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50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501B1
KR100640501B1 KR1020040062927A KR20040062927A KR100640501B1 KR 100640501 B1 KR100640501 B1 KR 100640501B1 KR 1020040062927 A KR1020040062927 A KR 1020040062927A KR 20040062927 A KR20040062927 A KR 20040062927A KR 100640501 B1 KR100640501 B1 KR 10064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stored
cube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297A (ko
Inventor
한용희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501B1/ko
Priority to US11/193,392 priority patent/US20060035679A1/en
Priority to CNB200510089987XA priority patent/CN100376106C/zh
Publication of KR2006001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에, 저장된 사진들을 대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입 면을 구비한 3차원 객체를 미리 마련하고,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3차원 객체를 불러오며, 저장 사진의 전후에 이동을 위해 설정된 이동키의 입력에 따라 저장 사진 중 디스플레이할 사진을 적절히 선택하여 적절한 대입 면에 대입하고, 3차원 객체의 회전 등의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사진, 디스플레이, 3차원, 애니메이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시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드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동작의 흐름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사용되는 3차원 객체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특 히 카메라 기능 수행시에 촬영되어 저장된 사진들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달로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의 기능 외에 고속으로 화상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채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한 일명 카메라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채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장면이나 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기지국을 통해 촬영한 사진의 영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PC(Personal Computer)와 연결하여, 영상 데이터를 PC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PC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채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은 초기에 기본적인 촬영, 저장 및 전송에 요구되는 기능만이 채용되었으나,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성능, 품질 및 기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대등하거나 또는 더 유효한 성능, 품질 및 기능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진 저장 용량을 증가시켜 최근 들어서는 수십에서 수백 장에 이르는 사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의 관리시에, 통상 단말기는 저장된 사진들을 한 사진씩 순서대로 액정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방향키(일명 '네비게이션 키')의 입력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저장된 사진을 불러와서 순차적으로 액정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진들의 디스플레이 형식은 한 사진씩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진 디스플레이 방식은 사용자가 특정한 사진을 확인하고자 할 때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 번호에서부터 확인하고자 하는 사진의 번호의 차이에 따른 횟수만큼 방향키의 입력 조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한다. 이때 물론 반복적인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에서부터 확인하고자 하는 사진 사이에 저장된 사진들이 순차적인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방향키의 입력 및 이에 따라 순차적인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사진들을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과 단조로움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저장된 사진의 수가 많을수록 사진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른 문제점은 더욱 가중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저장된 사진을 확인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게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사진들을 대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입 면을 구비한 3차원 객체를 미리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상기 3차원 객체를 불러오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의 전후에 이동을 위해 설정된 이동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 사진 중 디스플레이할 사진을 선택하여 상기 대입 면에 대입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객체의 미리 설정된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각 면에 저장된 사진들을 대입하기 위한 큐브 형태의 3차원 객체를 미리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상기 큐브 3차원 객체를 불러오는 과정과, 상기 큐브 3차원 객체의 제1면에 제1번 사진을 대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좌우상하의 입력이 가능한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에서 다음 번째 디스플레이할 사진 번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사진 번호의 사진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큐브 3차원 객체의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면의 좌우상하 측면 중 선택된 면에 대입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을 대입한 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큐브 3차원 객체의 회전 애니메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사진들을 대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입 면을 구비한 3차원 객체를 적어도 하나의 형태별로 미리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태별로 마련된 3차원 객체 중 어느 하나의 3차원 객체를 미리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상기 선택된 3차원 객체를 불러오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의 전후에 이동을 위해 설정된 이동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 사진 중 디스플레이할 사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3차원 객체의 대입 면에 대입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객체의 미리 설정된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며, 스피커(51), 표시부(LCD: Liquid Crystal Display)(52), 키패드(54), 마이크(58) 등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며, 렌즈부(61), 촬상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62), 신호처리부(63), 영상처 리부(64), 영상메모리(65) 등으로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60)과, 무선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RF/IF 처리부(30)와, ROM 및 RAM으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동작 프로그램 및 동작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0)와, 음성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신호 처리부(CODEC)(40) 및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과 모뎀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국 모뎀장치(MSM : Mobile Station Modem)(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메모리부(20)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저장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3차원 객체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기능부들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50)에서, 마이크(56)는 전화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신호 처리부(40)로 보내며, 스피커(51)는 이와 반대로 음성신호 처리부(40)로부터 음성 신호를 제공받아 이에 따른 가청음을 발생한다. 키패드(54)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숫자/문 자키들과 이동통신 및 카메라 촬영을 위한 각종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다수의 기능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해당 키 입력 데이터를 이동국 모뎀장치(10)로 제공한다. 통상 LCD로 구성되는 표시부(52)는 LCD 제어기, 영상데이터 저장용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국 모뎀장치(10)의 제어하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 사용자 메뉴 등의 정보의 문자 표시나 배경 영상의 표시 및 카메라 모듈(6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52)의 LCD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53)이 채용될 수도 있다.
