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063B1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063B1
KR101000063B1 KR1020100038937A KR20100038937A KR101000063B1 KR 101000063 B1 KR101000063 B1 KR 101000063B1 KR 1020100038937 A KR1020100038937 A KR 1020100038937A KR 20100038937 A KR20100038937 A KR 20100038937A KR 101000063 B1 KR101000063 B1 KR 10100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stored
electronic devi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하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063B1/ko
Priority to CN201080066500.5A priority patent/CN102884805B/zh
Priority to EP10850770.8A priority patent/EP2566075B1/en
Priority to PCT/KR2010/002654 priority patent/WO2011136402A1/ko
Priority to US13/643,982 priority patent/US901575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063B1/ko
Priority to EP10015743.7A priority patent/EP2383984B1/en
Priority to US12/972,324 priority patent/US862150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재생되는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컨텐츠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드랍되는 경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재생되는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따라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 양을 가변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재생되는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컨텐츠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드랍되는 경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디스플레이부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컨텐츠 재생 중 컨텐츠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컨텐츠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드랍되는 경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재생 중인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원격제어장치의 이동에 따라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저장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를 설정 시간 동안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컨텐츠 또는 저장된 컨텐츠의 양을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로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재생되는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컨텐츠 또는 저장된 컨텐츠의 양을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저장된 컨텐츠에 관련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로 저장된 컨텐츠에 관련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전송 요청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재생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일부 저장하고, 이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특히, 저장시, 컨텐츠 저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간단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장시, 저장 명령시부터 저장 명령 정지시까지는 물론, 저장 명령 이전에 재생중인 컨텐츠 데이터도 저장함으로써, 상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저장 시점을 놓쳤을 경우, 이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재생 중인 컨텐츠의 일부가 저장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저장되는 컨텐츠의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해당 컨텐츠의 저장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저장된 컨텐츠의 양에 따라, 전송할 컨텐츠의 데이터 양을 가변할 수 있어,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되는 컨텐츠 외에, 컨텐츠 리스트로부터 소정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영상표시기기 내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1의 전송 단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21은 도 11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은, 방송 송출자 기준으로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사용자(Customer)(40)로 구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4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사용자(4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4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4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사용자(4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사용자(4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또는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동영상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명령 시점부터 종료 명령까지의 컨텐츠의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해당 명령 시점에서 일정 기간 이전의 컨텐츠 내용도 함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저장 시점을 놓쳤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재생되는 컨텐츠의 일부 가간을 저장하는 것을 클립핑(cliping)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동영상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명령 시점부터 종료 명령까지의 컨텐츠의 일부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해당 명령 시점에서 일정 기간 이전의 컨텐츠 내용도 함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하며,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한다.
이때, 로컬키 또는 원격제어장치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드랍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며, 용량 가변된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 시,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후, 전송 요청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컨텐츠 리스트 중 선택된 컨텐츠를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 중 컨텐츠 저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에,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컨텐츠 저장의 정지 명령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저장을 종료하도록 저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컨텐츠가 저장 중임을 나타내거나 컨텐츠가 저장된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레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영상표시기기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는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및 외부장치(2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외에도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은, OS 커널(410) 상의 드라이버(Driver)(420), 미들웨어(Middleware)(43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은, OS 커널(4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 프레임워크(Framework)(44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41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핵심으로써, 영상표시기기(100)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OS 커널(4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드라이버(420)는, OS 커널(410)과 미들웨어(4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4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420)는,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후술하는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외에, OS 커널(410) 또는 미들웨어(4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미들웨어(430)는, OS 커널(410)과 애플리케이션층(4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미들웨어(4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450)층은,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라이브러리(435)는, OS 커널(410)과 프레임워크(4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4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은, 라이브러리(435)와 함께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한다.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435)와 런타임(4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프레임워크(440)는, 애플레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는, 어떤 애플레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4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4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OS kernel)(510), 드라이버(520), 미들웨어(Middleware)(530), 프레임워크(Framework)(540), 및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5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플랫폼은, 도 5와 비교하여, 도 5의 라이브러리(435)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55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되는 것이 차이가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 프레임워크(540)는, 도 5에 대응한다.
