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233B1 - 창상 피복용 제제 - Google Patents

창상 피복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233B1
KR100909233B1 KR1020037003243A KR20037003243A KR100909233B1 KR 100909233 B1 KR100909233 B1 KR 100909233B1 KR 1020037003243 A KR1020037003243 A KR 1020037003243A KR 20037003243 A KR20037003243 A KR 20037003243A KR 100909233 B1 KR100909233 B1 KR 10090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
weight
sodium
woun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368A (ko
Inventor
오츠카시게노리
무라타미사오
우메하라노리미츠
모리모토신이치
하나오카요시아키
카사이슈이치
이마모리가츠미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9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페이스트의 수중 겔강도가 7.5∼100g인 수계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이러한 창상 피복용 제제는 창상 치유 촉진 효과가 가짐과 동시에 침출액에 대한 충분한 흡수성을 가지며, 더욱이 창상면에의 부착하지 않고, 환부에의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상 피복용 제제 {PREPARATIONS FOR COATING WOUND}
본 발명은 간편하게 창상을 보호 및 치료할 수 있는 창상 피복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알긴산, 키틴,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등, 각종 형태의 창상 피복재가 시판되어 범용되고 있으나, 침출액을 흡수했을 때에 창상 부위에서 연화하던가 또는 제제가 창상면에 부착하여 치료를 방해하는 일이 있었다. 하이드로겔제에서는 이러한 점은 어느 정도 개선되고 있지만, 점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창상 부위에 피복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는 다시 점착 테이프 등으로 덮을 필요가 있으며, 이 점착 테이프는 때때로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되거나, 또는 흡수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침출액이 많은 창상부에서는 빈번하게 교환해야 할 필요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84290호 공보에는 온도 감응성을 가지는 폴리마를 사용한 창상 피복용 히드로겔이 제안되어 있으나, 창상면에 도포한 후, 도포면을 보호하여 환부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점착 테이프 등이 필요하고, 박리할 때에 냉각할 필요가 있는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7-250886호 공보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키토산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 겔이 제안되어 있으나, 환부에 유지하기에 점착력이 불충분하고, 더욱이 흡수량이 불충분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상 치유 촉진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침출액에 대한 충분한 흡수성을 가지며, 더욱이 창상면에 부착하지 않고, 게다가 환부에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창상 피복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실정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페이스트의 수중에서의 겔 강도가 일정한 범위에 있는 수성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가 창상 치유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 더욱이 수포화시 및 통상시의 점착력이 각각 일정 범위에 있는 것이 창상면에 비부착성과 환부에의 유지성을 겸비한 것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페이스트의 수중 겔 강도가 7.5∼100g인 수성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l은 랫트의 등에 펀칭으로 만들어진 창상의 치료에 미치는 페이스트의 수중겔 강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의 수중 겔 강도는, 7.5∼100g의 범위이다. 여기서, "수중 겔 강도"란 제제의 절편을 사각 페트리 디쉬에 넣고, 페이스트 중량의 10배의 정제수를 가하고, 24시간 팽윤시킨 후, 레오미터(rheometer)로 측정하여 침입 거리가 2mm일 때의 응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수중 겔 강도가 7.5g미만에서는 창상 치유 촉진 효과에 떨어지고, 또한 창상면의 보호의 점에서 100g을 넘는 수중 겔 강도는 지나치게 딱딱함과 동시에, 창상 치유 촉진 효과의 점에서도 그 이상의 겔 강도는 불필요하다. 창상 피복용 제제의 수중 겔 강도는 바람직하기로는 7.5∼30g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9∼15g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는 통상시(물로 팽윤시키지 않은 상태)의 겔 강도가 10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300g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의 페이스트는 수팽윤성이고, 여기서 "수팽윤성"이란 페이스트의 중량의 10배 이상의 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는 성질을 말한다. 흡수성이 그 이하이면, 창상면으로부터의 침출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고, 빈번하게 교체를 할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의 페이스트는 창상면에 부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점에서 창상면으로부터의 침출액의 흡수시에는 점착력이 충분히 저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물을 포화시켰을 때에 볼 택(ball tack)이 4미만, 특히 3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환부에의 유지성의 점에서는 정상 피부에 대한 필요 충분한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통상시 (물을 팽윤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볼 택 4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이 정상 피부에 대한 점착력이 너무 높아도 교환때 피부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있기 때문에, 볼 택 15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볼 택 6∼12의 범위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말하는 점착력은 "의약품 제조지침 2000년판" (약사심사연구회 감수, Jihou Co., Ltd. 발행) 96페이지 기재의 "점착력 시험"의 항에 기재된 점착력 시험(일반적으로 볼 택으로 불린다)에 따라서 얻어진 값이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는 수성 고분자, 겔화제 및 겔화 조절제에 임의 성분으로서 충전제, 계면활성제, 유성 성분, 보습제, 물, 약효성분 등을 첨가하여 조제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의 조제에 사용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성 고분자]
