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821A -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821A
KR20080082821A KR1020070023611A KR20070023611A KR20080082821A KR 20080082821 A KR20080082821 A KR 20080082821A KR 1020070023611 A KR1020070023611 A KR 1020070023611A KR 20070023611 A KR20070023611 A KR 20070023611A KR 20080082821 A KR20080082821 A KR 2008008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displayed
video cal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2821A/ko
Publication of KR2008008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단계와, 영상통화시에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어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통화자 영상과,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영상통화시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통화자 영상과 함께 전송하거나, 통화자 영상에 대체하여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복수의 영상을 설정하여 표시하고, 이를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동 단말기, 통신기기, 영상통화, 화상, 복수, 카메라

Description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Imag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시 표시될 영상의 정보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시 두 개의 영상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시 표시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시 표시되는 영상을 변경하기 위해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영상을 여러 형태로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영상을 서로 상이한 크기로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영상과 부 영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특정 영상이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특정 영상이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섬네일 형태로 표시된 복수의 특정 영상이 흐르기 형태로 표시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특정 영상이 슬라이드 쇼 형식으로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두 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앤드 드롭을 이용하여 영상을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단말기 100 : 송수신부
110 : 카메라부 120 : 영상데이터 처리부
130 : 메모리부 140 : 입력부
150 : 표시부 160 : 제어부
본 발명은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이동 단말기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일반적인 음성통화 이외에 메시지, 사진 및 동영상 촬영, MP3 파일 재생, 영상통화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와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이 포함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 중에서 영상통화 서비스는 상대방을 보며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했다.
이때,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영상이 하나씩 표시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러 영상을 상대방에게 동시에 보여주지 못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의 영상을 설정하여 표시하고, 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복수의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영상으로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셋째, 터치 스크린의 사용시 표시될 영상을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단계와, 영상통화시에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어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통화자 영상과,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영상통화시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통화자 영상과 함께 전송하거나, 통화자 영상에 대체하여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저장된 영상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단계에서는 표시된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에 슬라이드 쇼(Slide Show)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가 슬라이딩되는 시간의 간격 및 방향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저장된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카메라부를 통해 특정 순간에 촬영된 통화자의 영상을 이거나, 영상통화 중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중 주(main) 영상과 부(sub) 영상을 설정되고, 표시단계에서는, 주 영상과 부 영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 영상은 하이라이트(Highlight)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단계에서는 저장된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다른 하나 이상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단계에서는 저장된 영상 중 어느 두 개 이상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PIP)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송단계에서는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과 통화자 영상을 동시에 전송하거나,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교대로 특정 횟수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또한, 저장된 영상과 사용자 영상을 표시할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된 복수의 특정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터치되어 다른 하나의 영상이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되면 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단계에서는 드래그 앤드 드롭된 영상을 다른 하나의 영상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통신기기는, 통화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하나 이상의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과,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통화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과, 통화자의 영상을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영상통화시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통화자 영상과 함께 전송하거나 통화자 영상에 대체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는 이동 단말기(10)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10)는, 송수신부(100), 카메라부(110), 영상데이터 처리부(120), 메모리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00)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대방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설정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한다.
카메라부(110)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영상통화시에 통화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영상데이터 처리부(120)는 영상통화시에 송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의 영상과, 카메라부(110)로부터 촬영되는 통화자의 영상을 처리한다. 이때, 영상데이터 처리부(120)는 입력되는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에 이를 프레임 단위로 출력한다.
메모리부(130)는 플래쉬 메모리,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130)에는 하나 이상의 영상이 저장되며, 이러한 영상은 사진, 그림 등과 같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입력부(140)는 숫자키 및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되는 통화자의 영상과,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 중에서 영상통화시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이 설정되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표시부(150)는 송수신부(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상대방의 영상 및 각종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5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과,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되어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통화자 영상을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MSM(Mobile Station Modem)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반적인 입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영상통화가 시작되면 표시부(150)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카메라부(110)로부터 촬영되는 통화자 영상과 함께 전송하거나, 통화자 영상에 대체하여 송수신부(10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영상이 두 개인 경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시 표시될 영상의 정보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단계(S210~S220)와, 영상통화시에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어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통화자 영상과,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단계(S250) 및 영상통 화시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통화자 영상과 함께 전송하거나 통화자 영상에 대체하여 전송하는 전송단계(S260)를 포함한다.