한편, 도 5의 라이브러리(435)가, 미들웨어(530)에 병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들웨어(53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층(55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550)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5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5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5 및 도 6의 플랫폼은 영상표시기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플랫폼은, 상술한 저장부(140) 또는 제어부(17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탑재(loading)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a)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7(b)), 앞뒤(도 7(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7(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는, 네트워크 상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사용자가 직접 해당 컨텐츠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탐색 후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a)는, 접속된 서버 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목록(6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애플리케이션 목록(610)은,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에서는,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접속된 서버로부터의 수신된 아이콘 또는 설명 정보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도 9(b)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610)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62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다운로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영상표시기기 내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0(a)는, 사용자의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목록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목록(66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만이 도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와 같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0(b)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1210)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66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1의 전송 단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며, 도 14 내지 도 21은 도 11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를 재생한다(S1105).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은,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로컬키(미도시)로부터의 컨텐츠 재생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영상표시기기에 접속한 외부장치 내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컨텐츠 재생시,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을 표시한다(S1110).
제어부(170)는, 컨텐츠 재생시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4a와 같이, 방송이 재생되는 경우, 해당 방송 영상(14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도 19a와 같이,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는 영상(19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0a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서버에 접속한 경우, 해당 웹 화면(20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1a와 같이, 전자북(e-book)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전자북 파일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는 영상(21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재생되는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5). 해당하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한다(S1120). 이때, 컨텐츠 저장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1125).
컨텐츠의 저장 명령은,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또는, 해당 메뉴에 진입하여, 컨텐츠 저장 항목을 선택하는 것 등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저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b는 애플리케이션 항목 오브젝트(1420)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가 선택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재생 중인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항목 오브젝트(1420)는,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 이외에, 인터넷 접속 애플리케이션, 전화 접속 애플리케이션, 환경 설정 애플리케이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 시계 관련 애플리케이션 등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명령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다. 도 14c에서는 재생되는 방송 영상(1410)의 일부가 저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방송 영상의 일부가 저장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40)가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오브젝트(1440)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또한, 저장 명령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 저장된 컨텐츠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42)도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컨텐츠 저장 상태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가 선택되는 경우, 재생 중인 컨텐츠가 설정 시간 동안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자동으로 설정 시간 동안 저장되다가 종료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컨텐츠 저장의 정지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30), 해당하는 경우, 컨텐츠 저장을 종료한다(S1135). 그리고, 저장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1140).
컨텐츠의 저장 정지 명령은,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또는, 해당 메뉴에 진입하여, 컨텐츠 저장 항목을 선택하는 것 등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저장 정지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d는, 애플리케이션 항목 오브젝트(1420) 중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가 한 번 더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 저장 정지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가 한번 더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재생 중인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가 포인터(200)에 의해 선택되는 횟수에 따라 그 색상, 휘도, 테두리 등이 가변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가 한번 선택되어, 컨텐츠 저장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1430)의 색상, 휘도, 테두리 등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하고, 그 외에,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가 두 번 선택되어, 컨텐츠 저장이 정지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1430)가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텐츠 저장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1430)를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컨텐츠 저장 중인 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d에서는 컨텐츠 저장이 완료시, 컨텐츠 저장 명령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저장된 컨텐츠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44)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저장된 컨텐츠 양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5a에서는, 컨텐츠 저장 종료를 알려주는 오브젝트(1450)("Clip it")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방송 영상의 일부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40)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특히,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10)는, 컨텐츠 저장 명령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저장된 컨텐츠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44)는, 물론, 해당 명령 시점에서 일정 기간 이전의 컨텐츠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컨텐츠 저장 명령 이전에 일정 구간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저장 시점을 놓쳤을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저장된 컨텐츠와 관련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된 컨텐츠의 제목, 종류, 저장 시간, 저장된 컨텐츠 양, 썸네일 이미지, 줄거리, 저장된 컨텐츠와 관련한 키워드(태그), 저장시 사용자의 감정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컨텐츠와 관련한 정보는, 전송 단계(S1155)에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1145).