수성 고분자란 물의 존재에 의해 수단을 묻지 않고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를 말한다. 따라서, 수성 고분자는 페이스트의 겔 형성에 관여한다. 수성 고분자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수용성 고분자 또는 친수성 기를 가지는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가교 분기형 폴리아크릴산, 가교 분기형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칼륨, 폴리아크릴산모노에타놀아민, 폴리아크릴산디에타놀아민, 폴리아크릴산트리에타놀아민, 폴리아크릴산 암모늄 등의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N-비닐아세트아미드/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구성성분의 하나로 하는 공중합체; 히드록시에틸셀루로오즈, 히드록 시프로필셀루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오즈, 소수화 히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루로오즈, 메틸셀루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 나트륨 등의 셀루로오즈 유도체 또는 그의 염; 그 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아라비아 검, 트라간트 검, 로카스트 빈 껌, 구아 검, 타마린드 검, 크산탄 검, 겔란 검, 카라기난, 한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가교 분기형 폴리아크릴산, 가교 분기형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전분 그라프트 공중합체 가교물, N-비닐아세트아미드/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히드록시에틸셀루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루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 및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 나트륨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수성 고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그의 배합량은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해서 통상 0.5∼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40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30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3∼10중량%이다.
[겔화제]
겔화제는 수성고분자의 성질에 따른 물리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겔화시켜 페이스트로 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성 고분자의 가교 반응에 의해 페이스트를 만드는 경우, 겔화제로서는, 수성 고분자를 가교 할 수 있는 것이면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 가능하지만, 다가 금속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화합물로서는, 알루미늄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및 칼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황산알루미늄 칼륨, 황산알루미늄 암모늄, 수산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아세토글루르타미드 알루미늄, 아세트산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합성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미늄,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황산칼슘, 질산칼슘, 염화칼슘, 아세트산칼슘, 산화칼슘, 인산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아세트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합성 히드로탈사이트 등, 또한 이들 화합물의 수화물 혹은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겔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의 배합량은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해서 통상 0.001∼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1∼ 5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5∼3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0.1∼2중량%이다.
[겔화 조절제]
겔화 조절제는 제조의 용이, 겔의 부드러움 등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가할 수 있다. 겔화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등의 킬레이트제; 젖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 또는 이들의 금속염; 황산, 염산 등의 무기산; 디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유기 염기;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 등의 무기 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겔화 조절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그의 배합량은 겔화 조절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해서 통상 0.001∼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1∼5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5∼2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0.1∼2중량%이다.
전술한 수중 겔 강도 및 점착력을 실현하기 위한 수성 고분자, 겔화제 및 겔화 조절제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특히 분자량 3000∼1000만, 중합도 40∼10만) 및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나트륨(특히 분자량 8000∼30만, 중합도 40∼1500), 겔화제로서 알루미늄 화합물, 겔화 조절제로서 킬레이트제를 조합하고, 특히, 수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및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나트륨, 겔화제로서 소성 명반(황산알루미늄 칼륨의 무수물), 겔화 조절제로서 에데트산나트륨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겔화제와 겔화 조절제의 몰 배합비는 1: 1∼1: 3이 바람직하고, 1: 1.1∼1: 2.5가 더욱 바람직하다.
