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014A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014A
KR20140051014A KR1020120117556A KR20120117556A KR20140051014A KR 20140051014 A KR20140051014 A KR 20140051014A KR 1020120117556 A KR1020120117556 A KR 1020120117556A KR 20120117556 A KR20120117556 A KR 20120117556A KR 20140051014 A KR20140051014 A KR 2014005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eripheral device
screen
user terminal
video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914B1 (ko
Inventor
김혜수
정연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9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대 장치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USER TERMINAL APPARATUS AND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 서비스 또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우수한 IT 기술을 바탕으로 한 최첨단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사용자 단말 장치는 카메라 기능, 마이크로폰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최첨단 단말 장치는 카메라 기능, 마이크로폰 기능등을 활용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일반적인 영상 통화 서비스는, 고정된 카메라에서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영상 통화에 대한 참여자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영상 통화 장치가 있는 곳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영상 통화 참여자의 이동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랙션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를,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로 전환하여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대 장치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상기 표시된 주변 장치 중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타입은, 상기 주변 장치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타입, 상기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촬영된 영상 데이터 타입 및 상기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수신된 음성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간에 형성된 통신망의 유무선 정보,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에서 수신될 영상 통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간의 통신 방식을 실시간 전송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정된 스트리밍 방식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간의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주변 장치와 협상(negotia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대 장치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주변 장치 중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선택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주변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을 선택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타입은, 상기 주변 장치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타입, 상기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촬영된 영상 데이터 타입 및 상기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수신된 음성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간에 형성된 통신망의 유무선 정보,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에서 수신될 영상 통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간의 통신 방식을 실시간 전송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정된 스트리밍 방식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간의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주변 장비와 협상(negotiation)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대 장치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제1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제1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화면이 전환되면,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2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화면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현재 표시된 화면의 캡쳐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선택받는 입력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제1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제1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공유 서비스 화면을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화면이 전환되면,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2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화면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현재 표시된 화면의 캡쳐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TV 앞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영상 통화 참여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TV 앞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영상 통화 참여자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다른 참여자에게, 다른 공간에 위치한 객체를 보여주고 싶은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여 다른 공간에 위치한 객체를 촬영하면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TV로 영상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공간에 위치한 사람이 영상 통화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디지털 TV 앞에 이동하지 않더라도 디지털 TV 주변에 위치한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화면 데이터 제공 주체를 다양한 장치로 전환할 수 있는 바, 화면 공유 서비스를 보다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화면 공유 서비스를 통하여, 다양한 장치에 설치된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화면 공유 서비스를 보다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1,100-2), 주변 장치(200-1,200-2,20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랙션 서비스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 공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통화 서비스는, 참여자들이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인터랙션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는, 둘이서 서로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인터랙션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뿐만 아니라, 셋 이상의 참여자의 얼굴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인터랙션하는 영상 회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화면 공유 서비스는, 참여자들이 서로 공통된 화면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인터랙션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만약, 인터랙션 서비스가 영상 통화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1,100-2)는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로폰를 구비한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주변 장치(200-1,200-2,200-3)는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로폰를 구비한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터랙션 서비스가 화면 공유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1,100-2), 주변 장치(200-1,200-2,200-3)는 상술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1,100-2), 주변 장치(200-1,200-2,200-3)는 반드시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로폰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간의 통신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주변 장치(200-1,200-2,200-3)간의 통신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따라서,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Blue 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1,100-2)는 디지털 TV로 구현되고, 주변 장치(200-1,200-2,200-3)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하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로 정의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1)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한 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인터랙션 서비스의 참여자가 복수인 경우,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영상 통화 시스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통화 서비스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 및/또는 수신된 음성을 상호 교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영상 통화 서비스 수행 중에,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200-1,200-2,200-3)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200-1,200-2,200-3)'란, 영상 통화 서비스에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할 주변 장치(200-1,200-2,200-3)를 의미한다.