RF/IF 처리부(30)는 송신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국 모뎀장치(10)로부터 받은 변조된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한 후 다시 고주파(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중간주파수와 기저대역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이동국 모뎀장치(10)로 제공한다.
통상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되는 음성신호 처리부(40)는 마이크(56)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PCM)로 변환하여 이를 이동국 모뎀장치(10)로 보내며 이동국 모뎀장치(10)로부터 들어오는 상대편 음성의 디지털 신호(PCM)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51)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음성신호 처리부(40)는 별도로 블록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동국 모뎀장치(10)에 원칩화되어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동국 모뎀장치(10)는 키패드(54)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동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른 현재 상태 및 사용자 메뉴 등의 정보를 표시부(5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특히 전화통화를 위한 음성신호 처리시에는 음성신호 처리부(40)로부터 제공받은 PCM 음성신호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을 통해 변환한 후 변조하여 RF/IF 처리부(30)로 제공하며, RF/IF 처리부(3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복조, 등화(Equalization),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을 거쳐 PCM 음성신호로 생성한 후 이를 음성신호 처리부(40)로 보낸다. 또한 이동국 모뎀장치(1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저장 사진을 3차원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엔진부가 구비된다.
카메라 모듈(60)에서, 렌즈부(61)는 피사체의 광을 입력받는다. 렌즈부(61)에서 입력되는 광은 촬상 소자(62)로 진행되는데, 촬상 소자(62)는 통상 CCD(Charge Coupled Device)(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구성되어, 렌즈부(61)를 거쳐 입력된 광신호를 적색, 녹색, 청색의 밝기와 컬러 값을 가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신호처리부(63)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성되어, 촬상 소자(6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관 더블 샘플링 및 이득 조절(CDS/AGC: Correlated Double Sampling/Auto Gain Control)하며, 이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영상처리부(64)는 신호처리부(6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마보정, 색보정 등의 화상처리를 행하여 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또는 PAL(Phase Alternation by Line)방식의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표시부(52)로 제공한다. 이러한 영상처리부(64)는 신호처리부(63)의 출력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52)의 특성 및 LCD의 크기에 맞추어 출력한다. 이때 영상처리부(63)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52)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적절히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54)에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국 모뎀장치(10)의 제어하에 표시부(52)의 출력 영 상 데이터에 온스크린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메모리(64)는 영상처리부(54)의 영상 처리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임시 저장용 메모리와, 다수의 촬영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장 메모리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영상 메모리(65)에는 카메라 동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OSD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키패드(54)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이동국 모뎀장치(10)는 이를 감지하고 입력되는 다이얼 정보를 처리한 후 RF/IF 처리부(30)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RF/IF 처리부(3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 가입자의 응답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40)를 스피커(51)로 출력되게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착신모드시에는 상기 이동국 모뎀장치(10)는 RF/IF 처리부(30)를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음성신호 처리부(40)를 통해 링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의 응답시 이동국 모뎀장치(10)는 이를 감지하고, 마찬가지로 음성신호 처리부(40)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키패드(54)에 적절히 구비된 카메라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일명 '카메라 모드 동작키'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설정 모드에서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이동국 모뎀장치(10)는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60)을 동작시켜 카메라 모듈(6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부(52)에 표시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키패드(54)에 미리 마련된 일명 '셔터 키'의 입력시에 촬영되는 영상에서 해당 프레임의 영상을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드의 동작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저장된 사진을 3차원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드 