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352B1 -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352B1
KR101970352B1 KR1020170079953A KR20170079953A KR101970352B1 KR 101970352 B1 KR101970352 B1 KR 101970352B1 KR 1020170079953 A KR1020170079953 A KR 1020170079953A KR 20170079953 A KR20170079953 A KR 20170079953A KR 101970352 B1 KR101970352 B1 KR 10197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ramete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display paramet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68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브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브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브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07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3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 정보, 제2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정보 및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telephony ser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통신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단말기에 부착 또는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 주변기기 역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착탈이 가능하거나(attachable) 내장형(built-in)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 공중파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 단말기 상에 장착하여 통화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등이 있다.
카메라는 영상통화(Video telephony)에 사용될 수 있다. 영상통화란, 상대방과 통화를 할 때 단말의 화면으로 상대방의 영상을 볼 수 있는 통화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발신자 단말에 의해 촬영 및 압축된 동영상을 수신자 단말에서 수신하고, 수신자 단말은 압축된 동영상의 압축을 해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반대로, 수신자 단말에 의해 촬영 및 압축된 동영상도 발신자 단말로 전송되고, 발신자 단말에서는 압축된 수신자의 동영상의 압축을 해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과 보편화로 인해 영상통화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실시간 영상이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재미요소를 찾고자 하는 사용자가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단순히 고정된 방식으로 제공되는 화면 상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을 뿐이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현재는 상대방의 영상을 크게 표시하고, 자신의 영상을 작게 표시하여 상대방의 영상의 일부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 정보, 제2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정보 및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방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화면을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향 설정 값으로써 수직 또는 수평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의 비율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된 제2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되는 프레임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 정보, 제2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정보 및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수신하여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통화 개시부;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영상통화를 중개하는 통화 중개부;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한 제2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제1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한 화면을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2 단말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제1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하는 화면을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또는 표시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발신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자 단말에도 제공하여,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이 동일한 표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을 활용하여 발신자와 수신자가 상호 작용하면서 다양한 재미요소를 구현할 수 있는 영상통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개부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영상통화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의 예이다.
도 7은 도 6의 설정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 제1 단말의 표시부 및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의 예이다.
도 10은 도 9의 화면에서 제1 아이콘이 선택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1은 도 9의 화면에서 드래그가 입력되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위치가 변경된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5)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시스템은 서버(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400)은 사용자 단말(200, 300)과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400)은 사용자 단말(200, 30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3G, 4G, 5G, LTE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 300)에게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 3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 및 수신 승낙에 따라 영상통화를 개시하고, 사용자 단말(200, 300)들 간의 영상통화를 중개한다. 