제어부(170)는,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미리 등록된 사용자 또는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b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오브젝트는, 각 사용자 별로, 아이콘, 별명, 이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별 접속 상태 등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컨텐츠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드랍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50), 해당하는 경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S1155).
제어부(170), 네트워크 상의 여러 사용자 또는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 선택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방식을 예시한다.
도 15c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방송 영상의 일부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440)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10)를 드래그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10)는, 드래그시 별도의 오브젝트(1530)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저장된 컨텐츠가 방송 영상이므로 영상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예시한다.
도 15d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530)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오브젝트(1525)에, 드랍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다른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게 된다.
도 15e는, 저장된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이를 알려주는 오브젝트(154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전송 완료를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전송 단계(S1155)는,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도 12는, 전송 단계(S1155)의 일 예를 예시한다.
먼저,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판별한다(S1210).
제어부(170)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에 송신하고, 이를 다시 수신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6a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를 표시한다. 특히, 네트워크 접속 상태 판별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오브젝트(1520)는, 각 사용자 별 오브젝트(1625,1635,1645,1655), 및 각 사용자 별 접속 상태 정보(1628,2638,1648,1658)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상태 정보(1628,2638,1648,1658)는, 제2 사용자(1635)와 제4 사용자(1655)의 접속 상태가 가장 좋은 것을 나타내며, 제1 사용자(1625)의 접속 상태가 가장 안 좋은 것을 나타낸다. 접속 상태 정보는 도면에 예시된 것과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판별된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을 가변한다(S1220). 그리고, 용량 가변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한다(S1230).
제어부(170)는, 판별된 네트워크의 접속 상태 또는,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상태가 안 좋은 경우,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의 용량이 상당히 큰 경우,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용량 가변 방법은, 영상인 경우 해상도 가변, 영상 부호화 방식 변경, 저장된 컨텐츠 기간의 가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음질의 가변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도 16b는, 도 15d와 유사하게,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530)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오브젝트(1625)에, 드랍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오브젝트(1520)는, 각 사용자 별 오브젝트(1625,1635,1645,1655), 및 각 사용자 별 접속 상태 정보(1628,2638,1648,1658)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접속 상태가 안 좋은 제1 사용자(16280가 선택된 경우, 도 16c와 같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전송된 컨텐츠의 용량을 가변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63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용량 가변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의 용량을 줄여, 용량 가변된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 전송시 효율적인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6d는, 용량 가변된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이를 알려주는 오브젝트(164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전송 완료를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의 접속 상태에 따라, 도 16c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의 용량 가변을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것을 생략하고, 바로 자동으로 용량 가변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전송 단계(S1155)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먼저, 제어부(170)는,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저장된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일부를 추출하고, 이를 스케일링(예를 들어, 다운 스케일링)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컨텐츠 중 여러 구간에서의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썸네일 이미지 외에, 컨텐츠와 관련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된 컨텐츠의 제목, 종류, 저장 시간, 저장된 컨텐츠 양, 줄거리, 저장된 컨텐츠와 관련한 키워드(태그), 저장시 사용자의 감정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컨텐츠와 관련한 정보는, 전송 단계(S1310)에서 활용될 수 있다.
다음,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한다(S1310).
도 18(a)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530)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오브젝트(1525)에, 드랍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 전송시, 먼저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1810)이 네트워크(1800)를 통해 선텍된 제1 사용자 또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전송하게 된다.
다음,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S1320).
제어부(170)는, 네트워크(1800)를 통해 선택된 제1 사용자 또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 시그널링(1820)을 수신한다. 도 18(b)에서는, "Ok signal"로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다음, 전송 요청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한다(S1330).
