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670B1 -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670B1
KR101387670B1 KR1020070076553A KR20070076553A KR101387670B1 KR 101387670 B1 KR101387670 B1 KR 101387670B1 KR 1020070076553 A KR1020070076553 A KR 1020070076553A KR 20070076553 A KR20070076553 A KR 20070076553A KR 101387670 B1 KR101387670 B1 KR 10138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ata
data items
outpu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603A (ko
Inventor
유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7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6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another data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video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Notebook) 등)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각종 응용 기술(application, 예를 들어, MP3 음원을 출력하는 기능, TV 수신 기능 등)들 또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들 다양한 응용 기술 중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은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특히,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어디에서나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영상 통화가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현재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데이터의 전송 요청되는 시점에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하여 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의 중단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 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의 중단없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주소록, 스케쥴, 일정 관리 또는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는, 상기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메인 영역과 부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인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들을 상기 부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부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팝업 창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팝업 창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팝업 창을 강제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와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데이터 출력을 위한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제1 영역에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고, 제2 영역에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가 출력됨-,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설정된 출력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설정된 출력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팝업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팝업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 면,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상기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송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상기 팝업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 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팝업 창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팝업 창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의 중단없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부의 출력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및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주소록, 스케쥴, 일정 관리 또는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영역 분할부는 상기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분할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실행 명령 또는 상기 전송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팝업 창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 통신에 의한 데이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저장공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TV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데이터의 전송 요청되는 시점에 채팅 어플리케이션 이 구동되도록 하여 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의 중단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메라부(110),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 송수신부(120), 음향 출력부(125), 입력부(130), 음향 입력부(135),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45), 영역 분할부(150) 및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음성 통화 모드와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 통화 모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부(1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적 피사체의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카메라부(110)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디지털 신호(이하, "영상 신호"라 칭하기로 함)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40)로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경우,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 주기로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라 인코딩(encoding)하여 송수신부(120)를 통해 상대방(즉,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디코딩(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부(14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120)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다른 장치(예를 들어,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며, 통신망을 통해 음성, 영상 등 통신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송수신부(120)는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스케쥴, 일정 등)를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되어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보 전송이 요청되면(즉, 전화번호부에 기록된 목록 중 선택된 목록의 전송이 요청되면) 송수신부(120)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영상 통화를 수행중인 상태에서 해당 전송 요청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만 가능한 음성 통신 모드와 영상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영상 통화 모드가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되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휴대용 단말기(1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이거나 DMB등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 중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음향 출력부(125)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5)는 음원칩(예를 들어, 야마하 음원칩),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입력부(135)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동작 개시되며,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음향 입력부(135)는 마이크일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제어 명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키, * 또는 #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어플리케이션 실행키 등)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상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명령, 선택 명령, 문자/숫자 등),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영상 신호, 이미지, 문자/숫자 등)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
이하에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문자, 이미지, 비디오, 숫자, 기호 등이 출력되는 전체 영역을 출력 영역 또는 화면 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저장부(145)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외부입력장치(예를 들어, 24핀 데이터 입출력 단자 등)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문자/숫자, 이미지, 동영상 등)가 저장된다.