동작의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키패드(54)에 적절히 구비된 카메라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일명 '카메라 모드 동작키'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설정 모드에서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이동국 모뎀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 모드로 진입하는데, 먼저 210단계에서 이동국 모뎀장치(10)는 미리 설정된 카메라 기능 관련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카메라 기능 메뉴 항목들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저장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기능 메뉴 항목은 1번 '사진 찍기', 2번 '사진 관리', 3번 '3D 환경 설정'일 수 있다. 21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카메라 기능 메뉴를 확인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 항목을 방향키와 확인키 또는 숫자키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는데, 212단계에서 이동국 모뎀장치(10)는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조작을 받아 이후 해당 선택된 메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먼저, 3번 3D 환경 설정 메뉴가 선택된 경우를 설명하면, 이동국 모뎀장치(10)는 이후 230단계로 진행하여 이후의 3D 환경 설정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230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미리 설정된 3D 사진 디스플레 이 환경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3D 사진 디스플레이 환경 메뉴의 항목들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저장된 사진을 다수 종류의 3차원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메뉴 항목들로서, 일명, 1번 '큐브 보기', 2번 '갤러리 보기'의 항목들이 포함된다. 이외에 3D 사진 디스플레이 환경의 해제를 선택하는 메뉴 항목도 포함될 수 있다. 23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D 사진 디스플레이 환경 선택 메뉴를 확인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 항목을 방향키와 확인키 또는 숫자키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는데, 232단계에서 이동국 모뎀장치(10)는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조작을 받아 이후 234단계에서는 해당 선택된 3D 사진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상기 2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 진행한다.
한편, 상기 212단계에서 2번 사진 관리 메뉴 선택된 경우를 설명하면, 이동국 모뎀장치(10)는 이후 214단계로 진행하여 이후의 사진 관리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214단계에서는 상기 3D 환경 설정 모드의 동작 수행에 의해 상기 234단계에서 저장된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를 확인함으로 현재 설정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확인한다. 이후 220단계에서는 상기 확인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형식으로 저장된 사진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한다. 즉, 상기 220단계에서는 현재 저장된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1번 큐브 보기, 2번 갤러리 보기, 3번 해제)에 따라 222, 223 및 224단계의 세 개의 하위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데, 222단계에서는 일반 형식(3D 사진 디스플레이가 해제되며 일반적인 슬라이드 형식)으로 사진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하며, 223 및 224단계에서는 각각 큐브 형식과 갤러리 형식으로 사진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한다. 이하, 상기 223 및 224단계의 큐브 형식 및 갤 러리 형식으로 사진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동작의 흐름도로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223단계의 큐브 형식으로 사진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며,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사용되는 3차원 객체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302단계에서 이동국 모뎀장치(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큐브(정육면체) 3차원 객체를 불러온다. 저장된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3차원 객체를 마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예에서는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큐브 형태 및 갤러리 행태의 3차원 객체가 미리 마련된다. 도 4a에 도시된 큐브 3차원 객체에는 정육면체의 각 면에 미리 저장된 사진이 대입되며,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육면체와 이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육면체의 구조로 형성되는 갤러리 3차원 객체에는 두 내, 외부 육면체의 마주보는 측면의 적절한 부위에 사진이 대입되는 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큐브 및 갤러리 3차원 객체의 크기는 저장 사진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정해진다.
상기 302단계에서 큐브 3차원 객체를 불러온 후, 304단계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큐브 3차원 객체의 제1면에 저장된 사진들의 번호 중 1번의 사진을 대입한다. 이후 306단계에서는 상기 1번 사진이 대입된 큐브 제1면을 표시부(52)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의 전후에 저장된 사진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미리 저장된 사진의 전후 이동을 위해 적절히 설정된 이동키, 예를 들어 방향키를 조작할 수 있는데, 이동국 모뎀장치(10)는 상기 방향키(네비게이션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308단계에서 확인하여, 방향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후 310단계로 진행한다.
