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92B1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92B1
KR101832492B1 KR1020110056375A KR20110056375A KR101832492B1 KR 101832492 B1 KR101832492 B1 KR 101832492B1 KR 1020110056375 A KR1020110056375 A KR 1020110056375A KR 20110056375 A KR20110056375 A KR 20110056375A KR 101832492 B1 KR101832492 B1 KR 10183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attery
power
remaining
che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071A (ko
Inventor
최종훈
양헌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492B1/ko
Priority to US13/280,603 priority patent/US20120316811A1/en
Priority to EP11191646.6A priority patent/EP2533064B1/en
Priority to CN201210012244.2A priority patent/CN102819481B/zh
Priority to JP2012060134A priority patent/JP5951297B2/ja
Publication of KR2012013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가, 터치 스크린과,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요청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는 배터리 체크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부팅을 위한 특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배터리 잔량 및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를 표시하는 동안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가 터치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부팅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FIRMING REMAINING AMOUNT OF BATTERY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한정된 배터리용량으로 인한 제한된 사용시간이다. 최근 많은 소모전류를 필요로 하는 스마트폰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배터리용량에 대한 고민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배터리잔량 확인에 대한 필요성 또한 커졌다.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때 배터리가 부족하여 곤란한 상황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언제나 배터리 잔량을 확인 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알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를 전원 온 시킨 상태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배터리 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오프인 상태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충전기 또는 USB케이블을 꽂으면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충전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나타나는 배터리 바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가 전원이 오프인 상태에서 충전기나 USB케이블이 없으면 휴대단말기를 부팅시켜서 전원 온 상태가 된 후에야 배터리 잔량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기나 USB케이블이 없을 때, 전원오프상태인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잔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킨 후 몇 십초 또는 몇 분의 부팅시간을 기다려야만 한다.
현재 사용 중인 배터리가 방전되어 다른 배터리로 교체하고 싶을 때, 기존에 사용했던 배터리보다 교체한 배터리의 잔량이 더 많은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교체하여 휴대단말기를 부팅 해보는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배터리를 여러 개 보유한 경우, 잔량이 가장 많은 배터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배터리를 휴대폰에 채결하여 부팅해 봐야 한다.
그러나 불필요한 배터리소모를 막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일부러 오프시킨 경우라면, 배터리 잔량확인을 위한 휴대단말기의 부팅은 배터리를 더욱 소모시키게 된다. 또한 휴대단말기를 켜기 곤란한 상황에서는 배터리잔량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부팅시키지 않아도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 충전기 또는 USB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아도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가, 터치 스크린과,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요청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는 배터리 체크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부팅을 위한 특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배터리 잔량 및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를 표시하는 동안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가 터치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부팅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방법은,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요청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 및 부팅을 위한 특정 메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를 표시하는 동안,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가 터치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부팅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부팅시키지 않아도 배터리의 잔량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 잔량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휴대단말기를 부팅시키지 않아도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오프인 상태에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특정 키와 전원 키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키는 홈 키, 볼륨 키 및 촬영 키등과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키이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특정키가 입력되는 동안 전원 키가 입력되면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배터리잔량 표시모드에서 배터리 잔량을 체크할 수 있는 배터리 체크부(170)와 상기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160)만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잔량을 표시부(160)에 표시할 수 있는 UI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잔량을 체크할 수 있는 배터리 체크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별도의 상기 배터리 체크부(170)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 배터리 체크부(17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특정키가 입력되는 동안 전원 키가 입력되면 배터리부(180)의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며, 상기 배터리부(180)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에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와 함께 부팅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부팅 메뉴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오프 시킬 수 있는 종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일 경우, 상기 표시부(160)의 터치를 통해 상기 부팅메뉴 또는 상기 종료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160)가 터치스크린 방식이 아닐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 입력부(127)를 활성화 하여 상기 부팅메뉴 또는 상기 종료메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 2 - 도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오프인 201단계에서 특정키가 입력되는 동안 전원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로 전환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배터리잔량 표시모드에서 배터리 잔량을 체크할 수 있는 상기 배터리 체크부(170)와 상기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180)만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활성화된 상기 배터리 체크부(170)는 상기 배터리부(180)의 현재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배터리 체크부(170)로부터 현재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배터리 바 또는 수치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와 함께, 부팅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부팅메뉴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는 종료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부팅메뉴가 터치되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부팅모드로 전환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종료메뉴가 터치되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다시 오프시키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 잔량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에서 상기 표시부(160)에 현재 배터리의 잔량을 배터리 바로 표시하고, 부팅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부팅메뉴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는 종료메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부팅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현재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터리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현재 배터리의 잔량 확인한 후 종료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다른 배터리를 장착한 후 상기 도 2의 과정을 통해 장착된 배터리의 잔량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 배터리의 잔량 확인한 후 부팅메뉴의 선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켜서 부팅모드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60:표시부, 170: 배터리 체크부, 180: 배터리부

Claims (8)

