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716B1 -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및 진동 모터 단자 - Google Patents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및 진동 모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716B1
KR100909716B1 KR20037006070A KR20037006070A KR100909716B1 KR 100909716 B1 KR100909716 B1 KR 100909716B1 KR 20037006070 A KR20037006070 A KR 20037006070A KR 20037006070 A KR20037006070 A KR 20037006070A KR 100909716 B1 KR100909716 B1 KR 10090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base member
brushless vibration
motor accord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700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954A (ko
Inventor
사카바히토시
미나쿠치신야
나카무라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5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888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56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28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1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11374A/ja
Application filed by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재치면 및 부품 탑재면을 갖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부품 탑재면 측에 설치되는 회로 기판, 플럭스 플레이트, 2개의 코일 및 홀소자와, 2개의 코일 사이에 배치된 샤프트와, 샤프트에 고정되어 샤프트와 일체로 회동하는 로터와, 2개의 코일과 대향하도록 로터에 설치되는 마그넷과, 로터에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된 추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및 진동 모터 단자{Brushless vibration motor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휴대 통신기기나 오락기기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를 비롯한 각종 휴대 통신기기 등에 무음 알림을 위해 진동발생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이 진동 발생원으로서 진동모터가 채용되고 있다.
종래의 진동모터는 저렴하고 소비전력이 낮은 브러시가 붙어 있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신뢰성의 향상을 위해 브러시리스 진동모터가 채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각종 휴대 통신기기는 소형화, 저비용화가 한층 진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진동모터에 대한 소형화, 저비용화의 요구도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재치면 및 부품 탑재면을 갖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부품 탑재면 측에 설치되는 회로 기판, 플럭스 플레이트, 2개의 코일 및 홀소자와, 상기 2개의 코일 사이에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동하는 원판형 로터와, 상기 2개의 코일과 대향하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로터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된 추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는 원판형의 측면의 일부가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광폭 영역과, 상기 광폭 영역에 마련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추는 상기 슬릿에 일부가 도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서는 코일이 2개이다. 이와 같이 코일을 2개로 함으로써 코일이 3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모터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수가 적은 만큼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그 공간에 다른 부품을 탑재함으로써 모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모터는 플럭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의 기동이 원활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베이스 부재의 부품 탑재면 측에 설치되는 모터 구동용 소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의 부품 탑재면 측에 모터 구동용 소자를 구비함으로써 구동회로가 모터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모터 사용시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모터 구동용 소자는 로터가 회전하는 영역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베이스 부재의 부품 탑재면 측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모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베이스 부재 위를 피복하고 회로기판, 플럭스 플레이트, 2개의 코일, 홀소자, 샤프트, 로터, 마그넷 및 추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베이스 부재 위에 설치된 각 부재가 커버에 의해 피복되어 먼지의 침입을 막기 때문에 모터 고장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구동방식이 단상(單相) 바이폴라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2상 유니폴라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모터의 구동제어가 단순화되어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회로기판 위의 배선이 단순화된다. 또한, 필요한 홀소자의 수가 1개가 되어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 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샤프트의 연재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모터를 휴대전화 등의 기기에 실장함에 있어서 납땜을 이용하지 않고 샤프트의 연재방향에서 모터를 누르는 편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와 다른 부품을 전기적으로 간단히 접합시킬 수 있어 기기에 실장하는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더욱이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에 단자를 설치함으로써 기기의 소형화를 촉진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서 단자는 일단을 회로 기판에 고정시킨 일측 고정 지지상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모터를 실장한 상태에서 판스프링의 탄성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단자의 전기적 접합력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한쌍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단자는 실장 접점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있도록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의 넓이를 이용하여 한쌍의 단자를 일직선상에 정렬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한쌍의 단자의 실장 접점 부분을 최대한 벌 릴 수 있다. 따라서 실장 접점 사이에서 생기는 단락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한쌍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단자 각각은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 한쪽에 모아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 단자를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 배치한 경우에는 각 단자의 극성을 기기에 잘못 실장하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각 단자를 베이스 부재의 한쪽에 모아 배치시키면 이와 같은 실장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을 포함한 기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베이스 부재에 일체 성형된 스프링판 편부와, 스프링판 편부에 장착된 금속 단자를 구비하며 금속 단자의 선단부는 비실장 상태에서 기준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실장 상태에서 스프링판 편부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기준면을 향해 변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모터를 기판에 실장할 때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을 기판에 재치함으로써 비실장 상태에서 재치면을 포함한 기준면에서 돌출되어 있던 금속단자의 선단부가 스프링판 편부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기준면을 향해 변위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판 편부의 스프링힘에 의해 금속단자의 선단부가 원하는 누름힘으로 기판에 눌리며 금속단자의 선단부와 기판의 전원공급부가 원하는 접촉압으로 접촉하여 도통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에 일체 성형된 스프링판 편부와 금속단자에 의해 단자를 구성함으로써 모터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또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단자구조에 따르면 스프링판 편부의 스프링힘에 의해 안정적인 누름힘으로 도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이 안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서는 스프링판 편부는 일측 고정 지지의 구조로 되어 있어도 좋고 양측 고정 지지의 구조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서 베이스 부재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스프링판 편부에 원하는 스프링힘을 부여하기에 적합하다.
