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218B1 -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218B1
KR101978218B1 KR1020130021381A KR20130021381A KR101978218B1 KR 101978218 B1 KR101978218 B1 KR 101978218B1 KR 1020130021381 A KR1020130021381 A KR 1020130021381A KR 20130021381 A KR20130021381 A KR 20130021381A KR 101978218 B1 KR101978218 B1 KR 10197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tandby state
mobile terminal
displayed
preview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974A (ko
Inventor
김용신
이도영
박효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218B1/ko
Priority to US13/850,965 priority patent/US8593401B1/en
Priority to PCT/KR2013/002603 priority patent/WO2014133218A1/en
Priority to CN201380073268.1A priority patent/CN105009466B/zh
Priority to EP13876522.7A priority patent/EP2962402A4/en
Publication of KR2014010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69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 G09G2300/0473Use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having two or more stable states when no power is appl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사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변경 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MOBILE TERMINAL WITH DOUBLE-SIDED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등을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LCD, LED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 종이(e-paper)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용한 이동 단말기도 등장하였다. 전자 종이는 액정 대신 전자 잉크를 사용해 다른 디스플레이와 달리 화면 뒤에서 빛을 비추지 않아도 외부 조명만 있으면 화상을 볼 수 있어 전력 손실이 적다. 또한, LCD의 전원을 끄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바로 없어지는 반면에, 전자 종이는 전원이 꺼져도 화면이 그대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이동 단말기의 전후면 전환없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미리 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유저가 원하는 컨텐츠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유저의 프라이빗(private) 컨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폴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사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변경 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사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컨텐츠의 변경 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이동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진입하기 직전에, 대기 상태에서 후면에 위치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도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보안이 요구되는 프라이빗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별도의 유저 입력 없이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폴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이하, 이동 단말기)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 센서 유닛(130), 프로세서(140), 커뮤니케이션 유닛(150), 스토리지 유닛(160) 및 파워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성이 용이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레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유저가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실행시키는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에서는 전원이 온(ON)되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지만, 대기 상태(standby state)에서는 전원이 오프(OFF)되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종이는 전자 잉크(e-ink)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서, 복수 개의 구형 캡슐과 구형 캡슐의 상하에 위치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수 있다. 여기에서, 구형 캡슐은 투명한 전극판 사이에서 전기적인 충격을 바꾸면 색상을 바꿀 수 있고, 문자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반대면, 상단부, 하단부,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반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이동 단말기(100)의 서브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유저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사용하는 도중에 제 2 디스플레이(120)를 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배터리 절약을 위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사용하던 컨텐츠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야외에서 제 1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잘 보이지 않을 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30) 상에는 터치 센서가 탑재되어,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30)이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출력 장치뿐만 아니라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관련하여, 센서 유닛(13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센서 유닛(130)은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130)은 복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조도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그립 센서, 터치 센서, 근접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3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이동 단말기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4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 유닛(130)은 이동 단말기(100)의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유저 입력이 없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생하는 신호 및 유저 입력에 의한 대기 상태 전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및 접촉 터치(contact touch)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터치는 유저의 손 또는 물체가 디스플레이 유닛(110, 120) 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이드 버튼(side button)(16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이드 버튼(160)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한 피지컬 키(physical key)로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입력이 인지되는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40)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스토리지 유닛(160)에 저장된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잇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trigger)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이동 단말기(100)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 또는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변경 없이 이동 단말기(100)를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이동 단말기(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리지 유닛(160)은 동영상, 오디오,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60)은 프로세서(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 유닛(160)은 플래쉬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파워 유닛(170)은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이동 단말기(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이동 단말기(1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 도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유저가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실행시키는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반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전력 소비가 많은 동영상, 컬러 컨텐츠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력 소비가 적은 텍스트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는 액티브 상태(active state) 및 대기 상태(standby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액티브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유저 입력이 계속되거나,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110,12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액티브 상태에서 유저 입력에 의해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기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이 없어 디스플레이 유닛(110,120)이 오프(off)되고 절전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상태는 유저 입력을 일정 시간 동안 디텍트하지 않은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유저 입력이 인식되지 않는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는,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한 사이드 버튼(160)에 대한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이드 버튼(160)은 피지컬 키(physical key)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는 기 설정된 시간(t)이 경과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의 좌측 도면은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홈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b)의 