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033B1 -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033B1
KR100855033B1 KR1020070073011A KR20070073011A KR100855033B1 KR 100855033 B1 KR100855033 B1 KR 100855033B1 KR 1020070073011 A KR1020070073011 A KR 1020070073011A KR 20070073011 A KR20070073011 A KR 20070073011A KR 100855033 B1 KR100855033 B1 KR 10085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ltimedia message
application
output
data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원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7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another data outputting video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Notebook) 등)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각종 응용 기술(application, 예를 들어, MP3 음원을 출력하는 기능, TV 수신 기능 등)들 또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들 다양한 응용 기술 중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은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특히,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어디에서나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영상 통화가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현재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해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의 중단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의 중단없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주소록, 스케쥴, 일정 관리 또는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메인 영역과 부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 기 메인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들을 상기 부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분할된 영역을 통합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된 영역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 통신에 의한 데이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TV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n(상기 n은 임의의 자연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단축 코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축 코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축 코드는 미리 설정된 자릿수의 숫자열 또는 문자열이거나,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는, 제1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제2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항목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항목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의 중단없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항목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실행 명령, 상기 선택 명령 및 상기 전송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데이터 항목들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하나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신을 수행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영상 통신을 위해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채널은 영상 통신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할당된 데이터 채널(RB) 또는 상기 영상 통신의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할당된 제어 채널(SR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에 메시지를 수신받는 송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n(상기 n은 임의의 자연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단축 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단축 코 드가 입력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미리 정해진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발명은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중인 영상 데이터의 중단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 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항목을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메라부(110),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 송수신부(120), 음향 출력부(125), 입력부(130), 음향 입력부(135),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45), 영역 분할부(150) 및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음성 통화 모드와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 통화 모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되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출력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저장 공간(예를 들어, 저장부(14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카메라부(1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적 피사체의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카메라부(110)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디지털 신호(이하, "영상 신호"라 칭하기로 함)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40)로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경우,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 주기로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라 인코딩(encoding)하여 송수신부(120)를 통해 상대방(즉,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디코딩(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부(14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120)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다른 장치(예를 들어,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며, 통신망을 통해 음성, 영상 등의 통신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송수신부(120)는 제어부(155)로부터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상태에서 제어부(155)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제어부(155)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라 생성한 메시지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정해진 식별 정보 및 구분 코드를 포함하여 생성한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되어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데이터 전송이 요청되면(즉,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의 전송이 요청되면), 송수신부(120)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는 도중에서 미리 설정된 다른 채널(즉,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어부(155)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만 가능한 음성 통신 모드와 영상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영상 통화 모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휴대용 단말기(100)가 당해 휴대용 단말기(1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하여 출력하고 있는 경우, DMB 기능을 구비하여 TV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음향 출력부(125)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5)는 음원칩(예를 들어, 야마하 음원칩),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입력부(135)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동작 개시되며,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음향 입력부(135)는 마이크일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제어 명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키, * 또는 #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어플리케이션 실행키 등)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상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명령, 선택 명령, 문자/숫자 등),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영상 신호, 이미지, 문자/숫자 등)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
이하에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문자, 이미지, 비디오, 숫자, 기호 등이 출력되는 전체 영역을 출력 영역 또는 화면 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저장부(145)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외부 입력장치(예를 들어, 24핀 데이터 입출력 단자 등)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문자, 숫자, 이미지, 동영상 등)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45)는 임의의 영상 데이터 및 제어부(155)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영역 분할부(150)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40)의 출력 영역(즉, 화면 영역)을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대한 정보(즉, 각 분할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분할 영역 정보"라 칭하기로 함)를 제어부(155)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역 분할부(150)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출력 영역을 가 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영역 분할부(150)는 출력 영역 중에서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을 팝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영역 분할부(150)가 출력 영역을 크기가 상이한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분할된 영역 중에서 출력 중이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역을 메인 영역 또는 제1 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분할된 영역 중에서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들이 출력되는 영역을 부영역 또는 제2 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어부(15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카메라부(110), 이미지 신호 처리부(115), 송수신부(120), 음향 출력부(125), 입력부(130), 음향 입력부(135),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45), 영역 분할부(150) 등)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55)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명령(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실행 명령"이라 칭하기로 함)이 입력되면, 영상 분할부(150)로 해당 출력 영역의 분할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분할 제어 신호"라 칭하기로 함)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영역 분할부(150)는 해당 제어부(155)로부터 입력된 분할 제어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크기에 상응하여 출력 영역을 분할할 후 분할된 영역에 대 한 정보를 제어부(155)로 출력한다. 제어부(155)는 영역 분할부(150)로부터 입력된 분할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는 메인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5)는 해당 입력된 실행 명령에 따라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부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 주소록, 일정관리, 스케줄,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5)는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이 선택되어 전송 요청되면, 해당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55)는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부(12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항목은 하나 이상의 서브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전화번호부라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전화번호부가 구동되면, 전화번호부에 각각의 개인에 따른 이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이메일, 생년월일 등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데이터 항목은 각 개인에 대한 정보를 지칭한다. 즉, 데이터 항목은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생년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항목은 레코드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데이터 항목에 포함되는 정보들, 즉,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생년월일 등은 각각 서브 항목이라 칭하기로 한다. 각 서브 항목들을 출력한 화면이 도 4f에 예시되어 있다.