[충전제]
충전제는 페이스트의 성형성,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첨가할 수가 있으며, 그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 및 유기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카올린, 산화티탄, 벤토나이트, 경질 무수규산, 소수성 경질 무수규산, 아크릴산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충전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의 배합량은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해서 0.01∼30중량%, 더욱이 0.02∼20중량%, 특히 0.03∼15중량%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유성성분이나 약효성분의 첨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이온계, 비이온계 등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 킬아릴폴리에테르 알코올, 고급 알코올 황산화물, N-코코일-L-아르기닌에틸에스테르, DL-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N-코코일-N-메틸아미노에틸술폰산나트륨, 콜레스테롤,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스쿠알렌,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린산폴리옥실 40, 세스키올레인산 소르비탄, 세탄올, 세토마크로골 1000, 세바신산 디에틸,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트리올레인산소르비탄, 노닐페녹시폴리옥시에틸렌에탄황산 에스테르 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아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캐스터유 2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캐스터유 60,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비스왁스,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05) 폴리옥시프로필렌 (5)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120) 폴리옥시프로필렌 (40)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160) 폴리옥시프로필렌 (30)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20) 폴리옥시프로필렌 (20) 글리콜, 폴리옥실 35 피마자기름,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마크로골 400,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소르비탄, N-코코넛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의 DL-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액,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라우로마크로골르, 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인산폴리옥시에틸렌 (8) 올레일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의 배합량은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해서 0.001∼30중량%, 더욱이 0.02 ∼20중량%, 특히 0.03∼10중량%가 바람직하다.
[유성 성분]
유성 성분은 박리 필름, 박리지 또는 창상면에서의 박리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첨가된다. 유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올리브유, 참기름, 다이즈유, 동백유, 유채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땅콩유 등의 식물유지류; 난황유, 밍크유 등의 동물유지류; 비스왁스, 경랍, 정제 라놀린, 카르나우바 왁스 등의 왁스류;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파라핀 왁스, 바셀린 등의 탄화수소류; 올레인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의 천연 및 합성 지방산류;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헥실데칸올, 옥틸도데카놀, 라우릴알코올 등의 천연 및 합성 고급 알코올류;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올레이산옥틸도데실,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파신산디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성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의 배합량은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해서 0.01∼30중량%, 더욱이 0.02∼15 중량%, 특히 0.03∼10중량% 가 바람직하다.
[보습제]
보습제는 창상면을 보습시키기 위해서 첨가할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다가 알코올이 대표적이지만, 그 이외에도 보습능을 가지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소르비톨, 소르비톨액,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습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의 배합량은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해 서 1∼95중량%, 더욱이 2∼80중량%, 특히 3∼60중량%가 바람직하다.
[수]
물의 배합량은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해서 통상 0∼8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70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0∼60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40∼50중량% 이다.
[약효 성분]
약효 성분으로서는, 창상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로서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필요에 따라서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살균 소독제)
