는 현재 진행중인 경기들의 현황들이 옵션(O3)가 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현황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경기를 위한 제 3 또는 제 4 모드(M3,M4)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제 2 모드(M2), 즉 제 2 정보는 제 1 모드(M1)로 진입할 수 있는 옵션(O4)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컨텐트의 경우, 사용자가 뮤직 비디오를 보거나 앨범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원하지 않는다면, 제 2 모드(M2)에 따라 확장된 디스플레이(30)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최소화된 인터페이스 및 정보만을 제공받도록 옵션(O4)를 선택함으로써 제 1 모드(M1)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록 관련도면들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3 모드(M3)의 제 3 정보도 제 1 및/또는 제 2 모드(M1,M2)로 복귀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단계(S32)후에, 사용자가 옵션(O1-O4)을 이용하여 특정 모드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33)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드 전환(S30)은 사용자의 행동방식을 고려하여, 일정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들로의 순차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모드전환(S3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모드들 사이에서의 자유로운 전환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특정 모드의 수행이 요청되더라도, 상기 디바이스(100)가 상기 특정 모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환을 위한 제어방법(S40)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8은 요청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마찬가지로 도 11- 도 14도 함께 참조된다.
제 1 모드(M1)은 제공될 컨텐트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 1 모드(M1)의 수행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가장 우선적으로 요청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M1)의 수행을 요청받을 수 있다(S41). 상기 단계(S41)에서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M1)의 수행을 앞서 설명된 수동 모드 수행(S10) 또는 자동 모드 수행(S20)에 따라 요청받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자동 모드 수행(S2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켜질 때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M1)를 수행할 것을 자동적으로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M1)의 수행을 앞서 설명된 모드 전환(S30)에 따라 요청받을 수도 있다. 한편, 제 2 모드(M2)도 제공될 컨텐트에 관련된 정보, 즉 제 2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제 3 정보, 즉 풀 컨텐트의 요청에 앞서서 제 2 정보를 참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에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M1) 대신에 제 2 모드(M2)의 수행도 요청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모드(M1)의 수행도 앞서 설명된 제어방법들(S10,S20,S30)중 어느 하나에 따라 요청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M1)가 요청되면, 디바이스(100)는 해당 모드에 따른 정보, 즉 제 1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S42). 상기 검출단계(S42)에서 디바이스(100)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컨텐트로부터 제 1 정보가 존재하는지 또는 자신의 저장장치내에 이미 저장된 제 1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제 2 모드(M2)가 요청되면,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 2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만일 제 1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요청된 제 1 모드(M1)를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제 2 모드(M2)가 요청되었고 제 2 정보가 존재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모드(M1)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일 제 1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정보, 즉 제공될 풀 컨텐트를 항상 제공할 수는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상기 디바이스(100)는 제 3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바로 제 3 모드(M3)를 수행할 수 있다(S44). 만일 제 2 모드(M2)가 요청되었으나 제 2 정보가 디바이스(100)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같은 이유로 제 3 모드(M3)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의해 바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일 필요한 경우, 제 1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모드(M3)대신에 제 2 모드(M2)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아주 드문 경우이나 만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3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제 1 또는 제 2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참고용으로 사용자에게 제 1 정보 또는 제 2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모드(M1) 또는 제 2 모드(M2)를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모드 전환(S40)는 요청된 모드에 따른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적절한 다른 모드 및 이에 포함된 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풀 컨텐트를 제공할 것을 요청받을 때, 제공될 컨텐트는 항상 일정한 화면비 또는 해상도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제공될 풀 컨텐트의 특성에 따라 상기 풀 컨텐트의 실제 해상도 또는 화면비는 변화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은 다양한 실제 해상도 또는 화면비들에 적합한 화면크기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드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최적모드를 위한 제어방법(S50)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9는 제 3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세한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화면의 분할이 요청된 때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된 다른 제어방법들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도 11- 도 14도 함께 참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풀 컨텐트, 즉 제 3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제 3 모드(M3)의 수행을 먼저 요청받을 수 있다(S51). 