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499A -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499A
KR20090042499A KR1020070108284A KR20070108284A KR20090042499A KR 20090042499 A KR20090042499 A KR 20090042499A KR 1020070108284 A KR1020070108284 A KR 1020070108284A KR 20070108284 A KR20070108284 A KR 20070108284A KR 20090042499 A KR20090042499 A KR 20090042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terminal
displaying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157B1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157B1/ko
Priority to US12/243,581 priority patent/US8823766B2/en
Publication of KR2009004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499A/ko
Priority to US14/339,837 priority patent/US95258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9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a television transmission apparatus, e.g. a videophone, a teletext system or a digital televisio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motion picture signals, e.g.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3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상 통화 수행시, 제1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1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면, 제2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제2 이미지가 입력되는 과정;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의 사이즈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으로 리사이징하는 과정; 및 리사이징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표시 및 전송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상 통화 수행시, 화상 통화용 이미지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용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확인하고,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카메라부, 화상통화, 이미지, 전송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화상 통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다양한 기능으로는 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MP3 기능, 데이터 전송 기능, DMB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장면을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따로 들고 다니지 않아도,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과 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통화 기능은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으며, 상대방의 주변 환경 또는 분위기까지 알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화상 통 화 기능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통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카메라는 구비한다. 이렇게 구비된 카메라 중에서 하나는 화상 통화용으로 화상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로 휴대 단말기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있다. 다른 카메라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찍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에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시 하나의 카메라만 화상 통화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다른 카메라는 사용할 수가 없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상 통화 중에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찍고 싶어도 찍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상 통화 중에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들 또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사진을 상대방과 공유하고 싶어도 공유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와 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이미지를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은 화상 통화 수행시, 제1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면, 제2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제2 이미지가 입력되는 과정;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의 사이즈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으로 리사이징하는 과정; 및 상기 리사이징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표시 및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 말기는 화상 통화 수행 명령과 이미지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 상기 화상 통화 수행 명령시, 상기 제1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으로 리사이징하여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상기 표시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개의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하는 동안 화상 통화용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 또는 사진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중에 화상 통화용 이미지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용 카메라가 아닌 나머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도 같이 표시함으로, 사용자는 화상 통화용 이미지뿐만 아니라 다른 이미지도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로는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사진)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제1 및 제2 카메라부(131,133), 제어부(140), 표시부(150), 저장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화상 통화용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송수신 기능을 분리하는 듀플렉서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하는 송신부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측면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통화용 키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화상 통화시 동영상 또는 사진(이하 동영상 및 사진을 이미지라 칭한다.)을 촬영하거나, 촬영된 이미지를 화상 통화를 하고 있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있는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부(131,13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광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센서로부터 처리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특 히 제1 및 제2 카메라부(131,133)는 화상 통화 모드시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또는 사용자 주변의 환경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부(131)에서 화상 통화시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화상 통화용 이미지가 촬영되며, 제2 카메라부(133)에서 휴대 단말기의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가 촬영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는 제1 이미지, 제2 카메라부(133)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는 제2 이미지라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휴대 단말기에 따라 다수개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모드시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상 통화 중에 입력부(120)를 통해 이미지 전송 선택시, 제어부(140)는 제2 카메라부(133)를 제어하여, 제2 카메라부(133)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와 함께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 카메라부(133)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이미지를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된 제1 이미지와 함께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 맞게 제1 및 제2 이미지의 전체 사이지를 리사이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서 해상도는 QCIF이고 15frame을 지원하고, 제1 이미지는 해상도 QCIF 이미지이고, 제2 이미지는 해상도 VGA 이미지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제1 이 미지를 1/4QCIF로 압축하고, 제2 이미지를 1/2QCIF로 압축하여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전체 사이즈가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 맞도록 리사이징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 이미지인 제3 이미지의 해상도를 1/4QCIF로 리상이징하여, 제1, 제2 및 제3 이미지를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리사이징된 