살균 소독제로서는, 아크리놀,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요드, 요드 팅크, 요도포름, 포비돈 요드 등을 들 수 있다.
(지혈제)
지혈제로서는, 트롬빈, 알긴산나트륨, ε-아미노카프로인산, 올레인산 모노에탄올아민, 카르바조크롬 술폰산나트륨, 트라넥삼산 등을 들 수 있다.
(오피오이드계 진통제)
오피오이드계 진통약으로서는, 염산 모르핀, 황산 모르핀 등을 들 수 있다.
(술파제)
술파제로서는, 살라조술파피리딘, 술파디아진, 술파디아진실버, 술파디메톡신, 술파메티졸, 술파메톡사졸, 술파모노메톡신, 술피소미딘, 술피소미딘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항생 물질)
항생 물질로서는, 염산 반코마이신, 염산 린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테이코플라닌, 페네티실린 칼륨, 벤질페니실린칼륨, 벤질페니실린 벤자틴, 무피로신 칼슘 수화물, 황산 아르베카신, 아즈트레오남, 염산 스펙티노마이신, 염산 피브메시리남, 카르모남 나트륨, 코리스틴 메탄술폰산 나트륨, 세프술로딘 나트륨, 세프티부텐, 토브라마이신, 황산 아미카신, 황산 이세파마이신, 황산 카나마이신, 황산 프라디오마이신, 황산 폴리믹신 B, 아스폭시실린, 아목시실린, 앰피실린, 앰피실린 나트륨, 염산 세프타메트 피복실, 염산 세페핌, 염산 세포조프란, 염산 세포티암, 염산 세포티암헥세틸, 염산 세프카펜 피복실, 염산 세프메녹심, 염산 탈암피시린, 염산 바캄피시린, 염산 레남피시린, 시클라실린, 술베니실린나트륨, 세파크로르, 세파졸린 나트륨, 세파트리진프로필렌글리콜, 세파드록실, 세파피린 나트륨, 세파만돌 나트륨, 세팔렉신, 세팔로틴 나트륨, 세팔로리딘, 세픽심, 세폭시틴 나트륨, 세프타지딤 나트륨, 세포탁심 나트륨, 세포테탄 나트륨, 세포페라존 나트륨, 세프디토렌 피복실, 세후디니르, 세프타지딤, 세프티족심 나트륨, 세프테졸 나트륨, 세프테람 피복실, 세프트리아키손 나트륨, 세프피라미드 나트륨, 세프부페라존 나트륨, 세프포독심 프록세틸, 세프미녹스 나트륨, 세프메타졸 나트륨, 세프라진, 세프록사딘, 세프록심 악세틸, 세프록심 나트륨, 티카르시린 나트륨, 토실산 술타미시린, 피페라시린 나트륨, 파로페넴 나트륨, 플로목키세프나트륨, 포스포마이신, 메로페넴 삼수화물, 라타목세프 나트륨, 황산 아스트로마이신, 황산 겐타마이신, 황 산 시소마이신, 황산 디베카신, 황산 세포셀리스, 황산 세프피롬, 황산 네틸마이신, 황산 베카나마이신, 황산 미크로노마이신, 황산 리보스타마이신, 아세틸키타사마이신, 아세틸스피라마이신, 에틸숙신간 에리스로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에스톨레이트, 키타사마이신, 클라리스로마이신, 아세트산 미데카마이신, 타르타르산 키타사마이신, 조사마이신, 스테아린산 에리스로마이신, 프로피온산 조사마이신, 미데카마이신, 락트비온산 에리스로마이신, 록시스로마이신, 로키타마이신, 염산 테트라사이클린, 염산 데메틸클로르테트라사이크린, 염산 독시사이클린, 염산 미노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숙신산 클로람페니콜 나트륨, 팔미틴산 클로람페니콜, 사이클로세린, 리팜피신, 황산 엔비오마이신, 황산 스트렙토마이신, 염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염산 그라미시딘 S, 테트라사이클린, 나디플록사신, 바시트라신, 푸시딘산 나트륨, 황산 컬리스틴 등을 들 수 있다.
[제형]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의 제형은 바람직하기로는 시트상이고, 대표적으로는 페이스트를 지지체상에 전연한 것을 들 수 있다. 지지체로서는, 유연성을 가지는 직포, 부직포, 필름, 시트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우레탄 등의 섬유를 직포 또는 부직포로 한 것, 또는 폴리머 필름, 발포체 시트 등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전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지지체가 사용된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서 엥커 코팅을 하여도 좋다. 또한, 반드시 페이스트가 지지체상에 전연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가지는 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제조법]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의 제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지체상에 전연한 것의 경우,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조제하고, 이것을 지지체에 전연하고, 그의 표면을 보호 필름으로 덮는 방법, 또는 이 페이스트를 보호 필름상에 전연하고, 그의 표면을 지지체로 덮고, 페이스트를 지지체에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필요에 따라서 엥커 코팅을 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체를 갖지 않는 제형의 경우, 페이스트를 보호 필름상에 전연하고, 그의 표면을 다시 보호 필름으로 덮는 방법, 페이스트를 일정 사이즈의 틀에 넣어 시트상으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의 페이스트 및/또는 지지체는 살균제 등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멸균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멸균법으로서는, γ선 멸균, 전자선 멸균, 고압 증기 멸균, 에틸렌옥사이드 멸균 등,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γ선 멸균, 에틸렌옥사이드 멸균 및 고압 증기 멸균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γ선 멸균 및 고압 증기 멸균, 특히γ선 멸균이 바람직하다.
또, 광우병 등, 기제로부터의 감염의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젤라틴 등의동물 유래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조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는 필요에 따라서, 기밀 용기 등에 넣어 보존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겔 강도 및 점착력은 이하와 같이 측정했다.
(수중 겔 강도 및 통상시의 겔 강도)
검체를 2.5cm × 5cm 또는 5cm × 5cm로 절단하여 사각 페트리 디쉬에 넣고, 페이스트 중량의 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24시간 팽윤시킨다. 측정은 레오미터로 행하여 침입 거리가 2 mm일 때의 응력을 수중 겔 강도로 했다. 또한, 통상시의 겔 강도는 페이스트를 원통형 용기에 넣고, 이를 동일하게 레오미터로 측정했다.