내부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하여 진동 알림 기기, 휴대전화, 휴대 정보단말기, 오락기기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자는 측면의 일부가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광폭 영역과 상기 광폭 영역에 마련된 슬릿을 가지는 원판형의 로터와, 상기 슬릿으로 일부가 도입되어 고정된 추와, 상기 로터에 대향하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한 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 단자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을 포함한 기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체 성형된 스프링판 편부와, 상기 스프링판 편부에 장착된 금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금속단자의 선단부는 비실장 상태에서 상기 기준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실장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 편부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상기 기준면을 향해 변위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단순히 예시를 위해 나타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 고(커버를 제거한 상태),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커버 및 로터를 제거한 상태),
도 4a는 단상 바이폴라 방식으로 구동할 때의 코일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단상 바이폴라 방식에서 얻어지는 토크를 설명하는 그래프이고,
도 5a는 2상 유니폴라 방식으로 구동할 때의 코일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2상 유니폴라 방식에서 얻어지는 토크를 설명하는 그래프이고,
도 6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커버를 제거한 상태),
도 9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커버 및 로터를 제거한 상태),
도 10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커버를 제거한 상태),
도 12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 고(커버 및 로터를 제거한 상태),
도 13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단자(42),(44) 부근에서 절단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재치면 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5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7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커버를 제거한 상태),
도 18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커버 및 로터를 제거한 상태),
도 19는 베이스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0은 금속단자를 통해 스프링판 편부가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밀어올려지는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 있어서 다른 단자구조를 구비한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커버 및 회전자를 제거한 상태),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3은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한 휴대전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4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한 휴대 정보단말기기를 도시한 일부 파단사시도이고,
도 25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한 오락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이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설명을 위해 커버(38)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로터(30)까지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이하「모터」라고도 한다)(10)는 실장기판(미도시)에 재치되는 재치면(12a), 및 이에 대향하는 부품 탑재면(12b)을 갖춘 베이스 부재(12)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 부재(12)는 예컨대 플라스틱,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GFRP, CFRP)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룬다.
이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위에는 플럭스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럭스 플레이트(14)는 예컨대 규소동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10)의 기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위에서 플럭스 플레이트(14) 위 에는 회로기판(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16)은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며 베이스 부재(12)와 같은 크기이다. 이 회로기판(16)은 플렉서블 배선기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프린트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중앙에는 베어링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어링 장치(18)에는 샤프트(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로기판(16) 위에는 2개의 코일(22)이 샤프트(20)를 사이에 두고 대칭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코일(22)은 편평한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 위에서 이들 2개의 코일(22) 사이의 영역에 자기를 검지하는 홀소자(자전 변환소자)(24), 모터 구동용 소자(26), 기타 전자소자(28)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20)에는 로터(30)가 샤프트(20)와 일체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30)의 하면에는 회로기판(16) 위에 설치된 코일(22)과 대면하도록 링 모양의 마그넷(32)이 설치되어 있다.