상기 단계(S51)에서 디바이스(100)는 제 3 모드(M3)의 수행을 앞서 설명된 수동 모드 수행(S10) 또는 자동 모드 수행(S20)에 따라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제 3 모드(M3)의 수행을 앞서 설명된 모드 전환(S30,S40)에 따라 요청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 3 모드(M3)가 요청되면, 디바이스(100)는 제공될 풀 컨텐트의 실제 화면비 또는 해상도가 제 3 모드(M3)에 따른 기 설정된 제 3 크기(A3)에 적합한지를 검출할 수 있다(S52). 즉, 제공될 풀 컨텐트의 실제 화면비 또는 해상도가 제 3 모드(M3)에 따라 설정된 화면비 또는 해상도와 부합하는지 여부가 디바이스(100)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만일 실제 화면비 또는 해상도가 기 설정된 제 3 크기(A3) 즉, 기 설정된 화면비 또는 해상도에 적합하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모드(M3)를 수행할 수 있다(S53). 만일 실제 화면비 또는 해상도가 기 설정된 화면비 또는 해상도에 적합하지 않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4 모드(M4)를 수행할 수 있다(S54).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된 제 3 크기(A3)를 갖는 제 3 모드(M3)와는 다르게, 제 4 모드(M4)는 다양한 해상도 및 화면비에 따라 조절가능한 제 4 크기(A4)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그와 같은 해상도 또는 화면비를 갖는 컨텐트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행단계(S53,S54)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모드(M3)를 수행할 것을 요청 받는 경우, 제공될 컨텐트의 실제 해상도 또는 실제 화면비에 적합하게 상기 제 3 모드(M3) 및 상기 제 4 모드(M4)중 어느 하나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이러한 자동수행의 예를 잘 보여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컨텐트가 제 3 크기(A3)에 해당하는 화면비 16:9를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크기(A3)에 따른 화면을 형성하기 위해 제 3 모드(M3)를 수행할 수 있다(S53). 반면, 제공될 컨텐트가 제 3 크기(A3)가 아닌 화면비 32:9를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그와 같은 화면비에 적합한 제 4 크기(A4)를 형성하도록 제 4 모드(M4)를 수행할 수 있다(S54).
다른 한편, 상기 검출단계(S52)후에, 상기 수행단계(S53,S54)대신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모드(M3) 및 제 4 모드(M4)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5). 상기 제공단계(S55)에서, 디바이스(S55)는 상기 검출단계(S52)에서 얻어진 실제 해상도 또는 실제 화면비를 고려하여, 제 3 및 제 4 모드(M3,M4)중 어느 것이 제공될 컨텐트에 적합한지를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공단계(S55)에서 디바이스(100)는 상술된 수행단계(S53,S54)에 따른 자동적인 수행 대신에, 제 3 및 제 4 모드(M3,M4)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여전히 제공할 수 있다(S55). 따라서, 사용자는 제공될 컨텐트에 대한 실제적인 적합성과는 상관없이 자신이 원하는 모드에 따라 상기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S56). 이와 같은 수동적인 선택의 예도 도 12에 잘 도시되며, 추가적인 설명없이도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적모드수행(S50)은 제공될 풀 컨텐트의 실제 해상도 또는 화면비에 적합한 모드를 자동적으로 제공하거나 그와 같은 해상도 및 화면비에 상관없이 원하는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모드수행(S50)는 사용자에게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성 또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앞선 단계들(S51-S56)에 따라 제 3 모드(M3) 또는 제 4 모드(M4)가 수행된후, 사용자는 수행된 모드에 따라 제공된 화면을 분할하여 보다 많은 컨텐트들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컨텐트들의 제공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현재 수행중인 모드에서의 화면을 분할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S57).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좌우 두개의 화면들로 화면을 분할할 것을 요청받거나 상하 두개의 화면들로 화면을 분할할 것으로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옵션(O5,O6)들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모드(M4)에 따라, 화면비 32:9의 제 4 크기(A4)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만일 옵션(O5)에 따라 좌우의 화면들로 상기 제 4 크기, 즉 화면비 32:9의 화면이 분할되는 경우, 각각의 분할된 화면들은 16:9의 화면비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크기(A)의 화면내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반면, 만일 옵션(O6)에 따라 상하의 화면들로 상기 제 4 크기(A4)의 화면이 분할되는 경우, 제 4 크기(A4)의 화면비 32:9는 상하의 화면들을 포함하기에는 부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의 화면들이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는 화면을 형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다른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58).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모드(M3)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 3 모드(M3)의 제 3 크기(A3)가 갖는 화면비 16:9는 상하로 분할된 두개의 화면을 표시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단계들(S57,S58)은 상기 단계(S51-S56)에 상관없이 제 3 또는 제 4 모드(M3,M4)의 수행중 어느 때에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7,S58)에 의해 제 3 또는 제 4 모드(M3,M4)의 수행중에 화면이 편리하게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화면들은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몸체 20: 롤러
30: 디스플레이 40: 커버
50: 서포터 170: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감김과 풀림에 따라 소정의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며, 변화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다수의 모드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드들 중 제 1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컨텐트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 1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1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몸체로부터 확장시키도록 구성되고,