먼저, 메모리부(130)에는 하나 이상의 영상이 저장된다(S210). 이때,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는 영상은 그림,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 중 특정한 영상을 선택하여 영상통화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통해 영상통화시 표시될 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영상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이를 도 3a과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된 메뉴 중에서 '1. 영상 갯수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도 3b와 같이 영상통화시 표시될 영상의 갯수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통해 '2. 2개' 메뉴가 선택되면, 영상통화시에 2개의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되고 송수신부(10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 후, 도 3a에 도시된 메뉴에서 '2. 영상설정' 메뉴가 입력부(140)를 통해 선택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도 3c와 같이 '1. 카메라 촬영' 메뉴와, '2. 저장 이미지' 메뉴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여기서, 입력부(140)를 통해 '1. 카메라 촬영'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영상통화시 표시될 2개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은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통화자의 영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입력부(140)를 통해 '2. 저장 이미지'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영상통화시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통화자의 영상과 함께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영상통화시 표시부(150)에 표시될 영상이 설정된(S220) 상태에서, 송수신부(100)를 통해 영상통화를 위한 신호(Call)가 송수신되면 영상통화가 시작된다(S230).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송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의 영상(S240)과, 설정된 두 개의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하는데(S250),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시 두 개의 송신 영상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가 시작되면, 제어부(160)는 도 3a 내지 도 3c 에서 전술한 대로 설정된 두 개의 송신 영상(310, 320)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제1 영상(310)은 카메라부(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통화자의 영상(315)으로 표시한다. 이와 함께, 제2 영상(320)은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인 '바둑이.jpg' 영상(321)으로 표시하며 두 개의 영상(310, 320)을 표시부(150)의 일 측에 상하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제1 영상(310)과 제2 영상(310)을 송수신부(100)를 통 해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260).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부(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통화자의 영상(315)과,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이 표시되고 송신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두 개의 영상이 모두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일 수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시 표시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40)를 통해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인 '바둑이.jpg' 영상(321)과 '조카.jpg' 영상(322)이 영상통화시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영상통화시에 두 영상(321, 322)이 송수신부(10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영상통화가 진행되는 중에 표시부(150)에 표시된 두 영상(321, 322)을 다른 영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50)에 표시된 '바둑이.jpg' 영상(321)의 하단부에 표시된 좌우 스크롤 바(Scroll Bar, 330)를 방향키(142)를 이용하여 좌우로 스크롤시켜 원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이.jpg' 영상(321)을 '예쁜꽃.jpg' 영상(323)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는 '조카.jpg' 영상(322)을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다른 영상으로 변경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할 영상(310, 320)을 변경하기 위해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다른 영상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시 표시되는 영상을 변경하기 위해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의 목록이 팝업창(Pop-up window, 3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력부(140)의 숫자키나 방향키(142)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40)를 통해 '예쁜꽃.jpg' 영상(323)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통화중에도 표시부(150)에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입력부(14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영상이 상하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영상을 여러 형태로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상대방의 영상(30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표시한 상태에서, 두 개의 영상(310, 320)을 표시부(150)의 가로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상대방의 영상(30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표시한 상태에서, 두 개의 영상(310, 320)을 표시부(150)의 대각선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상대방의 영상(300)을 표시부(150)의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대각선의 상방향에 제1 영상(310)을 표시하고, 하방향에 제2 영상(3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상대방의 영상(300)을 표시부(150)의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대각선의 상방향에 제1 영상(310)이 상대방의 영상(300)과 일부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대각선의 하방향에 상대방의 영상(300)과 일부 중첩되도록 제2 영상(32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중첩되는 부분의 밑에 있는 영상은 보이지 않고, 위에 있는 영상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310, 320)이 두 개인 경우에는 주(main) 영상과 부(sub) 영상으로 설정하여 이에 따라 두 개의 영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 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영상을 서로 상이한 크기로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40)를 통해 제1 영상(310)이 주 영상으로 설정되고, 제2 영상(320)이 부 영상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주 영상과 부 영상이 서로 다른 크기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주 영상과 부영상이 표시되는 가로 길이를 각각 w1, w2로 하되 서로 같도록 한다. 그러나, 주 영상인 제1 영상(310)이 표시되는 세로 길이를 h1 으로 하고, 부 영상인 제2 영상(320)이 표시되는 세로 길이를 h1보다 작은 h2으로 표시한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주 영상과 부영상이 표시되는 세로 길이를 각각 h1, h2로 하되 서로 같도록 한다. 그러나, 주 영상인 제1 영상(310)이 표시되는 가로 길이를 w1 으로 하고, 부 영상인 제2 영상(320)이 표시되는 세로 길이를 w1보다 작은 w2로 표시한다.