로터(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 형상이 반경(R)로 규정되는 원판형을 이루며 그 측면의 반절 정도가 ΔR 만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폭넓은(광폭) 영역(3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폭넓은 영역(30a)에 원호형의 슬릿(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30) 아래쪽에서 이 슬릿(34)에, 예컨대 텅스텐 등과 같이 비중이 큰 재료로 이루어진 추(36)의 일부가 도입되어 코킹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터(30)에 추(36)가 한쪽으로 치우쳐 불균형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0)의 회전과 함께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12) 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38)의 상면에는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38)와 베이스 부재(12)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 플럭스 플레이트(14), 회로기판(16), 코일(22), 모터용 구동소자(26), 홀소자(24), 베어링 장치(18), 샤프트(20), 로터(30), 마그넷(32), 추(36) 등의 부재가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막고 있다. 이로써 모터의 고장이 억제되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모터(1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0)가 회전하는 영역 아래쪽에 코일(22), 모터 구동용 소자(26), 홀소자(24), 기타 전자소자(28)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16) 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모터(10)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0)에서 마그넷(32)은 6극의 마그넷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넷(32)이 6극일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2)의 열린 각(α)은 60°가 된다. 그리고, 회로기판(16) 상에서 이들 코일(22) 사이의 각도(β)(=180-α)로 규정되는 영역, 여기에서는 각도 120°로 규정되는 영역에 모터 구동용 소자(26), 홀소자(24) 기타 전자소자(28)를 탑재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마그넷(32)이 4극이면 코일(22)의 열린 각(α)이 90°가 되고 코일(22)이 대형화되어 회로기판(16) 상의 이용 가능한 공간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 다. 또한, 마그넷(32)이 8극이면 코일(22)의 열린 각(α)이 45°가 되고 코일(22)이 작아져 회로기판(16) 상의 이용 가능한 공간이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홀소자(24)를 탑재하는 위치 정밀도가 보다 엄격해져 모터(10)를 제어하기 힘든 경향이 있다.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면 마그넷(32)은 6극의 마그넷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0)에서는 구동방식이 단상 바이폴라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 2상 유니폴라 방식이 바람직하다.
단상 바이폴라 방식에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코일(22)을 직렬로 접속한 회로구성이 된다. 그리고 홀소자(24)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한 타이밍 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용 소자(26)에 의해 양 단자(42),(44)에 인가하는 전위의 조합(높다(H), 낮다(L))을 스위칭함으로써 원하는 토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의 토크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토크 커브(C1으로 도시)와, 이것과 극성이 상이한 다른 토크 커브(C2로 도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홀소자(24)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한 타이밍 신호에 따라 포인트(P)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상기 스위칭을 수행함으로써 화살표(T)로 표시되는 토크를 얻을 수 있다.
2상 유니폴라 방식으로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코일(22)의 일단이 각각 접지된 회로 구성이 된다. 그리고 홀소자(24)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한 타이밍 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용 소자(26)에 의해 각 단자(42),(44)측에 전위의 인가를 온오프하여 스위칭함으로써 원하는 토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의 토크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2-1)에서의 토크의 커브(C1으로 도시)와, 코일(22-2)에서의 토크의 커브(C2로 도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홀소자(24)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한 타이밍 신호에 따라 포인트(P)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상기 스위칭을 수행함으로써 화살표(T)로 표시되는 토크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방식이 단상 바이폴라 방식, 또는 2상 유니폴라 방식이라면 모터(10)의 구동제어가 단순화되고 모터 구동용 소자(26)에 내장되는 구동회로 및 회로기판(16) 상의 배선이 단순화된다. 또한, 필요한 코일이 2개로 충분하고 필요한 홀소자(24)가 1개로 충분하다. 이로써 모터(10) 제조상의 비용 절감 및 모터(10)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에서는 회로기판(16) 상에 설치되는 코일(22)의 수가 2개이다. 이와 같이 코일(22)의 수를 2개로 함으로써 코일이 3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모터에 비해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6) 상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그 공간에 모터 구동용 소자(26), 홀소자(24), 기타 전자소자(28)를 탑재함으로써 모터(10)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는 플럭스 플레이트(1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10)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는 베이스 부재(12) 위를 피복하는 커버(3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12) 위에 설치된 각 부재가 커버(38)에 의해 피복되어 먼지의 침입이 억제된다. 이로써 모터(10)의 고장이 억제되어 장기간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에서는 구동방식이 단상 바이폴라 방식, 또는 2상 유니폴라 방식이기 때문에 모터(10)의 구동 제어가 단순화되고, 모터 구동용 소자(26)에 내장되는 구동회로 및 회로기판(16) 상의 배선이 단순화된다. 또한, 필요한 홀소자(24)의 수가 하나로 충분하다. 이로써 모터(10) 제조상의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도 3의 41)를 제거해도 좋다. 이로써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이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설명을 위해 커버(38)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로터(30)까지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이하「모터」라고도 한다)(10)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와 동일하며 특히 구성이 서로 다른 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0)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는 외형이 대략 원판형을 이룬다. 이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위에 제1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플럭스 플레이트와는 외형이 다른 6극의 플럭스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위에서 플럭스 플레이트(14) 위에는 회로기판(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16)은 외형이 원판형을 이루며 베이스 부재(12)와 크기가 같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중앙에는 베어링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어링 장치(18)에는 샤프트(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로기판(16) 위에는 2개의 코일(22)이 샤프트(20)를 사이에 두고 대칭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코일(22)은 편평한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상에 이들 2개의 코일(22) 사이의 영역에 자기를 검지하는 홀소자(자전 변환소자)(24), 모터 구동용 소자(26)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20)에는 로터(30)가, 샤프트(2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30)의 하면에는 회로기판(16) 위에 설치된 코일(22)과 대면하도록 링 모양의 마그넷(32)이 설치되어 있다.