좌측 도면은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로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액티브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에 대한 유저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고, 디텍트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이 기준 시간(T) 동안 없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우측 도면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의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b)의 우측 도면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함으로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등이 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3(b)의 우측 도면에서,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유지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가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사라지지만,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가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또는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를 회전 또는 이동시켜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의 미리보기 또는 선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이동 단말기(100)가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나타낸다.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유저 입력의 유무에 관계없이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의 정지 화면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지 화면은 컨텐츠의 대표 화면, 마지막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a)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이동 단말기(100)의 대기 상태로의 전환 직전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다른 일 예로서, 도 4(b)를 참조하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 및 디폴트 컨텐츠(133,134,13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도 4(c)를 참조하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c)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1),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 및 디폴트 컨텐츠(133,134,13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폴트(default) 컨텐츠는 이동 단말기(100)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디스플레이될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컨텐츠는 시계(133), 달력(134), 날씨(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도 4(d)를 참조하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d)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들(F1, F2),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들(R1, R2) 및 디폴트 컨텐츠(133,134,13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외에도,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유저의 설정에 의해 다양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front side)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가 없더라도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밝기(brightness)를 기준 밝기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밝기를 어둡게하여, 유저에게 이동 단말기(100)가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될 것임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은 도 4에서 상술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실시예들이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액티브 상태(step 1) 및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이 없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대기 상태(step 3)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도 5(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5(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트리거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신호이다. 트리거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생하는 신호 및 유저 입력에 의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트리거 신호는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제 1 기준 시간(Tr1) 동안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자동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기준 시간(Tr1)은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유저 입력이 없는 경우에,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step 2)가 디스플레이되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제 1 기준 시간(Tr1)은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대기 상태(step 3)으로 전환되는 대기 상태 전환 시간(Tr) 중 소정의 범위의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상태 전환 시간(Tr)이 10초인 경우, 제 1 기준 시간(Tr1)은 7초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가 7초 동안 없는 때에, 트리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트리거 신호는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제 1 기준 시간(Tr1) 내에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의 사이드 버튼(160) 또는 홈 버튼에 대한 접촉 터치 또는 근접 터치 입력에 의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사이드 버튼(160)은 하드웨어 키(hardware key)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tep 2). 또한,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3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한 경우, 입력 신호를 디텍트한 직후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기준 시간(Tr1) 동안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에, 제 1 기준 시간(Tr1)이 경과된 후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제 1 기준 시간(Tr1) 동안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이동 단말기(100)에 제 2 기준 시간(Tr2) 동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계속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예를 들어, 제 2 기준 시간(Tr2) 이내에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기준 시간(Tr2) 이내에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기준 시간(Tr2)가 경과한 후에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가 디스플레이된 제 2 기준 시간(Tr2) 동안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step 3)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전원은 오프되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사라지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원은 오프되어도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기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나 이미지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변경하지 않고 대기 상태에서 계속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의 이미지를 계속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기준 시간(Tr2)이 경과하기 전에,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은 사이드 버튼(160)에 대한 입력,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 뿐만 아니라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가 계속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기준 시간(Tr2) 동안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는 경우,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130)는 제 2 기준 시간(Tr2) 이내에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대기 상태(step 3)로 전환하지 않고, 전원을 오프(off)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의 피지컬 키(160)에 대한 입력 신호, 홈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를 통해, 유저는 이동 단말기(100)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의 대기 상태로의 전환 직전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액티브 상태(step 1) 및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이 있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대기 상태(step 3)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도 6(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6(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도 6에서, 트리거 신호는 유저 입력(140-1)에 의한 신호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유저 입력(140-1)은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물리적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입력(140-1)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의 사이드 버튼(160)에 대한 접촉 입력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홈버튼(미도시)에 대한 접촉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텍트된 유저 입력(140-1)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tep 2).