또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검색된 주변 장치(200-1,200-2,200-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이란, 주변 장치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타입,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촬영된 데이터 타입 및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수신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이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데이터 타입에 대응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타입'이 선택된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주변 장치에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 정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장치에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변 장치는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촬영된 데이터 타입'이 선택된 경우, 주변 장치는 카메라 기능을 ON 시키고, 카메라에서 실시간 촬영된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수신된 데이터 타입'이 선택된 경우, 주변 장치는 마이크로폰 기능을 ON 시키고, 마이크로폰에서 실시간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는 선택된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영상 통화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촬영된 영상 및/또는 수신된 음성이 아닌,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TV 앞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영상 통화 참여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TV 앞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영상 통화 참여자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다른 참여자에게, 다른 공간에 위치한 객체를 보여주고 싶은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여 다른 공간에 위치한 객체를 촬영하면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TV로 영상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공간에 위치한 사람이 영상 통화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디지털 TV 앞에 이동하지 않더라도 디지털 TV 주변에 위치한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화면 공유 시스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공유 서비스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가 서로 화면을 공유하여, 서로 동일한 화면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인터랙션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화면 공유 서비스 수행 중에,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200-1,200-2,200-3)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200-1,200-2,200-3)'란, 화면 공유 서비스에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하는 화면 데이터를 제공할 주변 장치(200-1,200-2,200-3)를 의미한다.
한편,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검색된 주변 장치(200-1,200-2,200-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주변 장치가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주변 장치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데이터'는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현재 표시된 화면의 캡쳐(capture)에 따른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주변 장치로부터 화면 데이터가 수신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화면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가 아닌,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되는 화면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되는 화면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표시된 화면을, 터치 입력,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선택된 주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주변 장치는,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여(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수행되는 동작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주변 장치는, 현재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되는 화면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화면 데이터 제공 주체를 다양한 장치로 전환할 수 있는 바, 화면 공유 서비스를 보다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화면 공유 서비스를 통하여, 다양한 장치에 설치된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화면 공유 서비스를 보다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검색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입력부(150), 마이크로폰(160), 카메라(1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 또는 화면 공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통화 시스템>
검색부(110)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한다. 여기서, 검색부(110)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기능, 또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능을 사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부(110)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검색부(110)는 '검색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색 요청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하여 주변 장치(200-1,200-2,200-3)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장치(200-1,200-2,200-3)는 이에 대한 '검색 요청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요청 응답 신호'에는 각 주변 장치(200-1,200-2,200-3)의 모델 번호 정보, 모델 이름 정보, 시리얼번호 정보, 제조사 이름 정보,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 정보, 장치 종류 정보 등과 같은 '주변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종류 정보는 장치가 카메라인지, 캠코더인지, 스마트폰인지 등과 같이 장치의 종류를 설명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 정보는, 주변 장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 주변 장치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 주변 장치에 마이크로폰가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설명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검색부(110)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를 주변 장치(200-1,200-2,200-3) 및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통신부(120)는 주변 장치(200-1,200-2,200-3)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 또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주변 장치(200-1,200-2,200-3)간에 형성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주변 장치로 데이터 입력 소스가 전환되기 전에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촬영된 영상 및/또는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데이터 입력 소스 전환 UI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소스 전환 UI 창'은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구비된 카메라(170) 및/또는 마이크로폰(160)에서 주변 장치(200-1,200-2,200-3)로 전환하기 위한 UI 창을 의미한다.
만약, '데이터 입력 소스 전환 UI 창'이 입력부(150)를 통하여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부(110)를 통하여 검색된 주변 장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된 주변 장치는 모델 번호 정보, 모델 이름 정보, 시리얼번호 정보, 제조사 이름 정보 및 장치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만약, 표시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입력부(150)를 통하여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이 선택되면, 주변 장치로 데이터 입력 소스가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및/또는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40)는 전기 신호가 전달된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근접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20)는 접근하는 모션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30)는 전달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근접 모션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디스플레이부(140)와 같은 표시장치와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상술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로폰(160)은 사용자가 발화(utterance)한 음성을 수신한다. 특히 마이크로폰로폰(160)은 영상 통화 서비스에 사용될 참여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170)는 영상을 촬영한다. 특히 카메라(170)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사용될 참여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검색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40), 입력부(150), 마이크로폰(160), 카메라(1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간에 형성된 통신망의 대역폭 정보, 지연 정보, 패킷 손실 정보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간에 형성된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간의 통신 방식을 실시간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간에 형성된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이고, 수신될 영상 통화 데이터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간의 통신 방식을 실시간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전송 방식은, 주변 장치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가 RAW 데이터 형식으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 방식을 의미한다.