로터(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이 원판형을 이룬다. 이 로터(30)에는 예컨대 텅스텐 등과 같이 비중이 큰 재료로 이루어진 추(36)가 불균형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원판형을 이루는 로터(30)의 일부 각도 범위(η)에 있어 서 상면에서 측면에 도달하도록 추(36)가 불균형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터(30)에 추(36)가 한쪽으로 치우쳐 불균형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0)의 회전과 함께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12) 위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10)에서 샤프트(20)는 베어링 장치(18)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와 같이 커버(38)에는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장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커버(38)와 베이스 부재(12)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 플럭스 플레이트(14), 회로기판(16), 코일(22), 모터용 구동소자(26), 홀소자(24), 베어링 장치(18), 샤프트(20), 로터(30), 마그넷(32), 추(36) 등의 부재가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막고 있다. 이로써 모터의 고장이 억제되어 장기간 안정된 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모터(10)에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0)가 회전하는 영역 아래쪽에 코일(22), 모터 구동용 소자(26), 홀소자(24), 기타 전자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16) 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모터(10)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에서도 제1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는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이 원형이며 여분의 영역이 제거되어 모터(10)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에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이하「모터」라고도 한다)(10)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와 동일하며 특히 구성이 서로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리스 모터(10)는 휴대전화 등의 기기 내에 넣기 위해 소형의 진동모터를 구성하고 있다. 이 브러시리스 모터(10)는 미도시된 기기의 실장 기판 위에 재치시키는 재치면(12a)과, 이에 대향하는 부품 탑재면(12b)을 가진 베이스 부재(12)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 부재(12)는 예컨대 플라스틱,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GFRP, CFRP)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룬다.
이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위에는 플럭스 플레이트(14)가 고정되며 이 플럭스 플레이트(14)는 예컨대 규소동판으로 형성되어 모터(10)의 기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상에 지지한 회로기판(16)은 플럭스 플레이트(14)를 덮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16)은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며 베이스 부재(12)와 크기가 같다. 이 회로기판(16)은 플렉서블 배선 기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프린트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중앙에는 베어링 장치(18)가 설 치되며 이 베어링 장치(18)는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회로기판(16) 위에는 샤프트(20)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코일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코일(22)은 편평한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 위에는 자기를 검지하는 홀소자(자전 변환소자)(24), 모터 구동용 소자(26) 및 기타 전자부품(28)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20)에는 샤프트(20)와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30)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30)의 하면에는 회로기판(16) 위에 설치된 코일(22)과 대향하도록 링 모양의 마그넷(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터(3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 형상이 반경(R)로 규정되는 원판형을 이루며 그 측면의 반절 정도는 ΔR 만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확장영역(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확장영역(30a)에는 원호형의 슬릿(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릿(34)에는 예컨대 텅스텐 등과 같이 비중이 큰 재료로 이루어진 추(36)의 일부가 로터(30) 아래쪽에서 도입되며 코킹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30)에는 추(36)가 한쪽으로 치우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터(30)에 추(36)를 불균형하게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적절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와 커버(38)로 케이스(19)를 구성하는데 이 케이스(19)는 예컨대 세로 11㎜×가로 11㎜×높이 3.6㎜의 크기로서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 커버(38)의 상면 중앙에는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래디얼 베어링(40)이 끼워져 있다. 이 케이스(19) 내에는 상기 플럭스 플레이트(14), 회로기판(16), 코일(22), 모터용 구동소자(26), 홀소자(24), 베어링 장치(18), 샤프트(20), 로터(30), 마그넷(32), 추(36) 등의 각종 구성부품이 수용되며 케이스(19)의 채용에 의해 외부에서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고 있다. 이로써 모터의 고장이 억제되어 장기간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10)는 마그넷(32)이 6극의 마그넷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넷(32)이 6극일 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2)의 열린 각(α)은 60°가 된다. 