(수포화시 및 통상시의 점착력)
검체를 5cm × 5cm로 절단하고, 검체가 침지되기에 충분한 정제수를 채운 페트리 디쉬중에 검체를 침지하여 1시간 방치하여 수분을 포화시킨다. 이 수분을 포화시킨 검체 및 물에 팽윤시키지 않은 원래의 검체에 대해서, "의약품 제조지침 2000 년판" (약사 심사 연구회 감수, Jihou Co., Ltd. 발행) 96페이지에 기재된 "점착력 시험"의 항에 참고로서 게재되고 있는 점착력 시험(일반적으로 볼 택으로 불린다)에 따라서 시험을 행하여 정지한 최대의 볼 No.를 볼 택 번호로 한다.
실시예 1∼25 및 비교예 1∼3
표 1∼4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조제하고, 이것을 부직포(폴리에스테르) 위에 전연하고, 그의 표면을 보호 필름으로 덮어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를 얻었다. 또, 실시예 4, 9 및 13 및 비교예 1에 대해서는, 다시 알루미늄제의 주머니에 1매씩 채우고, γ선으로 멸균했다.
Figure 112003007698210-pct00001

Figure 112003007698210-pct00002



Figure 112003007698210-pct00003

Figure 112003007698210-pct00004

* 1: 평균 분자량: 20,000∼30,000, 평균 중합도: 400∼600
*2: 평균 분자량: 3,500,000∼5,000,000, 평균 중합도: 40,000∼60,000
*3: 평균 분자량: 220,000∼360,000, 평균 중합도: 3000∼5000
*4: 평균 분자량: 2,300,000∼4,800,000, 평균 중합도: 25,000∼50,000
*5: 평균 분자량: 100,000∼200,000, 평균 중합도: 500∼1000
실시예 26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평균 분자량 20,000∼70,000, 중합도 130∼450)와 농 글리세린을 중량비 1: 1로 혼합 용해하고, 일정 사이즈의 형에 넣고, 100℃에서 100분간 보존하고, 시트상 겔상 물질(수중 겔강도: 54.1g, 통상시 겔강도: 204.7g, 수포화시 볼 택: No. 3이하, 통상시 볼 택: No. 6)을 얻었다.
실시예 27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20,000∼70,000, 중합도 130∼450) 10% 수용액과 PVP(평균 분자량 44,000∼54,000, 중합도 396∼486) 10% 수용액을 중량비 1: 1로 혼합하고, 일정 사이즈의 형에 넣고, 100℃에서 100분간 보존하고, 시트상 겔상 물질(수중 겔강도: 61.8g, 통상시 겔강도: 221.7g, 수포화시 볼 택 : No. 3이하, 통상시 볼 택: No. 7)을 얻었다.
실시예 28
(A)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20000∼70000, 중합도 130∼450) 5g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 (2300000∼4800000, 중합도 25000∼50000) 5g을 농 글리세린 30g에 분산한다. (B) 가교제 1g을 농 글리세린 15g에 분산한다. (C) D-소르비톨액 15g 및 카올린 4g을 정제수 25g에 용해 혼합한다. (A), (B) 및 (C)을 반죽하여 균일하게 한 것을 부직포에 펼치고, 시트상 겔상 물질(수중 겔강도: 19.3g, 통상시 겔강도: 152.9g, 수포화시 볼 택: No. 3이하, 통상시 볼 택: No. 10을 얻었다.
실시예 29
폴리아크릴산나트륨(2300000∼4800000, 중합도: 25000∼50000) 10g,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 나트륨(분자량: 100000∼200000, 중합도: 500∼1000) 30g, 에데트산나트륨 0.05g 및 정제수 54.9g을 혼합하고, 여기에 소성 명반 0.05g을 프로필렌글리콜 5g 에 분산한 것을 첨가하여 다시 혼합하고, 일정 사이즈의 형에 넣고, 1000℃에서 100 분간 보존하고, 시트상 겔상 물질(수중 겔강도: 14.5g, 통상시 겔강도: 201.8g, 수포화시 볼 택: No. 3 이하, 통상시 볼 택: No. 8)을 얻었다.
실시예 30
폴리아크릴산나트륨 (2300000∼4800000, 중합도: 25000∼50000) 5g,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나트륨(분자량: 100000∼200000, 중합도: 500∼1000) 45g, 에데트산 나트륨 0.05g 및 정제수 44.9g을 혼합하고, 여기에 소성 명반 0.05g을 프로필렌글리콜 5g 에 분산한 것을 첨가하고, 다시 혼합한 후, 일정 사이즈의 형에 넣고, 100℃에서 100 분간 보존하고, 시트상 겔상 물질(수중 겔강도: 18.7g, 통상시 겔강도: 137.4g, 수포화시 볼 택: No. 3 이하, 통상시 볼 택: No. 8)을 얻었다.