서버(100)는 영상통화 중개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 300)들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300)은 통신망(400)을 통해 서버(100)에 연결되어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영상통화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2개의 단말을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의 개수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영상통화 시스템은 영상통화의 개시를 요청하는 하나의 발신자 단말과, 영상통화의 개시를 요청한 주체는 아니지만 영상통화에 참가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상통화의 개시를 요청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생성하여 서버(100)에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을 제1 단말(200), 영상통화의 수신을 승낙하여 영상통화에 참여하는 수신자 단말을 제2 단말(300)로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서 사용자 단말(200, 300)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및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전자 기기라면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시스템은,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는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영상통화 화면은, 상대방의 화면을 표시하는 영역과 자신의 화면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상대방의 화면은 중앙에 크게 표시하고, 자신의 화면은 코너에 작게 표시하는 방식 등이다. 그러나 자신 또는 상대방과 같은 개념은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각 사용자는 서로 다른 화면을 보게 된다. 예컨대, 발신자의 화면에서는 수신자가 중앙에 크게 표시되고, 수신자의 화면에서는 발신자가 중앙에 크게 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시스템은, 발신자와 수신자의 영상통화 화면의 표시 방법과 관련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발신자와 수신자가 공유할 수 있는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발신자가 자신의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면서 상대방을 쿡쿡 찌르는 듯한 동작을 한다거나, 상대방을 바라보는 것처럼 상대방을 향하여 얼굴을 돌리는 등의 영상적인 재미요소를 구현했을 때, 수신자 역시 동일한 화면 상에서 발신자가 의도한 재미요소를 동일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서버(10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통화 개시부(21) 및 통화 중개부(2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00, 300)과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개시부(21)는, 제1 단말(200)로부터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수신한다. 영상통화 발신 요청은 제1 단말(200)의 정보, 제2 단말(300)의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단말(200)의 정보는 제1 단말(2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예컨대, 제1 단말(200)의 정보는 제1 단말(200)에서 로그인된 계정의 정보이거나, 제1 단말(200)의 전화번호이거나, 제1 단말(200)의 고유 식별번호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말(300)의 정보는 제2 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예컨대, 제2 단말(300)의 정보는 제2 단말(300)에서 로그인된 계정의 정보이거나, 제2 단말(300)의 전화번호이거나, 제2 단말(300)의 고유 식별번호일 수 있다.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은, 발신자인 제1 단말(200)의 정보와 수신자인 제2 단말(300)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에 표시되는 영상통화 화면의 표시 방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설정 값의 예를 설명한다.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영상통화 화면의 분할 방향의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통화 화면의 분할 방향이란, 영상통화 화면을 제1 단말(200)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과 제2 단말(300)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분할 방향이 수평인 경우 화면이 수평선에 의해 분할되어 제1 영상과 제2 영상은 상하로 위치되고, 분할 방향이 수직인 경우 화면이 수직선에 의해 분할되어 제1 영상과 제2 영상은 좌우에 위치된다.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발신자의 영상인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수신자의 영상인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의 위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통화 화면 분할 방향이 수평인 경우, 제1 영상을 제2 영상보다 위에 표시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영상통화 화면의 분할 방향이 수직인 경우, 제1 영상을 제2 영상보다 좌측에 표시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신자" 또는 "수신자"와 같은 절대적 기준에 의해 영상의 위치가 설정되므로,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 발신자가 상단에 위치하는 화면을 보게 되거나, 발신자가 좌측에 위치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위치값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우선순위로도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우선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은 제1 영역을 화면의 상단 또는 좌측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비율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통화 화면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1:1의 비율로 표시될 수 있다. 비율 설정 값은 1:1외에 1:2, 1:3, 1:4, 1:5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반대로 2:1, 3:1, 4:1, 5:1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영상통화 화면에 중첩 표시되는 프레임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설정 값은 영상통화 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프레임에 대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프레임은 스틸 이미지 또는 움직이는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은, 액자 이미지, 커튼 이미지, 잡지 표지 이미지 등 표시효과를 줄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프레임은 투명 영역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영상통화 화면에 프레임을 중첩 표시하였을 때, 투명 영역으로 발신자 및 수신자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프레임은 아이콘, 이모티콘과 같이 화면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작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영상통화 화면에 부여할 수 있는 이펙트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펙트 설정 값은 영상통화 화면에 적용할 수 있는 표시 효과에 대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표시 효과는 화면 전체 흔들기 등의 애니메이션 동작이거나, 화면 밝게보이기, 어둡게보이기, 블러처리 등 일종의 영상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개시부(21)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에 포함된 제2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생성하고,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제2 단말(300)에 전송한다.