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액티브 상태로부터 유저 입력(140-1)이 디텍트되면(T1),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은 도 5에서 상술한 제 1 기준 시간(Tr1)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기준 시간(Tr1) 이내에 유저 입력(140-1)을 디텍트하는 경우, 제 1 기준 시간(Tr1)이 경과되지 않더라도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step 2)에서, 유저 입력(140-2)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저 입력(140-2)은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입력,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한 사이드 버튼(160)에 대한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저 입력(140-2)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의 사이드 버튼(160)에 대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유저 입력(140-2)에 대응하여, 대기 상태(stetp 3)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132)는 액티브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132)가 그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유저 입력(140-2)이 디텍트되면(T2),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2는 도 5에서 상술한 제 2 기준 시간(Tr2)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기준 시간(Tr2) 이내에 유저 입력(140-2)을 디텍트하는 경우, 제 2 기준 시간(Tr2)이 경과되지 않더라도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를 통해, 유저는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까지 기준 시간이 지나지 않더라도,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빠르게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확인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액티브 상태에서 유저 입력이 없고,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이 있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도 7(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7(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트리거 신호는 기 설정된 시간(tr1) 동안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제 1 기준 시간(Tr1) 동안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생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tep 2).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140)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저 입력(140)은 이동 단말기(100)의 버튼에 대한 접촉 입력,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접촉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유저 입력(140)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대기 모드(step 3)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유저 입력(140)이 디텍트되면(T2),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2 시간은 도 5에서 상술한 제 2 기준 시간(Tr2)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변경없이 계속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를 통해, 유저는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유저 입력을 사용하여, 대기 모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액티브 상태(step 1) 및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이 있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대기 상태(step 3)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도 8(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8(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액티브 상태(step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리거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의 사이드 버튼(160)에 대한 접촉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tep 2).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에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컨텐츠(131)의 이미지 및 컨텐츠(132)의 이미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140-2)이 디텍트되면(T2),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2는 도 5에서 상술한 제 2 기준 시간(Tr2)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140-2)를 디텍트하는 경우, 디텍트된 유저 입력(140-2)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액티브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131)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140-2)에 대응하여,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132)를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131)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step 3)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백라이트(backlight)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온(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은 2 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변경되었음을 유저에게 알리고, 유저가 용이하게 인식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 4 실시예를 통해, 유저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들 중 유저가 원하는 컨텐츠를 설정하여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액티브 상태(step 1) 및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이 없는 경우에, 보안 컨텐츠(136)를 디스플레이 중인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대기 상태(step 3)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보안 컨텐츠(136)는 타인에게 공개될 경우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우려될 수 있는 컨텐츠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보안 컨텐츠(136)는 은행 보안 카드, 개인 스케쥴, 다이어리, 업무 관련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9(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도 9에서, 트리거 신호는 제 1 기준 시간(Tr1) 동안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생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tep 2).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보안 컨텐츠(13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디스플레이되는 보안 컨텐츠(136)의 이미지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보안 컨텐츠(136)의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디스플레이되는 보안 컨텐츠(136)의 이미지는 보안 컨텐츠(136)임을 나타낼 수 있는 아이콘(미도시)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가 디스플레이된 제 2 기준 시간(Tr2) 동안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step 3)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보안 컨텐츠(136)가 아닌 디폴트(default)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폴트 컨텐츠는 보안 컨텐츠(136)를 대신하여 타인에게 디스플레이되어도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없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디폴트 컨텐츠는 시계, 달력, 날씨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폴트 컨텐츠로서 시계 컨텐츠(1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액티브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보안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는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보안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를 통하여, 보안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중인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유저 입력이 없이 자동으로 대기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보안 컨텐츠가 자동으로 디폴트 컨텐츠로 전환되어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은 액티브 상태(step 1) 및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이 있는 경우에, 보안 컨텐츠(136)를 디스플레이 중인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대기 상태(step 3)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도 10(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10(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도 11에서, 트리거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한 사이드 버튼(160)에 대한 유저 입력(140-1)에 의한 신호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tep 2).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는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하면(T1),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t1은 상술한 제 1 기준 시간(Tr1)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액티브 상태에서 제 1 기준 시간(Tr1) 이내에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또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32)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보안 컨텐츠(13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140-2)이 디텍트되면(T2),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tep 3). 