시험예 1 (랫트 등 펀칭 창상의 치료에 미치는 겔강도의 영향)
에테르 마취하에서 20 마리의 동물에 좌우 대칭의 등부위 피부 조직 펀칭 창상을 제작하고, 4군으로 나누었다. 왼쪽 및 우측 창상면에 각각 콘트롤(베이스 클로쓰, 12mm × 12mm) 및 피험제제 (실시예 4, 실시예 9, 실시예 13 또는 비교예 1, 각각 12mm ×12mm)를 무균적으로 1일 l회, 5일간 첩부하고, 펀칭 창상 면적(창상 긴 직경×창상 짧은 직경)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4, 9 및 13은 콘트롤군에 비해 유의하게 창상 면적비가 저하한 치유 촉진 효과가 보였다.
시험예 2 (흡수성 시험)
본 발명품과 시판의 창상 피복제의 흡수성을 비교했다.
페트리 디쉬에 정제수를 가하여 그의 중량을 측정해 둔다. 그 후, 검체를 페트리 디쉬에 침지하고 뚜껑을 덮어 정치한다. 다음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검체를 페트리 디쉬로부터 꺼내고, 페트리 디쉬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들 페트리 디쉬의 중량의 차이를 흡수량으로 한다. 이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3007698210-pct00005

시판품 A: 소수성 창상 피복용 제제[하이드로콜로이드(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나트륨, 펙틴, 젤라틴)]
시판품 B: 수계 창상 피복용 제제[하이드로젤(폴리아크릴아미드, 한천)]
시판품 C: 수계 창상 피복용 제제[하이드로젤(폴리아크릴아미드, 한천)]
시판품 D: 수계 창상 피복용 제제[하이드로젤(폴리비닐피롤리돈)]
시판품 E: 소수성 창상 피복용 제제 [(하이드로콜로이드(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나트륨)]
시판품 F: 소수성 창상 피복용 제제[하이드로콜로이드(카르복시메틸셀룰오즈나트륨)]
본 발명품(실시예 4)은 신속하게 침출액을 흡수하고, 즉각 적당한 습윤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용후의 박리시도 창상면에 자극이 적고, 피부에 해가 없었다.
시험예 3 (임상성 시험)
피험자 15명에게 실시예 4의 창상 피복용 제제(10cm × 14cm, 페이스트 중량 약 14g)를 창상 부위에 원칙적으로 1일 1∼2회, 4주간 접부했다. 4주 이내에 치유 했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시험 종료로 했다. 시험 개시시와 비교했을 경우의 유효도를 판정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또, 판정은 시험 종료시의 피부 소견(분비물의 양, 육아 형성, 표피 형성, 동통, 주변 피부의 발적)을 종합한 전반 개선도, 궤양(창면) 면적 축소율 및 시험 기간을 통해서 관찰한 편의성(창상 부위에 대한 밀착성, 부직포로부터의 분비물의 투과, 교환시의 동통, 창부의 겔 잔사)을 종합하여 유효도를 극히 유효, 유효, 약간 유효, 유효하지 않은 것 4 단계에서 판정했다.
극히 유효 유효 약간 유효 유효하지 않음
8인 (53%) 4인 (27%) 1인 (7%) 2인 (13%) 15인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제제는 창상 치유 촉진 효과가 우수하며, 더욱이 창상면에의 비부착성과 환부에의 유지성을 겸비한 것이다.

Claims (13)

  1. (A)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하여, 폴리아크릴산 부분중화물(평균분자량: 3,500,000 내지 5,000,000, 평균중합도: 40,000 내지 60,000)과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나트륨(평균분자량 100,000 내지 200,000, 평균중합도 500 내지 1000)을 함유하는 수성고분자 3 내지 10중량%,
    (B)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하여, 겔화제로서 알루미늄화합물 0.1 내지 2중량%,
    (C)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하여, 겔화조절제로서 에데트산나트륨 0.1 내지 2중량%를 함유하고,
    페이스트의 수중 겔강도가 9 내지 15g이고, 통상시의 겔강도가 100 내지 300g이고, 통상시의 점착력(볼텍)이 6 내지 12이고, 수포화시의 점착력인(볼텍)이 3이하인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페이스트 전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의 피마자유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페이스트가 수팽윤성인 수계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트상인 수계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페이스트가 지지체에 전연된 것인 수계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부직포, 직포 또는 필름상인 수계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페이스트 또는 지지체가 멸균된 것인 수계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멸균법이 γ선 멸균인 수계 겔상 창상 피복용 제제.