영역 분할부(150)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40)의 출력 영역(즉, 화면 영역)을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5)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역 분할부(150)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영역 분할부(150)는 출력 영역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 방법에 따라 영역 분할부(150)는 해당 출력 영역 중에서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팝업 창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5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카메라부(110),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 송수신부(120), 음향 출력 부(125), 입력부(130), 음향 입력부(135),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45) 등)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55)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명령(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실행 명령"이라 칭하기로 함)이 입력되면, 영상 분할부(150)로 해당 출력 영역의 분할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분할 제어 신호"라 칭하기로 함)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영역 분할부(150)는 출력 영역을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정보를 제어부(155)로 출력한다. 여기서, 분할된 정보는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55)는 분할 영역부(150)로부터 분할된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분할된 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5)는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들일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5)는 분할된 정보가 입력되면,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해당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역을 메인 영역으로 칭하기로 하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는 영역을 부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55)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는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 명령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선택된 데이터 항목"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55)는 선택된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을 위한 명령(이하 전송 명령이라 칭하기로함)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55)는 구동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선택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5)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들이 부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155)는 선택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부에 저장한 후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55)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가 팝업 창(또는 팝업영역)의 형태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전송 명령이 입력된 후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 방법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부영역으로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고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 제어부(155)는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팝업 영역의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며, 제어부(155)는 영상 데이터가 메인 영역(41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들인 부영역(415)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 력되면, 제어부(155)는 미리 설정된 크기에 상응하는 팝업 영역을 설정한 후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해당 팝업 영역을 통해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팝업 영역(팝업 창)은 디스플레이부(140)의 출력 영역에서 최우선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팝업 영역은 마치 출력되는 데이터의 위에 중첩되어 출력되는 것처럼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5)는 각각 분할된 영역의 사이즈(size)에 상응하여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각 분할된 영역의 사이즈(size)에 상응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분할된 영역으로 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은 해당 영역의 사이즈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분할한 후 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후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f 및 도 2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분할한 후 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상대방 단말기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임의의 데이터가 전화번호부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미리 설정된 형식에 따라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대방 단말기의 사용자(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착신자"라 칭하기로 함)로부터 임의의 전화번호부의 전송이 요청된다고 가정하자.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즉, 전화번호부)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도 2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영역을 분할한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가 수행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일정, 스케쥴, 시간표 등)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데이터를 도 2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분할된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분할된 화면 중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영역을 메인 화 면(210)이라 칭하며,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들이 출력되는 영역을 부화면(220)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로써,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전화번호부인 경우, 전화번호부는 저장된 대상자에 관련된 이름, 전화번호, 생일, 회사, 이메일 등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대상자가 선택되는 경우(즉, 홍길동, 신사임당 등) 해당 선택된 대상자에 연관된 이름과 전화번호 정보만 추출하여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대상자별로 전화번호가 하나 이상인 경우, 대표 전화번호로 설정된 전화번호만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해당 선택되어 출력된 데이터의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해당 출력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구현 방법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선택된 데이터에 연관된 아이템 항목들을 모두 추출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부화면에 출력된 항목들만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대방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 2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분할된 화면을 다시 통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e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면 영역을 수평 비율에 따라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영역을 분할하지 않고, 도 2f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방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화면 영역의 미리 지정된 영역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들이 출력되는 화면을 중첩하여 출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영상 통화를 실행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어지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1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가 수행중인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이 요청되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한다.
단계 31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인 출력 영역(즉, 화면 영역)을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휴 대용 단말기(100)는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메인 영역과 부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가로 방향으로 출력 영역을 분할한 것은 도 2b에 예시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분할한 것은 도 2f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출력 영역 중에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영역을 전면 영역(foreground)로 설정한 후 해당 전면 영역에 팝업 창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단계 3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항목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각각의 개인 정보인 것을 정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전화번호부라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각 개인(예를 들어, 홍길동, 신사임당 등)에 상응하는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포함하는 각 개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항목이라 정하기로 한다. 또한, 각 데이터 항목에 포함되는 각각의 항목들(즉,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각각 서브 항목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데이터 항목은 개인에 대한 정보로써 레코드(record)의 개념이며, 서브 항목은 각 데이터 항목에 포함되는(즉, 각 레코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필드와 같은 개념일 수 있다.