    소정의 조건에서 자동적으로 제 1 모드를 수행하되, 상기 조건은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한 경우,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경우, 및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을 켠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컨텐트와 관련하여 상기 제 1 정보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 2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2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몸체로부터 확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 3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컨텐트 자체에 해당하는 제 3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 3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3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몸체로부터 확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 4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4 모드는 상기 제 3 정보와는 다른 해상도 및 화면비를 갖는 컨텐트에 해당하는 제 4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제 4 정보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제 4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몸체로부터 확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TV 쇼나 스포츠 중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트, 음악을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트, 및 사용자 맞춤형 정보 및 생활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컨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방송되거나 재생될 상기 컨텐트에 대한 리마인더 또는 알림 및,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컨텐트에 대한 요약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크기는 화면비 10:1 - 1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의 리마인더 또는 알림은 방송되거나 재생될 컨텐트 명칭, 상기 컨텐트의 방송 및 재생 예정시간, 상기 컨텐트의 시청 또는 녹화의 예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크기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는 상기 제 1 크기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높이의 3배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방송되거나 재생될 상기 컨텐트의 프리뷰를 포함하며, 제 2 크기는 화면비 4:1 - 6: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의 프리뷰는 목차 또는 줄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크기는 화면비 16: 9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크기는 상기 제 3 크기보다 크며 화면비 1.9:1 - 2.3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드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기 설정된 량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기 설정된 량의 정보에 적합한 크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삭제
  15. 삭제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 2 모드 및/또는 제 3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 3 모드 및/또는 상기 제 4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3 모드를 수행할 것을 요청 받는 경우, 제공되는 컨텐트의 실제 해상도 및 실제 화면비에 적합하게 상기 제 3 모드 및 상기 제 4 모드중 어느 하나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3 모드를 수행할 것을 요청 받는 경우, 제공되는 컨텐트의 실제 해상도 및 실제 화면비를 고려하여, 상기 제 3 모드 및 상기 제 4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 4 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 1 모드의 수행이 요청될 때, 상기 제 1 모드에 따른 제 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3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50142999A 2015-10-13 2015-10-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9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999A KR102469625B1 (ko) 2015-10-13 2015-10-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16/007827 WO2017065392A1 (en) 2015-10-13 2016-07-19 Display device
EP16855610.8A EP3362876B1 (en) 2015-10-13 2016-07-19 Display device
US15/225,993 US10013955B2 (en) 2015-10-13 2016-08-02 Display device
US16/011,029 US10490169B2 (en) 2015-10-13 2018-06-18 Display device
US16/661,229 US10916226B2 (en) 2015-10-13 2019-10-23 Display device
KR1020210106349A KR102373838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2A KR102369600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3A KR102369601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1A KR102369599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0A KR102369598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027991A KR102603463B1 (ko) 2015-10-13 2022-03-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999A KR102469625B1 (ko) 2015-10-13 2015-10-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350A Division KR102369598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2A Division KR102369600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49A Division KR102373838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3A Division KR102369601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1A Division KR102369599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47A KR20170043347A (ko) 2017-04-21
KR102469625B1 true KR102469625B1 (ko) 2022-11-22

Family

ID=58499798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999A KR102469625B1 (ko) 2015-10-13 2015-10-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2A KR102369600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49A KR102373838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1A KR102369599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0A KR102369598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3A KR102369601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027991A KR102603463B1 (ko) 2015-10-13 2022-03-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352A KR102369600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49A KR102373838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1A KR102369599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0A KR102369598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6353A KR102369601B1 (ko) 2015-10-13 2021-08-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027991A KR102603463B1 (ko) 2015-10-13 2022-03-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013955B2 (ko)