실시간 전송 방식으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실시간 전송 방식으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실시간 전송 방식으로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여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 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가 '해상도 : 1920*1080', '프레임 레이트 : 60Hz' 등과 같이 설정되고, 실시간 전송 방식으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가 '해상도 : 640*480', '프레임 레이트 : 30Hz'인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의 해상도를 1920*1080로, 프레임 레이트를 60Hz로 변환하여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변환하는 정보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한 코덱, 오디오, 포트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여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간에 형성된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이고, 수신될 영상 통화 데이터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간의 통신 방식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이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주변 장치와 스트리밍을 위한 협상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협상이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주변 장치(200-1,200-2,200-3)간에 설정된 기존의 세션 정보를 모니터링된 네트워크 상태 및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를 반영하여 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주변 장치(200-1,200-2,200-3)간에 설정된 기존의 세션 정보에는 1Mbps로 연결되었으나, 현재 모니터링된 네트워크 상태는 500kbps만 가능한 경우, 상술한 협상에 따라 기존의 세션 정보를 500kbps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 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가 '해상도 : 1920*1080', '프레임 레이트 : 60Hz' 등과 같이 설정된 경우, 상술한 협상에 따라, 주변 장치(200)가 영상 통화 데이터를 '해상도 : 1920*1080', '프레임 레이트 : 60Hz'로 조정하여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송신하도록 기존의 세션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변환하는 세션 정보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한 코덱, 오디오, 포트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스트리밍 방식은, 용량이 큰 RAW 데이터 형식으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간 전송 방식과는 달리, 상술한 협상 결과를 반영하여 변형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주변 장치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가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술한 협상 결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주변 장치(200-1,200-2,200-3)간에 설정된 기존의 세션 정보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를 반영하여 조정되면,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별도의 그래픽 처리 없이,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상술한 협상 결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주변 장치(200-1,200-2,200-3)간에 설정된 기존의 세션 정보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를 반영하여 조정되지 않으면,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별도의 그래픽 처리(예를 들어, 해상도 조정, 프레임 레이트 조정, 코덱 변경 등을 통하여)하여,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영상 통화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촬영된 영상 및/또는 수신된 음성이 아닌,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환되면, 제어부(130)는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화면 공유 서비스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특히 검색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40), 입력부(150)는 화면 공유 서비스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그 차이점을 위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화면 공유 서비스의 특성상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카메라(170), 마이크로폰로폰(16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주변 장치(200-1,200-2,200-3)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주변 장치에 화면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라,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현재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기존의 화면 데이터를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화면 데이터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화면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화면 데이터로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부(150)를 통하여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주변 장치(20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된 화면을, 터치 입력,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장치(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매칭하는 주변 장치에서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장치(200)는, 산출된 위치 정보에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장치(200)는, 표시된 화면을 특정 기능 수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주변 장치에서 표시된 전환된 화면 데이터로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a)는, 주변 장치로 데이터 입력 소스가 전환되기 전인 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촬영된 영상(141) 및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서 촬영된 영상(14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데이터 입력 소스 전환 UI 창(143)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입력 소스 전환 UI 창(143)이 선택되면,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부(110)를 통하여 검색된 주변 장치(144-1,144-2,144-3)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된 주변 장치는 장치 종류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만약, 표시된 주변 장치(144-1,144-2,144-3)에서 주변 장치(144-3)가 선택되면, 도 4(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는 선택된 주변 장치(144-3)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145-1,145-2,145-3,145-4,145-5)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된 데이터 타입(145-1,145-2,145-3,145-4,145-5)은 선택된 주변 장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44-3)이 선택되면, 도 4(c)와 같이, 스마트폰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으로 동영상(145-1), 사진(145-2), 전면 카메라(145-3), 후면 카메라(145-4), 마이크로폰(145-5)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145-1)이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스마트폰(144-3)에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된 특정 동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를 스마트폰(144-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진(145-2)이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스마트폰(144-3)에 기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된 특정 사진 데이터가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사진 데이터를 스마트폰(144-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전면 카메라(145-3)가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스마트폰(144-3)의 전면 카메라에서 실시간 촬영된 데이터를 스마트폰(144-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후면 