통화 개시부(21)에 의해 생성되어 제2 단말(300)에 전송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은, 발신자인 제1 단말(200)의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포함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제1 단말(200)에 의해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즉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제1 단말(200)에 의해 통화 개시부(21)에 전송된 영상통화 발신 요청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통화 개시부(21)는 제2 단말(300)로부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수신한다. 통화 개시부(21)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수신하면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 간의 영상통화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개부(22)는 통화 개시부(21)에 의해 영상통화가 개시되면,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 간의 영상통화를 중개한다. 통화 중개부(22)는 제1 단말(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제2 단말(300)로 실시간 전달하고, 제2 단말(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제2 단말(300)로부터 수신하여 제1 단말(200)로 실시간 전달한다. 통화 중개부(22)가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제2 단말(300)에 전송하고, 제2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제1 단말(200)에 전송하는 것은,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통화 중개부(22)는 영상통화 도중 제1 단말(200) 또는 제2 단말(300)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화 중개부(22)는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중개부(22)는 영상통화 도중 제1 단말(200)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2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화 중개부(22)는 영상통화 도중 제2 단말(300)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1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개부(22)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통화 중개부(22)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개부(22)는 영상 스트리밍부(31), 표시 파라미터 제어부(32) 및 액션 전달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액션 전달부(33)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트리밍부(31)는 제1 단말(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제2 단말(300)로 실시간 전달하고, 제2 단말(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제2 단말(300)로부터 수신하여 제1 단말(200)로 실시간 전달한다. 영상 스트리밍부(31)는 양방향 영상 스트리밍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파라미터 제어부(32)는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에 제1 단말(200) 또는 제2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상대 단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표시 파라미터 제어부(32)는 영상통화 도중 제1 단말(200)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제2 단말(300)에 제공한다. 반대로, 표시 파라미터 제어부(32)는 영상통화 도중 제2 단말(300)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제2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제1 단말(2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파라미터 제어부(32)로 인해,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은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에도 동일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의해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동일하게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영상적인 재미요소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션 전달부(33)는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에 제1 단말(200)또는 제2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액션을 상대 단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액션이란, 영상통화 도중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특정 동작을 의미한다. 예컨대 액션은 영상 캡쳐(captur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200)이 캡쳐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1 단말(200)은 캡쳐 명령이 입력된 순간의 영상을 제1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캡쳐 명령을 액션 전달부(33)에 전송한다. 액션 전달부(33)는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캡쳐 명령을 제2 단말(300)에 전송하고, 제2 단말(300)은 액션 전달부(33)로부터 수신된 캡쳐 명령에 따라 캡쳐 명령이 수신된 순간의 영상을 제2 단말(300)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제2 단말(300)의 캡쳐 기능에 대한 접근 권한 또는 메모리(300) 접근 권한을 사전에 제2 단말(300)로부터 승인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200)에 캡쳐 명령이 입력된 순간과 제2 단말(300)에 캡쳐 명령이 수신된 순간의 시간차가 발생하여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에 서로 다른 영상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200)에 캡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단말(200)은 캡쳐 명령이 입력된 순간의 영상을 제1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영상을 액션 전달부(33)에 전송한다. 액션 전달부(33)는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2 단말(300)에 전송하고, 제2 단말(300)은 액션 전달부(33)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2 단말(300)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 300)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영상통화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신자 단말인 제1 단말(200)은 프로세서(210), 카메라(220) 및 표시부(230)를 포함한다. 수신자 단말인 제2 단말(300) 역시 프로세서(310), 카메라(320) 및 표시부(330)를 포함한다.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은 통신망(400)을 통해 서버(10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210, 310)는 단말(200, 300)의 표시를 제어한다는 의미에서 표시 제어 장치로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에 대해 공통되는 특징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카메라(220, 320)는 영상을 촬영한다. 표시부(230, 330)는 표시 제어부(213, 313)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230, 33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 310)는 통신부(211, 311), 입출력부(212, 312) 및 표시 제어부(213, 313)를 포함한다. 통신부(211, 311)는 통신망(400)을 통해 서버(100)와 통신한다. 입출력부(212, 312)는 터치스크린 등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 카메라(220, 32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한다. 도 4에 마이크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출력부(212, 312)는 마이크로부터 음원을 수신한다. 표시 제어부(213, 313)는 표시부(230, 33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 각각의 기술적 특징은 이하에서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서버(100),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도 5의 흐름도를 설명할 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을 참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에서 제1 단말(200)의 통신부(211)는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200)의 입출력부(212)가 사용자로부터 표시 파라미터들 설정 정보를 입력받고 영상통화 발신을 요청을 입력받으면, 제1 단말(200)의 표시 제어부(213)는 사용자가 입력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제1 단말(200)에 표시되는 화면에 적용하고, 통신부(211)는 해당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 52에서 서버(100)의 통화 개시부(21)는 단계 51에서 수신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제2 단말(300)에 전송한다. 제2 단말(300)이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인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면, 단계 53으로 진행하여 제2 단말(300)은 영상통화 수신 승인을 서버(100)에 전송한다. 서버(100)의 통화 개시부(21)는 단계 53에서 영상통화 수신 승인을 전송받으면 영상통화를 개시한다.