즉, 제어부(155)는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이용하여 당해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예를 들어,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데이터 항목이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선택된 데이터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생성된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메시지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나 구현 방법에 따라 단문 메시지의 형태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155)는 이와 같이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부(12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55)는 각 데이터 항목 및 각 데이터 항목에 포함된 서브 항목들을 구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구분 코드(예를 들어, ",", "ㅆ")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5)는 선택된 데이터 항목의 앞에 해당 선택된 데이터 항목이 어느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5)가 미리 정해진 식별 정보 및 선택된 데이터 항목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상대방 단말기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방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구분 코드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 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각 데이터 항목에 포함된 서브 항목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55)는 미리 설정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TML)의 테이블(TABLE) 태그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태그를 이용하여 선택된 데이터 항목을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한 것이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5)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전화번호부이고,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항목들이 예를 들어, 도 4b과 같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각 데이터 항목들은 도 4f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서브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각각의 전화번호부가 저장부(145)에 저장된 예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대표 번호의 순번, 휴대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집전화번호, 팩스번호, 해당하는 그룹 정보, 이메일 등의 순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 예시된 표는 도 4f에서 보여지는 서브 항목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4f에 예시된 서브 항목은 사용자에게 각 개인 정보(즉, 전화번호)를 보여주기 위한 UI(user interface)로써, 도 3에서 예시된 여러 개의 전화번호 중 사용자가 설정한 대표 번호의 순번과 같은 항목을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55)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또는 명칭) 앞에 미리 설정된 제1 태그(예를 들어, <th>)를 삽입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또는 명칭) 뒤에 미리 설정된 제2 태그(예를 들어, </th>)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5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식별하기 위해 제3 태그(예를 들어, <tr>)을 각 데이터 항목의 앞에 삽입하고, 각 데이터 항목의 끝을 지시하기 위한 제4 태그(예를 들 어, </tr>)를 각 데이터 항목의 끝에 삽입한다. 이로 인해,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된 개인 정보들(즉, 데이터 항목들)을 수신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제3 태그 및 제4 태그를 이용하여 각각의 데이터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5)는 각 데이터 항목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 항목들(예를 들어, 도 4f에 예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이름,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들, 팩스 번호, 이메일 등)을 식별하기 위해 제5 태그(예를 들어, <td>)를 각 서브 항목의 앞에 삽입하고, 각각의 서브 항목의 끝을 지시하기 위해 제6 태그(예를 들어, </td>)를 각 서브 항목의 뒤에 삽입한다. 따라서, 하나의 제3 태그 및 제4 태그는 서브 항목의 개수에 상응하는 제5 태그 및 제6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5)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정해진 방법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로 변환한 것이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경우, 이미지, 사운드 또는 동영상을 첨부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30)를 통해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각각을 HTML로 각각의 컨텐츠들을 연결한다. 즉, 이미지의 경우, <IMG SRG="CID: 파일명">와 같이 미리 정해진 태그를 이용하여 연결하며, 사운드의 경우, <BGSOUND="CID:파일명">와 같이 미리 지정된 태그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동영상의 경우, <A HREF="CID: 파일명">과 같이 미리 정해진 태그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또는 숫자)는 미리 설정된 <BODY>태그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155)는 해당 선택된 데이터 항목을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로 변환하는 동작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백그라운드로의 실행은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은 상태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분할한 후 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후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분할한 후 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휴대용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상대방 단말기로의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휴대용 단말기(1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이하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전화번호부이며, 해당 전화번호부에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영상 통화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영상 신호를 미리 설정된 형식에 따라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전화번호부의 전송이 요청되었다고 가정하자.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즉, 전화번호부)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 4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출력 영역을 분할 한 후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메인 영역)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후 해당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부영역)로 해당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해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도 4c참조). 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를 통해 입력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선택된 데이터 항목"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해당 선택되어 출력된 데이터의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전송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 한 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분할된 출력 영역을 다시 통합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합된 출력 영역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4e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출력 영역을 수평 비 율에 따라 분할 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는 세로 방향으로 출력 영역을 분할하여 영상 데이터와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어지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1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가 수행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 또는 기저장된 임의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다.