KR1020037003243A 2000-09-14 2001-09-13 창상 피복용 제제 KR100909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79363 2000-09-14
JPJP-P-2000-00279363 2000-09-14
PCT/JP2001/007945 WO2002022182A1 (fr) 2000-09-14 2001-09-13 Preparation pour pans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368A KR20030039368A (ko) 2003-05-17
KR100909233B1 true KR100909233B1 (ko) 2009-07-23

Family

ID=1876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243A KR100909233B1 (ko) 2000-09-14 2001-09-13 창상 피복용 제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30165560A1 (ko)
EP (1) EP1317933A4 (ko)
JP (1) JP4971578B2 (ko)
KR (1) KR100909233B1 (ko)
CN (1) CN1279894C (ko)
AU (1) AU2001286220A1 (ko)
CA (1) CA2420691C (ko)
HK (1) HK1057491A1 (ko)
TW (1) TWI287457B (ko)
WO (1) WO20020221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261A (ko) 2016-11-10 2018-05-18 (주)헵틸와이 산화 다당류 및 아민 변성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창상피복재용 히드로겔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8575B2 (ja) * 2003-06-30 2011-11-16 ライオン株式会社 外用貼付剤及び放射線照射外用貼付剤の変色防止方法
DE10358747A1 (de) 2003-12-12 2005-07-0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Darreichungsform basierend auf vernetzten hydrophilen Polymeren
JP2005325165A (ja) * 2004-05-12 2005-11-2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100℃以下の温度で溶融塗布可能なヨウ素含有ホットメルト粘着剤および該粘着剤を用いた医療用粘着シート製品
CA2597940A1 (en) 2005-02-15 2006-08-24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Mineral technologies (mt) for acute hemostasis and for the treatment of acute wounds and chronic ulcers
DE102005035879A1 (de) * 2005-07-30 2007-02-01 Paul Hartmann Ag Hydrogel
US7604819B2 (en) 2006-05-26 2009-10-20 Z-Medica Corporation Clay-based hemostatic agents and devices for the delivery thereof
CA2714490C (en) 2008-02-25 2016-01-05 Teikoku Seiyaku Co., Ltd. Wound-covering hydrogel material
KR101149813B1 (ko) * 2009-06-09 2012-05-24 한웅코텍 주식회사 피부부착용 오일-겔 소프트 패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482477B (zh) * 2009-07-30 2015-04-15 住友精化株式会社 水溶性聚合物组合物、皮肤贴剂的膏体层形成用组合物、及皮肤贴剂
EP2494953B1 (en) * 2009-10-26 2017-09-27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for use as cosmetic or external skin preparation
US20130129661A1 (en) 2010-03-02 2013-05-23 Toray Industries, Inc. Material for skin and method for producing material for skin
US8858969B2 (en) 2010-09-22 2014-10-14 Z-Medica, Llc Hemostatic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EP2638921B1 (en) * 2010-11-12 2018-04-25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Gel sheet comprising lipidic peptide type gelling agent and polymeric compound
JP2011094158A (ja) * 2011-02-14 2011-05-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100℃以下の温度で溶融塗布可能なヨウ素含有ホットメルト粘着剤および該粘着剤を用いた医療用粘着シート製品
JP5835751B2 (ja) * 2011-04-01 2015-12-24 珠海奥托沙医薬科技有限公司 医療用吸収性骨創傷止血材及びその調製方法
CR20190006A (es) 2011-09-12 2019-03-18 Protege Biomedical Llc Composición y aposito para tratamiento de heridas
US8658193B2 (en) 2012-06-08 2014-02-25 Robert J. Greenwald Styptic storage and delivery
ES2690826T3 (es) 2012-06-22 2018-11-22 Z-Medica, Llc Dispositivos hemostáticos
JP6297959B2 (ja) * 2014-09-29 2018-03-2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身体貼着用テープ又は身体貼着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920657B (zh) * 2014-11-07 2019-04-30 稳健医疗(嘉鱼)有限公司 一种采用医用高分子材料的医用粘合剂的制备方法
BR112022013896B1 (pt) * 2020-02-12 2023-03-1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étodo de produção de composição de camada adesiva para produzir folha de refrigeração, método de produção de folha de refrigeração, e folha de refrigeração
CN113289046B (zh) * 2021-06-16 2022-06-28 广东安道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功能性医用敷料
US11446256B1 (en) 2021-08-20 2022-09-20 Advantice Health, Llc Aqueous wound healing formulation