단계 54에서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는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 간의 영상통화를 중개한다. 단계 541에서 제1 단말(200)의 통신부(211)는 카메라(220)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을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에 전송하고, 통화 중개부(22)로부터 제2 단말(300)의 제2 영상을 수신하고, 표시 제어부(213)는 발신자 단말의 영상인 제1 영상 및 수신자 단말의 영상인 제2 영상을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13)는 단계 51에서 입력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542에서 제2 단말(300)의 통신부(311)는 카메라(320)에 의해 촬영된 제2 영상을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에 전송하고, 통화 중개부(22)로부터 제1 단말(200)의 제1 영상을 수신하고, 표시 제어부(313)는 발신자 단말의 영상인 제1 영상 및 수신자 단말의 영상인 제2 영상을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313)는 단계 52에서 수신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51에서 입력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와 단계 52에서 수신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동일하므로, 단계 541 및 542에서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은 동일한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영상통화가 진행되는 도중, 단계 55에서 제2 단말(300)의 사용자는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300)의 표시 제어부(313)는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부(330)에 화면을 표시하고, 단계 551로 진행하여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에 전송한다.
단계 552에서 통화 중개부(22)는 제2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제1 단말(200)에 전달한다.
단계 56에서 제1 단말(200)의 표시 제어부(213)는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화면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단계 55 내지 56에 따르면, 제2 단말(300)에서 적용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수정사항이 제1 단말(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영상통화 도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변경 내용이 상대방 단말에까지 동일하게 적용되어, 발신자 및 수신자 모두 여전히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다.
한편 단계 55 내지 단계 56에서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은 반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200)에 의해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입력되고, 이를 제2 단말(300)이 전달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57에서 제1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액션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실행한다. 예컨대, 액션이 캡쳐인 경우, 제1 단말(200)의 입출력부(212)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영상통화 화면을 캡쳐하여 제1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 571에서 제1 단말(200)의 통신부(211)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액션 명령을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에 제공한다.
단계 572에서 통화 중개부(22)는 액션 명령을 제2 단말(300)에 전달한다.
단계 573에서 제2 단말(300)의 프로세서(310)는 액션 명령에 따른 액션을 제2 단말(300)에서 실행한다. 예컨대 액션이 캡쳐인 경우, 프로세서(310)는 영상통화 화면을 캡쳐하여 제2 단말(300)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에 의해 제1 단말(200)의 표시부(230)에 표시된 화면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면(60)은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아이콘(Si) 및 기타 아이콘(i),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전송하는 버튼(61), 수신자 단말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목록(62)을 표시하고 있다.
화면(60)은 사용자가 버튼(61)을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 목록(62)이 표시된 예이다. 사용자는 버튼(61)을 선택하고, 사용자 목록(62)에서 원하는 사용자를 선택함으로써,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전송하기 전, 설정 아이콘(Si) 및 기타 아이콘(i)을 이용하여 화면(60)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파라미터 설정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 파라미터 설정 값들을 설정한 후 사용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용자(즉, 수신자)의 단말인 제2 단말(300)의 식별 정보, 하나 이상의 표시 파라미터 설정 값들을 포함하는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 및 사용자 자신의 단말인 제1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이 서버(100)에 전송된다.
한편 도 6의 화면(60)의 배경(BG)으로써 기설정된 이미지가 표시되거나, 또는 제1 단말(200)의 카메라(2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설정 아이콘(Si)을 선택했을 때 표시되는 화면(70)의 예이다.