단계 32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이하, 이 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선택된 데이터 항목"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2c에 휴대용 단말기(100)가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해 선택 명령을 입력받아 상응하는 화면을 출력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단계 33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전송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325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계 33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영상 통화와 동시에 상대방과 실시간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채팅 어플리케이션"이라 칭하기로 함)을 실행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저장 공간에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영상 통화를 위한 채널(즉,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영상 통화 채널"이라 칭하기로 함)에 상대방 단말기와 실시간 대화를 위한 채널(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가 통신 채널"이라 칭하기로 함)의 부가(add)를 요청한다. 이로 인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상대방 단말기간의 영상 통화 채널에 부가 통신 채널이 부가(add)되어 영상 통화와 실시간 채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3G망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이동통신망으로 부가 통신 채널의 부가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다른 예를 들어, 만일 휴대용 단말기(100)가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가 영화라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해당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의 통신호 연결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요청된 통신호에 따라 채널을 연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가 팝업 창을 실행시키고,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가 해당 팝업 창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잇다.
단계 34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실행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선택된 데이터 항목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어지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로 통칭하기로 한다. 해당 영상 데이터는 영상 통화 모드 중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기저장된 컨텐츠에 의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51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채팅 요청이 수신되면,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즉, 화면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분할된 영역 중 하나는 메인 영역으로 칭하고,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는 부영역으로 칭하기로 한다.
단계 51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해당 구동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가 해당 부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5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들을 수신받아 부영역으로 출력한다.
단계 52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수신된 데이터 항목들에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계 53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구분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한다.
단계 53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추출된 데이터 항목들을 해당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도록 저장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구동시켜 추출된 데이터 항목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로의 구동은"디스플레이되는 영역(즉, 디스플레이부(140))의 표시 가능한 영역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데이터(즉, 문자, 이미지, 기호 등)이 표시되지 않은 형태로 구동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여부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분할한 후 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후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2f 및 도 2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분할한 후 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카메라부
115: 이미지 신호 처리부
120: 송수신부
125: 음향 출력부
130: 입력부
135: 음향 입력부
140: 디스플레이부
145: 저장부
150: 영역 분할부
155: 제어부

Claims (23)

  1.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고,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팝업 창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팝업 창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주소록, 스케쥴, 일정 관리 또는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는,
    상기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메인 영역과 부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인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들을 상기 부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부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팝업 창을 강제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항목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팝업 창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주소록, 스케쥴, 일정 관리 또는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분할부는 상기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9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실행 명령 또는 상기 전송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 통신에 의한 데이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저장공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TV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영상 데이터와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데이터 출력을 위한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제1 영역에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고, 제2 영역에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가 출력됨-.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설정된 출력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설정된 출력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팝업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팝업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삭제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상기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송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상기 팝업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주소록, 스케쥴, 일정 관리 또는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2.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고,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팝업 창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팝업 창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3. 삭제
KR1020070076553A 2007-07-30 2007-07-30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387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553A KR101387670B1 (ko) 2007-07-30 2007-07-30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553A KR101387670B1 (ko) 2007-07-30 2007-07-30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03A KR20090012603A (ko) 2009-02-04
KR101387670B1 true KR101387670B1 (ko) 2014-04-21

Family

ID=4068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553A KR101387670B1 (ko) 2007-07-30 2007-07-30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6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330A (ko) * 2005-08-03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
KR100695393B1 (ko) 2005-03-29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393B1 (ko) 2005-03-29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70016330A (ko) * 2005-08-03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03A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0603C9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и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US201100395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EP17421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EP20488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ound volume control method
US20140028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terminal
KR101273227B1 (ko) 이동 통신 장치용 콜센터 지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60262142A1 (en)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effects in image data and a portab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8271030B2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46830A2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2008098828A (ja) 携帯端末装置
CN111182362A (zh) 视频的控制处理方法及装置
US20050280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and two display units
KR10206764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87670B1 (ko)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06010935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zoom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162268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이미지 처리 방법
US2006010935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camera function
KR100855033B1 (ko)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8353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방법
KR100655583B1 (ko) 슬라이드를 이용한 줌 레벨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N113885986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040072109A (ko) 카메라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데이터 합성방법
KR200500639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