예를 들어, T2는 도 5에서 상술한 제 2 기준 시간(Tr2)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대한 유저 입력(140-2)은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에 디스플레이된 보안 컨텐츠(136)에 대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보안 컨텐츠(136)에 대한 유저 입력(140-2)에 기초하여,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보안 컨텐츠(136)를 계속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를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프라이버시 침해가 우려될 수 있는 컨텐츠에 해당하더라도, 유저는 선택에 의해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보안 컨텐츠(136)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1은 이동 단말기의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은 2 단계의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대기 상태(step 4)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도 12(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12(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액티브 상태(step 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도 11에서, 트리거 신호는 제 1 기준 시간(Tr1) 동안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 자동 발생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나, 트리거 신호는 제 1 기준 시간(Tr1) 이내에 디텍트되는 트리거 신호도 포함된다. 다음으로,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tep 2). 여기에서,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1)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 중인 화면을 확인하기 위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1)에 대한 입력 신호(140-1)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1)에 대한 근접 터치, 접촉 터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1)에 대한 입력 신호는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선택하고자 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1)에 대한 입력 신호가 제 2 기준 시간(Tr2) 동안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2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tep 3). 제 2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2)는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1)에 디스플레이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132)뿐만 아니라,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131),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컨텐츠(131)와 동시에 실행 중인 컨텐츠(F2),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컨텐츠(132)와 동시에 실행 중인 컨텐츠(R2), 디폴트 컨텐츠(133,134,135)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디스플레이될 컨텐츠에 대한 유저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기 위함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1)에 대한 입력 신호(140-1)를 디텍트하고 T2-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 2 대기 프리뷰 인터페이스(1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2-1 시간은 상술한 제 2 기준 시간(Tr2)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130-2)에 대한 입력 신호(140-2)를 디텍트하는 경우(T2-2),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tep 4).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 신호(140-2)는 디폴트 컨텐츠 중 달력(134-1)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디텍트된 입력 신호(140-2)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달력 컨텐츠(134-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T2-2 시간은 상술한 제 2 기준 시간(tr2)에 비해 짧은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유저는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2는 양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하는 도 12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S1210).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 신호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생하는 신호 및 유저 입력에 의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입력에 의한 신호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의 사이드 버튼,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위치한 홈 버튼에 대한 유저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20). 여기에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 디폴트 컨텐츠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30).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는 접촉 터치, 근접 터치 등에 의한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S123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240).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입력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S123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변경 없이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250). 즉, 이동 단말기는 액티브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대기 상태에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하는 도 13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S131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320). 여기에서,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는 기 설정된 컨텐츠로서, 보안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30). S133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컨텐츠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40). 여기에서, 기 설정된 컨텐츠에 대한 입력 신호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보안 컨텐츠에 대한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S134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컨텐츠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350). 즉, 기 설정된 컨텐츠에 대한 입력 신호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현재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기 설정된 컨텐츠의 변경 없이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S133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폴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360).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폴트 컨텐츠는 보안 컨텐츠를 대신하여 타인에게 디스플레이되어도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없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디폴트 컨텐츠는 시계, 달력, 날씨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134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컨텐츠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370).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양명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120: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130: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

Claims (20)

  1.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포함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변경 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나타내는 제 1 이미지 및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정된 디폴트(default)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이미지의 변경 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2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기 설정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상기 기 설정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기 설정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폴트(default)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텍트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변경 없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제 2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2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유저 입력이 없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생하는 신호 및 상기 유저 입력에 의한 신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front side)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상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밝기(brightness)를 어둡게 조절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백라이트(backlight)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온(on)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21381A 2013-02-27 2013-02-27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197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381A KR101978218B1 (ko) 2013-02-27 2013-02-27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US13/850,965 US8593401B1 (en) 2013-02-27 2013-03-26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ouble-sided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3/002603 WO2014133218A1 (en) 2013-02-27 2013-03-29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ouble-sided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380073268.1A CN105009466B (zh) 2013-02-27 2013-03-29 包括双面显示单元的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13876522.7A EP2962402A4 (en) 2013-02-27 2013-03-29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DOUBLE-SIDED DISPLAY UNIT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381A KR101978218B1 (ko) 2013-02-27 2013-02-27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74A KR20140106974A (ko) 2014-09-04