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주 영상과 부 영상을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PIP)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픽쳐인픽쳐 방식이란, 표시된 영상의 일 측에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주 영상인 제1 영상(310)이 표시된 일 측 내에 부 영상인 제2 영상(320)을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주 영상과 부 영상의 서로 상이한 크기로 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주 영상과 부 영상의 표시크기는 서로 동일하되 다르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영상과 부 영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부 영상인 제2 영상(320)을 주 영상인 제1 영상(310)보다 낮은 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주 영상인 제1 영상(310)의 테두리를 특정한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하이라이트(Highlight)시켜 부 영상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 영상인 제1 영상(310)의 테두리의 특정한 색이 일정한 주기로 깜빡거리도록 하여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다.
<2. 특정 영상이 세 개 이상인 경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특정 영상이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310, 320, 350, 36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다른 하나 이상과 상이한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제1 영상(310)과 제2 영상(320)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각각 w1 과 h1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제어부(160)는 제3 영상(350)과 제4 영상(360)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각각 w1 과 h1보다 작은 w2 와 h2 로 표시한다.
이때, 각 영상(310, 320, 350, 360)의 표시 크기는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는 다르게 복수의 영상(310, 320, 350, 360)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특정 영상이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제1 영상(3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320, 350, 360)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부(150)의 일 측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썸네일 형식이란, 영상을 엄지손가락만큼 작게 여러 장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제1 영상(310)과,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영상(320, 350, 360)을 함께 송수신부(100)를 통해서 전송한다.
이러한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는 영상(320, 350, 360)은 다음과 같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섬네일 형태로 표시된 복수의 특정 영상이 흐르기 형태로 표시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영상(320, 350, 360)을 흐르기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흐르기 형태란, 데이터가 특정한 방향으로 시프트(Shitf)되어 흐르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60)는 (a)와 같이 제2 영상(320), 제3 영상(350), 제4 영상(260)의 순서로 표시된 상태에서 (b)와 같이 좌측으로 하나씩 시프트시킨다. 이 후, 제어부(160)는 (b)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c)와 같이 시프트시킨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이를 영상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또는 사용자의 중지요청이 있을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a)와 같이 제2 영상(320), 제3 영상(350), 제4 영상(360)의 순서로 표시된 상태에서 (b)와 같이 좌측으로 하나씩 시프트시키고, 제2 영상(320)이 마지막 위치로 시프트되도록 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b)와 같이 제3 영상(350), 제4 영상(260), 제2 영상(320)의 순서로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c)와 같이 제3 영상(350)을 시프트 하여 제4 영상(360), 제2 영상(320), 제3 영상(350)의 순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또 다르게 복수의 영상(320, 350, 360)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특정 영상이 슬라이드 쇼 형식으로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복수의 영상(320, 350, 360)을 슬라이드 쇼(Slide Show)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먼저 제1 영상(310)과, 제2 영상(320)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310)은 그대로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영상(320)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제3 영상(350)을 표시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310)은 그대로 표시된 상태에서, 제3 영상(350)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제4 영상(360)을 표시한다.
