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134B1 -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134B1
KR101364134B1 KR1020070017547A KR20070017547A KR101364134B1 KR 101364134 B1 KR101364134 B1 KR 101364134B1 KR 1020070017547 A KR1020070017547 A KR 1020070017547A KR 20070017547 A KR20070017547 A KR 20070017547A KR 101364134 B1 KR101364134 B1 KR 10136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842A (ko
Inventor
허정윤
이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1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7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다중이미지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이미지 촬영 시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자동적으로 여러 가지 모드로 편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여러 편집된 이미징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시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촬상소자, 다중이미지

Description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다중이미지 제공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Offering a Multiple Image for a Same Shot and the Offer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제1 예가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제2 예가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이미지 제공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송수신부 20 : 제어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촬상소자
50 : 입력부 60 : 메모리
본 발명은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다중이미지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동일 대상을 촬영한 경우에도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다중이미지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규격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수신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여러 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여러 통신서비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전화서비스를 꼽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거나, 일반전화망을 통해 다른 유선전화기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그 상대방과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보강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여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크게 증가하였다. 즉, 전자제품의 집약화 및 소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는 경우 외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mp3 플레이어나 카메라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진 유저 인터페이스 등의 제약으로 말미암아 그 사용자가 이미지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이미지를 여러 모드로 편집해 제공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마음에 드는 하나를 골라 저장할 수 있는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다중이미지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촬상소자,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촬상되는 이미지를 적어도 둘 이상의 모드로 편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이미지 제공방법은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단계와,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적어도 둘 이상의 모드로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1)와, 상기 안테나(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송수신부(1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무선송수신부(10)는 다양한 규격에 따른 무선신호 중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하는 규격에 따른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안테나(1)를 통해 데이터가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가 제어부(20)에서 연산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사용지역이나 사용용도에 따라 다른 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송수신부(10)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종류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황 등에 관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촬상소자(40)와, 이동통신 단말기로 명령어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5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30)는 통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는 LCD로 구성되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향후 접목 가능한 모든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 역시 이에 속한다. 마찬가지로, 입력부(5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와 함께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5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외에도 기본적으로 데이터 저장공간인 메모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60)는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나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될 화면을 구성하는 여러 종류의 GUI 데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촬상소자(40)를 이용해 촬상된 이미지나 동영상도 모두 저장되는 공간을 지칭한다.
제어부(20)는 무선송수신부(1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제어 외에도, 디스플레이부(30)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촬상소자(40)를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한다.
이 때, 제어부(20)는 촬상소자(4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경우 제어부(20)가 획득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설정한 두 개 이상의 모드로 편집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한 번의 촬영으로도 다양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촬상소자(40)를 통해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별도의 설정과정이 없다면 일반적으로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편집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한다.
가령,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컬러모드 외에 세피아모드, 흑백모드를 설정해 놓았다면 제어부(20)는 촬영된 이미지를 컬러모드 외에 세피아모드, 흑백모드로 편집하고 상기 컬러모드, 세피아모드, 흑백모드를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진 촬영창에서 메뉴아이콘을 클릭하여 촬영대상을 각각 컬러, 세피아, 블랙 이렇게 세 가지 모드로 촬영할 필요가 없이, 한 번의 촬영으로도 다양한 모드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이미지나 동영상 촬영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에 앞서 '3.Best Mode 촬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는 사용자가 설정한 편집모드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편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편집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a)에서 '3.Best Mode 촬영'을 선택한 경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30)에 사용자가 설정한 여러 셋트의 편집모드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 확인한다.
즉, '01'에 대응되는 편집모드 셋트는 촬영된 이미지를 컬러모드와 세피아모드로 편집하라는 셋트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02'에 대응되는 편집모드 셋트는 촬영된 이미지를 컬러모드와 세피아모드, 흑백모드, 모자이크모드로 편집하라는 셋트일 수 있다. '03'에 대응되는 편집모드 셋트는 촬영된 이미지를 각각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컬러모드로 편집하라는 셋트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02'에 대응되는 셋트를 선택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촬상소자(4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컬러모드 외에 각각 세피아모 드와 흑백모드로 편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30)에는 여러 편집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아이콘(m21~m24)과,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m21~m24) 중 하나의 아이콘(m22)에 대응되는 편집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m21~m24)을 좌우 방향키를 통해 선택해가면서 각 모드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마음에 드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저장'키를 조작함으로서 특정모드로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도 2의 b)에서 선택 가능한 셋트를 구성하는 편집모드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추후 다운로드 등을 받아 편집모드의 종류를 늘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이미지 편집모드인 컬러, 세피아, 흑백, 모자이크 외에도, 특정 색채를 보강 또는 감소시키는 모드, 사진이 수채화나 유채화처럼 보이도록 노이즈를 추가하는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모드를 웹 또는 특정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에서 다운로드 받아 편집모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편집모드에 관한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리(60)에 저장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이미지 제공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진촬영 메뉴 중 '3.Best Mode 촬영'을 선택한다(S1). 물론, Best Mode 촬영이 가능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편집모드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그 전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편집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물론, 편집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존에 저장된 모드를 활용하는 경우 외에 웹 등에서 희망하는 새로운 모드를 다운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3.Best Mode 촬영'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편집모드의 종류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사용자는 여러 종류의 편집모드 중 원하는 모드로 구성된 편집모드를 선택한다(S2).
그 후 사진이 촬영되면(S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촬영된 이미지를 편집모드를 구성하는 여러 모드로 각각 편집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S4).
사용자는 상기 편집된 여러 이미지를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선택된 이미지가 이동통신 다말기에 저장된다(S5).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미지 모드 편집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즉, 원하는 이미지 모드로 구성된 편집모드를 선택하여 놓고, 이를 'Best Mode 촬영' 메뉴 아래에 배치함으로서 사용자는 촬영한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여러 모드로 변경한 후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그 다중이미지 제공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이미지 촬영 시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자동적으로 여러 가지 모드로 편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여러 편집된 이미징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시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촬상소자;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촬영될 이미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모드 셋을 미리 설정하는 입력부; 및
    촬영 메뉴 선택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모드 셋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촬영 버튼 조작 시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촬상되는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편집 모드 셋에 기 설정된 적어도 둘 이상의 모드로 자동 편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이미지가 제공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소프트키와 상기 편집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미지가 제공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촬상소자를 통해 촬영될 이미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모드 셋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
    촬영 메뉴 선택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모드 셋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편집 모드 셋에 기 설정된 적어도 둘 이상의 모드로 자동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이미지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편집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소프트키와 상기 편집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이미지 제공방법.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 전에, 다중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이미지 제공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 후에, 편집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이미지 제공방법.
KR1020070017547A 2007-02-21 2007-02-21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KR10136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547A KR101364134B1 (ko) 2007-02-21 2007-02-21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547A KR101364134B1 (ko) 2007-02-21 2007-02-21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42A KR20080077842A (ko) 2008-08-26
KR101364134B1 true KR101364134B1 (ko) 2014-02-19