310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방향키의 좌우상하(◀▶▲▼)입력 상태에 따라서 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에서 다음 번째에 디스플레이할 사진의 번호를 확인한다. 즉, 상기 310단계에서는 현재 입력된 방향키의 입력 상태에 따라서 312, 314, 316, 318단계의 네 개의 하위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데, 먼저 방향키의 좌(◀)입력일 경우에는 312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 번호를 1 감소하며, 방향키의 우(▶)입력일 경우에는 314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 번호를 1 증가하며, 방향키의 상(▲)입력일 경우에는 316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 번호를 10 증가하며, 방향키의 하(▼)입력일 경우에는 318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 번호를 10 감소한다. 이러한 사진 번호의 순서 확인시에 마지막 사진 번호 다음의 사진 번호는 1번으로 이어지게 설정한다.
이후 320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방향키의 좌우상하(◀▶▲▼)입력 상태에 따라서 상기 310단계에서 확인한 사진 번호의 사진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큐브 3차원 객체의 적절한 면에 대입한다. 즉, 상기 320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방향키의 입력 상태에 따라서 322, 324, 326, 328단계의 네 개의 하위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데, 먼저 방향키의 좌(◀)입력일 경우에는 322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312단 계에서 확인한 사진 번호의 사진을 큐브 3차원 객체의 현재 디스플레이 면의 좌측면에 대입하고, 방향키의 우(▶)입력일 경우에는 324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314단계에서 확인한 사진 번호의 사진을 큐브 3차원 객체의 현재 디스플레이 면의 우측면에 대입한다. 마찬가지로 방향키의 상하(▲▼)입력에 따라서는 각각 326, 328단계를 수행하여, 각각 상기 316, 318단계에서 확인한 사진 번호의 사진을 큐브 3차원 객체의 현재 디스플레이 면의 상하측면에 각각 대입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재 큐브 3차원 객체의 디스플레이 면이 제1면일 경우에 상기 312 및 322단계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의 이전 번호의 사진이 큐브 3차원 객체의 제4면에 대입된다. 또한 상기 314 및 322단계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의 다음 번호의 사진이 큐브 3차원 객체의 제2면에 대입되고, 상기 316 및 326단계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의 다음 10번째 번호의 사진이 큐브 3차원 객체의 제5면에 대입되고, 상기 318 및 328단계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의 이전 10번째 번호의 사진이 큐브 3차원 객체의 제6면에 대입된다.
이후 330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방향키의 좌우상하(◀▶▲▼)입력 상태에 따라서 상기 320단계에서 사진을 대입한 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큐브 3차원 객체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330단계에서는 상기 310단계에서 사진을 대입한 면에 따라서 332, 334, 336, 338단계의 네 개의 하위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데, 먼저 332단계에서는 상기 322단계에서 다음 디스플레이할 사진을 큐브 3차원 객체의 현재 디스플레이 면의 좌측면에 대입하였으므로, 큐브 3차원 객체를 우측으로 90도 회전 하는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여 큐브 3차원 객체의 좌측면이 나타나도록 한다. 또한 334단계에서는 상기 324단계에서 다음 디스플레이할 사진을 큐브 3차원 객체의 현재 디스플레이 면의 우측면에 대입하였으므로, 큐브 3차원 객체를 좌측으로 90도 회전하는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여 큐브 3차원 객체의 우측면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5a의 예에서는 상기 336단계에서의 큐브 3차원 객체를 좌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큐브 3차원 객체의 우측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애니메이션 중에서 적절히 선택된 특정 화면들이 순서대로 도시된다. 마찬가지로 336단계 및 338단계에서는 각각 큐브 3차원 객체를 하측 및 상측으로 회전하는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이러한 330단계의 동작 수행후 340단계에서는 현재 회전한 큐브 3차원 객체의 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이후 상기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사용자에게 저장된 사진들이 마치 큐브의 각 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처럼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방향키의 좌우(◀▶) 입력시 큐브가 좌우로 회전되면서 해당 저장된 사진들이 저장된 순서대로 큐브 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처럼 나타내어지며, 방향키의 상하(▲▼) 입력시 큐브가 상하로 회전되면서 해당 저장된 사진들이 저장된 순서에서 얼마간(상기의 예에서는 10개씩) 적절히 건너뛰면서 저장된 순서대로 큐브 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처럼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큐브 형식으로 사진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큐브 형식으로 사진의 디스플레이시 현재 디스플레 이되는 사진의 사진 번호 및 기타 관련된 정보들을 OSD로 화면의 적정 위치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 번호가 1번이며 전체 저장된 사진(즉 마지막 저장된 사진 번호)이 60일 경우에, '[ 01/60 ]'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의 224단계에서 갤러리 형식으로 사진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갤러리 형식으로 사진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갤러리 3차원 객체를 불러오고, 갤러리 3차원 객체에서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두 내, 외부 육면체의 마주보는 측면의 적절한 부위에 미리 마련된 위치(1~16으로 표시)에 사진들을 순차적으로 대입하며, 갤러리 3차원 객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적절히 변경시킴으로써, 마치 사용자가 갤러리 내에서 전후, 좌우로 이동하면서 사진들을 확인하는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갤러리 형식으로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경우에, 예를 들어 초기 화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갤러리 객체의 바닥면의 A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갤러리 3차원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도 보이는 바와 같이, 전방 좌측면에는 1번 사진이, 전방 우측면에는 2번 및 3번 사진이 위치하며, 정면에는 4번 사진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b의 예에서는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키의 좌(◀) 입력시 갤러리 3차원 객체가 해당 지점 A를 기준으로 1번 사진이 정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체적으로 90도 회전하는 애니메이션 중에서 적절히 선택된 특정 화면들이 순서대로 도시된다. 