  1.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과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요청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는 배터리 체크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부팅을 위한 특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배터리 잔량과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를 표시하는 동안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가 터치 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부팅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상기 요청에 따라 배터리 잔량 표시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배터리잔량 표시모드에서 배터리 잔량을 체크할 수 있는 배터리 체크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동안 종료를 위한 특정 메뉴를 표시하고, 종료를 위한 상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 요청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 및 부팅을 위한 특정 메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를 표시하는 동안, 부팅을 위한 상기 특정 메뉴가 터치 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부팅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방법.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잔량이 표시하는 동안 종료를 위한 특정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종료를 위한 상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방법.
KR1020110056375A 2011-06-10 2011-06-10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83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375A KR101832492B1 (ko) 2011-06-10 2011-06-10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
US13/280,603 US20120316811A1 (en) 2011-06-10 2011-10-25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maining battery life of a portable terminal
EP11191646.6A EP2533064B1 (en) 2011-06-10 2011-12-02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maining battery life of a portable terminal
CN201210012244.2A CN102819481B (zh) 2011-06-10 2012-01-16 用于确定便携式终端的剩余电池寿命的装置和方法
JP2012060134A JP5951297B2 (ja) 2011-06-10 2012-03-16 携帯端末機のバッテリー残量を確認する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375A KR101832492B1 (ko) 2011-06-10 2011-06-10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071A KR20120137071A (ko) 2012-12-20
KR101832492B1 true KR101832492B1 (ko) 2018-02-26

Family

ID=4534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375A KR101832492B1 (ko) 2011-06-10 2011-06-10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316811A1 (ko)
EP (1) EP2533064B1 (ko)
JP (1) JP5951297B2 (ko)
KR (1) KR101832492B1 (ko)
CN (1) CN1028194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1410B2 (en) * 2013-01-04 2016-01-05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 device case
US8844817B2 (en) 2013-01-05 2014-09-30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 device case for mobile point of sale
US9335808B2 (en) 2013-03-08 2016-05-10 Intel Corporation Indicating critical battery status in mobile devices
CN104333648B (zh) * 2014-01-23 2017-05-31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其装置
WO2015142996A1 (en) 2014-03-20 2015-09-24 Otter Products, Llc Powered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219210B2 (ja) * 2014-03-26 2017-10-2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方法
US9698632B2 (en) 2014-05-09 2017-07-04 Otter Products, Llc Wireless battery charger and charge-receiving device
WO2016025735A1 (en) * 2014-08-14 2016-02-18 Edan Instruments, Inc. Portability enhancing hardware for a portable ultrasound system
US9603525B2 (en) * 2014-08-15 2017-03-28 Shenzhen Mindray Bio-Medical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on of a portable telemetry device
KR102367055B1 (ko) * 2015-03-19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배터리 정보 제공 방법
US10326488B2 (en) * 2015-04-01 2019-06-18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 device case with inductive coupling features
US10164468B2 (en) 2015-06-16 2018-12-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over with wireless charging feature
US9729187B1 (en) 2016-02-01 2017-08-08 Otter Products, Llc Case with electrical multiplexing
CN108628724A (zh) * 2017-03-24 2018-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充电信息的方法及终端
US20190033377A1 (en) 2017-07-28 2019-01-31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battery operating data and exogenous data
US10958103B2 (en) 2018-08-14 2021-03-23 Otter Products, Llc Stackable battery pack system with wireless charging
USD906958S1 (en) 2019-05-13 2021-01-05 Otter Products, Llc Battery char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6778A (ja) * 2003-04-22 2004-1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電源オフ状態で携帯電子機器のバッテリステータスを表示する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584A (ja) * 1998-03-31 1999-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2002044232A (ja) * 2000-07-25 2002-02-08 Sony Corp 携帯電話機
CN100351641C (zh) * 2003-04-11 2007-11-28 英华达股份有限公司 手机在未开机时可显示其电池容量的装置
CN1941957A (zh) * 2005-09-29 2007-04-0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快速显示手机电池电量的方法
JP5161443B2 (ja) * 2006-08-11 2013-03-13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
JP4608013B2 (ja) * 2007-07-27 2011-01-05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装置、コンピュータ起動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起動処理プログラム
TWM366106U (en) * 2009-02-04 2009-10-01 Giga Byte Tech Co Ltd Notebook
KR101577400B1 (ko) * 2009-03-03 201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10154007A1 (en) * 2009-12-23 2011-06-23 Nokia Corporation Low energy boot options for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6778A (ja) * 2003-04-22 2004-1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電源オフ状態で携帯電子機器のバッテリステータスを表示する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3064B1 (en) 2019-05-08
KR20120137071A (ko) 2012-12-20
JP5951297B2 (ja) 2016-07-13
CN102819481B (zh) 2017-05-17
CN102819481A (zh) 2012-12-12
EP2533064A1 (en) 2012-12-12
JP2013005432A (ja) 2013-01-07
US20120316811A1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492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확인 장치 및 방법
US202002017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20130024166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장치 및 방법
EP2996253B1 (en)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terminal
KR101342210B1 (ko) 휴대단말기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67618B1 (ko) 휴대단말기의 음악재생 종료장치 및 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1933431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메모리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35836B1 (ko) 휴대단말기의 메뉴실행 장치 및 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2070079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39820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6068B1 (ko) 휴대 단말기의 파워오프 제어방법
KR100594167B1 (ko) 외부메모리를 통해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KR20060130354A (ko)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KR20060130357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서비스 차단방법
KR20050096652A (ko) 휴대단말기의 저전압에 따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