이때, 복수의 영상(320, 350, 360)들 간에 슬라이딩되는 시간의 간격 및 방 향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2 영상(310), 제2 영상(320), 제3 영상(350) 및 제4 영상(3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두 개의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때, 두 개의 카메라부(11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10)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60)는 제1 및 제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하고, 송수신부(10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50)에 표시된 제1 영상(310)은 제1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이고, 제2 영상(320)은 제2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이다. 이때, 제1 영상(310)은 통화자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고, 제2 영상(320)은 통화자가 영상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보여주고 싶은 영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상대방에게 다양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세 개 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점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개의 카메라부(110)로부터 촬영된 두 개의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두 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 개의 카메라부(110)를 이용하여 촬영된 두 개의 영상(310, 32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50)에 표시된 제1 영상(310)은 카메라부(110)를 통해 통화자가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이고, 제2 영상(320)은 영상통화가 시작된 후 어느 순간에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사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통화를 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통화자의 모습을 제1 영상(310)으로 표시하면서, 통화자의 어느 순간의 모습을 촬영하여 바로 제2 영상(3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사진을 찾아서 제2 영상(320)으로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없고, 수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앤드 드롭을 이용하여 영상을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스크린상에 제1 영상(310)을 표시하고, 그 일 측에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320, 350, 360)을 표시한다.
이 후,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영상(320, 350, 360)중 제2 영상(320)이 터치되어 제1 영상(310)이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60)는 제1 영상(310)과 제2 영상(320)을 함께 송수신부(10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상(310)과 제2 영상(320)을 픽쳐인픽쳐 방식으로 표시하고, 제1 영상(310)에 드래그 앤드 드롭된 제2 영상(320)을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제어부(160)는 표시부(150)에 표시된 복수의 영상이 함께 송수신부(10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된 복수의 영상을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0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이 이동 단말기(10)에 적용된 일례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통화가 가능한 모든 통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영상이 그림 또는 사진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를 뒷받침하여 해석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의 영상을 설정하여 표시하고, 이를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복수의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영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성있는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터치 스크린의 사용시 표시될 영상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단계;
    영상통화시에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어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통화자 영상과,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시에,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통화자 영상과 함께 전송하거나, 상기 통화자 영상에 대체하여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영상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표시된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에 슬라이드 쇼(Slide Show)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슬라이딩되는 시간의 간격 및 방향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카메라부를 통해 특정 순간에 촬영된 통화자의 영상을 이거나, 상기 영상통화 중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중 주(main) 영상과 부(sub) 영상을 설정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주 영상과 부 영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영상은 하이라이트(Highlight)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저장된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다른 하나 이상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저장된 영상 중 어느 두 개 이상은 픽쳐인픽쳐(Picture In Picture: PIP)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는,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과 통화자 영상을 동시에 전송하거나,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교대로 특정 횟수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영상과 사용자 영상을 표시할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특정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터치되어 다른 하나의 영상이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되 면 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는,
    상기 드래그 앤드 드롭된 영상을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13. 통화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하나 이상의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통화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과, 상기 통화자의 영상을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영상통화시에,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통화자 영상과 함께 전송하거나 상기 통화자 영상에 대체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기기.
KR1020070023611A 2007-03-09 2007-03-09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전송하는 방법 KR20080082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11A KR20080082821A (ko) 2007-03-09 2007-03-09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전송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11A KR20080082821A (ko) 2007-03-09 2007-03-09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21A true KR20080082821A (ko) 2008-09-12

Family

ID=4002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611A KR20080082821A (ko) 2007-03-09 2007-03-09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28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57B1 (ko) * 2007-10-26 201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US20180041730A1 (en) 2012-09-25 2018-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57B1 (ko) * 2007-10-26 201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US8823766B2 (en) 2007-10-26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in
US9525844B2 (en) 2007-10-26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in
US20180041730A1 (en) 2012-09-25 2018-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298872B2 (en) 2012-09-25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785440B2 (en) 2012-09-25 2020-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584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in
EP19426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relation-based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US8248449B2 (en) Transmitting data file during call
KR100722308B1 (ko) 촬영 사진 입력된 주소정보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를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US83451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US8271030B2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980154B2 (ja) 撮影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KR101137348B1 (ko)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처리 방법
KR20080082821A (ko)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시 복수의 영상을전송하는 방법
EP1746830A2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049760B1 (ko) 모바일 단말기간 이미지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05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JP676779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561689B2 (ja) 情報送信装置、画像記憶装置、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87843B1 (ko) 단말기 및 구도화면 제공방법
US20140104319A1 (en)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70352B1 (ko)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865533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storing image thereof
KR10063167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전송 방법
JP4874347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508004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6597094B2 (ja) 撮像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71438A (ko)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
KR20060061466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이미지 관리 방법
KR20080077842A (ko) 다중이미지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다중이미지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