제1 및 제2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때, 제1 및 제2 이미지를 합쳐서 하나의 화상 데이터로 전송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이미지를 각각 별개의 화상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140),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제1, 제2 및 제3 화면(310, 320, 330)을 구비하여, 화상 통화시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 제2 카메라부(133)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이미지 및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 이미지인 제3 이미지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휴대 단말기의 동작 중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제1 및 제2 카메라부(131,133)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및 제2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3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 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3 이미지 외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중에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제1 카메라부(131)로부터 입력되는 제1 이미지와 제2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2 이미지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사이즈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저장부(160)를 제어하여 제2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중에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면, 제2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이미지 대신에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이미지 전송시, 전송되는 이미지를 제1 이미지 및 제3 이미지와 함께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상 통화 중에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중에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전송시 각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입력부(120)에 구비된 숫자키를 통해 화상 통화를 하고자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 한 후, 화상 통화용 키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210단계에서 화상 통화 수행 명령으로 감지하고,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화상 통화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1 카메라부(131)를 구동하여,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와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와 화상 통화를 수행할 때, 제어부(140)는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215단계에서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부(150)의 제1 화면(310)에,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인 제3 이미지를 표시부(150)의 제3 화면(330)에 표시한다. 제1 이미지와 제 3 이미지가 표시되는 각각의 화면 크기 및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설정된 화면의 크기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3 이미지의 사이즈를 리사이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220단계에서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화상 통화가 실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입력부(120)에 구비된 기능키 또는 메뉴 등을 통해 이미지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220단계에서 이미지 전송 명령으로 감지하고, 225단계에서 제2 카메라부(133)를 구동시킨다.
제어부(140)는 230단계에서 제2 카메라부(133)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제2 이미지가 표시되 는 제2 화면(320)이 제1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화면(310) 및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3 화면(330)과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제1 내지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도 3과 같이 제1 화면(310) 내지 제3 화면(330)으로 분할된 화면에 각각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화면(310)은 제1 이미지가, 제2 화면(320)에는 제2 이미지가, 제3 화면(330)에는 제3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화면이 분할되는 방법이나, 각각 분할된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 화면의 크기 및 위치 등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각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화면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로 바꾸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화면(320)이 메인 화면이고, 제1 및 제3 화면(310,330)이 서브 화면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서로 체인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사용자가 제1 화면(310)을 클릭, 방향키 또는 탭을 입력하거나, 메뉴 등을 통해 선택한 후, 제2 화면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1 화면(310)에 표시되는 제1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제2 화면(320)에 표시되는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바꾸어 표시할 수도 있다.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3 화면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른 화면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제2 및 제3 이미지의 사이즈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제1 이미지의 사이즈를 1/4 QCIF 로, 제2 이미지는 1/2 QCIF로, 제3 이미지는 1/4 QCIF 로 리사이징하여, 제1, 제2, 및 제3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내지 제3 이미지를 표시한 제어부(140)는 235단계에서 전송할 제2 이미지의 종류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전송될 제2 이미지의 종류가 동영상인지, 사진인지를 판단한다. 동영상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240단계에서 제2 카메라부(133)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이미지인 동영상을 제1 이미지와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제1 및 제2 이미지의 사이즈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 맞게 조절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 또는 환경 등을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으며, 이렇게 촬영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화상 통화를 하고 있는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245단계에서 제2 이미지 전송이 종료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제2 이미지 촬영을 종료하고자 입력부(120)에 구비된 확인키 등의 기능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이를 동영상 전송 종료로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250단계에서 제2 이미지가 표시되었던 제2 화면(320)을 삭제하고, 제1 및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및 제3 화면(330)만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정에 의하여 전송되었던 제2 이미지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반면에 235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에 구비된 기능키 등을 이용하여 사진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이를 감지하고, 260단계에서 캡쳐되는 제2 이미지가 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20)에 구비된 촬영키 등을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촬영키가 입력되는 순간의 제2 이미지를 캡쳐하여, 265단계에서 캡쳐된 제2 이미지를 표시부(150)의 제2 화면(320)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제1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화면(310)과 제3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3 화면(330)을 제2 화면(320)과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캡쳐된 제2 이미지를 제2 화면(320)에 표시한 제어부(140)는 270단계에서 캡쳐된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20)에 구비된 기능키 또는 메뉴 등을 통해 캡쳐된 이미지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275단계에서 캡쳐된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와 함께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전체 사이즈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정에 의해 캡쳐된 제2 이미지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시 제2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고, 표시된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와 