그리고 회로기판(16) 위에서 이들 코일(22) 사이의 각도(β)(=180-α)로 규정되는 영역(여기에서는 각도 120°로 규정되는 영역)에 모터 구동용 소자(26), 홀소자(24), 기타 전자부품(28)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모터(10)는 구동방식이 단상 바이폴라 방식이거나 2상 유니폴라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동방식이 단상 바이폴라 방식, 또는 2상 유니폴라 방식이면 모터(10)의 구동제어가 단순화되고 모터 구동용 소자(26)에 내장되는 구동회로 및 회로기판(16) 상의 배선이 단순화된다. 또한, 필요한 홀소자(24)의 수가 하나로 충분하다. 이로써 모터(10)를 제조함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모터(10)에는 구동 방식으로서 단상 바이폴라 방식, 또는 2상 유니폴라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회로기판(16) 위에 설치되는 코일(22)의 수는 2개이다. 이와 같이 코일의 수를 2개로 함으로써 코일이 3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모터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16) 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그 공간에 모터 구동용 소자(26), 홀소자(24) 및 기타 전자부품(28)을 탑재함으로써 모터(10)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0)는 전력의 공급을 위한 단자(42),(44)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단자(42),(44)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 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일단을 회로기판(16)에 고정한 일측 고정 지지 상태의 금속제 판스프링이다. 각 단자(42),(44)의 일단은 L자형으로 구부러지며 그 기단(基端)은 회로기판(16)의 소정 회로 부위에 땜납(45)을 끼워 접속되며 또한,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 단자(42),(44)의 유단(遊端)은 샤프트(20)의 연재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됨과 동시에 샤프트(20)의 연재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단자(42),(44)의 고정단 측은 베이스 부재(12)에 형성한 관통공(47)에 삽입되어 회로기판(16)을 관통하여 나온다. 이에 반하여 각 단자(42),(44)의 노출 부분은 베이스 부재(12)에 형성한 직사각형의 단자 수용부 오목부(46) 내에 수용되어 모터(10)의 실장 기판에 확실하게 표면 실장을 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전기접속용 단자의 기술로서 일본 특허공개 2000-245103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모터에서는 전기접속용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켜 각 단자를 납땜에 의해 다른 부품과 기계적으로 접합시킴으로써 각 코일로 급전을 했었다. 그러나 모터를 소형의 휴대 정보단말기 등에 편입함에 있어서 납땜에 의해 케이스 외부에 노출시킨 단자를 내부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합시키면 기기에 편입하는 작업성이 떨어지고 더욱이 단자에는 납땜을 고려한 금속면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기기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제3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0)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의 단자(42),(44)의 채용에 의해 모터(10)를 휴대전화 등의 기기에 실장할 때 납땜을 이용하지 않고 샤프트(20)의 연재 방향에서 모터(10)의 커버(38) 쪽을 누르는 편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42)와 다른 부품을 전기적으로 쉽게 접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 등의 기기에 편입하는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더욱이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에 각 단자(42),(44)를 배치시킨 결과 기기의 소형화를 촉진시키기에 유리하다. 또한 일측 고정지지 상태의 판스프링으로 단자(42),(44)를 구성한 결과 기기에 모터(10)를 실장한 상태에서 탄성력을 유효하게 이용한 전기적 접합력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단자(42),(44)의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실장 접점부분(42a),(44a)이 일체로 구부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실장 접점 부분(42a),(44a)이 서로 분리되도록 한쌍의 단자(42),(44)를 일직선상에 배치시킨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12)의 직사각형 재치면(12a)의 확장을 이용하여 한쌍의 단자(42),(44)를 재치면(12a) 내에서 일직선상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좌우 한쌍의 실장 접점 부분(42a),(44a)을 최대한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실장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락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자(42),(44)는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의 한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실장 접점 부분(42a),(44a)을 베이스 부분(12) 중앙에 배치한 경우 각 단자(42),(44)의 극성을 바꾸어 기기에 잘못 실장하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실장 미스에 의해 모터(10)의 회로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각 단자(42),(44) 를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의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실장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 쪽에 있어서 실장 접점 부분(52a)을 가진 단자(52)와 실장 접점 부분(54a)을 가진 단자(54)를 서로 평행하게 정렬시켜도 좋다. 또한, 판스프링형 단자(42)와 베이스 부재(12) 사이에 고무 등의 탄성부재를 끼워 넣어 그 탄성부재를 단자 수용부 오목부(46) 내에 수용시켜도 좋다. 이로써 판스프링형 단자(42)와 고무 등의 탄성부재와의 협동에 의해 보다 적절한 전기적 접합을 얻을 수 있다. 판스프링형 단자(44)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은 이 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설명을 위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8은 로터까지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가 구비된 베이스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이하「모터」라고도 함)(10)는 재치면(12a)과 이에 대향하는 부품 탑재면(12b)을 갖는 베이스 부재(12)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 부재(12)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GFRP, CFRP)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룬다.