EP (1) EP3362876B1 (ko)
KR (7) KR102469625B1 (ko)
WO (1) WO2017065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13658S1 (en) 2012-09-19 2014-09-23 Apple Inc. Display structure
CN104851366B (zh) * 2015-05-29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469625B1 (ko) * 2015-10-13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D806663S1 (en) * 2015-11-18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7312S1 (en) * 2015-11-18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7310S1 (en) * 2015-11-18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6662S1 (en) * 2015-11-18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KR20170070574A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D825514S1 (en) * 2016-02-19 2018-08-14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28317S1 (en) * 2016-02-19 2018-09-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2628222B1 (ko) * 2016-10-17 202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388082B1 (ko) 2017-05-23 202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9189B1 (ko) 2017-06-13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331301A (zh) * 2017-08-08 2017-11-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420877B1 (ko) 2017-08-25 2022-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WO2019039634A1 (ko) * 2017-08-25 2019-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DE102017217023B4 (de) * 2017-09-26 2022-11-03 Audi Ag Kraftfahrzeug
EP3495940A1 (en) * 2017-12-07 2019-06-12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KR102464108B1 (ko) 2017-12-27 202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4138B1 (ko) * 2018-01-04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408112B1 (ko) * 2018-01-12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TWM574253U (zh) * 2018-03-09 2019-02-1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可捲收型顯示器
US11437461B2 (en) * 2018-03-22 2022-09-06 Sharp Kabushiki Kaisha Rollable display panel with switched power delivery
USD895563S1 (en) * 2018-04-16 2020-09-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96193S1 (en) * 2018-04-27 2020-09-15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10593302B2 (en) * 2018-05-18 2020-03-1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KR102031910B1 (ko) 2018-06-01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USD938951S1 (en) * 2018-06-20 2021-12-21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display
USD901410S1 (en) * 2018-07-12 2020-11-10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901411S1 (en) * 2018-07-12 2020-11-10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54923A1 (ko) * 2018-09-11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95422B2 (en) * 2018-09-27 2022-07-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D904405S1 (en) * 2018-11-10 2020-12-08 Michael Ross Catiana Personal computer
US10720094B1 (en) * 2019-01-14 2020-07-21 Son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of a display screen based on a viewing mode
KR20200093821A (ko) * 2019-01-29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111692B (zh) * 2019-04-26 2024-03-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09979329B (zh) * 2019-04-29 2023-1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0189634B (zh) * 2019-05-27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20200141773A (ko) * 2019-06-1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003672A1 (zh) * 2019-07-09 2021-0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243051B (zh) * 2019-07-17 2021-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WO2021015309A1 (ko) * 2019-07-19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모션감지방법
WO2021033221A1 (ja) * 2019-08-16 2021-02-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20082014A (ko) * 2019-11-22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10069441A (ko) * 2019-12-03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4075258A4 (en) * 2019-12-13 2023-08-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EP4083765A4 (en) * 2019-12-26 2023-09-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37456A1 (en) 2019-12-30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436959B2 (en) 2019-12-31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026197A1 (en) * 2020-01-02 2023-01-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362862B1 (ko) * 2020-01-08 2022-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수납함
EP4090037A4 (en) * 2020-01-09 2023-09-2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94068A1 (ko) * 2020-03-24 2021-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835470A (zh) * 2020-06-08 2021-12-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724686B (zh) * 2020-06-29 2022-04-22 深圳市昂岱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led显示屏