상세히 도 7은 사용자가 표시 파라미터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해 설정 아이콘(Si)을 선택했을 때 설정 창(SW)이 표시된 화면(70)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설정 창(SW)에서 화면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창(SW)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표시 비율을 "1:1", "1:2", "1:3", "1:4"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에 의해 제1 단말(200)의 표시부(230)에 표시된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80)은 복수의 아이콘(81, 82, 83, 84)을 표시한다. 버튼(61) 및 사용자 목록(62)과 관련하여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1 아이콘(81)은 화면 분할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아이콘(81)을 선택하여 화면 분할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아이콘(81)의 표시 상태는 토글(toggle)될 수 있다. 제1 아이콘(81)의 표시 상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상태(81a) 및 제2 상태(81b)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아이콘(81)을 선택하면 제1 아이콘(81)의 표시 상태가 제1 상태(81a)에서 제2 상태(81b)로, 또는 제2 상태(81b)에서 제1 상태(81a)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화면 분할 방향은 제1 아이콘(81)의 표시 상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아이콘(81)은 화면 분할 방향이 "수평"으로 설정되어 수평으로 분할선이 그려진 상태인 제1 상태(81a)로 표시되었다. 사용자가 화면 분할 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기 위해 제1 아이콘(81)을 선택하면, 제1 아이콘(81)의 표시 상태는 제1 상태(81a)에서 제2 상태(81b)로 변경되고, 표시 파라미터 설정 값으로써의 화면 분할 방향 값은 "수직"으로 설정된다.
제2 아이콘(82)은 화면 분할 비율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2 아이콘(82)을 선택하여 화면 분할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아이콘(82)의 표시 상태는 복수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아이콘(82)에 "1:1"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아이콘(82)을 선택하면 화면 분할 비율이 1:2로 변경되고 제2 아이콘(82)에 "1:2"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아이콘(83)은 화면에 중첩 표시할 수 있는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3 아이콘(83)을 선택하여 화면에 중첩 표시할 레이어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아이콘(83)의 표시는 제1 아이콘(81) 및 제2 아이콘(82)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 상태가 복수의 표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레이어의 종류가 많을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제어부(213)는 제3 아이콘(83)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복수의 레이어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이어의 식별 정보를 최종적으로 레이어 설정 값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제4 아이콘(84)은 액션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4 아이콘(84)을 선택하여 현재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 액션을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를 통해 상대방에게도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 제1 단말의 표시부 및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의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신자의 영상인 제1 영상 및 수신자의 영상인 제2 영상이 "수평" 방향으로 분할된 제1 영역(91) 및 제2 영역(92)에 각각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은 서버에 의해 동일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공유하므로, 동일한 화면(90)을 표시할 수 있다.
발신자 또는 수신자는, 아이콘(81, 82, 83, 84)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도중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정하거나 액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신자 또는 수신자에 의해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수정되면,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됨으로써,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발신자 및 수신자가 공유하여 동일한 화면(90)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200)의 사용자가 제4 아이콘(84)을 선택하면 제1 단말(200)은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제1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캡쳐 액션을 서버(100)에 전송한다.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는 캡쳐 액션을 제2 단말(300)에게 전달하여, 제2 단말(300)이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제2 단말(300)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발신자 또는 수신자는 아이콘(81, 82, 83)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발신자의 영상인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91) 및 수신자의 영상인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92)의 위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화면(90)은 제1 영역(91)이 제2 영역(92)보다 상단 또는 좌측에 표시되도록 위치 값이 설정된 경우의 예이다.
제1 단말(200)의 입장에서, 프로세서(210)는 자신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91)을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92)보다 상단에 표시한다.
제2 단말(300)의 입장에서, 프로세서(310)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91)을 자신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92)보다 상단에 표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드래그(d)를 입력하여 제1 영역(91) 및 제2 영역(92)의 위치 값을 수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자 또는 발신자는, 제1 영역(91)을 아래로 끌어내리는 드래그(d) 또는 제2 영역(92)을 위로 끌어올리는 드래그(d)를 입력함으로써 제1 영역(91) 및 제2 영역(92)의 표시 위치를 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화면(90)에서 제1 아이콘(81)이 선택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아이콘(81)의 표시 상태는 "수직" 분할된 상태로 토글되었고, 제1 영역(91)과 제2 영역(92)은 화면을 수직으로 분할함에 따라 구분되었다. 이와 같이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수정된 경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를 통해 상대방에게 공유되므로,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은 모두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화면(90a)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아이콘(81)을 선택하여 표시 파라미터를 재 변경하는 경우, 제1 단말(200) 및 제2 단말(300)은 다시 도 9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91)과 제2 영역(92)을 표시할 것이다. 표시 파라미터의 수정은 발신자 단말(200) 또는 수신자 단말(300) 중 어느 곳에서도 동일하게 가능하다.