카메라(145-4)가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스마트폰(144-3)의 후면 카메라에서 실시간 촬영된 데이터를 스마트폰(144-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마이크로폰(145-5)이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스마트폰(144-3)의 마이크로폰에서 실시간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마트폰(144-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타입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카메라(145-4), 마이크로폰(145-5)가 함께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스마트폰(144-3)의 후면 카메라에서 실시간 촬영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폰에서 실시간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마트폰(144-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 간에 수행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a)는, 주변 장치로 데이터 입력 소스가 전환되기 전인 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촬영된 영상(141) 및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서 촬영된 영상(14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데이터 입력 소스 전환 UI 창(1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4의 동작과 같이,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이 선택되면, 주변 장치로 데이터 입력 소스가 전환될 수 있다.
만약,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카메라(145-3,145-4) 또는 카메라(145-3,145-4), 마이크로폰(145-5)가 선택되면,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도 5(b)와 같이,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146) 및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동영상(145-1) 또는 사진(145-2)이 선택되면,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은, 도 5(c)와 같이,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147) 및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서비스가 수행되면, 도 6(a)와 같이, 주변 장치(200),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 장치(200)의 화면을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가 공유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화면 공유 서비스 수행 중에,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검색된 주변 장치(20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주변 장치(200)에서 주변 장치가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주변 장치(200)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주변 장치(200)로부터 화면 데이터가 수신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화면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가 아닌, 주변 장치(200)에서 수신되는 화면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a)와 같이, 복수의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주변 장치(200)의 화면을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가 공유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40)가 공유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주변 장치(200)에서는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주변 장치(200)의 화면을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가 공유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도 6(b)는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a)와 같이 터치 입력에 의하여 '사진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선택된 주변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장치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매칭하는 주변 장치(200)에서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장치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사진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고,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장치(200)는,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주변 장치(200)에서 수신되는 화면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주변 장치(200)의 화면을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가 공유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S701).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영상 통화 서비스 수행 중에,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S702).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검색된 주변 장치(200)를 표시할 수 있다(S703).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표시된 주변 장치(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선택받을 수 있다(S704). 그리고,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S705).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이 선택받을 수 있다(S706). 그리고,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데이터 타입에 대응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S707).
한편,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200)는 요청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송신할 수 있다(S708).
이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기존의 영상 통화 데이터를 주변 장치(200)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S709).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주변 장치(200)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다(S710).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S801).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화면 공유 서비스 수행 중에,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S802).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검색된 주변 장치(200)를 표시할 수 있다(S803).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표시된 주변 장치(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선택받을 수 있다(S804).
그리고, 선택되면,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화면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805).
한편,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200)는, 화면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표시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S806). 그리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200)는, 캡쳐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S807).
이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기존의 화면 데이터를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화면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S808). 그리고,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화면 데이터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 송신할 수 있다(S809).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화면 데이터로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S810).
한편,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811). 이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주변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S812).
주변 장치(200)는,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에 매칭하는 주변 장치에서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813). 그리고 주변 장치(200)는, 산출된 위치 정보에서의 기능을 수행한다(S814). 그리고 주변 장치(200)는, 기능 수행에 따라 표시된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S815).