이와 같이 방향 키의 입력을 통해 3차원 갤러리 객체의 디스플레이 기준점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마치 갤러리를 이동하면서 사진들을 보는 듯한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저장된 사진들을 대입하는 3차원 객체로서, 일명 '큐브'와 '갤러리'객체를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책장이나 사진첩을 넘기는 형태의 애니메이션이 이루어지는 3차원 객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저장된 사진들이 일련되게 연결된 필름 형태로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c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방향키의 하(▼) 입력시 필름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사진의 다음번 사진이 상측으로 스크롤되면서 나타나도록 하는 애니메이션 중에서 적절히 선택된 특정 화면들이 순서대로 도시된다. 도 5c의 예에서 사용자가 방향키의 좌우(◀▶) 입력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의 이전 또는 이후의 10번째 저장된 사진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크롤되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변형,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동작은 3 차원 방식을 사용하여 적절한 애니메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며 저장 사진간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여,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저장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사진들을 대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입 면을 구비한 3차원 객체를 미리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상기 3차원 객체를 불러오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의 전후에 이동을 위해 설정된 이동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 사진 중 디스플레이할 사진을 선택하여 상기 대입 면에 대입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객체의 미리 설정된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객체는 큐브 형태이며 상기 대입 면은 큐브 형태의 각 면이며, 상기 애니메이션은 상기 큐브 형태의 3차원 객체의 회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객체는 갤러리 형태이며, 상기 대입 면은 갤러리 형태의 좌, 후 측면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부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객체는 상기 저장된 사진들이 일련되게 연결되도록 대입 면이 마련된 필름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각 면에 저장된 사진들을 대입하기 위한 큐브 형태의 3차원 객체를 미리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상기 큐브 3차원 객체를 불러오는 과정과,
    상기 큐브 3차원 객체의 제1면에 제1번 사진을 대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좌우상하의 입력이 가능한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에서 다음 번째 디스플레이할 사진 번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사진 번호의 사진을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큐브 3차원 객체의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면의 좌우상하 측면 중 선택된 면에 대입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을 대입한 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큐브 3차원 객체의 회전 애니메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에서 다음 번째 디스플레이할 사진 번호의 확인은 상기 방향키의 좌, 우, 상, 하 입력시 각각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 번호에서 1감소, 1증가, 10증가, 10감소하여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한 사진 번호의 사진을 상기 큐브 3차원 객체의 선택된 면의 대입하는 것은 상기 방향키의 좌, 우, 상, 하 입력시 각각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면의 좌, 우, 상, 하측 면에 대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사진들을 대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입 면을 구비한 3차원 객체를 적어도 하나의 형태별로 미리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태별로 마련된 3차원 객체 중 어느 하나의 3차원 객체를 미리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시 상기 선택된 3차원 객체를 불러오는 과정과,