단계 51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인 출력 영역을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n(여기서, n은 임의의 자연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출력 영역을 미리 정해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메인 영역과 부영역으로 분할 할 수 있다.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분할한 것은 도 4b에 예시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분할한 것은 도 4e에 예시되어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출력 영역 중에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영역을 전면 영 역(foreground)로 설정한 후 해당 전면 영역을 팝업 영역으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단계 5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즉, 메인 영역)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해당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가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즉, 부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52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 도 4c에 휴대용 단말기(100)가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아 상응하는 UI를 출력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단계 53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데이터 항목에 대한 미리설정된 전송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전송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525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계 53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휴대용 단말기는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이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해당 선택된 데이터 항목을 구분하기 위한 제1 구분 코드, 각 데이터 항목에 포함된 서브 항목을 구분하기 위한 제2 구분 코드를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화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경우, 화상 통화를 위해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 요청에 따라 128kbps에 상응하는 데이터 채널이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으나, 실제 영상 데이터는 64kbps에 상응하여 전송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할당된 데이터 채널 중 사용되지 않은 영역을 이용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화상 통신을 위해 할당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헤더 부분에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영상 데이터가 아닌 다른 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대방 단말기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헤더 부분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 제어를 위한 컨트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SRB: signaling radio barer)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제어 신호가 아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WCDMA망에서는 해당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 신호가 아님을 판단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를 위해 할당된 채널을 이용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부가적인 통신 부하를 야기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화상 통화 모드로 동작중인 상태에서 화상 통신을 위해 할당된 채널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을 부가(add)를 요청한 후, 해당 부가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3G망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휴대용 단말기(600)가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서 이미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이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상이한 구성 요소 및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600)는 카메라부(610), 이미지 신호 처리부(615), 송수신부(620), 음향 출력부(625), 입력부(630), 음향 입력부(635), 디스플레이부(640), 저장부(645), 영역 분할부(650), 데이터 추출부(655) 및 제어부(660)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임의의 어플리 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들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630)를 통해 미리 설정된 단축 코드(예를 들어, "**#")가 입력되면, 데이터 추출부(655)는 제어부(660)로부터 데이터 추출 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단축 코드는 미리 설정된 자릿수의 숫자열 또는 문자열이거나,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즉, 데이터 추출부(655)는 제어부(660)로부터 데이터 추출 명령이 입력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에서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 및 각 데이터 항목들을 추출하여 제어부(66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추출부(655)는 미리 설정된 제1 구분 코드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각 데이터 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추출부(655)는 미리 설정된 제2 구분 코드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 항목에 포함된 각 서브 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각 데이터 항목 및 식별 정보를 제어부(660)로 출력한다. 이에 제어부(660)는 해당 식별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여 각 데이터 항목들을 저장부(645)에 저장한다. 구현 방법에 따라 제어부(660)는 식별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해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각 데이터 항목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를 휴대용 단말기(600)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어지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로 통칭하기로 한다.
단계 710에서 휴대용 단말기(600)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받는다.