제어부(170)는,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 시그널링(1820)을 수신한 후에 비로서, 도 18(c)와 같이,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1830)를, 네트워크(1800)를 통해, 선택된 제1 사용자 또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 여부를 고려하여,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 전송은, 재생 중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바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것 외에, 기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a는, 방송 영상(1410)이 표시되고, 해당 방송 영상의 일부가 저장되어 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440,15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컨텐츠 리스트(17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컨텐츠 리스트(1710)는, 사용자의 컨텐츠 리스트 보기 명령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리스트(1710)는, 동영상 파일(확장자 avi), 정지 영상 파일(확장자 jpg), 웹 문서 파일(확장자 html), 및 전자책 파일(확장자 Epu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리스트(171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컨텐츠 리스트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에 접속된 외부 기기 내의 컨텐츠 리스트 또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소정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리스트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에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다음, 도 17b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c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드래그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선택된 컨텐츠는 드래그시 별도의 오브젝트(1720)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오브젝트(1720)로 파일명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예시하나, 파일 종류에 따른 오브젝트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17d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720)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오브젝트(1525)에, 드랍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다른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선택된 컨텐츠(aaa.avi)를 전송하게 된다.
도 17e는, 선택된 컨텐츠(aaa.avi)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이를 알려주는 오브젝트(174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전송 완료를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 리스트 상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도, 도 16 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을 가변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컨텐츠 전송은, 상술한 방송 영상 등 동영상 전송은 물론 다양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오디오 파일, 웹 문서, 전자책 문서 재생시, 이를 일부 저장하고, 저장된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오디오 파일, 웹 문서, 전자책 문서의 재생 중 저장 및 전송을 기술한다.
먼저, 도 19a는,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고,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19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일부 구간이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905)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특히,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91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915)는, 컨텐츠 저장 명령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물론, 해당 명령 시점에서 일정 기간 이전의 오디오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오디오 저장 명령 이전에 일정 구간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저장 시점을 놓쳤을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9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9a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는 드래그시 별도의 오브젝트(1930)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오브젝트(1930)로 오디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19b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930)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오브젝트(1525)에, 드랍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다른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도 20a와 도 20b는 도 19a와 도 19b와 유사하나, 다만, 오디오 파일이 아닌, 웹 문서라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20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접속된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화면(2010)이 표시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해당 웹 페이지 외에, 여러 웹 페이지를 탐색하고 있는 경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탐색 중인 다양한 웹 페이지의 일부 구간이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2005)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특히, 저장된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1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저장된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15)는, 컨텐츠 저장 명령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저장된 웹 페이지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물론, 해당 명령 시점에서 일정 기간 이전의 웹 페이지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웹 페이지 저장 명령 이전에 일정 구간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저장 시점을 놓쳤을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0a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저장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 드래그시 별도의 오브젝트(2030)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오브젝트(2030)로 인터넷(internet)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20b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2030)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오브젝트(1525)에, 드랍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다른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저장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도 21a와 도 21b는 도 19a와 도 19b와 유사하나, 다만, 오디오 파일이 아닌, 전자문서 파일이라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21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재생중인 전자 문서를 나타내는 화면(2110)이 표시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해당 전자 문서 페이지 외에, 여러 전자 문서 페이지를 탐색하고 있는 경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탐색 중인 다양한 전자 문서 페이지의 일부 구간이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2105)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특히, 저장된 전자 문서 페이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11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저장된 전자 문서 페이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115)는, 컨텐츠 저장 명령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저장된 전자 문서 페이지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물론, 해당 명령 시점에서 일정 기간 이전의 전자 문서 페이지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전자 문서 페이지 저장 명령 이전에 일정 구간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저장 시점을 놓쳤을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1a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저장된 전자 문서 페이지 데이터를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전자 문서 페이지 데이터는 드래그시 별도의 오브젝트(2130)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오브젝트(2130)로 전자문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21b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2130)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52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오브젝트(1525)에, 드랍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다른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저장된 전자 문서 페이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3)