Family

ID=3988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547A KR101364134B1 (ko) 2007-02-21 2007-02-21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1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20A (ko) * 2002-10-24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을 변경할 수 있는 무선 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 표시방법
KR20050119030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티커 배경사진 촬영 작성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20A (ko) * 2002-10-24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을 변경할 수 있는 무선 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 표시방법
KR20050119030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티커 배경사진 촬영 작성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42A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US8111314B2 (en) Camera-enable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taking multi-image photograph using the same
US201401067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110205A9 (en) Transmitting digital images to a plurality of selected receivers over a radio frequency link
KR100722308B1 (ko) 촬영 사진 입력된 주소정보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를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70002012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evice, operating input processing method, and two-way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18941B1 (ko) 통신단말기의화상통신장치및방법
US20050248776A1 (en) Imag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reception device
KR1006405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KR20070113578A (ko)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처리 방법
US20070044021A1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426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의 일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64134B1 (ko)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KR10063167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전송 방법
KR1006301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설정 메뉴 처리 방법
KR1012439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US20050280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and two display units
KR100755748B1 (ko) 영상 촬영 중에 통화 수신시 지속적으로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4013795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digital 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214197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8006Y1 (ko) 촬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 내장된이동기기
KR100673078B1 (ko)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저장된 외부 확장 메모리가 접속된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편집 방법
KR10065234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촬영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744337B1 (ko) 휴대용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KR20050113807A (ko)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쇼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