FI130411B (en) * 2022-04-12 2023-08-18 Dermeco Oy Adhesive body dressing and method of making an adhesive body dressing
FI20225321A1 (en) * 2022-04-12 2023-10-13 Dermeco Oy Adhesive body bandage and method of making an adhesive body bandage
CN115887749A (zh) * 2022-12-21 2023-04-04 成都奇璞生物科技有限公司 胶原蛋白敷料液、敷料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304A (ja) * 1992-07-29 1994-06-03 Nitto Denko Corp 機能性外用材
KR20000006178A (ko) * 1998-06-18 2000-01-25 타이도 나오카타 수성점착고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121B2 (ja) * 1982-10-04 1985-08-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スナトリウム塩
US4714749A (en) * 1983-07-07 1987-12-22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Fully saturated petroleum resin and 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mulations utilizing same as tackifier
DE3827561C1 (ko) * 1988-08-13 1989-12-2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Gmbh & Co Kg, 5450 Neuwied, De
JPH06315525A (ja) * 1993-05-07 1994-11-15 Nitto Denko Corp 医療用吸水性ポリマー積層物及びこれを用いた創傷用被覆材
US6224899B1 (en) * 1997-03-18 2001-05-01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Adhesive cool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US6316080B1 (en) * 1998-04-15 2001-11-13 Ricoh Company, Ltd. Fluid-releasable image transfer she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304A (ja) * 1992-07-29 1994-06-03 Nitto Denko Corp 機能性外用材
KR20000006178A (ko) * 1998-06-18 2000-01-25 타이도 나오카타 수성점착고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261A (ko) 2016-11-10 2018-05-18 (주)헵틸와이 산화 다당류 및 아민 변성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창상피복재용 히드로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20691A1 (en) 2003-02-26
US20030165560A1 (en) 2003-09-04
EP1317933A1 (en) 2003-06-11
JPWO2002022182A1 (ja) 2004-01-22
HK1057491A1 (en) 2004-04-08
CN1279894C (zh) 2006-10-18
CN1458848A (zh) 2003-11-26
AU2001286220A1 (en) 2002-03-26
EP1317933A4 (en) 2009-08-26
KR20030039368A (ko) 2003-05-17
WO2002022182A1 (fr) 2002-03-21
JP4971578B2 (ja) 2012-07-11
TWI287457B (en) 2007-10-01
CA2420691C (en)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233B1 (ko) 창상 피복용 제제
US6635272B2 (en) Wound dressing and drug delivery system
US6458380B1 (en) Dressing and preparation delivery system
KR100349020B1 (ko) 폴리비닐피롤리돈과키토산유도체의상호반응에의해형성된겔
CA3118358C (en) Foam compositions, foam matrices and methods
US4857334A (en) Synthetic resin matrix system incorporating healing enhancer
KR101511405B1 (ko) 하이드로겔 창상피복재
RU2273471C2 (ru) Гели, образованные при взаимодействии поливинилпирролидона с производными хитозана
ES2257238T3 (es) Aposito para emision controlada de principios activos en heridas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US7112713B2 (en) Dressing based on the Teorell-Meyer gradient
EP0344090A2 (en) Synthetic resin matrix system incorporating healing enhancer
JP2007512410A (ja) 皮膚接着性ヒドロゲル
CA244943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blood and fluid loss from open wounds
EP0737703A3 (en) Hydrogel-forming , self-solvating absorbable polyester copolymers, and methods for use therefor
WO2007127390A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wound treatment
EP2617437A1 (en) Method for using hydrogel sheet for treating wound
WO2004108035A1 (en) Dressings based on the teorell-meyer gradient
US20050181025A1 (en) Preparation for wound healing and prevention of bandage adhesion to the wound
JP5147207B2 (ja) ハイドロゲル創傷被覆材
KR20040085646A (ko) 상처치료용 드레싱 또는 팩제로 이용할 수 있는 수화겔드레싱 및 그의 제조방법
RU2240140C2 (ru) Медицинск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повязка и изделия на ее основе
JP3253431B2 (ja) 医療用貼付材
UA28514U (uk) Антисептичний перев`язувальний матеріал
JPS6173665A (ja) 人工皮膜による傷口の保護方法
TW200938234A (en) Hydrogel wound dr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1