  1.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어 상기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드랍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을 가변하는 단계; 및
    상기 용량 가변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 중 컨텐츠 저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저장 명령 이전에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명령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저장의 정지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저장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저장 중임을 나타내거나 상기 컨텐츠의 저장된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0. 삭제
  11. 디스플레이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컨텐츠 재생 중 컨텐츠 저장 명령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어 상기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드랍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용량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용량 가변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 시,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표시기기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 중 컨텐츠 저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에, 재생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 명령 이전에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저장의 정지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저장을 종료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가 저장 중임을 나타내거나 상기 컨텐츠의 저장된 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에 저장되거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오에스 커널; 및
    상기 오에스 커널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층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 또는 삭제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1.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재생 중인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의 이동에 따라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를 설정 시간 동안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거나 상기 컨텐츠가 저장 중임을 나타내거나 상기 컨텐츠의 저장된 양을 나타내는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로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컨텐츠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어 상기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드랍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23. 삭제
KR1020100038937A 2010-04-27 2010-04-2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0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37A KR101000063B1 (ko) 2010-04-27 2010-04-2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CN201080066500.5A CN102884805B (zh) 2010-04-27 2010-04-27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EP10850770.8A EP2566075B1 (en) 2010-04-27 2010-04-27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PCT/KR2010/002654 WO2011136402A1 (ko) 2010-04-27 2010-04-2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13/643,982 US9015751B2 (en) 2010-04-27 2010-04-27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10015743.7A EP2383984B1 (en) 2010-04-27 2010-12-16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2/972,324 US8621509B2 (en) 2010-04-27 2010-12-17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37A KR101000063B1 (ko) 2010-04-27 2010-04-2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063B1 true KR101000063B1 (ko) 2010-12-10

Family

ID=4351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937A KR101000063B1 (ko) 2010-04-27 2010-04-2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15751B2 (ko)
EP (1) EP2566075B1 (ko)
KR (1) KR101000063B1 (ko)
CN (1) CN102884805B (ko)
WO (1) WO20111364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010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20941A1 (en) * 2010-06-01 2011-12-29 Jain Sunil K Stereoscopic 3d content auto-format-adapter middleware for streaming consumption from internet
KR101634745B1 (ko) 2011-12-30 2016-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5777A (ko) * 2013-11-14 2015-05-22 (주)휴맥스 미디어 컨텐츠 제공 가능 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CN103778008B (zh) * 2014-02-24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US9955225B1 (en) 2017-03-31 2018-04-24 At&T Mobility Ii Llc Sharing video content from a set top box through a mobile phone
US10586071B2 (en) 2017-11-24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afeguarding confidential information during a screen share ses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618A (ja) * 2000-10-27 2002-05-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媒体、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5346202A (ja) * 2004-05-31 2005-12-15 Toshiba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6635B1 (en) * 1993-05-24 2003-03-05 Sun Microsystems, Inc.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method for interfacing to remote devices
AU6514200A (en) * 1999-08-03 2001-02-19 Videosh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video with advertisements over a network
WO2001067772A2 (en) * 2000-03-09 2001-09-13 Videoshare, Inc. Sharing a streaming video
CA2410629A1 (en) 2000-06-22 2001-12-27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ng objects between users
JP2003323387A (ja) * 2002-05-02 2003-11-14 Megafusion Corp 情報交換システムおよび情報交換プログラム
US7975062B2 (en) * 2004-06-07 2011-07-05 Sling Media, Inc. Capturing and sharing media content