또한,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위에는 플럭스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럭스 플레이트(14)는 예컨대 규소동판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모터(10)의 기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상에 있어서 플럭스 플레이트(14) 위에는 회로기판(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16)은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며 베이스 부재(12)와 크기가 같다. 이 회로기판(16)은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등의 탄성을 가진 재료, 또는 플렉서블 기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프린트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부품 탑재면(12b) 중앙에는 베어링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어링 장치(18)에는 샤프트(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로기판(16) 상에는 2개의 코일(22)이 샤프트(20)를 사이에 두고 대칭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코일(22)은 편평한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 상에서 이들 2개의 코일(22) 사이의 영역에 자기를 검지하는 홀소자(24), 모터 구동용 소자(IC)(26), 기타 전자소자(28)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20)에는 원판형 로터(30) 가, 샤프트(2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30) 하면에는 회로기판(16) 위에 설치된 코일(22)과 대면하도록 링 모양의 마그넷(32)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20), 로터(30), 마그넷(32)에 의해 회전자가 구성된다.
로터(3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 형상이 반경(R)로 규정되는 원판형을 이루며 그 측면의 반절 정도는 ΔR 만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폭넓은 영역(3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폭넓은 영역(30a)에 원호형 슬릿(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30) 아래쪽에서 이 슬릿(34)에 예컨대 텅스텐 등과 같이 비중이 큰 재료로 이루어진 추(36)의 일부가 도입되어 코킹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터(30)에 추(36)가 불균형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0)의 회전과 함께 진동이 발생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12) 위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38)의 상면에는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38)와 베이스 부재(23)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 회로기판(16), 코일(22), 모터용 구동소자(26), 홀소자(24), 베어링 장치(18), 샤프트(20), 로터(30), 마그넷(32) 등의 부재가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막고 있다. 이로써 모터의 고장이 억제되어 장기간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의 모터(10)에서는 로터(30)가 회전하는 영역 아래쪽에 코일(22), 모터 구동용 소자(IC)(26), 홀소자(24), 기타 전자소자(28)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16) 상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모터(10)의 소형 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0)에서는 마그넷(32)이 6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0)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 구조(42),(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자구조(42),(44)는 스프링판 편부(43)와 스프링판 편부(43)에 장착된 금속단자(49)를 구비한다.
스프링판 편부(43)는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을 포함한 기준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판 편부의 하면과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과는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그 길이방향이 베이스 부재(12)의 한 변을 따른다. 이 스프링판 편부(43)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을 사용한 수지 몰드성형 등에 의해 베이스 부재(12)와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 부재(12)에 의해 일측 고정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베이스 부재(12)는 FRP 등의 탄성을 가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판 편부(43)에 소정의 스프링힘이 부여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로기판(16)에는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을 포함하는 기준면을 따라 그 길이방향이 회로기판(16)의 한변을 따라 연장되는 암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암부(17)는 한 기판을 구멍뚫기 가공함으로써 회로기판(16)과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이 회로기판(16)에 의해 일측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 암부(17)는 회로기판(16)을 베이스 부재(12) 위에 탑재한 상태에서 스프링판 편부(43)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판 편부(43)의 선단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단자(49)가 장착되어 있다. 금속단자(49)의 끝이 가는 꼬리부는 스프링판 편부(43)의 선단에 설치된 구멍에 하면에서부터 삽입 관통되어 상면에 닿아 있다. 또한, 금속단자(49)의 꼬리부는 회로기판(16)의 암부(17)에 설치된 구멍에 하면에서부터 삽입 관통되어 상면에서 납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암부(17)의 상면에는 배선(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으며 회로기판(16) 위의 배선과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암부(17) 상의 배선 및 회로기판(16) 상의 배선을 통해 금속단자(49)와 모터용 구동소자(2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는 구면(球面)가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단부(49a)가 구면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실장 기판에 대한 접촉이 안정화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한쌍의 단자구조(42),(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자구조(42),(44)가 구비한 스프링판 편부(43)의 연결 부분은 베이스 부재(12)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부(12c)에 의해 일측 고정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단자구조(42),(44)를 구비한 모터(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모터(10)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실장 상태에서 스프링판 편부(43)의 선단에 장착된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는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을 포함하는 기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량은 실장 기판에 실장했을 때의 누름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안정적일 필요가 있다. 이 돌출량은 스프링판 편부(43)의 기준면에 대한 평행도 및 금속단자(49)의 치수 정밀 도에 의존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구조(42),(44)를 구비한 모터(10)에서 스프링판 편부(43)는 베이스 부재(12)와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평행도는 높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금속단자(49)의 치수 정밀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은 용이하다. 