이 경우,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상술한 S807 단계부터 S81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주변 장치에서 표시된 전환된 화면 데이터로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0을 참조하면,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1,100-2), 주변 장치(200-1,200-2,200-3)를 포함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되고,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디지털 TV 구현되며, 주변 장치(200-1,200-2,200-3)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되고,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디지털 TV 구현되며, 주변 장치(200-1,200-2,200-3)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 내지 10에 따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0,3000)은, 구현 장치의 차이로 인하여 동작 상의 차이점 이외에는, 도 1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2000,3000)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특히, 구현 장치의 차이로 인하여, 주변 장치(200)와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100-2)의 통신 방식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장치 간의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기 공지된 기술이라는 점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1 : 송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 100-2 : 수신측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검색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입력부 160 : 마이크로폰
170 : 카메라 200 : 주변 장치

Claims (22)

  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대 장치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주변 장치 중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타입은,
    상기 주변 장치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타입, 상기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촬영된 영상 데이터 타입 및 상기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수신된 음성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간에 형성된 통신망의 유무선 정보,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에서 수신될 영상 통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간의 통신 방식을 실시간 전송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정된 스트리밍 방식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간의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주변 장치와 협상(negotia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8. 상대 장치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주변 장치 중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선택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주변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을 선택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타입은,
    상기 주변 장치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타입, 상기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촬영된 영상 데이터 타입 및 상기 주변 장치에서 실시간 수신된 음성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간에 형성된 통신망의 유무선 정보,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에서 수신될 영상 통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선택받은 주변 장치간의 통신 방식을 실시간 전송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정된 스트리밍 방식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간의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주변 장비와 협상(negotiation)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대 장치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제1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제1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화면이 전환되면,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2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면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현재 표시된 화면의 캡쳐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19. 화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입력 소스로 사용될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주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선택받는 입력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로부터 제1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수신된 제1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공유 서비스 화면을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화면이 전환되면,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2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면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서 현재 표시된 화면의 캡쳐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20117556A 2012-10-22 2012-10-2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9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56A KR101979914B1 (ko) 2012-10-22 2012-10-2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56A KR101979914B1 (ko) 2012-10-22 2012-10-2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14A true KR20140051014A (ko) 2014-04-30
KR101979914B1 KR101979914B1 (ko) 2019-05-17

Family

ID=5065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56A KR101979914B1 (ko) 2012-10-22 2012-10-2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68B1 (ko) * 2014-06-09 2015-04-20 차보영 양방향 스토리텔 미러링(storytell-mirroring) 방송장치 및 방송시스템
WO2021246750A1 (ko) * 2020-06-04 2021-1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 처리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그를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27A (ko) * 2007-05-04 2009-01-09 주식회사 라이콤스 대화형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20090042499A (ko) * 2007-10-26 2009-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27A (ko) * 2007-05-04 2009-01-09 주식회사 라이콤스 대화형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20090042499A (ko) * 2007-10-26 2009-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68B1 (ko) * 2014-06-09 2015-04-20 차보영 양방향 스토리텔 미러링(storytell-mirroring) 방송장치 및 방송시스템
WO2021246750A1 (ko) * 2020-06-04 2021-1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 처리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그를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914B1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722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live-streaming interaction video
US9913301B2 (en) Content sharing method and device
JP6186090B2 (ja) 接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157634B1 (ko) 영상 획득 방법 및 로컬 엔드포인트 호스트 장치
KR102092063B1 (ko)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장치
US9529439B2 (en) Multi device pairing and sharing via gestures
US850847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input
US10420011B2 (e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medium
WO2016072128A1 (ja)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74855B1 (ko)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기억매체
WO2014130490A1 (en) Interaction between devices display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EP325306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14091643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1245854B (zh) 一种媒体传输方法、媒体控制方法及装置
CN105704655A (zh) 终端之间的媒体数据共享方法及装置
CN103997519A (zh) 传输图像的方法及装置
JP2016046552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60323542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service therefor
KR2016013204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99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08581A (ko) 콘텐츠 요청 장치 및 방법과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US11470234B2 (en) Wireless camera and method of video streaming
JP2016143954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759563B1 (ko) 콘텐츠 요청 장치 및 방법과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0924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호스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