단계 715에서 휴대용 단말기(60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인 출력 영역을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n(임의의 자연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600)는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600)는 출력 영역 중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전면 영역(foreground area)로 설정하여 팝업 창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n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720에서 휴대용 단말기(600)는 분할된 영역 중 하나의 영역(즉, 메인 영역)으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600)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해당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즉, 부영역)으로 출력한다.
단계 725에서 휴대용 단말기(60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단축 코드(즉,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의 저장을 위해 미리 설정된 코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해당 단축 코드는 미리 설정된 자릿수의 숫자열 또는 문자열이거나,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각 데이터 항목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식별 정보, 각 데이터 항목의 저장을 위해 미리 설정된 단축 코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만일 당해 단축 코드가 입력된 경우, 단계 730에서 휴대용 단말기(60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구분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한다.
단계 735에서 휴대용 단말기(600)는 추출된 각 데이터 항목들을 해당 식별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도록 저장한다.
그러나 만일 단축 코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740으로 진행한다.
단계 740에서 휴대용 단말기(60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740)의 분할된 영역을 통합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600)는 통합된 출력 영역으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60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 만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600)는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 항목을 각각 추출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600)는 해당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구동하여 추출된 데이터 항목들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도록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분할한 후 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후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분할한 후 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항목을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데이터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 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카메라부
115: 이미지 신호 처리부
120: 송수신부
125: 음향 출력부
130: 입력부
135: 음향 입력부
140: 디스플레이부
145: 저장부
150: 영역 분할부
155: 제어부

Claims (22)

  1.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주소록, 스케쥴, 일정 관리 또는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영역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메인 영역과 부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인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들을 상기 부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분할된 영역을 통합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된 영역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 통신에 의한 데이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TV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항목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주소록, 스케쥴, 일정 관리 또는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전 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항목들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실행 명령, 상기 선택 명령 및 상기 전송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데이터 항목들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하나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 통신에 의한 데이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저장공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TV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신을 수행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영상 통신을 위해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영상 통신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할당된 데이터 채널(RB) 또는 상기 영상 통신의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할당된 제어 채널(SR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n(상기 n은 임의의 자연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단축 코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축 코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축 코드는 미리 설정된 자릿수의 숫자열 또는 문자열이거나,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는,
    제1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제2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항목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항목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방법.
  19. 영상 데이터를 출력중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에 메시지를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출력 영역을 n(상기 n은 임의의 자연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단축 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단축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미리 정해진 구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을 각각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터 항목들을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코드는 미리 설정된 자릿수의 숫자열 또는 문자열이거나,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070073011A 2007-07-20 2007-07-20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85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011A KR100855033B1 (ko) 2007-07-20 2007-07-20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011A KR100855033B1 (ko) 2007-07-20 2007-07-20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033B1 true KR100855033B1 (ko) 2008-08-29

Family

ID=3987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011A KR100855033B1 (ko) 2007-07-20 2007-07-20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0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307A (ja) * 2003-07-29 2005-02-24 Kyocera Corp データ編集装置およびデータ編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307A (ja) * 2003-07-29 2005-02-24 Kyocera Corp データ編集装置およびデータ編集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5-51307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395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KR10120351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영상이미지 파일 관리방법
KR10192246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첨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7421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EP26933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tour creation in mobile device
JP2011530902A (ja) 通話中における情報の共有
KR201300054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098078A (zh) 数据传输装置及数据传输方法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CN110970011A (zh) 图片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855033B1 (ko)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65821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파일의 출력방법
CN105607958B (zh) 信息输入方法及装置
US7453501B2 (en) Imaging apparatus
KR2015002575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양방향 번역 방법
KR100652659B1 (ko) 휴대폰의 배경 화면 및 음악 서비스 방법
JP2004357092A (ja) 情報機器、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ータ表示方法
KR101387670B1 (ko) 영상 데이터 출력 중에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4824595B2 (ja) データ送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2003204506A (ja) 画像入力装置
KR20060057051A (ko) 화면 캡쳐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407883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WO2023197949A1 (zh) 汉语翻译的方法和电子设备
KR10160671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93206A (ko) 사전정보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