함께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다음으로는 화상 통화시,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표시된 이미지를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시 저장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입력부(120)에 구비된 숫자키를 통해 화상 통화를 하고자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 한 후, 화상 통화용 키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이를 화상 통화 수행 명령으로 감지하고, 41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화상 통화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1 카메라부(131)를 구동하여,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와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415단계에서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1 이미지와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 이미지인 제3 이미지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부(150)의 제1 화면(310)에 표시하고, 상대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 이미지인 제3 이미지는 표시부(150)의 제3 화면(3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이미지와 제 3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 및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420단계에서 저장된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20)에 구비된 기능키 또는 메뉴 등을 통해 저장된 이미지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420단계에서 이를 저장된 이미지 전송 명령으로 감지하고, 425단계에서 저장부(160)에 저장된 모든 이미지를 제2 화면(3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2 화면(320)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슬라이드 형태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일 수도 있고, 썸네일 형태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부(150)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화면(320)이 표시될 때,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화면(310)과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3 화면(330)도 같이 표시되어야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430단계에서 표시된 이미지 중에 선택된 이미지가 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전송할 이미지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이를 감지하고, 435단계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제2 화면(3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미지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44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45단계에서 제1 이미지와 함께 선택된 이미지를 전송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제1 이미지와 선택된 이미지의 전체 사이즈를 확인하여,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 맞게 전체 사이즈를 리사이징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450단계에서 이미지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40)는 455단계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하던 제2 화면(320)을 제거하고,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화면(310)과 제3 이미지를 표시하던 제3 화면(330)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상 통화시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대방 이미지인 제3 이미지와 함께 전송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제3 이미지 외에도 전송되는 이미지를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제1 카메라부(131)를 통해 입력되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사용자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제1 화면(310)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제2 화면(320)에, 상대방 이미지인 제3 이미지를 제3 화 면(330)에 표시한다. 이때도 제어부(140)는 제1, 제2, 및 제3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을 각각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표시한다. 또한 화상 통화시, 사용자와 상대방이 동시에 이미지를 송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4개의 화면으로 구분하여, 화상 통화용으로 송수신되는 사용자와 상대방 이미지 외에도,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하는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중에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전송시 각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시 저장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25)

  1.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화상 통화 수행시, 제1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면, 제2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제2 이미지가 입력되는 과정;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의 사이즈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으로 리사이징하는 과정; 및
    상기 리사이징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표시 및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전송할 상기 제2 이미지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의 종류는
    동영상 또는 사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이미지 종류가 동영상이면,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입력되는 제2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이미지 종류가 사진이면, 상기 제2 이미지를 캡쳐하여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캡쳐된 제2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 이미지인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이미지는 제1 화면에, 상기 제2 이미지는 제2 화면에, 상기 제3 이미지는 제3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8.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전송 방법에 있어 서,
    화상 통화 수행시, 제1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3 이미지가 수신되는 과정;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면, 제2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제2 이미지가 입력되는 과정;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의 종류는
    동영상 또는 사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및 전송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2 ,3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메인화면에 표시하고 남은 이미지를 서브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서브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서로 체인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2. 화상 통화 수행시, 제1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저장된 이미지 전송이 선택되면,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제1 이미지와 함께 리사이징하여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표시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1 이미지와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동영상 또는 사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15. 화상 통화 수행 명령과 이미지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
    상기 화상 통화 수행 명령시, 상기 제1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화상 통화용 이미지 규격으로 리사이징하여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상기 표시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상 통화용 제3 이미지 더 표시하며,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화면,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화면 및 상기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3 화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사이즈는 QCIF에서 1/4 QCIF로, 상기 제2 이미지는 VGA에서 1/2 QCIF로, 상기 제3 이미지의 사이즈는 QCIF에서 1/4 QCIF로 리사이징함을 특 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는
    동영상 또는 사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제1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통화용 사용자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제2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 환경 이미지이며,