도 11은 도 9의 화면(90)에서 드래그(d)가 입력되어 제1 영역(91)과 제2 영역(92)의 위치가 변경된 화면(90b)의 예이다.
예컨대,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이 모두 도 9에 도시된 화면(9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단말(300)이 드래그(d)를 입력하여 제1 영역(91)과 제2 영역(92)의 위치 값을 수정한 경우, 제2 단말(300)은 수정된 위치 값에 따라 화면(90b)을 표시하고, 수정된 위치 값은 서버(100)의 통화 중개부(22)를 통해 제1 단말(200)에 전송된다. 제1 단말(200)은 수정된 위치 값을 기반으로 제1 영역(91)과 제2 영역(92)의 위치를 변경하여 도 11에 도시된 화면(90b)을 표시할 수 있는 바, 결과적으로 제1 단말(200)과 제2 단말(300)은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100: 서버
200: 제1 단말
300: 제2 단말
400: 통신망
110: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21: 통화 개시부
22: 통화 중개부
31: 영상 스트리밍부
32: 표시 파라미터 제어부
33: 액션 전달부

Claims (10)

  1.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 정보, 제2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정보 및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 발신자의 상기 제1 단말 및 수신자의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방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발신자의 영상인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수신자의 영상인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의 위치 값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화면을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향 설정 값으로써 수직 또는 수평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의 비율 설정 값을 포함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된 제2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되는 프레임 설정 값을 포함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 정보, 제2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발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정보 및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수신하여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통화 개시부;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영상통화를 중개하는 통화 중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 발신자의 상기 제1 단말 및 수신자의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방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발신자의 영상인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수신자의 영상인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의 위치 값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8. 프로세서에 의한 제2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서버로부터 제1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한 화면을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 발신자의 상기 제1 단말 및 수신자의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방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발신자의 영상인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수신자의 영상인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의 위치 값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제어 방법.
  9. 제2 단말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제1 단말 정보 및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수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통화 수신 요청에 대한 승낙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하는 화면을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정된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상기 영상통화가 개시된 후 발신자의 상기 제1 단말 및 수신자의 상기 제2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방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는, 발신자의 영상인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수신자의 영상인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의 위치 값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표시 파라미터 설정 정보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제어 장치.
  10.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79953A 2017-06-23 2017-06-23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0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53A KR101970352B1 (ko) 2017-06-23 2017-06-23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53A KR101970352B1 (ko) 2017-06-23 2017-06-23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68A KR20190000668A (ko) 2019-01-03
KR101970352B1 true KR101970352B1 (ko) 2019-04-18

Family

ID=6502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953A KR101970352B1 (ko) 2017-06-23 2017-06-23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656B1 (ko) * 2022-03-23 2024-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면 소통 플랫폼 맞춤형 영상 합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587B1 (ko) * 2007-08-23 2014-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영상 전화 단말간의 선호 영상 규격을 결정하는 방법및 장치
KR20140089146A (ko) * 2013-01-04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60092820A (ko) * 2015-01-28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68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25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ervice
CN111818359B (zh) 直播互动视频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服务器
US10650244B2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02215372B (zh) 视频会议中的远程控制操作
EP247284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2215374B (zh) 在多照相机移动设备的视频会议期间切换照相机
CN112714327B (zh) 基于直播应用程序的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610253A (zh) 一种投屏方法及设备
US10063781B2 (en) Imaging control device, imaging control method, imaging system, and program
CN112217990B (zh) 任务调度方法、任务调度装置及存储介质
CN114500821B (zh) 拍照方法及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970352B1 (ko)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614910B (zh) 一种文件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116124B2 (ja) 映像通話の仲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1835977B (zh) 图像传感器、图像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2013197740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CN109842542B (zh) 即时会话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4915852A (zh) 视频通话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5154020B2 (ja) テレビ電話システム及びテレビ電話端末装置並びにテレビ電話画像表示方法
JP2004101708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2188095B (zh) 拍照方法、拍照装置及存储介质
CN112449409B (zh) 移动终端的功率控制方法和移动终端的功率控制装置
CN110955328B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6375571A (zh) 呼叫界面的处理方法及装置
JP676639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