US7774811B2 (en) * 2004-08-26 2010-08-1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 and status
US8086575B2 (en) 2004-09-23 2011-12-27 Rovi Solution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disparate media formats in a networked media system
WO2006053011A2 (en) * 2004-11-09 2006-05-18 Veveo,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sharing, gifting, and purchasing of content on television and mobile devices
JPWO2006064692A1 (ja) 2004-12-15 2008-06-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KR101275726B1 (ko) * 2005-08-12 2013-06-17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피어-투-피어 가입자 공동체를 위한 다중-소스 및 내성 주문형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EP1999674A4 (en) * 2006-03-28 2010-10-0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AVIGATION IN A NETWORK TIME MEDIA
US20070288970A1 (en) * 2006-05-11 2007-12-13 Mats Tedenvall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tv content with a remote device
EP1921852A1 (en) * 2006-11-07 2008-05-14 Microsoft Corporation Sharing Television Clips
US7827490B2 (en) * 2006-11-30 2010-11-02 Microsoft Corporation Media state user interface
US20080178242A1 (en) * 2006-12-05 2008-07-24 Crackle, Inc. Video sharing platform providing for downloading of content to portable devices
US20080155628A1 (en) * 2006-12-22 2008-06-2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haring
US8519964B2 (en) *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WO2008091695A1 (en) * 2007-01-25 2008-07-31 Samuel Pierce Baron Virtual social interactions
US8079053B2 (en) * 2007-05-15 2011-12-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deferring multimedia content delivery
US20080307324A1 (en) 2007-06-08 2008-12-11 Apple Inc. Sharing content in a videoconference session
US7886327B2 (en) * 2007-08-17 2011-02-08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edia content sharing
WO2009046324A2 (en) * 2007-10-05 2009-04-09 Flickbitz Corporation Online search, storage, manipulation, and delivery of video content
US7970350B2 (en) * 2007-10-31 2011-06-28 Motorola Mobilit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sharing
US8819741B2 (en) * 2008-04-03 2014-08-26 Microsoft Corporation Streaming video over a wireless network
FR2933212B1 (fr) * 2008-06-27 2013-07-05 Movea Sa Pointeur a capture de mouvement resolue par fusion de donnees
JP4618346B2 (ja) 2008-08-07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208001B2 (en) * 2008-09-12 2012-06-26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changes for video conferencing through a set-top box
US8756519B2 (en) * 2008-09-12 2014-06-17 Google Inc. Techniques for sharing content on a web page
CN101677374A (zh) 2008-09-17 2010-03-2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浏览换台的方法和装置
US9113124B2 (en) * 2009-04-13 2015-08-18 Linked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ill image capture from video footage
US8386935B2 (en) * 2009-05-06 2013-02-26 Yahoo! Inc. Content summary and segment creation
US20100303440A1 (en) * 2009-05-27 2010-12-02 Hulu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laying a media program and an arbitrarily chosen seek preview frame
KR101572843B1 (ko) * 2009-06-03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10078717A1 (en) * 2009-09-29 2011-03-31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for notifying a community of interested users about programs or segments
US10063812B2 (en) * 2009-10-07 2018-08-28 DISH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format transcoding
US8914835B2 (en) * 2009-10-28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Streaming encoded video data
US9131278B2 (en) * 2009-11-23 2015-09-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layered delivery of media content qua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618A (ja) * 2000-10-27 2002-05-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媒体、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5346202A (ja) * 2004-05-31 2005-12-15 Toshiba Corp 電子機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010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972796B2 (en) 2013-12-24 2021-04-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54889B1 (ko) * 2013-12-24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336960B2 (en) 2013-12-24 2022-05-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52138A1 (en) 2013-06-13
US9015751B2 (en) 2015-04-21
CN102884805A (zh) 2013-01-16
EP2566075A1 (en) 2013-03-06
WO2011136402A1 (ko) 2011-11-03
EP2566075B1 (en) 2019-03-20
EP2566075A4 (en) 2013-11-27
CN102884805B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98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52355B1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1016997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0786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855297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10433A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101708691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101779858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51966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74452A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메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120023890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000063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3889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003506B1 (ko) 애플리케이션 인스톨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8141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120064490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00006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8646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20120088161A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68972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69558B1 (ko) 영상표시기기 동작 제어방법
KR10205616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7827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1840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389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