    상기 제3 이미지는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화상 통화 수행 명령과 이미지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
    상기 화상 통화 수행 명령시, 상기 제1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3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상기 표시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3 이미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는
    동영상 또는 사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하나의 화상 데이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각각 별개의 화상 데이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4.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3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메인화면에 표시하고 남은 이미지를 서브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서브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서로 체인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70108284A 2007-10-26 2007-10-26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KR10143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284A KR101433157B1 (ko) 2007-10-26 2007-10-26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US12/243,581 US8823766B2 (en) 2007-10-26 2008-10-0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in
US14/339,837 US9525844B2 (en) 2007-10-26 2014-07-24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284A KR101433157B1 (ko) 2007-10-26 2007-10-26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499A true KR20090042499A (ko) 2009-04-30
KR101433157B1 KR101433157B1 (ko) 2014-08-22

Family

ID=4058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284A KR101433157B1 (ko) 2007-10-26 2007-10-26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823766B2 (ko)
KR (1) KR1014331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150A (ko) * 2012-06-08 201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중 채널 비디오 채팅을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40051014A (ko) * 2012-10-22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37616A (ko) * 2010-04-07 2018-12-27 애플 인크. 전화 통화 중의 화상 회의 설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1197D0 (en) * 2008-06-18 2008-07-23 Skype Ltd Processing video communication data
US8350894B2 (en) * 2009-04-17 2013-01-08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tereoscopic imaging
CN102215374B (zh) * 2010-04-07 2015-09-02 苹果公司 在多照相机移动设备的视频会议期间切换照相机
US20110300883A1 (en) * 2010-06-08 2011-12-0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520080B2 (en)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JP5884421B2 (ja) * 2011-11-14 2016-03-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94313B2 (ja) 2012-03-21 2016-09-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提供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325776B2 (en) * 2013-01-08 2016-04-26 Tangome, Inc. Mixed media communication
JP5877406B2 (ja) * 2013-12-06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KR20160074334A (ko) 2014-12-18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005599A (zh) * 2015-06-30 2015-10-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照片分享方法及移动终端
CN105005597A (zh) * 2015-06-30 2015-10-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照片分享方法及移动终端
JP7074056B2 (ja) * 2016-05-13 2022-05-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7071138B (zh) * 2016-12-15 2020-03-10 北京佰人科技有限责任公司 视频通话的方法以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7606B2 (ja) * 1994-07-29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画像受信装置及び受信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
US6313863B1 (en) * 1994-07-29 2001-11-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JP4203246B2 (ja) * 2002-03-14 2008-12-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
JP2005150985A (ja) * 2003-11-12 2005-06-09 Sharp Corp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情報処理方法
KR100672338B1 (ko) 2005-09-0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촬영 방법
EP1763243A3 (en) * 2005-09-09 2008-03-26 LG Electronics Inc.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US8004555B2 (en) * 2006-05-31 2011-08-2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dual camera video telephony
US20080084482A1 (en) * 2006-10-04 2008-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mage-capturing system and method
KR101108837B1 (ko) * 2006-10-19 2012-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저장장치 및 방법
KR20080082821A (ko) * 2007-03-09 2008-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전송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616A (ko) * 2010-04-07 2018-12-27 애플 인크. 전화 통화 중의 화상 회의 설정
KR20200013268A (ko) * 2010-04-07 2020-02-06 애플 인크. 전화 통화 중의 화상 회의 설정
US11025861B2 (en) 2010-04-07 2021-06-01 Apple Inc. Establishing a video conference during a phone call
KR20130138150A (ko) * 2012-06-08 201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중 채널 비디오 채팅을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40051014A (ko) * 2012-10-22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23766B2 (en) 2014-09-02
US20140333714A1 (en) 2014-11-13
US9525844B2 (en) 2016-12-20
US20090109276A1 (en) 2009-04-30
KR101433157B1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1356269B1 (ko) 듀얼 카메라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 및 그 이동 단말의 이미지 처리 방법
CN111050062B (zh)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US20050264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aptured image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KR100617702B1 (ko)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US83451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50067286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KR101137348B1 (ko)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처리 방법
EP1746830A2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308311B1 (ko) 화상 전화기의 화상 저장방법
KR1006405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US20050280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and two display units
US2006010935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zoom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0747581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KR2006001308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의 일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585557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복수의 영상들을 동시에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06335A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US20230232114A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KR2005006729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전송 방법
KR101387670B1 (ko)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4222017A (ja) 撮像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
JP2005191697A (ja) 動画撮影装置、動画記録方法、および、動画記録プログラム
JP2007243647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