따라서 이 돌출량은 안정화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을 실장 기판(50)에 재치한 실장 상태에서는 금속단자(49)를 끼워 스프링판 편부(43)가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밀어올려지며 이로써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는 기준면을 향해 변위된다. 이 때 스프링판 편부(43)의 스프링힘에 의해 금속단자(49)는 원하는 누름힘으로 실장 기판(50)에 눌려 있다. 그리고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와 실장기판(50)의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원하는 접착압으로 접착되어 도통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구조(42),(44)를 구비한 모터(10)에서는 실장 상태에서의 모터(10)의 자세가 안정화되어 있으며 스프링판 편부(43)의 스프링힘에 의해 안정된 누름힘으로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와 실장기판(50)의 전원 공급부가 접촉된다. 그 결과 도통이 확보되어 전원 공급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와 일체 성형한 스프링판 편부(43)와 금속단자(49)에 의해 단자구조(42),(44)를 구성할 수 있으며 모터(10)의 대형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구조(42),(44)를 구성하는데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에서는 스프링판 편부(43)를 양 측 고정 지지의 구조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에 3개의 끝이 가는 슬릿(52)을 평행하게 구멍뚫기 가공함으로써 2개의 양측 고정 지지의 스프링판 편부(43)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프링판 편부(43)의 중앙 부근에 금속단자(49)를 장착함으로써 단자구조(42),(44)가 구성된다.
이 단자구조(42),(44)를 구비한 모터에 있어서도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실장 상태에서 스프링판 편부(43)에 장착된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는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을 포함하는 기준면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2)의 재치면(12a)을 실장기판에 재치한 실장상태에 있어서 금속단자(49)를 통해 스프링판 편부(43)가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밀어 올려짐으로써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는 기준면을 향해 변위된다. 상기 실장상태에서는 스프링판 편부(43)의 스프링힘에 의해 금속단자(49)는 원하는 누름힘으로 실장 기판에 눌려 있다. 그리고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와 실장기판의 전원 공급부가 원하는 접촉압으로 접촉되어 도통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구조(42),(44)를 구비한 모터(10)에서도 실장상태에서의 모터(10)의 자세가 안정화되어 있으며 스프링판 편부(43)의 스프링힘에 의해 안정된 누름힘으로 금속단자(49)의 선단부(49a)와 실장기판(40)의 전원 공급부가 접촉된다. 그 결과 도통이 확보되어 전원공급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와 일체 성형한 스프링판 편부(43)와 금속단자(49)에 의해 단자구조(42),(44)를 구성할 수 있으며 모터(10)의 대형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구조(42),(44)를 구성함에 있어서 특별한 부 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2개의 코일(22)은 샤프트(20)를 사이에 두고 대조 배치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샤프트(20)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에 제3 및 제4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자 구조를 설치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실시형태에 대해 여러 가지로 설명했는데 상기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하여 각종 진동 알림 기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70)의 내부 기판(72) 위에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를 탑재하여 진동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삐삐나 PDA 등의 휴대 정보단말기기(80)의 내부 기판(82) 위에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를 탑재하여 진동 알림 기능을 가진 휴대 정보단말기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기의 컨트롤러나 슬롯머신의 핸들 등 오락기기(90)의 내부 기판(92) 위에 브러시리스 진동모터(10)를 탑재하여 진동 알림 기능을 가진 오락기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가 제공된다.

Claims (19)

  1. 재치면 및 부품 탑재면을 갖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부품 탑재면 측에 설치되는 회로 기판, 플럭스 플레이트, 2개의 코일 및 홀소자와,
    상기 2개의 코일 사이에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동하는 원판형 로터와,
    상기 2개의 코일과 대향하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로터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된 추,
    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는 원판형의 측면의 일부가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광폭 영역과, 상기 광폭 영역에 마련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추는 상기 슬릿에 일부가 도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부품 탑재면 측에 설치되는 모터 구동용 소자를 구비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용 소자는 상기 로터가 회전하는 영역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위를 피복하고 상기 회로기판, 상기 플럭스 플레이트, 상기 2개의 코일, 상기 홀소자, 상기 샤프트, 상기 로터,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추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를 구비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방식이 단상 바이폴라 방식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구동방식이 2상 유니폴라 방식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재치면 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샤프트의 연재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자를 구비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일단을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시킨 일측 고정 지지상태인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한쌍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단자는 실장 접점 부분이 서로 분리되도록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한쌍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단자 각각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재치면 한쪽에 모아 배치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을 포함한 기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해당 베이스 부재에 일체 성형된 스프링판 편부와,
    상기 스프링판 편부에 장착된 금속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금속 단자의 선단부는 비실장 상태에서 기준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실장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판 편부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상기 기준면을 향해 변위되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 편부는 일측 고정 지지의 구조로 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 편부는 양측 고정 지지의 구조로 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15. 내부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항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한 진동 알림 기기.