    상기 저장 사진의 전후에 이동을 위해 설정된 이동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 사진 중 디스플레이할 사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3차원 객체의 대입 면에 대입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객체의 미리 설정된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객체의 형태는 큐브 형태와, 갤러리 형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40062927A 2004-08-10 2004-08-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4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927A KR100640501B1 (ko) 2004-08-10 2004-08-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US11/193,392 US20060035679A1 (en) 2004-08-10 2005-08-01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B200510089987XA CN100376106C (zh) 2004-08-10 2005-08-09 用于显示存储在移动通信终端中的图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927A KR100640501B1 (ko) 2004-08-10 2004-08-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297A KR20060014297A (ko) 2006-02-15
KR100640501B1 true KR100640501B1 (ko) 2006-10-30

Family

ID=3607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927A KR100640501B1 (ko) 2004-08-10 2004-08-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35679A1 (ko)
KR (1) KR100640501B1 (ko)
CN (1) CN1003761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69B1 (ko) * 2004-12-31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정보에 따른 메뉴 표시방법
WO2007072664A1 (ja) * 2005-12-21 2007-06-28 Nec Corporation 携帯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機能メニュー表示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1144804B1 (ko) * 2006-07-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EP2134083A1 (en) * 2008-06-12 2009-12-16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video sources
JP2010092263A (ja) * 2008-10-08 2010-04-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8311360B2 (en) * 2008-11-13 2012-11-13 Seiko Epson Corporation Shadow remover
CN103248761A (zh) * 2013-04-12 2013-08-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实现手机上画廊式图片浏览的方法及装置
CN103561161A (zh) * 2013-10-15 2014-02-05 广东明创软件科技有限公司 相册显示方法及其移动终端
CN106527682B (zh) * 2016-09-27 2020-11-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切换环境画面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752A (en) * 1993-07-15 1998-06-02 Nec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state at the transmitting end
US6704791B1 (en) * 2000-02-24 2004-03-09 Scott C. Harris Three dimensional experience for thick and thin clients
US20040085457A1 (en) * 2002-10-31 2004-05-06 Thorland Miles K. Reviewing stored images
JP2004172976A (ja) * 2002-11-20 2004-06-17 Nec Corp モバイル端末の表示方式
GB2404546B (en) * 2003-07-25 2005-12-14 Purple Interactive Ltd A method of organising and displaying material content on a display to a vie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297A (ko) 2006-02-15
US20060035679A1 (en) 2006-02-16
CN100376106C (zh) 2008-03-19
CN1735138A (zh)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US8872843B2 (en) Method for editing images in a mobile terminal
CN100376106C (zh) 用于显示存储在移动通信终端中的图片的方法
CN101461229A (zh) 在配备有相机的移动无线终端中调整相机设置的方法和系统
US20050153746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editing images and image editing method using same
KR100606076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처리방법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US9477688B2 (en) Method for searching for a phone number in a wireless terminal
CN106375787B (zh) 视频播放的方法及装置
US20070044021A1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426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의 일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301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설정 메뉴 처리 방법
KR101080455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0585557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복수의 영상들을 동시에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06335A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KR20050113807A (ko)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쇼 수행방법
KR1005801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방법
KR101364134B1 (ko)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KR100673078B1 (ko)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저장된 외부 확장 메모리가 접속된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편집 방법
KR100744337B1 (ko) 휴대용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JP4321571B2 (ja) 情報処理装置
KR100584425B1 (ko) 연사 촬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200600536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은 사진들을 멀티-뷰 프레임으로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072873A (ko) 영상 촬상용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