WO2022015009A1 (ko) * 2020-07-14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020017A (ko) * 2020-08-11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면적이 가변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114442829A (zh) * 2020-10-30 2022-05-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US20220141975A1 (en) * 2020-11-03 2022-05-05 Tony Malloy Audiovisual Assembly
KR20220076991A (ko) * 2020-12-01 2022-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4224279A4 (en) * 2020-12-03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CREEN
US11822225B2 (en) 2021-03-08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191404A1 (ko) * 2021-03-08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3220194B (zh) * 2021-04-23 2023-06-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信息显示装置
WO2023038166A1 (ko) * 2021-09-08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38992A (ko) * 2021-10-28 202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264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5452A1 (ko) * 2021-11-10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96170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모드 정보 표시 방법
CN114743417A (zh) * 2022-03-29 2022-07-12 重庆君工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含有智能问答功能的法律科普宣教装置
WO2023234444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34832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내에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5331557A (zh) * 2022-08-22 2022-11-1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368B2 (ja) * 2000-12-12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端末
KR200246884Y1 (ko) * 2001-06-22 2001-10-17 박성창 자동차 전면유리 차광 스크린 장치
CN1701349A (zh) 2003-03-19 2005-1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设备
KR200320597Y1 (ko) * 2003-04-22 2003-07-23 문종국 디스플레이 리프팅 장치
JP4576843B2 (ja) 2004-01-29 2010-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708197B1 (ko) * 2005-12-21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스크린을 이용한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
MX2012001042A (es) * 2009-07-24 2012-04-20 Xped Holdings Pty Ltd Sistema de control remoto.
WO2011037761A1 (en) * 2009-09-23 2011-03-31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KR101649156B1 (ko) * 2010-06-07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972903B2 (en) * 2010-07-08 2015-03-03 Apple Inc. Using gesture to navigate hierarchically ordered user interface screens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WO2013147333A1 (en) * 2012-03-27 2013-10-03 Lg Electronics Inc. Optimiz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based on length of pulled out flexible display screen
US9146655B2 (en) * 2012-04-06 201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KR101892959B1 (ko) * 2012-08-22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91602B1 (ko) * 2013-06-10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6716B1 (ko) * 2013-06-20 2020-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029229A1 (en) * 2013-07-27 2015-01-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justable Size Scrollable Display
TWI543129B (zh) *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2469625B1 (ko) * 2015-10-13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2876B1 (en) 2024-04-03
KR102603463B1 (ko) 2023-11-17
KR20220032044A (ko) 2022-03-15
KR102369599B1 (ko) 2022-03-03
US20180301124A1 (en) 2018-10-18
KR102369600B1 (ko) 2022-03-03
EP3362876A4 (en) 2019-05-22
KR102369601B1 (ko) 2022-03-03
US20200058272A1 (en) 2020-02-20
KR20210102160A (ko) 2021-08-19
KR102373838B1 (ko) 2022-03-14
EP3362876A1 (en) 2018-08-22
WO2017065392A1 (en) 2017-04-20
KR20210102162A (ko) 2021-08-19
US10490169B2 (en) 2019-11-26
KR20210102164A (ko) 2021-08-19
KR20210102161A (ko) 2021-08-19
US10013955B2 (en) 2018-07-03
KR20170043347A (ko) 2017-04-21
KR102369598B1 (ko) 2022-03-03
US20170103735A1 (en) 2017-04-13
US10916226B2 (en) 2021-02-09
KR20210102163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46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66198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86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488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000063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11310458B2 (en) Display device
US10678396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348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0742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오디오 출력방법
KR10222129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88605A (ko) 영상표시장치
KR2024005504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4158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4090033A1 (en)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same
KR201100729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2790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91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10398B1 (ko) Usb저장장치의 제거 및 재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11007298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84210A (ko) Dvr 타임 시프트 동작 중 프로그램 단위 녹화하는 영상표시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