KR101978218B1 true KR101978218B1 (ko) 2019-05-14

Family

ID=4959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381A KR101978218B1 (ko) 2013-02-27 2013-02-27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93401B1 (ko)
EP (1) EP2962402A4 (ko)
KR (1) KR101978218B1 (ko)
CN (1) CN105009466B (ko)
WO (1) WO2014133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602B1 (ko) * 2013-06-10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20639A1 (en) * 2013-08-06 2015-02-12 Intel Corporation Dual screen visibility with virtual transparency
KR102083597B1 (ko) * 2014-03-10 2020-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906208A (zh) * 2014-03-28 2014-07-0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模省电的多媒体传输方法及其系统
KR101667727B1 (ko) 2014-10-31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569573B (zh) * 2015-10-09 202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显示控制方法及装置、设备
US10606934B2 (en) 2016-04-01 2020-03-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on of a modified UI element tree
US10248584B2 (en) 2016-04-01 2019-04-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ta transfer between host and peripheral devices
CN106354306A (zh) * 2016-08-26 2017-01-2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触控操作的响应方法及装置
US11269394B2 (en) * 2017-11-17 2022-03-08 Ntt Docomo, Inc.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ouch-screen unit
US20190179587A1 (en) * 2017-12-07 2019-06-13 Sitronix Technology Corp. Optical imaging device with backup display
CN108667962A (zh) * 2018-04-10 2018-10-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10392138B (zh) * 2018-04-20 2021-06-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装配方法
CN109327672B (zh) * 2018-12-11 2020-09-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方法及终端
KR102199530B1 (ko) * 2019-04-24 2021-01-07 넷마블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단말 및 이의 게임 제공 방법
CN117413217A (zh) 2021-04-29 2024-01-16 爱尔康公司 有色美化光致变色接触镜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6657A1 (en) 2003-07-29 2005-02-03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s apparatus
US20050124389A1 (en) 2003-12-05 2005-06-09 Yu-Chuan Yang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100194705A1 (en) 2009-01-30 201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dual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100214227A1 (en) 2009-02-26 2010-08-26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Dual scr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9038C (zh) * 2002-12-13 2006-01-25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手机副屏幕画面自动更新的方法
KR100618816B1 (ko) * 2003-12-10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182663A1 (en) * 2004-06-01 2007-08-09 Biech Grant S Portable, folding and separable multi-display computing system
US7908555B2 (en) 2005-05-31 2011-03-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displays for presenting multiple streams of content
KR100738035B1 (ko) * 2005-10-28 2007-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CN1964366B (zh) * 2005-11-10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屏移动装置及其显示方法
JP4823135B2 (ja) * 2006-05-22 2011-11-2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8629814B2 (en) 2006-09-14 2014-01-14 Quickbiz Holdings Limited Controlling complementary bistable and refresh-based displays
US7973738B2 (en) 2006-09-14 2011-07-05 Spring Design Co. Ltd. Electronic devices having complementary dual displays
KR100977385B1 (ko) * 2008-04-10 2010-08-20 주식회사 팬택 위젯형 대기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대기화면 제어 방법
KR101532573B1 (ko) 2008-08-22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729679A (zh) * 2008-10-31 2010-06-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
KR101533850B1 (ko) 2009-01-20 2015-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EP2226787B1 (en) * 2009-03-03 2016-1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US8284118B2 (en) * 2009-04-03 2012-10-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ower saving mode in persistently active multi-layer display screen
EP2287702B1 (en) 2009-08-17 2018-05-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330069B2 (en) 2009-10-14 2016-05-03 Chi Fai Ho Layout of E-book content in screens of varying sizes
EP2360665A3 (en) 2009-11-26 2012-03-28 LG Electronic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17267B1 (ko) * 2009-12-07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US8898398B2 (en) 2010-03-09 2014-11-25 Microsoft Corporation Dual-mode and/or dual-display shared resource computing with user-specific caches
CN101909098A (zh) * 2010-07-26 2010-12-08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可360度旋转的新型手机
JP5628625B2 (ja) * 2010-10-14 2014-11-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JP2014503891A (ja) * 2010-12-10 2014-02-13 ヨタ デバイセズ アイピーアール リミ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携帯機器
JP5984339B2 (ja) * 2011-04-26 2016-09-0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6657A1 (en) 2003-07-29 2005-02-03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s apparatus
US20050124389A1 (en) 2003-12-05 2005-06-09 Yu-Chuan Yang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100194705A1 (en) 2009-01-30 201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dual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100214227A1 (en) 2009-02-26 2010-08-26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Dual scr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2402A1 (en) 2016-01-06
EP2962402A4 (en) 2016-10-05
US8593401B1 (en) 2013-11-26
KR20140106974A (ko) 2014-09-04
CN105009466B (zh) 2017-07-04
WO2014133218A1 (en) 2014-09-04
CN105009466A (zh)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218B1 (ko)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1978220B1 (ko)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1899812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27890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188266B1 (ko)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158748B2 (en) Mobile terminal with multiple display modules
US90756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play power consumption
US867493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130738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341693A1 (en)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US20130300687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104255B2 (en) Mobile device using E-paper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66785B2 (en) Selectively tranferring image data from user equipment to external device
CA2824694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on a mobile device
JP5679891B2 (ja)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090035333A (ko)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32587B1 (ko) 휴대단말기 및 메뉴검색 피드백 방법
US20100327774A1 (en) Housing Illumin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14034789A1 (ja) 表示制御装置、通信端末、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60079444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712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101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2012123285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8508872A (ja) 周辺明暗差に係るデバイスパワー状態の遷移の実現
KR20090041248A (ko) 휴대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