  16. 내부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항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한 휴대전화.
  17. 내부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항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한 휴대 정보단말기.
  18. 내부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항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를 탑재한 오락기기.
  19. 측면의 일부가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광폭 영역과 상기 광폭 영역에 마련된 슬릿을 가지는 원판형의 로터와, 상기 슬릿으로 일부가 도입되어 고정된 추와, 상기 로터에 대향하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한 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 단자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재치면을 포함한 기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체 성형된 스프링판 편부와,
    상기 스프링판 편부에 장착된 금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금속단자의 선단부는 비실장 상태에서 상기 기준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실장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 편부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상기 기준면을 향해 변위되는 진동모터 단자.
KR20037006070A 2001-09-19 2002-09-19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및 진동 모터 단자 KR100909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5629 2001-09-19
JP2001285590A JP2003088805A (ja) 2001-09-19 2001-09-19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JP-P-2001-00285590 2001-09-19
JP2001285629A JP2003092854A (ja) 2001-09-19 2001-09-19 モータの端子構造、及びこの端子構造を備えるモータ
JPJP-P-2001-00301262 2001-09-28
JP2001301262A JP2003111374A (ja) 2001-09-28 2001-09-28 ブラシレスモータ
PCT/JP2002/009643 WO2003028191A1 (fr) 2001-09-19 2002-09-19 Moteur vibrant sans bala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954A KR20040029954A (ko) 2004-04-08
KR100909716B1 true KR100909716B1 (ko) 2009-07-29

Family

ID=2734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7006070A KR100909716B1 (ko) 2001-09-19 2002-09-19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및 진동 모터 단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09716B1 (ko)
CN (1) CN1276570C (ko)
WO (1) WO2003028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49B1 (ko) * 2006-04-06 2008-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쉬리스 직류 진동모터
CN111247725B (zh) * 2017-10-27 2022-06-14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761A (ja) 1997-09-18 1999-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20010078118A (ko) * 2000-01-27 2001-08-20 가이 가즈오 비원형 편평 모터와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368U (ko) * 1987-04-16 1988-10-26
JPH0628939Y2 (ja) * 1989-06-16 1994-08-03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の電気接続部構造体
JPH03107347A (ja) * 1989-09-19 1991-05-07 Takara Seisakusho:Kk 振動型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
JPH0380650U (ko) * 1989-11-30 1991-08-19
JPH07213041A (ja) * 1994-01-18 1995-08-11 Shicoh Eng Co Ltd 単相ブラシレスモ−タ
JP3516508B2 (ja) * 1995-03-03 2004-04-05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
JP3166757B2 (ja) * 1999-02-24 2001-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4043637B2 (ja) * 1999-03-29 2008-02-06 日本電産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3255164B2 (ja) * 2000-01-28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小型偏平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761A (ja) 1997-09-18 1999-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20010078118A (ko) * 2000-01-27 2001-08-20 가이 가즈오 비원형 편평 모터와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28191A1 (fr) 2003-04-03
CN1276570C (zh) 2006-09-20
KR20040029954A (ko) 2004-04-08
CN1473385A (zh)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8394B2 (ja) 振動モータ
WO2004062068A9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JPH05115148A (ja) 小型モータ
JP2004536421A (ja) 回転角調整装置
KR20060015442A (ko)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US6534888B1 (en) Electric motor intended to be fix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100909716B1 (ko)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및 진동 모터 단자
JP3638553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TW200301037A (en) Brushless motor
JP4005901B2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50140222A1 (en) Eccentric rotor and vibration motor using such eccentric rotor
KR101135520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4022437B2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053891A (ja) 一体型ブラシ及びこれを備えた振動モータ
JP2003037961A (ja) 小型モータ
JP2004147386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0070726A1 (fr) Moteur de petite taille et support de moteur
JPS6223265Y2 (ko)
JP2002078284A (ja) モータ
JP2004160315A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
US20100033045A1 (en) Vibrating motor
JPH11215798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2176745A (ja) 電磁振動体及び携帯端末機
JP2004135463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振動発生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H09275666A (ja) 平面対向型ブラシレスモータのコイ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